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873U -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 Google Patents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873U
KR20080002873U KR2020070001186U KR20070001186U KR20080002873U KR 20080002873 U KR20080002873 U KR 20080002873U KR 2020070001186 U KR2020070001186 U KR 2020070001186U KR 20070001186 U KR20070001186 U KR 20070001186U KR 20080002873 U KR20080002873 U KR 200800028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in
pin
fire extinguisher
fasten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954Y1 (ko
Inventor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최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철 filed Critical 최병철
Priority to KR2020070001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95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8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8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9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기용 안전핀 및 그의 체결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핀의 착탈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중심부를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불룩하게 만들거나, 혹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들을 형성하여 안전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안전핀이 삽입되는 홀의 내외측면에 체결된 안전핀이 함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필요한 숫자만큼의 도르래를 형성시킴으로써 안전핀 체결에 대한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안전핀 및 체결레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소화기용 안전핀은, 종래 밋밋한 구조로 형성시킨 안전핀을 사용함으로써 안전핀의 튀어나온 부분을 간단히 치는 것에 의해 빠지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며, 동시에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는 체결되는 어떠한 종류의 안전핀으로도 보다 높은 체결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작동시 힘을 분산시켜 안전핀의 수명을 늘리는 효과도 제공한다.
안전핀, 소화기, 레버, 탄성, 나선, 도르래

Description

소화기용 안전핀 및 그의 체결레버{Safety pin and lever for a fire extinguisher}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소화기에서 안전핀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안전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안전핀에 힘이 가해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를 설명하기 위해 안전핀의 체결 부위에 대한 수직형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70, 90 : 소화기용 안전핀
410, 710, 910 : 핀침
411a, 411b, 711 ; 선침재 412a, 412b : 침재돌기
420, 720, 920 : 핀고리
712 : 체결돌기 712h : 돌기홀
712s : 탄성체 712x,712y : 돌기추
811 : 안전핀 체결레버
811a : 상부레버 811b : 하부레버
812a, 812a', 812b, 812b' : 도르래
813 : 보조편
915 : 회전고정편
본 고안은 소화기용 안전핀 및 그의 체결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핀의 착탈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중심부를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불룩하게 만들거나, 혹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들을 형성하여 안전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안전핀이 삽입되는 홀의 내외측면에 체결된 안전핀이 함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필요한 숫자만큼의 도르래를 형성시킴으로써 안전핀 체결에 대한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안전핀 및 체결레버에 관한 것이다.
핀(pin)은 못이나 바늘처럼 가늘고 짧게 만들어진 쇠붙이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특히 안전핀(safety pin) 어떠한 설비나 장비, 또는 장치들에서 어떠한 의도적인 작동을 실시하지 않으면 해당 설비나 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초기 화재진압이나 소화호스의 사용 등과 같이 의도적인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에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나 기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안전핀의 한 예로 소화기용 안전핀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소화기에서 안전핀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안전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종래 안전핀에 힘이 가해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소화기용 안전핀(10)은 소화기(1)의 작동레버인 상부손잡이(11a)와 하부손잡이(11b) 각각을 소화기(1)의 안전핀홀(10h)에 삽입함으로써, 상하부손잡이(11a,11b)가 작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소화기안전핀(10)으로 인해 발사손잡이(11)가 작동되지 않고, 상부손잡이(11a) 하단에 걸려 있는 누름핀(12)이 눌려져서, 소화기바디(15)에 충진된 소화약품이 외부로 분사되지 못하도록 하므로, 소화기(1)가 사용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소화기용 안전핀(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침(110)과 핀고리(12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핀침(110)은 안전핀홀(10h)에 실제 삽입되고 핀고리(120)는 안전핀홀(10h)에 걸림으로써 발사손잡이(11)를 고정시켜 결국 소화기(1)가 사용될 수 없는 상태로 만드는 기능을 하게 되고, 핀고리(120)는 힘을 가하여 안전핀(10)을 꽂거나 혹 은 손가락을 걸어서 뽑아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안전핀(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침(110)에 특별한 수단이나 장치가 없이 밋밋한 모양으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위급상황에서 누름핀등에 의해 변형되거나 하여 핀침이 용이하게 착탈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아울러 도 3과 같이 안전핀(10)이 실제 거치되는 핀홀(10h)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힘이 분산되지 않고 한곳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마모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평상시 안전핀을 고정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아니하여, 안전핀이 쉽게 이탈되는 결과 안전핀 분실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핀의 구조를 판 스프링 원리를 적용해 형상화하거나 돌기추를 구비하도록 하여 위급상황에서 용이하게 핀을 분리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평상시에 고정력을 향상시켜, 의도하지 않는 사용이나 충격으로 인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핀에 대한 구조나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안전핀이 체결되는 핀홀에 힘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힘을 분산시키므로써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 안전핀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안전핀이 삽입되는 삽입홀의 내외측면에 체결된 안전핀이 함부로 이 탈되지 않도록 필요한 숫자만큼의 도르래를 형성시킴으로써 안전핀 체결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종래의 안전핀에 비해 크지 않는 구조변화를 통해 종래의 안전핀에 비해 제작단가가 많이 들지 않고 제작이 용이한 새로운 안전핀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고안의 소화기용 안전핀은, 탄성력에 의해 가운데 부분이 타원나선 형상으로 불룩하게 튀어 나온 상태에서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강선침재에 의한 핀침; 및, 상기 강선침재에 의한 핀침의 일측단에 형성된 핀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강선침재는, 상기 안전핀이 체결된 상태에서 걸리도록 상기 강선침재의 타원나선 형상으로부터 튀어나와 돌출되는 침재돌기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재돌기는, 체결된 상기 안전핀이 걸리도록 상기 핀고리의 접합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형성된 타원나선 형상으로부터 강선침재 자체가 굽어지고 휘어져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재돌기는, 체결된 상기 안전핀이 걸리도록 상기 핀고리의 접합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형성된 타원나선 형상의 강선침재 상에 부가되는 모양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강선침재는, 상기 핀고리가 위치하는 반대편의 상기 강선침재 끝단이 일정폭으로 서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고리에 힘을 가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강선침재에 외부로부터 횡압이 가해지는 형태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불룩하게 튀어나온 부분이 가운데로 오므라들며, 상기 외부로부터 횡압 형태로 가해졌던 힘이 사라지는 경우 중앙 부위가 불룩하도록 가압 이전의 상태로 환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핀이 체결되는 부위에 상방향에서 눌러지고 하방향에서 떠받치는 작용력 중 어느 한 방향 이상에서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가해지는 작용력이 분산되도록 상기 작용력에 대한 상기 강선침재의 타원나선 형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선침재 및 침재돌기는, 상기 강선침재 및 침재돌기의 탄성작동에 의해 중심부로 오므라들 때의 폭이 상기 안전핀의 핀침이 통과하는 핀홀의 크기 이내에서 탄성작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또다른 목적을 가진 본 고안의 소화기용 안전핀은, 심체모양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강선침재 상의 일정 간격 지점에, 탄성작용하여 상기 강선침재 외부로 돌출되는 체결돌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있는 핀침; 및, 상기 강선침재에 의한 핀침의 일측단에 형성된 핀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핀침의 강선침재 상의 일정지점에 형성된 돌기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일측단의 중심부가 상기 돌기홀 끝단으로부터 볼록하게 튀어 나오며, 이 볼록하게 튀어나온 중심부의 끝단지점으로부터 가는 두께의 날개비닐 형태로 연장되되, 이 연장된 끝단이 상기 강선침재 상부에 접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한쌍의 돌기추; 및, 상기 돌기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볼록하게 튀어나온 중심부가 상기 돌기홀 끝단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한쌍 돌기추의 중심 각각을 홀딩하고 있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의 간격은, 상기 안전핀이 체결되는 핀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체결돌기의 경사 부분이 거치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것이 가능한 지점에, 상기 체결돌기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때의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한쌍 돌기추가 탄성작동에 의해 중심부로 오므라들 때의 폭이, 상기 안전핀의 핀침이 통과하는 핀홀의 크기 내에서 탄성작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는, 일측단이 회전축결합되고, 외측에서 중앙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조여지는 한쌍의 체결레버; 및, 상기 한쌍의 체결레버에서 서로 마주하여 대응되는 부위에 위치하며, 삽입된 안전핀의 체결상태를 일정 압력하에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 때, 상기 한쌍의 체결레버는, 서로 마주하여 대응되는 부위에서 상기 한쌍의 체결레버를 작동시킬 시, 외측에 위치하는 레버는 외측으로, 내측에 위치하 는 레버는 내측으로, 그 끝을 굽혀 형성시키는 보조편을 더 포함하고, 이 보조편에 상기 도르래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르래는 상기 한쌍의 체결레버의 작동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르래는 상기 안전핀을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한쌍의 체결레버상에 형성시키는 홀로부터 일치시켜 연장되는 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에 대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소화기용 안전핀(40)은 중앙이 불룩하게 튀어나오도록 형성된 핀침(410)과, 이 핀침(410)의 한쪽 끝에서 고리형태의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핀고리(42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 핀침(410)은 상하 2개의 강선침재(411a, 411b)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강선침재(411a, 411b)에는 침재돌기(412a, 412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소화기용 안전핀(40)에 있어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핀홀에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중앙이 불룩하게 튀어 나온 상태로 체결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본 소화기용 안전핀(40)이 완성된 상태에서 두 강선침재(411a, 411b)가 탄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아무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불룩하게 튀어나오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본 안전핀(40)이 체결되는 부위에 상하부 손잡이에 의해 위에서 눌러지고 아래에서 떠받치는 작용력 중 어느 한 방향 이상에서 가해지는 경우, 이렇게 가해지는 작용력이 분산되도록 강선침재(411a, 411b)의 타원나선 형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효과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안전핀(40)이 소화기의 핀홀에 꽂아 채우거나 혹은 뽑는 경우, 핀홀을 통과하는 순간에는 두 강선침재(411a, 411b)가 오므라들게 되어(가운데로 서로 붙거나 혹은 거의 붙을 정도로 가까워져) 통과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 소화기용 안전핀(40)에 있어 두 강선침재(411a, 411b)는 핀고리(420) 쪽으로 침재돌기(412a, 412b)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침재돌기(412a, 412b)는 통과하는 핀홀의 안쪽에서 '딸각' 하고 걸리도록 작동하여, 압력을 가할 경우 안전핀(40)이 강선침재의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됨과 동시에 소화기의 핀홀에 체결된 본 안전핀(40)이, 의도적으로 안전핀(40)을 뽑는 상태가 아닌 단순한 충격 등에 의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두 강선침재(411a, 411b)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소화기의 핀홀에 잘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40)에서는 그 단면이 둥그런 두 강선침재(411a, 411b) 상에 덧붙여지는 형태로 침재돌기(412a, 412b)가 형성된다.
반면,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40)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둥그런 두 강선침재(411a, 411b) 자체가 약간 튀어나오도록 덧붙여지는 모양으로 라운드져서 침재돌기(412a, 412b)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초 본 소화기용 안전핀(40)은 외부에서 아무런 힘이 가해 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두 강선침재(411a, 411b)의 탄성력에 의해 중앙이 불룩한 형태가 된다.
일반적으로 본 소화기용 안전핀(40)에 있어서, 핀침(410)의 길이가 3~5cm 정도이고 실제 발사손잡이에 걸리는 부분은 2cm 정도이다.
따라서 안전핀(40)의 두 강선침재(411a, 411b) 끝단으로부터 5~10mm 내외의 구간에서, 핀고리(420)가 형성되어 있는 반대 부분의 두 강선침재(411a, 411b) 끝단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접합되어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접합구간의 길이(폭)는 본 실시예의 소화기용 안전핀(40)이 본 고안이 의도하는 대로 작동하도록 중앙에 어느 정도의 불룩한 탄성부분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큰 상관이 없다.
이렇게 그 끝단이 접합되어 있는 본 안전핀(40)을 핀홀에 통과시키기 시작하면, 처음 두 강선침재(411a, 411b) 끝단이 통과된 다음 불룩하게 튀어나오기 시작하는 부분이 통과되기 시작하다가 중간에 걸리게 되었을 때, 힘을 주어 안전핀(40)을 꽂는 과정을 계속 하게 되면, 불룩하게 튀어 나왔던 부분의 두 강선침재(411a, 411b)가 중앙으로 오므라들게 되고, 따라서 본 안전핀(40)을 꽂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꽂는 과정이 계속되어 핀홀에 침재돌기(412a, 412b)가 이르게 되면, 침재돌기(412a, 412b) 부분에서도 안전핀(40)을 꽂는 힘에 의해 두 강선침재(411a, 411b)가 중앙으로 더욱 오므라들어 핀홀을 통과하게 된다.
아울러 두 강선침재(411a, 411b) 끝단은 다시 소화기의 또 다른 핀홀을 통과하게 되며, 침재돌기(412a, 412b)가 핀홀을 통과한 후 핀고리(420)에 멈추게 되면, 동시에 두 강선침재(411a, 411b)가 최초 불룩하게 튀어나온 상태로 탄성복원되고 핀고리(420)와 두 침재돌기(412a, 412b) 사이에 핀홀이 걸려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소화기용 안전핀(40)에 있어 핀고리(420)에 힘을 가해 소화기의 핀홀에 꽂게 되면, 가해진 힘에 따라 두 강선침재(411a, 411b)에 는 외부로부터 횡압이 가해지는 형태로 작용하게 되고, 결국 불룩하게 튀어나온 부분이 가운데로 오므라들게 된다. 그리고 안전핀(40)을 완전히 채웠거나 혹은 완전히 빼냄으로써 외부로부터 횡압 형태로 가해졌던 힘이 사라지는 경우 중앙 부위는 가압 이전의 불룩했던 상태로 환원되게 된다.
더불어, 본 소화기용 안전핀(4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두 강선침재(411a, 411b)나 침재돌기(412a, 412b)는 탄성작동에 의해 중심부가 오므라들 때의 폭은 안전핀(40)이 통과하는 핀홀의 크기 이내에서 탄성작동하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안전핀(40)을 빼내는 과정에서의 작동은 위의 삽입시에 설명한 동작과 이동방향이 다를 뿐 각각의 작동되는 상황은 동일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소화기용 안전핀(70)은, 심체모양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강선침재 상의 일정 간격 지점에, 탄성작용하여 상기 강선침재 외부로 돌출되는 체결돌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있는 핀침(710)과, 이 핀침(710)의 한쪽 끝에서 고리형태의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핀고리(720)로 크게 구분된다. 여기서의 심체란 성냥개비나 볼펜심 등과 같이 지름 1~2mm 내외 굵기의 철사나 혹은 속이 빈 형태가 가능하면 빨대와 같은 형상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소화기용 안전핀(70)은 강선침재(711)의 상하부에 다수의 체결돌기(712)들이 형성되어 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소화기용 안전핀(70)이 체결된 상태에서 이러한 체결돌기(712)들이 핀홀에 걸려 본 안전핀(7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소화기용 안전핀(70)에서 강선침재(711)상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돌기(712)들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홀(712h)들이 형성된다.
도 7의 하단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체결돌기(712)는, 일측단의 중심부가 돌기홀(712h) 끝단으로부터 볼록하게 튀어 나오며, 이 볼록하게 튀어나온 중심부의 끝단지점으로부터 가는 두께의 날개비닐 형태로 연장되되, 이 연장된 끝단이 강선침재(711) 상부에 접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한쌍의 돌기추(712x,712y)와, 돌기홀(712h)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중심부가 돌기홀(712h) 끝단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기추(712x,712y)의 중심 각각을 홀딩하고 있는 탄성체(712s)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체결돌기(712)들은 본 안전핀(70)의 체결과 이탈이 용이하도록 땜납 등으로 강선침재(711) 상에 접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712s)인 스프링이 두 개의 돌기추(712x, 712y)가 이탈하지 않도록 걸고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체(712s)로 스프링을 사용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한 쌍의 돌기추(712x,712y)를 홀딩하는 상태로 일정한 탄성력을 갖출 수 있다면 다른 탄성체를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한쌍의 돌기추(712x, 712y)는 탄성체(712s)의 반발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선침재(711)의 두께(폭)보다 약간 튀어나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안전핀(70)을 체결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에서 당기거나 미는 힘에 의해 본 안전핀(70)이 핀홀을 통과할 시에는 두 개의 돌기추(712x, 712y)에 횡압력이 작용하여 가운데로 오므라들어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핀고리(720) 부분에 다다르면 도시한 실시예에 나타난 각 체결돌기(712)들이 원래의 상태로 환원되어 체결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고려하여 각 체결돌기(712)들의 간격은, 안전핀(70)이 체결되는 핀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712)의 경사 부분이 거치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것이 가능한 지점에, 체결돌기(712)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때의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돌기(712)는 탄성체(712s)에 의한 한 쌍의 돌기추(712x, 712y)가 탄성작동에 의해 중심부로 오므라들 때의 폭이, 핀침(710)이 통과하는 핀홀의 크기 내에서 탄성작동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돌기(712)는 앞서 설명한 동작이 가능하다면 필요한 만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를 설명하기 위해 안전핀의 체결 부위에 대한 수직형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811)는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상부 및 하부레버(811a, 811b)와, 이 상부 및 하부레버(811a, 811b)의 하단에 서로 대응하도록 보조편(813)들을 구비하고 여기에 각각 거치시킨 도르래(812a, 812a', 812b, 81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레버(811a, 811b)는 그 일측끝단이 서로 회전축(힌지구조) 결합되어 있어, 쌍을 이루는 상부 및 하부레버(811a, 811b)를 쥠으로써 외측에서 중앙으로 힘을 가압함에 따라 조여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 상부 및 하부레버(811a, 811b)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성 판이 전체적으로 'ㄷ'자 구조로 굽어진 형태를 하고 있으며, 안전핀(90)이 체결되는 부위에서는 각각 외측과 내측으로 보조편(813)을 형성하고 여기에 각각의 도르래(812a, 812a', 812b, 812b')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후에 안전핀(90)의 핀고리(920)를 잡아 뽑고 상부 및 하부레버(811a, 811b)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한쌍의 체결레버(811)는 서로 마주하여 대응되는 부위에서 본 체결레버(811)를 작동시킬 시, 외측에 위치하는 레버 즉 상 부레버(811a)는 외측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레버 즉 하부레버(811b)는 내측으로, 그 끝을 굽혀 전술한 보조편(813)들을 형성하고 이 보조편(813)들에 각각의 각 도르래(812a, 812a', 812b, 812b')를 거치시킨다.
따라서 안전핀(90)을 삽입하는 측면에서 보면 각 도르래(812a, 812a', 812b, 812b')는 어느 한 지점에서 상부 및 하부레버(811a, 811b)가 마주하여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위치하게 되며, 체결된 안전핀(90)의 핀침(910)을 일정하게 가압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작은 충격이나 혹은 미세한 정도의 힘으로 뽑아서는 뽑히지 않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각 도르래(812a, 812a', 812b, 812b')는 체결된 안전핀(9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시에도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르래(812a, 812a', 812b, 812b')에 의해 안전핀(90)을 체결하면, 상부 및 하부레버(811a, 811b)에 의해 눌려지는 상황에서의 힘을 보다 안정적으로 역분산시키게 된다.
즉 도시한 화살표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을 회전하는 도르래(812a, 812a', 812b, 812b')에 분산시킴으로써 안전핀(90)이 평상시에 잘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유지시키며,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안전핀(90)을 뽑을 때에도 보다 용이한 상태를 제공해 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레버(811a, 811b)를 금속성 판넬로 가공한 형태를 예로 들고 있으나, 필요한 경우 각 도르래(812a, 812a', 812b, 812b')를 내포할 수 있도록 두꺼운 재료로 체결레버(811) 전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핀침(910) 끝에 회전되는 회전고정편(915)이 형성된 안전핀(90)이 체결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밋밋한 구조의 핀침(910)을 가지거나 혹은 앞서 살핀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핀(40, 70)을 본 체결레버(811)에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812a, 812a', 812b, 812b')사에 형성되는 홀을 통과할 수 있다면 안전핀의 종류나 형태에 상관없이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본 실시예들에서는 소화기에 적용하는 안전핀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두 개 혹은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핀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에도 본 실시예들의 소화기용 안전핀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앞서 살핀바와 같은 소화기 체결레버의 구조를 채택한 새로운 구조의 소화기를 형성하는 경우 보다 안전한 체결을 보장하는 소화기 제작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핀침의 모양, 구조, 형태 뿐만 아니라 소화기의 체결레버 등에 있어 전술한 예 이외에도 다양하게 채택하여 구조화시킬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형태로 안전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한정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안전핀의 구조를 판 스프링 원리를 적용해 형상화하거나 돌기추를 구비하도록 하여 위급상황에서 용이하게 핀을 분리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평상시에 고정력을 향상시켜, 의도하지 않는 사용이나 충격으로 인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소화기와 같이 무심코 손잡이를 쥠에 따라 안전핀이 체결되는 부위에 힘을 가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힘을 분산시키도록 구조화됨으로써 안전핀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제시된 안전핀의 체결구조를 통하여 안전핀 체결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결국 기존에 비해 적은 단가로도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제작이 가능하여 관련 업체들로부터 좋은 호응을 얻을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18)

  1. 탄성력에 의해 가운데 부분이 타원나선 형상으로 불룩하게 튀어 나온 상태에서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강선침재에 의한 핀침; 및,
    상기 강선침재에 의한 핀침의 일측단에 형성된 핀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강선침재는
    상기 안전핀이 체결된 상태에서 걸리도록 상기 강선침재의 타원나선 형상으로부터 튀어나와 돌출되는 침재돌기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재돌기는
    체결된 상기 안전핀이 걸리도록 상기 핀고리의 접합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형성된 타원나선 형상으로부터 강선침재 자체가 굽어지고 휘어져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재돌기는
    체결된 상기 안전핀이 걸리도록 상기 핀고리의 접합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형성된 타원나선 형상의 강선침재 상에 부가되는 모양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강선침재는
    상기 핀고리가 위치하는 반대편의 상기 강선침재 끝단이 일정폭으로 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고리에 힘을 가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강선침재에 외부로부터 횡압이 가해지는 형태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불룩하게 튀어나온 부분이 가운데로 오므라들며, 상기 외부로부터 횡압 형태로 가해졌던 힘이 사라지는 경우 중앙 부위가 불룩하도록 가압 이전의 상태로 환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이 체결되는 부위에 상방향에서 눌러지고 하방향에서 떠받치는 작용력 중 어느 한 방향 이상에서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가해지는 작용력이 분산되도록 상기 작용력에 대한 상기 강선침재의 타원나선 형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침재 및 침재돌기는
    상기 강선침재 및 침재돌기의 탄성작동에 의해 중심부로 오므라들 때의 폭이 상기 안전핀의 핀침이 통과하는 핀홀의 크기 이내에서 탄성작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9. 심체모양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강선침재 상의 일정 간격 지점에, 탄성작용하여 상기 강선침재 외부로 돌출되는 체결돌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있는 핀침; 및,
    상기 강선침재에 의한 핀침의 일측단에 형성된 핀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핀침의 강선침재 상의 일정지점에 형성된 돌기홀에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일측단의 중심부가 상기 돌기홀 끝단으로부터 볼록하게 튀어 나오며, 이 볼록하게 튀어나온 중심부의 끝단지점으로부터 가는 두께의 날개비닐 형태로 연장되되, 이 연장된 끝단이 상기 강선침재 상부에 접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한쌍의 돌기추; 및,
    상기 돌기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볼록하게 튀어나온 중심부가 상기 돌기홀 끝단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한쌍 돌기추의 중심 각각을 홀딩하고 있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의 간격은
    상기 안전핀이 체결되는 핀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체결돌기의 경사 부분이 거치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것이 가능한 지점에, 상기 체결돌기가 위치 할 수 있도록 하는 때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한쌍의 돌기추가 탄성작동에 의해 중심부로 오므라들 때의 폭이, 상기 안전핀의 핀침이 통과하는 핀홀의 크기 내에서 탄성작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15. 일측단이 회전축결합되고, 외측에서 중앙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조여지는 한쌍의 체결레버; 및,
    상기 한쌍의 체결레버에서 서로 마주하여 대응되는 부위에 위치하며, 삽입된 안전핀의 체결상태를 일정 압력하에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체결레버는
    서로 마주하여 대응되는 부위에서 상기 한쌍의 체결레버를 작동시킬 시, 외측에 위치하는 레버는 외측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레버는 내측으로, 그 끝을 굽혀 형성시키는 보조편을 더 포함하고, 이 보조편에 상기 도르래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는
    상기 한쌍의 체결레버의 작동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18. 제15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는
    상기 안전핀을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한쌍의 체결레버상에 형성시키는 홀로부터 일치시켜 연장되는 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KR2020070001186U 2007-01-23 2007-01-23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KR200443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186U KR200443954Y1 (ko) 2007-01-23 2007-01-23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186U KR200443954Y1 (ko) 2007-01-23 2007-01-23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873U true KR20080002873U (ko) 2008-07-28
KR200443954Y1 KR200443954Y1 (ko) 2009-03-30

Family

ID=4134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186U KR200443954Y1 (ko) 2007-01-23 2007-01-23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9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801B1 (ko) * 2014-10-24 2015-05-12 문종인 분리가 용이한 안전핀을 구비한 소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301B1 (ko) * 2020-06-25 2020-10-27 서울특별시 시인성이 향상된 안전핀을 구비한 소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801B1 (ko) * 2014-10-24 2015-05-12 문종인 분리가 용이한 안전핀을 구비한 소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954Y1 (ko) 2009-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182Y1 (ko) 교체식 풀탭을 가지는 지퍼 헤드 어셈블리
KR101447637B1 (ko)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KR101447634B1 (ko)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KR200443954Y1 (ko)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WO2018093585A1 (en) Latching device
KR20080004986U (ko) 커넥터클립
CN102661304A (zh) 卡绳棒定位销
KR101255832B1 (ko) 미끄럼 방지용 핀을 구비한 케이블 타이
JP2014001578A (ja) 仮設物用吊りチェーンのフック
JP6227442B2 (ja) ボールチェーンの連結構造
US7926142B2 (en) Twist mop with retaining clip
CN202545492U (zh) 卡绳棒定位销
KR100574803B1 (ko) 호스용 클램프
JP3161464U (ja) 管継手連結金具
KR20140069774A (ko) 비계 결합 장치
KR200448059Y1 (ko)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JP2016097272A (ja) ベルト調節構造
CN212509310U (zh) 防止带勾弹簧断离的保护装置
WO2009128165A1 (ja) ブーツホルダー
KR200486410Y1 (ko) 머리핀 어셈블리
JP4541340B2 (ja) フック掛け鉄筋の組筋板
KR200484032Y1 (ko) 머리핀 어셈블리
KR20130134255A (ko) 리벳툴
CN206822144U (zh) 首饰扣组件
KR200326464Y1 (ko)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