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410A -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장 시험기 - Google Patents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장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410A
KR20080002410A KR1020060061245A KR20060061245A KR20080002410A KR 20080002410 A KR20080002410 A KR 20080002410A KR 1020060061245 A KR1020060061245 A KR 1020060061245A KR 20060061245 A KR20060061245 A KR 20060061245A KR 20080002410 A KR20080002410 A KR 20080002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true
tensile test
tensile
ne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035B1 (ko
Inventor
전만수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035B1/ko
Publication of KR2008000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0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9Fatigue, creep, 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 G01N2203/0075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은, 인장시험으로 구한 연신량-인장하중 곡선 또는 공칭변형률-공칭응력 곡선을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의 입력 정보인 재료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과 함께 독자적인 모듈, 즉 인장시험 연계 전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재료 물성치 획득 모듈 포함)과 상용 컴퓨터 이용공학(CAE) 프로그램의 재료 정보 획득 프로그램으로 개발이 가능하며, 또한 인장 시험기에 탑재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매우 신속하고 정확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파괴역학 등의 연구자에게 네킹에서 파단 직전까지의 보다 정확한 변형 거동 현상을 제공함으로써 관련 학문은 물론 관련 기술이 연관된 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장시험, 유한요소해석, 진변형률-진응력 곡선, 네킹, 인장 시험기

Description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Method of Acquisition of True Stress-Strain Curves over Large Strain by the Tensile Test and its Finite Element Analysis}
도 1은 인장시험으로 획득한 공칭변형률-공칭응력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공칭변형률-공칭응력 곡선으로부터 구한 기준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완전 인장시험 해석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인장시험 결과와 기준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으로 예측한 유한요소해석 결과와의 비교 그래프,
도 5는 1차 개선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1차 개선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으로 구한 연신량-인장하중 곡선과 실험결과의 비교 그래프,
도 7은 2차, 3차, 4차에 걸쳐 개선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2차, 3차, 4차에 걸쳐 개선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으로 구한 연신량-인장하중 곡선과 실험결과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을 인장시험기와 연계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이 공학해석 소프트웨어의 소재 물성치 획득 모듈로 활용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인장시험 결과로부터 얻은 연신량-인장하중 곡선만으로 금속재료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정확한 네킹 예측을 바탕으로 네킹 이후의 변형 거동을 고려함으로써, 고변형률에서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성가공 공정 해석 기술이 일반화됨으로써 금속 재료의 진변형률-진응력 관계식 또는 곡선은 공정설계 기술자에게 필수화되었지만, 실험적으로 획득이 용이하지 않아 현장 기술자는 물론 연구자들도 정확한 소재 정보를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며, 대부분의 기술자들이 관련 문헌으로부터 제한적인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단조와 같이 고 변형률에서의 유동응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연구는 되었으나, 인장시험에 바탕을 둔 고 변형률에서의 유동응력(진응력) 획득 시스템이 상품화된 것은 없으며 고 변형률에서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 획득을 위하여 연구실 단위에서 압축시험 등이 실시 되고 있다.
재료의 시험에서 인장시험만큼 유용하고 손쉬운 방법은 없다.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은 인장시험의 주요 목적 중의 하나이다. 네킹(Necking) 지역의 최소단면에서의 변형률과 응력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면, 인장시험으로도 고 변형률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유동응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미 네킹 영역의 변형형상을 계측하여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유추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나, 정확도가 떨어지고 계측 자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인장시험기와 연계하여 상품화된 실적이 전무하다.
계측의 문제점을 피하는 방법은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석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이 네킹 현상의 해석을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완전 인장시험 해석모델(인위적인 결함이나 변위 구속조건을 부과하지 않은 단순 봉재(simple bar) 해석 모델)로 해를 얻은 연구 결과는 전무하다. 최근, 발명자 등은 표점간을 모델링한 단순 봉재의 완전 인장시험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원형 단면 봉재의 인장시험에서 네킹 발생 시점을 공학적인 관점에서 정확하게 예측한 바 있다.
흔히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은 다음의 강도계수-변형경화지수 모델, 즉 Hollomon의 구성방정식으로 수식화되고 있다.
(1)
여기서 와 는 각각 진응력과 진변형률을 의미하며, 와 은 강도계수와 변형경화지수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관련 문헌에서 강도계수와 변경경화지수를 찾아 인장시험에 관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해 보면, 네킹 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 한다. 그 이유는 시편의 형상비가 일정 이상일 경우 네킹의 발생 관점에서 볼 때, Considere 조건으로부터 변형경화지수는 최대공칭응력점에 대응하는 진변형률과 동일해야 하는데 대부분 이 값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비록 네킹을 정확하게 예측하였더라도 네킹 발생 이후의 연신량-인장하중 곡선의 실험치와 유한요소해석 결과(예측치)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발생한다. 이것은 Hollomon의 구성방정식의 한계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은 주로 인장시험, 압축시험, 압입시험, 펀치시험, 비틀림시험, 노치 인장시험 등에 의하여 획득되고 있으며, 흔히 Hollomon의 구성방정식 등과 같은 수식 모델로 표현되고 있다.
인장시험은 비교적 손쉽게 실시할 수 있으며, 기술자에게 재료의 물성치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그런데 인장시험에서 발생하는 네킹(necking) 현상 때문에 소성유동해석에서 필수적인 변형률과 응력과의 상관관계를 획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네킹 이전까지는 비압축성의 가정하에서 인장시험 결과로부터 진변형률-진응력 곡선 또는 함수를 구할 수 있으나, 네킹이 발생하면 이 조건으로부터 더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다. 강의 경우, 대개 변형률이 0.15 이하에서 네킹이 발생하는 반면, 단조 등 소성가공에서 변형률은 1.0을 넘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자동다단단조의 경우 공정중 풀림처리 등을 실시할 수 없으므로 주 변형 구간에서의 변형률이 2.0을 넘는 경우가 흔한 일이다. 따라서 네킹 발생 이전까지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은 대변형을 수반하는 소성가공 관점에서는 주 관심사가 될 수 없으며, 네킹 이전의 변형률-응력 곡선을 외삽하여 네킹 발생 이후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으로 사용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서는 매우 부적절할 수 있다. 일부 연구자들에 의하여 인장시험 결과인 연신량-인장하중 곡선과 네킹 영역의 형상에 근거하여 10% 내외의 오차 범위에 들어오는 변형률-응력 곡선을 구하였으나, 네킹 영역의 변형 형상의 계측이 필요하거나 재료의 특징을 세부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압축시험은 비교적 큰 변형률에 대한 유동응력(진응력)을 구할 수 있게 해 주지만 경계조건의 불확실성에 기인하는 낮은 해의 정확도가 문제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압축시험에 전문적인 지식, 경험, 장치 등이 모두 갖추어지지 않으면 압축시험으로부터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이 용이하지 않다.
압입시험은 시험 장소 및 시편 준비 측면에서 다소 유리한 면이 있으나, 이 방법은 0.3 이하의 진변형률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펀치시험도 0.3 이하의 비교적 낮은 변형률에 대한 진응력을 구하는데 사용된다.
비틀림시험은 비교적 높은 변형률속도에 대한 진응력을 얻게 해 주지만, 상온에서 고 변형률에 대한 유동응력을 얻을 수 없다.
노치시험은 인장시험에 비하여 저 변형률의 결과를 얻을 수밖에 없으며, 재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금속 재료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을 위한 대부분의 방법들이 해석 기술, 특히 유한요소해석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인장시험의 경우, 네킹 지역의 최소단면에서 진변형률은 최대가 되며, 연강의 경우 진변형률이 1.5에 이른다. 따라서 유한요소법으로 예측한 네킹 지역의 변형 거동특성을 활용하면, 고 변형률에 대한 진응력 또는 유동응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시도가 일부 연구자들에 의하여 시도되었으나 그 활용이 극히 제한되어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 봉재를 해석영역으로 사용한 모든 연구에서 사용된 유한요소 해석모델은 인위적인 결함(형상결함 부여, 경계조건 가정, 변형률 조작 등)을 필요로 하거나, 인장시편 전체를 해석 대상 영역으로 선택하였다.
둘째, 접근 방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일반화가 불가능하다.
셋째, 일부의 방법에서는 시편의 변형형상 정보를 필요로 한다.
넷째, 네킹의 예측이 정확하지 않아 결과의 정확도가 높지 않다.
인장시험 결과로부터 고 변형률에 대한 유동응력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수치적 또는 해석적 방법에 의한 네킹 현상의 정확한 예측이 전제되어야 한다. 네킹 현상의 수치 해석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인장시편의 표점 사이를 해석영역으로 간주한 모든 연구에서 네킹을 유도하기 위하여 인위적인 결함을 해석모델에 부가하였거나 한쪽 끝단에서 인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위를 구속하였다. 인장시편 전체를 해석영역으로 사용한 경우도 있으나 물성치 획득의 측면에서 보면 활용에 제약이 많이 따른다. 아직까지 원형 단면 봉재의 인장시편의 표점 사이를 무결함과 무전단력의 완전 인장시험 해석모델(perfect tensile test analysis model)로 모델링을 실시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한 결과로써 Considㅸre 조건을 만족한다는 객관적 결과가 발표된 바가 없다.
전술한 이유로 실제 공정 설계 및 해석 연구자와 기술자들이 찾고자 하는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관련 재료 핸드북이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인장시험기의 기능으로 제공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소성역학 관련 공학해석 S/W가 인장시험 정보를 활용한 재료 물성치 획득 모듈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장시험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결과로 얻은 네킹 발생 이후의 연신량-인장하중 곡선이 인장시험으로 구한 연신량-인장하중 곡선과 공학적으로 일치하도록 하는 고변형률에서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획득할 수 있는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은, 인장시험 결과로부터 기준 변형경화지수
Figure 112006047393725-PAT00001
과 기준 강도계수
Figure 112006047393725-PAT00002
을 구하고, 네킹 발생 이후의 연신량 중에서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003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04
)를 결정하는 제1단계와;
기준 변형률-응력 곡선을 사용하여 인장시험을 해석한 후
Figure 112006047393725-PAT00005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06
) 등을 구하는 제2단계와;
Figure 112006047393725-PAT00007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08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09
으로 두는 제3단계와;
Figure 112006047393725-PAT00010
Figure 112006047393725-PAT00011
로 두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012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13
로 두는 제4단계와;
Figure 112006047393725-PAT00014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15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16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17
) 등에 의하여 정의된 재료의 유동응력 정보와 완전 인장시험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인장시험을 해석하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018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19
)에서 인장하중의 실험치와 예측치를 비교하여 수렴 여부를 확인하며, 수렴되었을 때 종료하고, 수렴되지 않았을 경우 해석결과로부터
Figure 112006047393725-PAT00020
을 구하여
Figure 112006047393725-PAT00021
로 치환하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022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23
)를 계산하는 제5단계와;
Figure 112006047393725-PAT00024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25
)에서
Figure 112006047393725-PAT00026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27
)을 선형보간하여 응력
Figure 112006047393725-PAT00028
을 구하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029
에서의 수정된
Figure 112006047393725-PAT00030
를 아래와 같이 계산하는 제6단계와;
Figure 112006047393725-PAT00031
다시 상기 제4단계로 돌아가서 n회 반복하여 진행하는 제7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네킹 발생 시점의 고정도 예측을 위한 일반적 접근방법에 근거하여 연신량-인장하중의 실험치와 예측치의 차이를 반복개선 알고리즘에 의하여 줄임으로써 재료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획득하는 체계적이고 일반적인 방법과 이를 근간으로 하는 진변형률-진응력 획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장시험 결과, 즉 도 1의 공칭응력(
Figure 112006047393725-PAT00032
)-공칭변형률(
Figure 112006047393725-PAT00033
) 곡선으로부터 소재의 물성치를 직접 얻을 수 있는 것은 탄성계수
Figure 112006047393725-PAT00034
, 항복강도
Figure 112006047393725-PAT00035
, 인장강도
Figure 112006047393725-PAT00036
, 연신율
Figure 112006047393725-PAT00037
등이다.
소성변형중의 체적 변화를 무시하면, 진응력
Figure 112006047393725-PAT00038
와 진변형률
Figure 112006047393725-PAT00039
는 공칭응력 및 공칭변형률 와 다음의 관계에 있다.
Figure 112006047393725-PAT00040
(2)
Figure 112006047393725-PAT00041
(3)
식 (2)와 식 (3)은 네킹이 발생하기까지 적용이 가능하므로 네킹 발생 이전까지의 진응력-진변형률 곡선은 비압축성 조건을 전제로 식 (2)와 식 (3)으로부터 구한다.
네킹 발생 시점의 진변형률로부터 변형경화지수를 구한 것을 기준 변형경화지수(reference strain hardening exponent)라고 하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042
으로 표현하면,
Figure 112006047393725-PAT00043
(4)
이다. 이 식에서
Figure 112006047393725-PAT00044
은 네킹 발생 시점에서 공칭변형률이다. 그리고 식 (1)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이 네킹 발생 때의 진변형률과 진응력을 정확하게 만족하게 함으로써 강도계수
Figure 112006047393725-PAT00045
를 구할 수 있다. 이 때의 강도계수를 기준 강도계수(reference strength coefficient)라고 칭하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046
으로 표시하면,
Figure 112006047393725-PAT00047
(5)
이다. 이 식에서
Figure 112006047393725-PAT00048
는 네킹 발생 시점에서 공칭응력을 의미한다.
식 (1)의 Hollomon의
Figure 112006047393725-PAT00049
모델(구성방정식)에서
Figure 112006047393725-PAT00050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51
을 사용할 경우, 식 (1)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기준 변형률-응력 곡선(reference stress-strain curve)이라 칭한다. 기준 변형률-응력 곡선을 사용하여 인장시험을 해석할 경우, 진변형률이
Figure 112006047393725-PAT00052
에 도달하면, 이론적으로 네킹이 발생하게 된다. 네킹 이후의 연신량-인장하중 정보로부터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획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장시험을 유한요소해석할 때 이 점을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 사용될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은 네킹 발생 시점을 공학적으로 정확하게 예측해야 한다. 실제 네킹 발생 시점의 예측 사례를 다음에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제로 선택한 인장시험에서 네킹지점의 인장강도가 357MPa이고 네킹이 공칭변형률 0.135에서 발생하였으므로 식 (4)와 식 (5)로부터
Figure 112006047393725-PAT00053
Figure 112006047393725-PAT00054
는 각각 0.127와 526.35로 계산되며, 도 2에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실선은 네킹 이전까지를 나타내며, 네킹 이전까지의 결과를 외삽하여 구한 네킹 발생 이후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점선으로 나타내 었다. 따라서 네킹 발생 이후의 정보는 추정치에 불과하다. 비록 네킹 이전까지의 결과는 맞지 않더라도 이에 관한 상세한 값은 인장시험 결과를 식 (2)와 식(3)에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 앞에서 구한
Figure 112006047393725-PAT00055
Figure 112006047393725-PAT00056
를 식 (1)에 대입하여 인장시험을 유한요소해석하면, 네킹 발생 시점은 공학적 관점에서 정확하게 계산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실은 인장시편의 그립을 포함한 모델에서도 예측이 되며, 접근 방법의 체계화 관점에서는 해석 대상 영역을 표점과 상하대칭면 사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양 끝은 무마찰 속도 지정 경계로 간주되어야 한다. 유한요소 해석모델에 인위적 결함을 부과하지 않았으며, 양 끝단에서 표면력의 반경방향 성분이 0인 도 3의 완전 인장시험 해석모델을 사용하였다. 유한요소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였다. 해석중 상태변수의 순화로 인한 영향을 배제시키기 위하여 요소망 재구성을 실시하지 않았다.
도 4에서 연신량에 따른 인장하중의 예측치를 실험치와 비교한 결과, 최대 인장하중의 실험치와 예측치는 각각 10,950 N과 10,951 N이며, 네킹 발생 시점에서 연신량의 실험치와 예측치는 각각 3.386 mm와 3.386 mm이다. 따라서 네킹 시점에 대한 실험과 해석 결과가 공학적인 관점에서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편의 형상비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네킹의 시작은 기준 변형경화지수의 지배를 받는다. 도 2의 기준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은 네킹 발생을 강조하여 구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네킹 발생 시점 및 최대하중을 정확하게 예측하게 한다. 여기서 강조해 두어야 할 점은 네킹의 발생과 파단에 이 르는 과정, 특히 인장시편의 형상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도 2의 기준 변형률-응력 곡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이다. 문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킹 발생 시점 이후에 연신량의 증가에 따라 인장시험에 대한 실험치와 유한요소 예측치의 차이가 커지며, 단조중 소재의 변형률이 네킹 발생 시점의 변형률보다 대개 10 배 이상 크다는 데 있다. 따라서 도 2의 기준 변형률-응력 곡선을 네킹 발생 이후의 재료의 물성치로 직접 사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유동응력의 적절한 보정이 필요하다.
네킹이 발생하면, 진변형률 분포의 비균질성이 급격히 증가하며, 특히 최소단면에서 진변형률은 최대가 된다. 최소단면에서는 상하 대칭성으로 인하여 전단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소성변형 영역이면서 변형률 분포의 균일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유한요소해석 결과로부터 최소단면을 대표할 수 있는 변형률을 쉽게 정의할 수 있다. 즉, 어떤 특정한 점 데이타의 연신량, 즉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057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58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59
은 점 데이타의 수)에 대하여 최소단면을 구할 수 있으며, 그 때의 변형률 대표값
Figure 112006047393725-PAT00060
의 결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061
에서 측정한 인장하중
Figure 112006047393725-PAT00062
와 해석으로 예측한 인장하중
Figure 112006047393725-PAT00063
의 차이를
Figure 112006047393725-PAT00064
에서의 응력
Figure 112006047393725-PAT00065
을 보정하여 최소화시킴으로써 네킹 이후에도 진변형률(
Figure 112006047393725-PAT00066
)-진응력(
Figure 112006047393725-PAT00067
)의 관계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면적평균법을 사용하여
Figure 112006047393725-PAT00068
을 구하였다. 즉, 다음 식에 의하여 변형률 대표값
Figure 112006047393725-PAT00069
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06047393725-PAT00070
(6)
여기서
Figure 112006047393725-PAT00071
는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072
에서의 인장시편의 최소단면 또는 최소단면적을 나타내며,
Figure 112006047393725-PAT00073
는 진변형률에 해당하는 유효변형률이다.
본 발명에서는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074
에 대응하는 변형률 대표값이
Figure 112006047393725-PAT00075
이고 인장하중에 관한 실험치와 해석치가 각각
Figure 112006047393725-PAT00076
Figure 112006047393725-PAT00077
일 때,
Figure 112006047393725-PAT00078
에서의 응력을 현재의
Figure 112006047393725-PAT00079
에 를 곱해 줌으로써
Figure 112006047393725-PAT00080
에서의 유동응력
Figure 112006047393725-PAT00081
을 보정하였다.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에 관하여 상술하기에 앞서, 먼저 진변형률-진응력 관계의 표현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준 변형률-응력 곡선을 네킹 발생 이전까지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으로 사용하고, 네킹 발생 이후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082
에서 정의된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83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84
)를 선형보간하여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으로 사용하였다.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085
에서의 개선된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86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87
)를 구하는 구체적인 절차, 즉 반복개선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다음에서
Figure 112006047393725-PAT00088
Figure 112006047393725-PAT00089
Figure 112006047393725-PAT00090
번 수정된 변형률과 응력을 각각 의미한다.
1 단계: 인장시험 결과로부터 기준 변형경화지수
Figure 112006047393725-PAT00091
과 기준 강도계수
Figure 112006047393725-PAT00092
을 구하고, 네킹 발생 이후의 연신량 중에서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093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94
)를 결정한다.
2 단계: 기준 변형률-응력 곡선을 사용하여 인장시험을 해석한 후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095
에 대한 대표 변형률
Figure 112006047393725-PAT00096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97
) 등을 구한다.
3 단계: 반복개선 작업을 위하여 초기조건을
Figure 112006047393725-PAT00098
,
Figure 112006047393725-PAT00099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00
으로 설정한다.
4 단계:
Figure 112006047393725-PAT00101
Figure 112006047393725-PAT00102
로 두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103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04
로 둔다. 반복개선 작업을 실시한다.
5 단계:
Figure 112006047393725-PAT00105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06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07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08
) 등에 의하여 정의된 재료의 유동응력 정보와 완전 인장시험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인장시험을 해석하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109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10
)에서 인장하중의 실험치와 예측치를 비교하여 수렴 여부를 확인하며, 수렴되지 않았을 경우 해석결과로부터
Figure 112006047393725-PAT00111
을 구하여
Figure 112006047393725-PAT00112
로 치환하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113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14
)를 계산한다. 수렴되었을 경우, 관련 정보를 출력하고 반복개선 작업을 중단한다.
6 단계:
Figure 112006047393725-PAT00115
()에서
Figure 112006047393725-PAT00117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18
)을 선형보간하여 응력
Figure 112006047393725-PAT00119
을 구하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120
에서의 수정된
Figure 112006047393725-PAT00121
를 다음 식에 의하여 같이 구한다.
Figure 112006047393725-PAT00122
(7)
7 단계: 4 단계로 간다.
각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123
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1차 보정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기준 진변형률-진응력 곡선과 함께 도 5에 나타내었으며, 계산 과정을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i
Figure 112006047393725-PAT00124
Figure 112006047393725-PAT00125
Figure 112006047393725-PAT00126
(N)
Figure 112006047393725-PAT00127
(N)
Figure 112006047393725-PAT00128
Figure 112006047393725-PAT00129
1 0.128 405.34 10950 10951 405.34 0.00%
2 0.209 431.39 10867 10820 433.24 0.43%
3 0.279 447.48 10799 10611 455.4 1.74%
4 0.385 466.28 10646 10194 486.94 4.25%
5 0.486 480.29 10448 9741 515.16 6.77%
6 0.608 494.14 10170 9155 548.94 9.98%
7 0.779 509.96 9697 8308 595.23 14.32%
8 0.977 524.77 9119 7341 651.87 19.50%
9 1.203 538.86 8429 6282 723.04 25.47%
10 1.390 548.84 7850 5472 787.37 30.29%
도 5의 1차 수정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장시험에 대한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도 6에 해석 결과를 실험 결과 및 기준 변형률-응력 곡선을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도 6의 비교 결과, 인장하중의 예측 정확도가 1차 수정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에 의하여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오차는 연신량이 증가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그 최대치가 474N 이하(6.04%)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1차 개선 작업에 의하여 30.29%의 오차가 6.04%의 오차로 개선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소재는 비교적 연신률이 큰 것임에도 불구하고 한 번의 보정 작업으로 약 94%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물론 이미 접근 방법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보정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새로운 기준으로 간주하여 보정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2차례, 3차례, 4차례의 반복 계산으로 수정된 변형률-응력 곡선과 이를 이용하여 예측한 연신량-인장하중 곡선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표 2에 반복개선 작업의 수에 따른 연신량-인장하중 곡선의 실험치 대비 예측치의 최대 오차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표 2]
Number of iterations Maximum error
0 30.29%
1 6.04%
2 3.96%
3 0.89%
4 0.38%
이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렴 특성이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으며, 4차례의 반복 계산으로 최대 오차가 0.38% 이하인 결과, 즉 공학적 정답을 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장시험기와 연계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 획득 기능 및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하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학해석 소프트웨어의 소재 정보 획득 모듈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이용한 인장시험의 정확한 해석 결과는 인장시편의 형상 변화를 대체할 수 있으며, 재료의 내부 변형 특성 및 파괴 현상의 파악 목적의 공학해석 S/W의 개발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한 예제를 바탕으로 획득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피팅한 결과, 네킹발생 이후, 다음의 수식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112006047393725-PAT00130
(8)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변형이 큰 소성가공 공정 중 재료의 변형률이 1.0을 상회하는 경우가 허다한 반면, 강의 경우 네킹은 대체로 0.15 이내의 변형률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장시험에서 얻은 네킹 이전까지의 결과를 외삽하여 얻은 유동응력이 고 변형률의 단조 공정의 해석 목적으로 사용되는 데는 부적절하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방법을 이용하면 고 변형률에서 고 정도(정도는 개선 반복 작업 수를 증가시킬수록 증가됨)의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접근 방법은 매우 체계적이며 일반화되어 있으므로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과 함께 독자적인 모듈, 즉 인장시험 연계 전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재료 물성치 획득 모듈 포함)으로 개발이 가능하며, 인장 시험기에 탑재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매우 신속하고 정확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괴역학 등의 연구자에게 네킹에서 파단 직전에서 보다 정확한 변형 거동 현상을 제공함으로써 관련 학문은 물론 관련 기술이 연관된 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인장시험 결과로부터 기준 변형경화지수
    Figure 112006047393725-PAT00131
    과 기준 강도계수
    Figure 112006047393725-PAT00132
    을 구하고, 네킹 발생 이후의 연신량 중에서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133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34
    )를 결정하는 제1단계와;
    기준 변형률-응력 곡선을 사용하여 인장시험을 해석한 후 시험 연신량
    Figure 112006047393725-PAT00135
    에 대한
    Figure 112006047393725-PAT00136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37
    ) 등을 구하는 제2단계와;
    Figure 112006047393725-PAT00138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39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40
    으로 두는 제3단계와;
    Figure 112006047393725-PAT00141
    Figure 112006047393725-PAT00142
    로 두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143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44
    로 두는 제4단계와;
    Figure 112006047393725-PAT00145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46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47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48
    ) 등에 의하여 정의된 재료의 유동응력 정보와 완전 인장시험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인장시험을 해석하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149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50
    )에서 인장하중의 실험치와 예측치를 비교하여 수렴 여부를 확인하며, 수렴되지 않았을 경우 해석결과로부터
    Figure 112006047393725-PAT00151
    을 구하여
    Figure 112006047393725-PAT00152
    로 치환하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153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54
    )를 계산하는 제5단계와;
    Figure 112006047393725-PAT00155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56
    )에서
    Figure 112006047393725-PAT00157
    (
    Figure 112006047393725-PAT00158
    )을 선형보간하여 응력
    Figure 112006047393725-PAT00159
    을 구하고,
    Figure 112006047393725-PAT00160
    에서의 수정된
    Figure 112006047393725-PAT00161
    를 아래와 같이 계산하는 제6단계와;
    Figure 112006047393725-PAT00162
    다시 상기 제4단계로 돌아가서 n회 반복하여 진행하는 제7단계를 포함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
KR1020060061245A 2006-06-30 2006-06-30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장 시험기 Active KR10094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245A KR100948035B1 (ko) 2006-06-30 2006-06-30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장 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245A KR100948035B1 (ko) 2006-06-30 2006-06-30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장 시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410A true KR20080002410A (ko) 2008-01-04
KR100948035B1 KR100948035B1 (ko) 2010-03-19

Family

ID=3921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245A Active KR100948035B1 (ko) 2006-06-30 2006-06-30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장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035B1 (ko)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886B1 (ko) * 2006-12-27 2008-03-21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강판의 인장곡선 예측방법
KR100927705B1 (ko) * 2008-04-24 2009-11-18 한국기계연구원 미세 구조물에서의 응력-변형률 관계 측정방법
CN102221503A (zh) * 2011-06-08 2011-10-19 西南交通大学 单轴拉伸全程真应力-真应变曲线测试技术
KR20160131922A (ko) * 2015-05-06 2016-11-16 리버모어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금속 넥킹 파손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구조의 시간-전진 수치적 시뮬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7991179A (zh) * 2017-11-03 2018-05-04 合肥通用机械研究院 一种测定应变诱导马氏体相变动力学曲线的方法
KR101954824B1 (ko) * 2018-07-31 2019-03-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용 연결브라켓 최종강도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US10352836B2 (en) 2014-05-08 2019-07-1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Evaluation method of plastic material and evaluation method of deformation processing of plastic material
CN111680438A (zh) * 2020-05-15 2020-09-1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板材拉伸实验数据转换处理方法
CN113281171A (zh) * 2021-06-18 2021-08-2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五研究所 一种金属材料拉伸颈缩过程中应力分布测试方法
CN113567238A (zh) * 2021-06-25 2021-10-29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单轴双向拉伸曲线处理方法
CN113901660A (zh) * 2021-10-11 2022-01-07 本钢板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确定材料voce本构方程系数的新方法
CN113962120A (zh) * 2021-09-08 2022-01-21 中国航发北京航空材料研究院 一种燃烧室机匣极限耐压能力预测方法
CN113987763A (zh) * 2021-10-12 2022-01-28 广州特种承压设备检测研究院 一种聚乙烯双曲线本构模型的构建方法及应用
CN114115126A (zh) * 2021-11-26 2022-03-01 苏州航宇九天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原位拉伸台控制系统及方法
CN114526992A (zh) * 2022-01-19 2022-05-24 北京理工大学重庆创新中心 一种复杂应力状态下材料动态断裂性能的试验表征方法
CN114965085A (zh) * 2022-05-16 2022-08-30 江苏省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一种基于拉伸温度和应变速率的ta2工业纯钛焊接接头力学性能预测方法
CN115046863A (zh) * 2022-04-29 2022-09-13 上海电力大学 一种铁素体/奥氏体异种钢焊接接头高温拉伸模拟方法
CN115438454A (zh) * 2021-06-01 2022-12-0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调整材料外插硬化曲线的方法
CN115755774A (zh) * 2022-11-01 2023-03-07 中国航发沈阳黎明航空发动机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连续仿真的机匣零件装夹应力调控方法
CN116189831A (zh) * 2023-03-01 2023-05-30 深圳市正泰隆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低温断裂延伸率的测量方法及系统
CN116609201A (zh) * 2023-03-23 2023-08-18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获取高温拉伸真应力应变曲线的测试计算方法
CN116793829A (zh) * 2023-03-17 2023-09-22 北京建筑大学 一种脆性固体材料直接拉伸断裂力学性能评价方法
CN117350105A (zh) * 2023-09-22 2024-01-05 河北工程大学 一种金属压缩实验考虑鼓肚时数据修正与校核的方法
CN117871259A (zh) * 2024-01-15 2024-04-12 中南大学 盾构隧道老化密封垫应力松弛模型参数确定方法及应用
CN118036413A (zh) * 2024-04-11 2024-05-14 中交第二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试验模型刚度效应补偿方法及系统
CN118837229A (zh) * 2024-09-03 2024-10-25 北京机械工业自动化研究所有限公司 用于金属材料的应力-应变测量装置和曲线测量方法
CN119290594A (zh) * 2024-12-12 2025-01-10 昆山周氏电业有限公司 一种电缆拉伸测试装置及其方法
CN120028142A (zh) * 2025-04-22 2025-05-23 南通尚轩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基于金属绳的拉力测试方法及装置
KR20250092415A (ko) 2023-12-15 2025-06-24 주식회사 포스코 인장 시험 분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916B1 (ko) 2010-10-20 2012-07-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응력-변형률 곡선을 획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0133185B (zh) * 2019-04-17 2022-03-22 江苏大学 一种基于应力松弛时间判定植物茎保水能力的方法
KR102393580B1 (ko) * 2020-09-15 2022-05-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압축 시험과 압입 시험을 이용한 고변형률 영역의 유동응력곡선 평가 방법
KR102454216B1 (ko) * 2020-12-31 2022-10-14 한국화학연구원 고분자 소재의 응력-변형률 선도를 모사하는 방법
KR102466754B1 (ko) * 2021-05-04 2022-11-1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고강도 소재 전단면의 파단 특성 평가 방법
WO2023018004A1 (ko)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엠에프알씨 재료의 유동 응력 수식 모델링 방법
KR20250066874A (ko) 2023-11-07 2025-05-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빔 형태 폴리머 소재의 대변형 측정과 물성치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653061B1 (ko) 2024-02-13 2024-04-01 국방과학연구소 인장시험 중 네킹이 발생하는 금속재료의 등가응력 대 등가소성 변형률 곡선을 얻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758A (ko) * 2000-03-17 2001-10-23 유정희 온도경사장 인장 및 굽힘시험기
KR100643193B1 (ko) 2005-10-06 2007-02-28 (주)프론틱스 연속압입시험을 이용한 선형적인 가공경화현상을 갖는재료의 가상의 가공경화지수, 응력계수,항복강도 및인장강도 결정방법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886B1 (ko) * 2006-12-27 2008-03-21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강판의 인장곡선 예측방법
KR100927705B1 (ko) * 2008-04-24 2009-11-18 한국기계연구원 미세 구조물에서의 응력-변형률 관계 측정방법
CN102221503A (zh) * 2011-06-08 2011-10-19 西南交通大学 单轴拉伸全程真应力-真应变曲线测试技术
US10352836B2 (en) 2014-05-08 2019-07-1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Evaluation method of plastic material and evaluation method of deformation processing of plastic material
KR20160131922A (ko) * 2015-05-06 2016-11-16 리버모어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금속 넥킹 파손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구조의 시간-전진 수치적 시뮬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7991179A (zh) * 2017-11-03 2018-05-04 合肥通用机械研究院 一种测定应变诱导马氏体相变动力学曲线的方法
KR101954824B1 (ko) * 2018-07-31 2019-03-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용 연결브라켓 최종강도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CN111680438A (zh) * 2020-05-15 2020-09-1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板材拉伸实验数据转换处理方法
CN115438454A (zh) * 2021-06-01 2022-12-0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调整材料外插硬化曲线的方法
CN113281171A (zh) * 2021-06-18 2021-08-2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五研究所 一种金属材料拉伸颈缩过程中应力分布测试方法
CN113281171B (zh) * 2021-06-18 2023-10-2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五研究所 一种金属材料拉伸颈缩过程中应力分布测试方法
CN113567238B (zh) * 2021-06-25 2024-05-14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单轴双向拉伸曲线处理方法
CN113567238A (zh) * 2021-06-25 2021-10-29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单轴双向拉伸曲线处理方法
CN113962120A (zh) * 2021-09-08 2022-01-21 中国航发北京航空材料研究院 一种燃烧室机匣极限耐压能力预测方法
CN113901660A (zh) * 2021-10-11 2022-01-07 本钢板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确定材料voce本构方程系数的新方法
CN113901660B (zh) * 2021-10-11 2024-06-11 本钢板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确定材料voce本构方程系数的新方法
CN113987763B (zh) * 2021-10-12 2024-04-12 广州特种设备检测研究院(广州市特种设备事故调查技术中心、广州市电梯安全运行监控中心) 一种聚乙烯双曲线本构模型的构建方法及应用
CN113987763A (zh) * 2021-10-12 2022-01-28 广州特种承压设备检测研究院 一种聚乙烯双曲线本构模型的构建方法及应用
CN114115126B (zh) * 2021-11-26 2024-05-07 苏州航宇九天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原位拉伸台控制系统及方法
CN114115126A (zh) * 2021-11-26 2022-03-01 苏州航宇九天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原位拉伸台控制系统及方法
CN114526992A (zh) * 2022-01-19 2022-05-24 北京理工大学重庆创新中心 一种复杂应力状态下材料动态断裂性能的试验表征方法
CN114526992B (zh) * 2022-01-19 2024-07-05 北京理工大学重庆创新中心 一种复杂应力状态下材料动态断裂性能的试验表征方法
CN115046863A (zh) * 2022-04-29 2022-09-13 上海电力大学 一种铁素体/奥氏体异种钢焊接接头高温拉伸模拟方法
CN114965085A (zh) * 2022-05-16 2022-08-30 江苏省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一种基于拉伸温度和应变速率的ta2工业纯钛焊接接头力学性能预测方法
CN115755774A (zh) * 2022-11-01 2023-03-07 中国航发沈阳黎明航空发动机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连续仿真的机匣零件装夹应力调控方法
CN115755774B (zh) * 2022-11-01 2024-04-26 中国航发沈阳黎明航空发动机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连续仿真的机匣零件装夹应力调控方法
CN116189831B (zh) * 2023-03-01 2024-03-26 深圳市正泰隆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低温断裂延伸率的测量方法及系统
CN116189831A (zh) * 2023-03-01 2023-05-30 深圳市正泰隆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低温断裂延伸率的测量方法及系统
CN116793829B (zh) * 2023-03-17 2023-12-05 北京建筑大学 一种脆性固体材料直接拉伸断裂力学性能评价方法
CN116793829A (zh) * 2023-03-17 2023-09-22 北京建筑大学 一种脆性固体材料直接拉伸断裂力学性能评价方法
CN116609201A (zh) * 2023-03-23 2023-08-18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获取高温拉伸真应力应变曲线的测试计算方法
CN117350105A (zh) * 2023-09-22 2024-01-05 河北工程大学 一种金属压缩实验考虑鼓肚时数据修正与校核的方法
CN117350105B (zh) * 2023-09-22 2024-03-22 河北工程大学 一种金属压缩实验考虑鼓肚时数据修正与校核的方法
KR20250092415A (ko) 2023-12-15 2025-06-24 주식회사 포스코 인장 시험 분석 방법
CN117871259A (zh) * 2024-01-15 2024-04-12 中南大学 盾构隧道老化密封垫应力松弛模型参数确定方法及应用
CN118036413A (zh) * 2024-04-11 2024-05-14 中交第二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试验模型刚度效应补偿方法及系统
CN118837229A (zh) * 2024-09-03 2024-10-25 北京机械工业自动化研究所有限公司 用于金属材料的应力-应变测量装置和曲线测量方法
CN119290594A (zh) * 2024-12-12 2025-01-10 昆山周氏电业有限公司 一种电缆拉伸测试装置及其方法
CN120028142A (zh) * 2025-04-22 2025-05-23 南通尚轩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基于金属绳的拉力测试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035B1 (ko) 201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035B1 (ko) 인장시험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 변형률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곡선의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장 시험기
JP5582211B1 (ja) 応力−ひずみ関係シミュレート方法、スプリングバック量予測方法およびスプリングバック解析装置
Verstraete et al.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ductile crack extension in SENT specimens using unloading compliance technique
Ahmadi et al. Effect of stress concentration factors on the structural integrity assessment of multi-planar offshore tubular DKT-joints based on the fracture mechanics fatigue reliability approach
Wang et al. An Experimental‐Numerical Combined Method to Determine the True Constitutive Relation of Tensile Specimens after Necking
CN108548720B (zh) I型裂纹弹塑性理论公式获取延性材料j阻力曲线的方法
Kang et al. An improved ductile fracture model for structural steels considering effect of high stress triaxiality
KR20210047158A (ko) 통계학적 분석을 통한 유한요소모델의 신뢰성 보정 및 검증 방법
CN106096073A (zh) 一种基于损伤力学非概率区间分析模型的金属疲劳裂纹全寿命预估方法
Choi et al. Determining the coefficients of a homogeneous anisotropic hardening model for ultrathin steel sheets
Pham et al. Hybrid fitting-numerical method for determining strain-hardening behavior of sheet metals
KR101169393B1 (ko) 고무 물성 평가 방법
Garcia-Manrique et al. Corrections in numerical methodology to evaluate plasticity induced crack closure along the thickness
Aakash et al. Variability in the thermo-mechanical behavior of structural aluminum
Zignago et al. Reliability-based calibration of new design procedure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nder simultaneous confinement by fiber-reinforced polymers and steel
Kamal et al. Multiaxial fatigue life modelling using hybrid approach of critical plane and genetic algorithm
Hemer et al. Numerical determination and experimental validation of the fracture toughness of welded joints
Roebuck et al.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of tensile properties for metal matrix composites
Marriott et al. Experience in the Application of the Omega Creep Model in Creep Experiments and Component Analysis
CN113449432A (zh) 一种基于卸载弹性应变能密度的疲劳寿命预测方法
Wells et al. Analytical Round Robin for Elastic-Plastic Analysis of Surface Cracked Plates: Phase I Results
JP2019082985A (ja) 非線形応力ひずみ解析装置、非線形応力ひずみ解析方法、及び非線形応力ひずみ解析プログラム
CN115098973B (zh) 一种表征复合材料双损伤特征的剪切本构模型获取方法
Manjunatha et al. ASME-PVP
KR102421808B1 (ko) 릴랙세이션에 의한 장기거동을 고려한 구조물 유지관리 지표 산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30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120

Appeal identifier: 2009101011009

Request date: 2009120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2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7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7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0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10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