KR101215956B1 -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 Google Patents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956B1
KR101215956B1 KR1020110059769A KR20110059769A KR101215956B1 KR 101215956 B1 KR101215956 B1 KR 101215956B1 KR 1020110059769 A KR1020110059769 A KR 1020110059769A KR 20110059769 A KR20110059769 A KR 20110059769A KR 101215956 B1 KR101215956 B1 KR 101215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nipple
hole
air
vi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표
Original Assignee
김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표 filed Critical 김상표
Priority to KR1020110059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앓이를 방지하는 젖꼭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젖꼭지에 공기유입구를 설치하되 공기 유입구의 내벽과 외벽의 두께를 달리하여 젖꼭지를 빠는 힘에 의하여 공기유입구의 통공이 열렸다가 닫혔다가 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하여 공기를 유입시켜 분유통내의 분유가 쉽게 빠져나가고 분유에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STRUCTURE OF ARTIFICIAL NIPPLE}
본 발명은 영아들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 젖병안에서 분유와 공기가 섞여서 발생할 수 있는 배앓이를 줄이는 젖꼭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젖병은 아기에게 먹일 분유와 물을 혼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젖꼭지는 아기가 물과 혼합된 분유를 먹을때 분유를 섭취하기 위하여 젖꼭지를 빨게 되면 젖병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어 빨기 시작한 어느 정도 이후에는 분유통이 찌그러지면서 분유가 잘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젖병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아기가 입을 떼도록 해서 젖꼭지의 구멍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를 젖병내부로 유입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아기가 지속적으로 분유를 섭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적정한 압력으로 젖을 빨지 못하여 아기가 젖꼭지를 입으로 물었다가 떼었다가를 하면서 분유를 섭취하게 되면 분유뿐만 아니라 다량의 공기를 함께 섭취하게 되는데 분유와 공기를 함께 섭취하게 되면 아기가 배앓이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분유가 나오는 통로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공기와 분유를 함께 섭취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컸었다.
또한 분유가 잘 나오지 않는다고 아기가 젖꼭지를 지나치게 세게 빨게 되면 귀에 무리가 생겨 중이염이나 볼거리가 생길 수 있으며 잘 배출되지 않는 분유에 의하여 아기가 신경질적으로 변하거나 정서불안이 야기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분유를 흡입할 때 다른 통공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발명이 개시된 바 있으며 특허등록번호 제10-0781663호 '수유용 젖병'또한 젖꼭지의 반대쪽인 바닥면에 공기 유입구를 갖도록 하고 있으나 내용물이 샐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유시에 아기가 공기를 함께 흡입하지 않도록 하되 내용물이 새지 않으면서도 수유시에만 공기가 잘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젖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젖꼭지의 주변으로 공기유입구가 함입되어 형성되는데
내벽은 젖꼭지 쪽을 향하며 외벽은 외주면을 향하도록 하며 내벽의 두께는 상기 외벽의 두께보다 얇으며 합입 형성된 공기유입구의 끝단에는 공기가 드나드는 통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내벽은 옆에서 보았을 때 일자형이며 상기 외벽은 옆에서 보았을 때 끝부분에서 내벽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내벽은 위에서 보았을때 외벽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외벽은 위에서 보았을 때 중심각 180도 이상의 타원 형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통공은 받침판 위에 돌출되어 형성이 되며 상기 통공에서 외벽쪽의 받침판의 두께와 내벽쪽의 받침판의 두께는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젖꼭지를 영아가 빨 때 그 힘에 의하여 내벽과 외벽이 연동하여 통공을 열렸다가 닫혔다가를 반복하며 젖꼭지를 빨지 않거나 센 힘으로 빠는 경우에는 통공이 닫혀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명에 의하여 분유를 섭취할 때 공기를 함께 섭취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아기의 배앓이를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젖꼭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는 중심에 분유가 출입하는 분유출입구(11)의 주위로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1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젖꼭지의 하단에는 분유통과의 결합을 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부분은 분유통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젖꼭지는 분유출입구(11)의 양쪽으로 공기유입구(12)를 갖는데 공기유입구(12)는 내벽(13)과 외벽(14)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외벽(14)의 끝부분은 내벽(13)쪽을 향하여 약간 둥글게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도3은 공기유입구(12)를 좀더 자세하게 도시한다. 공기유입구의 내벽(13)은 옆에서 보았을때 거의 직선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위쪽에서 보았을 때는 약간 안쪽으로 함입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내벽(13)은 외벽보다 얇게 형성이 되어 있으며 통공(15)은 일자로 가늘게 찢어진 형태로 형성이 되어 있으며 통공은 받침판(16)위에 돌출되어 형성이 되어 있다. 또한, 통공은 공기유입구(12)의 바닥면에서 좀 더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4는 공기유입구(12)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기가 젖꼭지를 빨기 전에는 통공(15)은 일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외벽은 위쪽에서 보았을때 둥근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내벽(13)도 외벽의 안쪽으로 약간 함입된 정도의 곡선을 유지하고 있다. 아기가 젖꼭지를 빨게 되면 아기가 직접 입을 대는 분유출입구(11)쪽부터 힘이 내벽과 외벽에 전달되는데 분유출입구쪽과 가까우며 두께가 얇은 내벽(13)이 적은 힘에도 움직이게 되는데 내벽(13)의 양쪽이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통공(15)이 형성된 받침판(16)의 끝부분이 힘을 받게 되는데 받침판(16)은 통공(15)을 기준으로 보았을때 내벽(13)쪽을 향한 부분의 두께가 더 두껍고 외벽(14)쪽을 향한 부분이 더 얇기 때문에 외벽(14)쪽을 향한 부분이 먼저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도4에서와 같이 통공(15)이 둥글게 열리게 된다. 또한, 젖꼭지를 빨기 위한 힘이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 외벽이 당겨지게 될 뿐 아니라 내벽에 의해서 받침판(16)에서 내벽쪽에 가까운 곳도 힘을 받게 되어 받침판 전체가 당겨지게 되어 일자형태로 닫혀있던 통공이 둥근 형태로 닫히게 된다.
즉, 외벽과 내벽 받침판과 외벽과 내벽 사이의 두께를 달리함으로써 힘이 가해졌을 때 움직이게 되는 순서를 달리함으로써 약간의 틈이 생기도록 하며 이 틈을 통하여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두께를 달리하여 움직이게 되는 순서를 조절할 수 있으며 힘을 전혀 안주는 경우나 힘을 계속적으로 주고 있는 상태에서는 통공이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여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한다.
즉, 아기가 젖꼭지를 빨게 됨에 따라 내벽과 외벽뿐 아니라 내벽, 외벽에 연결된 받침판의 두께의 차이에 따라 각각의 부분이 구부러지는 정도 및 시간에 차이가 생기게 되면서 통공이 잠깐씩 열리게 되며 이때 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분유통의 안쪽의 내용물을 밀어내면서 분유가 수월하게 분유출입구(11)로 빠져나가게 되며 종래와 같이 공기가 들어오지 못해서 분유통이 쫄아드는 경우는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젖꼭지를 빨게 될 때 공기 유입구가 아래쪽을 향하게 되어 내용물이 공기 유입구를 통해서 흐르지 않을 까 하는 염려가 생길 수도 있지만 공기유입구의 통공(15)이 열리는 것은 젖꼭지를 빨고 있을 중간의 잠깐일 뿐 인데 젖꼭지를 빨게 되면 공기유입구가 없을 때에는 분유통이 찌그러질 정도록 분유가 분유출입구를 통해서 빠져나가게 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분유 출입구쪽의 압력이 가장 낮아지게 되며 통공은 공기가 유입되면서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안쪽의 분유가 통공을 통하여 새어 나오지는 않는다. 설사 일부가 새어나온다고 하여도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이 비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 저장이 될 수 있어 아기 쪽으로 흐르지는 않으며 새어나오게 되는 양은 극히 미미하다.
또한, 아기가 젖꼭지를 빠는 동작은 리듬감 있게 반복적으로 젖꼭지를 빨면서 젖꼭지부분에 힘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동작이 정순과 역순으로 반복이 되면서 조금씩 통공이 열렸다 닫혔다를 반복하게 되며 이때 공기가 분유통 속으로 유입되어 분유를 밀어내도록 하여 분유가 잘 배출되도록 하면서도 중간에 젖꼭지에서 입을 떼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또한 공기가 들어가는 방향으로 분유가 밀려서 나가기 때문에 분유와 공기가 섞일 가능성이 매우 작아지게 된다.
11: 분유출입구 12: 공기유입구
13: 내벽 14: 외벽
15: 통공 16: 받침판

Claims (4)

  1.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로서,
    젖꼭지의 주변으로 공기유입구가 함입되어 형성되는데
    내벽은 젖꼭지쪽을 향하며 외벽은 외주면을 향하도록 하며 내벽의 두께는 상기 외벽의 두께보다 얇으며 합입형성된 공기유입구의 끝단에는 공기가 드나드는 통공이 형성된,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은 옆에서 보았을때 일자형이며 상기 외벽은 옆에서 보았을때 끝부분에서 내벽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내벽은 위에서 보았을때 외벽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외벽은 위에서 보았을때 중심각 180도 이상의 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받침판위에 돌출되어 형성이 되며 상기 통공에서 외벽쪽의 받침판의 두께와 내벽쪽의 받침판의 두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젖꼭지를 영아가 빨 때 그 힘에 의하여 내벽과 외벽이 연동하여 통공을 열렸다가 닫혔다가를 반복하며 젖꼭지를 빨지 않거나 센힘으로 빠는 경우에는 통공이 닫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KR1020110059769A 2011-06-20 2011-06-20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KR101215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769A KR101215956B1 (ko) 2011-06-20 2011-06-20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769A KR101215956B1 (ko) 2011-06-20 2011-06-20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956B1 true KR101215956B1 (ko) 2012-12-27

Family

ID=4790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769A KR101215956B1 (ko) 2011-06-20 2011-06-20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9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109B1 (ko) * 2015-11-05 2016-10-12 (주)프띠아띠 배앓이 방지용 젖꼭지
WO2016196568A1 (en) 2015-06-04 2016-12-08 Osmay Gonzalez Baby bottle blend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27Y1 (ko) 2007-02-13 2008-11-25 전득재 젖병용 젖꼭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27Y1 (ko) 2007-02-13 2008-11-25 전득재 젖병용 젖꼭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6568A1 (en) 2015-06-04 2016-12-08 Osmay Gonzalez Baby bottle blender
CN108024911A (zh) * 2015-06-04 2018-05-11 易父母有限公司 婴儿奶瓶搅拌器
EP3302400A4 (en) * 2015-06-04 2019-02-27 Easy Parents Llc MIXER FOR BABY BOTTLES
KR101665109B1 (ko) * 2015-11-05 2016-10-12 (주)프띠아띠 배앓이 방지용 젖꼭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946B2 (en) Teat for feeding bottle
TW201124130A (en) Artificial nipple, nursing container using same, and pacifier toy
KR101215956B1 (ko)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KR101894739B1 (ko) 젖병
US20160346168A1 (en) Nursing bottle having air returning function
JP3073750U (ja) 哺乳瓶の構造
US20120181245A1 (en) Nursing bottle nipple and air-venting system
KR200442627Y1 (ko) 젖병용 젖꼭지
JP2011229709A (ja) ネブライザキットおよびネブライザ
TW201501709A (zh) 人工奶嘴及具有人工奶嘴之哺乳器(二)
JP2004129940A (ja) 哺乳器
KR101802787B1 (ko)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CN115531208A (zh) 用于防止腹痛的改善型哺乳用奶嘴
KR100549467B1 (ko) 기능성 젖병
KR101081430B1 (ko) 수유용 젖병
CN219110268U (zh) 一种带咽部吸引及吸氧功能的鼻饲养一体管
KR102608528B1 (ko) 젖꼭지부
KR200328696Y1 (ko) 기능성 젖병
KR200296969Y1 (ko) 외부 연결관이 추가 설치된 수유기구
KR102281524B1 (ko) 분말흡입기용 마우스피스
RU28066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в виде детской бутылочки
JP4907069B2 (ja) 人工乳首及び哺乳器
KR100549468B1 (ko) 기능성 젖병
CN108814986A (zh) 婴儿奶瓶
KR200296968Y1 (ko) 공기 흡입 방지용 수유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