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743U -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743U
KR20080001743U KR2020080006755U KR20080006755U KR20080001743U KR 20080001743 U KR20080001743 U KR 20080001743U KR 2020080006755 U KR2020080006755 U KR 2020080006755U KR 20080006755 U KR20080006755 U KR 20080006755U KR 20080001743 U KR20080001743 U KR 200800017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oilet
base frame
rotating body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곤
Original Assignee
김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곤 filed Critical 김필곤
Priority to KR2020080006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743U/ko
Publication of KR20080001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7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커버(=좌판 및 덮개)와 함께 변기에 설치되어 변기커버를 자동으로 들어 올려 개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위생적인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10)는 변기(1) 일측에 좌판(2) 및 덮개(3) 구성의 변기커버와 함께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 코일스프링(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축(23)을 기점으로 회전되도록 코일스프링(24)의 타단이 탄력 설치되는 회전래칫기어(26)와, 상기 회전래칫기어(26)에 기어 물림되게 설치되는 연동기어(32)가 내입 지지토록 설치되며 전방 일측에 좌판(2)에 걸림 내지 고정으로 결합되는 지지대(31)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30)와, 상기 회전체(30)의 내부에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20)에 고정된 고정래칫기어(27)에 기어 물림되어 코일스프링(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회전체(30)의 상향 회전 시 회전체(30)가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감속댐퍼(5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0)과 회전체(30)의 선단에 설치되어 회전체(30)가 회전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0)에 접할 시 베이스프레임(20)에 회전체(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스토퍼(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에 의하면, 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작동신뢰도를 현저하게 높이고, 부품의 감소 및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원가를 월등하게 절감시키며, 코일스프링(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좌판(2) 및 덮개(3)를 자동으로 상향 개방시키므로 사용상의 편의 성을 극대화하면서 위생상 청결유지가 가능한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베이스프레임, 회전축, 코일스프링, 회전래칫기어, 회전체, 감속댐퍼, 스토퍼

Description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Device for automatically lifting seat of lavatory}
본 고안은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변기에 변기커버(=좌판 및 덮개)와 함께 설치되어 변기커버를 자동으로 들어 올려 개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변기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작동신뢰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제조원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화장실의 변기를 사용할 시 변기의 상부에 좌판 및 덮개 구성의 변기커버를 설치한 후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좌판에 착좌하여 배변 내지 배뇨를 행하게 되는바, 남성의 경우 배뇨 시 좌판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좌판 내지 변기가 오물에 의해 오염되어 이후 사용자들에게 불쾌감을 초래하므로 변기에 배뇨를 행할 경우 대부분이 좌판을 상부로 들어 올려 사용을 하는데, 이후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서 좌판을 내려서 변기 본체에 수평으로 안착시킨 다음 사용을 하게 되면 이후 사용자는 다시 좌판을 들어 올려야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좌판을 손으로 들어 올릴 시 유해 세균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좌판의 아래 부분을 손으로 만지게 되므로 비위생적이며, 또한 상기 좌판이 내려져 있을 경우 좁은 욕실에서 샤워 등에 의해 좌판 상부로 물기가 튀게 되므로 변기를 사용하려면 매번 휴지 등으로 닦아야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휴지 등의 낭비를 초래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상기 문제점을 일소코자 변기커버를 페달이나 수압, 유압 및 전기모터 등의 수단에 의해 개방 또는 안착되도록 한 고안들이 기이 공지된 바 있으나, 이들 고안은 개방 또는 안착 시마다 매번 페달을 밟아주거나 버튼 등을 조작하여 작동을 시키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페달이나 수압 및 유압 등의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앙등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전기모터 등은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사용에 따른 위험성 및 유지, 보수에 보다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정전 시 작동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널리 상용화되지 못하고, 변기에 설치하더라도 얼마 사용하지 못하고 무용지물이 되는 등의 폐단이 있어 왔던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변기에 좌판 및 덮개 구성의 변기커버를 설치할 시 함께 설치하여 변기커버를 자동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해서 좌판 및 덮개를 폐쇄상태로 유지하거나, 항시 상향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좌판만을 변기 본체에 안착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음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작동신뢰도를 높이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를 제공함을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자동 올림장치는 변기 일측에 좌판 및 덮개 구성의 변기커버와 함께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축을 기점으로 회전되도록 코일스프링의 타단이 탄력 설치되는 회전래칫기어와, 상기 회전래칫기어에 기어 물림되게 설치되는 연동기어가 내입 지지토록 설치되며 전방 일측에 좌판에 걸림 내지 고정으로 결합되는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래칫기어에 기어 물림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회전체의 상향 회전 시 회전체가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감속 댐퍼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회전체의 선단에 설치되어 회전체가 회전에 의해 베이스프레임에 접할 시 베이스프레임에 회전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하나의 코일스프링과 서너 개의 래칫기어 및 스토퍼를 갖는 간단한 구조의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는 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작동신뢰도를 현저하게 높이고, 부품의 감소 및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원가를 월등하게 절감시켜 제품의 차별화를 꾀하며,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좌판 및 덮개를 자동으로 상향 개방시키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며, 이로 인하여 좌판 및 덮개는 물론이고 변기 전체의 위생상 청결유지가 가능하며, 상기 좌판 및 덮개가 항상 자동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좌판 및 덮개의 개방 시 손을 대지 않아 개인위생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샤워 등에 의한 물기를 닦을 필요가 없어 휴지 등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상기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를 도 1 내지 도 6의 도면들에 의거하여 하기와 같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토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 올림장치(10)의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상부에 좌판(2) 및 덮개(3) 구성의 변기커버가 볼트, 너트 등으로 고정 설치될 시 함께 설치되어 좌 판(2) 및 덮개(3)를 자동으로 들어 올려서 상향 개방되도록 구성한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10)에 관한 것이고, 상기 자동 올림장치(10)의 하부에는 좌판(2) 및 덮개(3)를 변기(1) 본체에 설치할 시 볼트가 내입되어 고정되도록 좌우로 장공형태의 결합공(21)이 형성된 결합브래킷(22)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20)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로는 좌판(2)에 걸림 내지 고정으로 결합되는 지지대(31)가 일측에 형성된 회전체(30)를 베이스프레임(20)에 일단이 결합되는 회전축(23)을 기점으로 코일스프링(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 시 감속댐퍼(50)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결합 구성하며, 상기 회전체(30)의 상부에는 회전체(30) 상부 일측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40)를 결합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20)과 회전체(30)의 선단에는 회전체(30)가 회전되어 베이스프레임(20)에 접할 시 베이스프레임(20)에 회전체(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60)를 설치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후방 상측에는 상기 회전축(23)의 일단이 결합되며 코일스프링(24)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내입되는 스프링내입구(25)를 형성하고, 스프링내입구(25)의 일측에는 회전축(23)의 타단이 관통되게 고정 설치되어 회전축(23)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코일스프링(24)의 타단이 고정 설치되는 회전래칫기어(26)의 일측을 내입 구성하며, 상기 회전래칫기어(26)에는 상하단이 회전체(30) 내부에서 회전체(30)와 커버(40)에 지지 고정되는 연동기어(32)를 기어 물림되게 구성하며, 상기 연동기어(32)가 지지 고정되는 회전체(30)의 내부 일측에는 스프링내입구(25)의 외연부 일측으로 형성된 고정래칫기어(27)에 기어 물림되는 감쇠기어(51)가 돌출 형성된 부시베어링(52)과 부시베어링(52)이 내입 구성되는 하우징(53)으로 이루어진 감속댐퍼(50)를 설치하여 코일스프링(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회전체(30) 및 좌판(2)의 상향 회전 시 저속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때 상기 회전래칫기어(26)에 관통되어 돌출된 회전축(23)의 단부에는 코일스프링(24)의 비틀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손잡이(28)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감쇠기어(51)가 돌출 형성된 부시베어링(52)과 부시베어링(52)이 내입 구성되는 하우징(53)으로 이루어진 감속댐퍼(50)는 좌판(2)의 상향 회전 시 감쇠기어(51)가 고정래칫기어(27)에 기어 물림되어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좌판(2)을 변기(1)에 안착되게 하향 회전 시 감쇠기어(51)가 고정래칫기어(27)에서 이탈되어 신속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하우징(53)의 하부에 회전봉(54)을 돌출 형성시켜 회전체(30)에 결합 구성하므로 회전봉(54)을 중심으로 감속댐퍼(50)가 소폭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스프링내입구(25)가 설치된 감속댐퍼(50)의 반대편에서 회전체(30)에 일체로 설치된 지지편(33)과 감속댐퍼(50) 사이에 지지스프링(34)을 탄력 지지되게 설치하여 평소에는 지지스프링(34)의 탄성에 의해 감쇠기어(51)가 고정래칫기어(27)에 기어 물림되도록 하며, 좌판(2)을 하향 회전시킬 경우에는 고정래칫기어(27)에서 감쇠기어(51)가 지지스프링(34)의 탄성을 극복하고 이탈되도록 구성한다.
도 4에서는 회전체(30) 선단에 설치되는 스토퍼(60)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상기 스토퍼(60)는 베이스프레임(20)의 선단에 형성되며 내측에 내향되는 걸림 돌기(61a)가 수개 형성된 걸림공(61)과, 회전체(30)의 선단에 형성되며 내면의 둘레에 수직의 관통홈(62a)과 하향 경사진 경사면체결홈(62b)이 교대로 수개 형성된 진출입공(62)과, 상기 회전체(30)의 진출입공(62)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걸림환봉(63)과, 회전체(30) 상부 커버(40)의 선단에 하향되게 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환봉(63)의 상단부에 형성된 회전돌기(64)와 대응되어 걸림환봉(63)이 접할 시 회전을 안내토록 구성된 산형의 회전안내돌기(65)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환봉(63)은 베이스프레임(20)의 걸림공(61)에 진입 및 진출되는 하단부의 외연으로 걸림환봉(63)의 회전 시 걸림공(61)의 걸림돌기(61a)에 걸림 안치되도록 수개가 형성된 안치돌기(63a)와, 회전체(30)의 진출입공(62)에서 슬라이딩되는 상부 외연으로 관통홈(62a)에 안치되거나 경사면체결홈(62b)을 따라 이동되도록 수개가 형성된 작동돌기(63b)와, 상단에 상기 커버(40)의 회전안내돌기(65)와 대응되도록 수개가 상향되게 형성된 산형의 회전돌기(64)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환봉(63) 상단의 회전돌기(64) 내측으로는 내입홈(64a)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안내돌기(65)의 내측으로는 내입홈(64a)에 내입되도록 회전안내돌기(65) 보다 하향으로 더 돌출된 돌출봉(65a)을 형성하여 회전돌기(64)와 회전안내돌기(65)가 정확하게 대응되어 걸림환봉(6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커버(40)의 회전안내돌기(65)는 걸림환봉(63)의 작동돌기(63b)가 관통홈(62a)에 내입되었을 시에 걸림환봉(63)의 회전돌기(64)와 일치하지 않게 일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회전체(30)와 커버(40)가 하향 회전 시 회전안내돌기(65)와 회전돌기(64) 각각의 경사면을 타고 회전되면서 작동돌기(63b)가 경사면체결홈(62b)을 타고 계속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며, 이로 인하여 안치돌기(63a)가 걸림돌기(61a)에 걸림 안치토록 걸림환봉(63)을 회전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걸림환봉(63)의 작동돌기(63b)가 진출입공(62)의 관통홈(62a) 내지 경사면체결홈(62b)에 교대로 내입시켜서 상부로 개방된 좌판(2)을 아래로 내리면 스토퍼(60)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되어 있는 좌판(2)을 아래로 한 번 더 눌러주면 해정되어 코일스프링(24)에 의해 상향 회전되어 개방되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10)는 변기(1)에 좌판(2) 및 덮개(3) 구성의 변기커버를 설치할 시 함께 설치하여 좌판(2) 및 덮개(3)를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기(1)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체(30)가 스프링내입구(25)에 일단이 결합되는 회전축(23)을 기점으로 스프링내입구(25)에 내입되어 일단이 고정된 코일스프링(24)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향 회전되므로 회전체(30)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31)에 걸림 내지 고정으로 결합된 좌판(2)을 상향 회전시켜서 좌판(2) 및 덮개(3)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반대로 좌판(2) 및 덮개(3)를 변기(1)에 안착시키고자 할 시에는 손으로 좌판(2) 및 덮개(3)를 하향 회전되게 내리면 신속하고 간단하게 변기(1)가 폐쇄되며, 이때 베이스프레임(20)과 회전체(30)의 선단에 설치된 스토퍼(60)에 의해 좌판(2) 및 덮개(3)가 변기(1)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자동 올림장치(10)의 일측으로 돌출된 회 전축(23)의 단부에 고정 설치된 조절손잡이를 회전 조작하면 회전축(23)이 회전하면서 회전래칫기어(26)를 함께 회전시켜서 회전래칫기어(26)와 스프링내입구(25)에 양단이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된 코일스프링(24)을 비틀어주므로 코일스프링(24)에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고, 상기 코일스프링(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래칫기어(26)가 상향 회전되면서 회전래칫기어(26)에 기어 물림된 연동기어(32)가 회전축(23)을 기점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발생되어 연동기어(32)가 지지 고정된 회전체(30)와 커버(40)가 동시에 회전축(23)을 기점으로 상향 회전되면서 회전체(30)의 지지대(31)에 의해 좌판(2)과 좌판(2) 상부에 덮개(3)가 덮여 있을 시 덮개(3)까지 모두 상향 회전되므로 변기(1)가 개방되어 남성의 경우 좌판(2) 등의 오염 없이 배뇨를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내입구(25) 외연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래칫기어(27)에는 지지편(33)에 탄력 지지되는 지지스프링(34)에 의해 회전봉(54)을 중심으로 고정래칫기어(27) 쪽으로 소폭 회동된 감속댐퍼(50)의 감쇠기어(51)가 기어 물림되므로 하우징(53)과 부시베어링(52)의 마찰력에 의해 좌판(2) 및 덮개(3)와 회전체(30)가 저속으로 상향 회전되는 것이며, 상기 감속댐퍼(50)의 하우징(53)과 부시베어링(52) 사이에는 소량의 그리스가 내입되어 마찰열을 저감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방된 좌판(2) 및 덮개(3)를 반대로 변기(1)에 안착시킬 경우에는 손으로 직접 좌판(2) 및 덮개(3)를 회전축(23)을 기점으로 하향 회전되게 내리면, 좌판(2)에 걸림 내지 고정으로 결합된 지지대(31)에 의해 회전체(30)와 커버(40)가 동시에 회전축(23)을 기점으로 하향 회전되면서 연동기어(32)가 회전되므 로 연동기어(32)에 기어 물림된 회전래칫기어(26)와 회전래칫기어(26)가 고정된 회전축(23)이 하향 회전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래칫기어(26)와 스프링내입구(25)에 양단이 탄력 지지되게 설치된 코일스프링(24)에 좌판(2) 및 덮개(3)가 변기(1)에 안착되어 있었을 시에 생성되어 있던 비틀림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다시 발생되며, 이와 같이 좌판(2) 및 덮개(3)를 내릴 시에는 스프링내입구(25)의 고정래칫기어(27) 및 감속댐퍼(50)의 감쇠기어(51)가 회전래칫기어(26) 및 연동기어(32)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래칫기어이므로 회전체(30)가 하향 회전되면서 감속댐퍼(50)의 하우징(53)과 부시베어링(52)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스프링(34)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회전봉(54)을 중심으로 감속댐퍼(50)가 지지편(33)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감쇠기어(51)가 고정래칫기어(27)에서 이탈하여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좌판(2) 및 덮개(3)를 변기(1)에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방되어 있던 좌판(2) 및 덮개(3)를 변기(1)에 안착되게 처음 내렸을 시에는 도 7에서와 같이 회전체(30)와 커버(40)가 하향 회전되면서 걸림환봉(63)의 하단부가 베이스프레임(20)의 걸림공(61)으로 진입되어 변기(1) 본체에 지지되므로 회전체(30)의 진출입공(62)에서 상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이때 걸림환봉(63)의 작동돌기(63b)는 진출입공(62)의 관통홈(62a)에 위치하고 있다가 이탈되며, 이와 동시에 걸림환봉(63)의 회전돌기(64) 내측에 형성된 내입홈(64a)으로 커버(40)의 회전안내돌기(65) 내측에 하향 돌출된 돌출봉(65a)이 내입되면서 회전돌기(64)가 회전안내돌기(65)와 접하게 되므로 상기 걸림환봉(63)은 진출입공(62)에서 이탈 내지는 흔들림으로 인한 작동오류 없이 회전이 이루어지며, 회전된 걸림환 봉(63)의 작동돌기(63b)는 경사면체결홈(62b)을 따라 계속 회전되어 경사면체결홈(62b)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걸림환봉(63)의 안치돌기(63a)가 걸림공(61)의 걸림돌기(61a)에 걸림 안치되면서 베이스프레임(20)과의 사이에 조금의 공간을 두고 회전체(30) 및 커버(40)가 고정되어 좌판(2) 및 덮개(3)가 변기(1)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좌판(2) 및 덮개(3)가 변기(1)에 안착 고정된 상태에서 좌판(2) 및 덮개(3)를 하부로 한 번 더 눌러주면 베이스프레임(20)과 회전체(30) 사이의 공간만큼 회전체(30)와 커버(40)가 하향 회전되면서 다시 걸림환봉(63)의 하단부가 변기(1) 본체에 지지되어 진출입공(62)에서 상향 슬라이딩되고, 작동돌기(63b)가 경사면체결홈(62b)의 하단에서 이탈되면서 회전돌기(64)와 회전안내돌기(65)의 결합으로 인하여 걸림환봉(63)이 회전되며, 회전된 걸림환봉(63)의 작동돌기(63b)는 수직의 관통홈(62a)에 위치되면서 하부의 안치돌기(63a)가 걸림공(61)의 걸림돌기(61a)에서 이탈되어 걸림돌기(61a)가 없는 곳으로 위치하게 되며, 코일스프링(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체(30)와 커버(40)가 상향 회전되어 걸림환봉(63)이 걸림공(61)에서 완전하게 진출되어 빠져나오므로 좌판(2) 및 덮개(3)가 변기(1)에서 이탈되어 상부가 개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서 좌판(2) 및 덮개(3)를 손으로 내리게 되면 변기(1)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착좌하여 용변을 보고 일어나면 좌판(2) 및 덮개(3)가 자동으로 상향 회전되어 들어 올려 지게 되는 것으로 이는 착좌 시 좌판(2)을 재차 눌러주기 때문에 별도로 좌판(2)을 재차 손으로 눌러줄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좌판(2) 및 덮개(3)가 평소에 항상 상향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남성 사용자의 배뇨에 의한 좌판(2) 및 덮개(3)와 변기(1) 전체의 오염을 현저하게 줄여서 청결이 유지되며, 사용상의 편의성도 극대화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 올림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내부 구성을 보인 확대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요부인 스토퍼를 발췌한 확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 중 좌판이 하향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 중 좌판이 상향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스토퍼 작동 전후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변기 2:좌판
3:덮개
10:자동 올림장치 20:베이스프레임
21:결합공 22:결합브래킷
23:회전축 24:코일스프링
25:스프링내입구 26:회전래칫기어
27:고정래칫기어 28:조절손잡이
30:회전체 31:지지대
32:연동기어 33:지지편
34:지지스프링 40:커버
50:감속댐퍼 51:감쇠기어
52:부시베어링 53:하우징
54:회전봉 60:스토퍼
61:걸림공 61a:걸림돌기
62:진출입공 62a:관통홈
62b:경사면체결홈 63:걸림환봉
63a:안치돌기 63b:작동돌기
64:회전돌기 64a:내입홈
65:회전안내돌기 65a:돌출봉

Claims (3)

  1.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자동 올림장치(10)의 하부에 좌판(2) 및 덮개(3) 구성의 변기커버를 변기(1)에 설치할 시 함께 고정 설치되도록 좌우로 장공형태의 결합공(21)이 형성된 결합브래킷(22)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후방 상측에 회전축(23)의 일단이 결합되며 코일스프링(24)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내입되도록 구성된 스프링내입구(25), 및 스프링내입구(25)의 일측으로 회전축(23)의 타단이 관통되게 고정 설치되며 코일스프링(24)의 타단이 고정 설치되도록 일측이 내입 구성된 회전래칫기어(26)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좌판(2)과 결합되는 지지대(31)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래칫기어(26)와 기어 물림되는 연동기어(32)의 상하단이 상부 일측에 결합 구성된 커버(40)와의 내부에서 지지 고정되어 회전축(23)을 기점으로 코일스프링(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래칫기어(26)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체(30)와,
    상기 회전체(30)의 내부 일측에서 스프링내입구(25)의 외연부 일측으로 형성한 고정래칫기어(27)에 기어 물림되는 감쇠기어(51)가 돌출 형성된 부시베어링(52)과 부시베어링(52)이 내입 구성되는 하우징(5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53)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체(30)에 결합 구성되는 회전봉(54)이 구비되며, 회전체(30)에 일체로 형성한 지지편(33)에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스프링(34)에 의해 탄력 지지토록 구성된 감속댐퍼(5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선단에 형성되며 내측에 내향되는 걸림돌기(61a)가 수개 형성된 걸림공(61)과, 상기 회전체(30)의 선단에 형성되며 내면의 둘레에 수직의 관통홈(62a)과 하향 경사진 경사면체결홈(62b)이 교대로 수개 형성된 진출입공(62)과, 하단부의 외연으로 회전 시 걸림돌기(61a)에 걸림 안치되는 안치돌기(63a) 수개가 형성되며 상부 외연으로 관통홈(62a)에 안치되거나 경사면체결홈(62b)을 따라 이동되는 작동돌기(63b) 수개가 형성되어 진출입공(62)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토록 구성된 걸림환봉(63)과, 걸림환봉(63)의 상단에 수개가 상향되게 형성된 산형의 회전돌기(64)와, 상기 커버(40)의 선단에 하향되게 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64)와 대응되어 걸림환봉(63)이 접할 시의 회전을 안내토록 구성된 산형의 회전안내돌기(65)로 이루어진 스토퍼(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래칫기어(26)에 관통되어 돌출된 회전축(23)의 단부에 회전 조작에 의해 코일스프링(24)을 비틀어 비틀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된 조절손잡이(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64)와 회전안내돌기(65)가 정확하게 대응되어 걸림환봉(6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걸림환봉(63) 상단의 회전돌기(64) 내측에 형성된 내입홈(64a)과,
    회전안내돌기(65)의 내측에 상기 내입홈(64a)에 내입되도록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봉(65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KR2020080006755U 2008-05-23 2008-05-23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KR200800017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755U KR20080001743U (ko) 2008-05-23 2008-05-23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755U KR20080001743U (ko) 2008-05-23 2008-05-23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43U true KR20080001743U (ko) 2008-06-11

Family

ID=4132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755U KR20080001743U (ko) 2008-05-23 2008-05-23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74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26B1 (ko) * 2011-04-01 2011-06-09 (주)동남이엔지 변기시트 개방장치
KR20160073191A (ko) 2014-12-16 2016-06-24 이광희 변기시트 자동 올림 장치
KR20220119964A (ko) * 2021-02-22 2022-08-30 박인호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
KR20230032110A (ko) 2021-08-30 2023-03-07 최지영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양변기용 시트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26B1 (ko) * 2011-04-01 2011-06-09 (주)동남이엔지 변기시트 개방장치
KR20160073191A (ko) 2014-12-16 2016-06-24 이광희 변기시트 자동 올림 장치
KR20220119964A (ko) * 2021-02-22 2022-08-30 박인호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
KR20230032110A (ko) 2021-08-30 2023-03-07 최지영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양변기용 시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1743U (ko)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CN201022668Y (zh) 用于智能座便器上的自动翻转装置
CN205683017U (zh) 便池盖的自动翻盖装置
CN211534192U (zh) 一种马桶
CN101181132A (zh) 电热水壶壶盖的开盖结构
KR200436836Y1 (ko) 풋 스위치와 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문을 갖는 소변기
KR20140083575A (ko) 무전원으로 소변기를 세척하는 장치의 개량구조
CN211571868U (zh) 一种自动及手动浴缸排水装置
KR200420344Y1 (ko) 좌변기의 변기시트 개폐장치
KR101271173B1 (ko) 위생 양변기
JP2001231715A (ja) 便座支持昇降装置
WO2004047601A2 (en) Foot-operated toilet seat
KR100280648B1 (ko)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 안착장치
KR200484487Y1 (ko) 위생 변기 커버
RU209315U1 (ru) Блок выдвижения для сиденья унитаза
TWI758158B (zh) 具有防止髒物水氣噴濺功能之馬桶裝置
CN211037199U (zh) 防溅水马桶
CN209863704U (zh) 一种脚踏式开门水槽清洗机
CN211735634U (zh) 一种防脚踏损坏的脚踏式冲水阀
CN214220897U (zh) 一种门锁结构及应用有该门锁结构的清洗机
KR101281948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CN215253218U (zh) 一种带风干功能的洗手盆
CN209323623U (zh) 一种按板式厨卫下水开关及下水装置
JPH09324451A (ja) 排水栓装置
CN209474558U (zh) 一种齿条式洗碗机自动开关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