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705A - 청진기 헤드 - Google Patents

청진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705A
KR20080001705A KR1020077005176A KR20077005176A KR20080001705A KR 20080001705 A KR20080001705 A KR 20080001705A KR 1020077005176 A KR1020077005176 A KR 1020077005176A KR 20077005176 A KR20077005176 A KR 20077005176A KR 20080001705 A KR20080001705 A KR 20080001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tethoscope
diaphragm
sub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030B1 (ko
Inventor
쇼이치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에이씨피 저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씨피 저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씨피 저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26Stethoscopes comprising more than one sound coll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본체부에 구경이 다른 2개의 다이아프램을 각각 결합하는 2개의 헤드부를 구비하고, 다양한 디자인성과 기능성을 갖는 청진기를 제공한다. 헤드 본체부 및 헤드 본체부에 설치되는 유도관 접속구로 구성되는 청진기에 있어, 헤드 본체부는 유도관 접속구가 삽입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주 헤드부와 부 헤드부를 구비하고, 주 헤드부는 유도관 접속구와 접속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주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부 헤드부는 고주파 청진 및/또는 협소영역 청진을 위한 부 다이아프램 또는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부 다이이프램 또는 기기류를 부 헤드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을 포함한다.
청진기, 헤드부, 다이아프램, 유도관접속구, 기기류, 장착수단

Description

청진기 헤드{STETHOSCOPE HEAD}
본 발명은 청진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 본체부에 구경이 다른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디자인 및 기능의 다양성을 부여한 청진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청진기는 환자의 체내에서 발생하는 심박음(心拍音)을 들음으로써 환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거나 혈압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의료용 기구로서, 그 형태의 예로서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12에 나타낸 종래의 청진기 헤드(90)는 환자의 심박음을 듣기 위한 헤드 본체부(91) 및 헤드 본체부(91)에 접속된 유도관 접속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청진기는 청진기 헤드(90), 유도관 접속구(2)에 접속된 유도관(3), 유도관(3)에 접속된 이관(耳管)(4) 및 상기 이관(4)의 선단에 설치된 이어팁(5)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 본체부(91)의 저면에는 진동판(시트)으로 이루어지는 한 장의 다이아프램(111)이 부착되어 있다. 이 다이아프램(111)의 저면은 환자의 가슴에 접촉하게 된다. 환자의 심박음은 헤드 본체부(91)의 다이아프램(111)으로 전달되고, 이 어서 다이아프램(11)에 고정 장착된 유도관 접속구(2), 유도관(3), 이관(4) 및 이어팁(5)의 순서로 전달되어 이어팁(5)을 삽입한 의사의 귀까지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청진기에 있어서는 헤드 본체부(91)가 어른용으로 설계되어 있고, 다이아프램(111)의 구경이 너무 커서 유아 및 어린이의 신체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자가 어른인 경우라도, 다이아프램(111)의 구경보다 더 협소한 부위에 좁혀서 청진(즉, 국부적인 부위의 정보를 취하는 것)하거나, 다이아프램의 직경이 커서 심박음 등에 포함되는 고주파수의 체음(體音)을 청진하는 진단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진기는 의사 및 간호사가 사용함에 있어, 혈압 및 맥박 또는 링거주사(点滴) 시에, 스톱워치와 수액(輸液)메트로놈 장치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종래의 청진기에 대하여 스톱워치와 수액 메트로놈 등의 기능성을 고려할 경우 그 편리성은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헤드 본체부에 구경이 다른 2개의 다이아프램을 각각 결합한 2개의 헤드부를 구비함으로써, 환자가 어른인 경우에도 신체의 좁은 부위에 좁혀서 청진하거나, 고주파의 체음을 청진할 수 있는 청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진기에 다기능성을 부여한 것이다. 즉, 소구경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다이아프램 대신에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를 장착함으로써 기능면에서 너스 오퍼레이션 때 시계로서 편리하게 사용하거나, 수액 메트로놈을 장착시킴으로써 기능면에서 너스 오퍼레이션 시의 링거 조작을 편리하게 하며, 또한 장식적으로도 우수한 청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 본체부 및 상기 헤드 본체부에 설치된 유도관 접속구를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로서, 상기 헤드 본체부는 상기 유도관 접속구가 삽입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소재로 이루어지는 주 헤드부와 부 헤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주 헤드부는 상기 유도관 접속구와 접속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주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상기 부 헤드부에는 고주파청진 및/또는 협소영역청진을 위한 부 다이아프램 또는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부 다이아프램 또는 상기 기기류를 상기 부 헤드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헤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청진기 헤드의 부 헤드부에는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류의 수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는 청진기능 이외, 각종 기능 중에서 선택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장착수단은 그의 제1장착장치의 예로서, 상기 부 헤드부의 외주연에 결합하는 탈착가능한 탄성 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링부재에 의해 상기 부 헤드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기기류를 상기 공간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와셔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수단은 그의 제2장착장치의 예로서, 상기 기기류에 결합하는 회전가능한 캠,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류에 결합된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오링이 구비된 상기 구동부의 외주부의 일부가 상기 부 헤드부의 공간 내벽에 압착되어 상기 기기류가 상기 부 헤드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캠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캠의 최대 회전각도는 약 90도이다.
상기 주 헤드부 및 상기 부 헤드부의 소재는 금속, 아크릴수지 또는 글라스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주 다이아프램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에폭시수지 또는 나일론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헤드부와 상기 부 헤드부는 끼움 방식의 결합부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헤드이다.
그리고 상기 기기류는 스톱워치, 시계, 수액 메트로놈, 심박수계 또는 온도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청진기 헤드, 상기 청진기 헤드에 접속되어 청진음이 유도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에 접속되는 이관 및 상기 이관에 접속되는 이어 팁으로 구성되는 청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진기 헤드를 구비한 청진기의 제1 양태로서, 원추 덮개 형상의 부 헤드부에는 부 다이아프램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부 다이아프램은 통상의 주 다이아프램의 구경보다도 작은 구경이기 때문에, 부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부 헤드부를 사용하여 어린이의 신체에 적합한 검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어른인 경우에도, 주 다이아프램의 구경보다 더 좁은 부위에 좁혀서 청진하거나 주파수가 높은 음파를 청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진기 헤드를 구비한 청진기의 제2 양태로서, 원추덮개 형상의 부 헤드부에서의 공간에는 스톱워치, 시계, 수액 메트로놈 등의 기기가 수용된다. 이 외에도 예를 들면 심박수계, 온도, LED 라이트, 버저 등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청진기 헤드를 포함하는 청진기의 외관도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청진기 헤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외관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청진기 헤드의 헤드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청진기 헤드의 헤드 본체부의 단면 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관한 제1예시에서의 청진기 헤드를 포함하는 청진기의 외관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관한 제1예시에서의 청진기 헤드의 헤드 본체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외관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관한 제2예시에서의 청진기 헤드를 포함하 는 청진기의 외관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관한 제2예시에서의 청진기 헤드의 헤드부 본체의 구성 예를 나타낸 외관도.
도9는 본 발명의 장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물체의 부착(체결) 전의 장착장치의 평면도이고, (b)는 물체의 부착 전의 장착장치의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고, (c)는 물체의 부착 시의 장착장치의 평면도이며, (d)는 물체의 부착 시의 장착장치의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장착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것으로, (a)는 공간(54)을 갖는 구동부(51)의 평면도이고, (b)는 구동부(51)의 측면도이고, (c)는 오링(53)의 평면도이며, (d)는 캠(52)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장착장치를 이용하여 시계(기기류)를 부착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도9의 (a) 및 (c)의 물체의 부착(체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도9의 (c) 및 (d)의 물체의 부착(체결)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2는 종래의 청진기의 외관도.
*부호의 설명*
1: 헤드 본체부 2: 유도관 접속구
3: 유도관 5: 이어 팁
13: 탄성 링부재 14: 와셔부재
51: 구동부 52: 캠
53: 오링 54: 캠용 공간
56: 부 헤드부 내 공간 내벽 111: 주 다이아프램
121: 부 다이아프램 123: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
124: 수액 메트로놈
이하 본 발명의 청진기의 다수의 실시 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부 다이아프램의 장착 형태)에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된 헤드 본체부가 2개의 구성요소(일반적인 구경을 구비한 주 다이아프램(진동 시트)이 결합된 주 헤드부 및 일반적인 구경보다도 작은 구경을 구비한 부 다이아프램(진동 시트)이 결합된 부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구성요소는 유도관 접속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형태에서, 일반적인 구경보다도 작은 구경의 부 다이아프램에는 예를 들면 임의의 도안의 시트류(사진, 회화, 만화 등)가 인쇄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청진기 헤드를 포함하는 청진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12(종래 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1에서, 본 실시 형태의 청진기 헤드(10)는 환자의 심박음을 듣기 위한 헤드 본체부(1) 및 헤드 본체부(1)에 접속되는 유도관 접속구(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청진기 전체는 유도관 접속구(2)에 접속된 유도관(3), 상기 유도관(3)에 접속된 이관(4), 이관(4) 의 선단에 설치된 이어 팁(5)을 구비한다.
상기 헤드 본체부(1)는 유도관 접속구(2)의 단부가 삽입되는 대향하는 주 헤드부(11) 및 부 헤드부(12)를 구비한다. 또한 주 헤드부(11)는 주 다이아프램(111), 상기 부 헤드부(12)는 부 다이아프램(121)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부 헤드부(12)에는 고주파 청진 및/또는 협소한 영역의 청진을 위한 부 다이아프램(121)을 장착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 헤드부(12)의 공간 내에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류를 수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부 다이아프램(121)(제1실시 형태) 또는 기기류(제2실시 형태)를 상기 공간 내에 장착하도록 상기 부 헤드부(12)의 외주연에 끼워맞춰지는 착탈가능한 탄성 링부재(13)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헤드 본체부의 주 헤드부(11) 및 부 헤드부(12)는 일체 성형 또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크릴수지나 글라스 등의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주 다이아프램(111) 및 부 다이아프램(121)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에폭시수지 또는 나일론을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주 헤드부(11)의 저면에는 진동판(시트)으로 이루어지는 1장의 주 다이아프램(111)이 연장된다. 이 주 다이아프램(111)은 종래의 청진기의 다이아프램과 동일한 구경을 가지며, 그 저면은 주로 어른 환자의 가슴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부 헤드부(12)의 저면에는 진동판(시트)으로 이루어지는 1장의 부 다이아프램(121)이 연장된다. 이 부 다이아프램(121)은 종래의 청진기의 다이아프램보다도 작은 구경을 가지며, 그의 저면은 주로 어린이 환자의 가슴에 접촉된다.
환자의 심박음은 유도관(2) 내의 음(音)도관(2a)의 앞쪽에 개구되어 있는 측도관(2b)을 통하여, 상기 주 다이아프램(111) 또는 부 다이아프램(121)으로 전달되고, 상기 주 다이이프램(111) 및 부 다이아프램(121)의 단부에서 고정되는 유도관 접속구(2), 유도관(3), 이관(4), 이어 팁(5)의 순서로 전달되어 이어 팁(5)을 삽입한 의사의 귀까지 도달한다. 그리고, 상기 부 다이아프램(121)은 부 헤드부(12)의 외주연에 결합된 착탈가능한 탄성 링부재(13)에 의해 부 헤드부(12)에 장착된다. 도4에서, 상기 주 다이아프램(111)을 이용하여 환자의 심박음을 청진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헤드 본체부(1)에 대하여 유도관(2)을 소정 각도만 회전시킴으로써 부 다이아프램(121) 측의 측도관(2b)을 폐색한다. 그리고 상기 부 다이아프램(121)을 이용하여 환자의 심박음을 청진하는 경우는, 상기 헤드 본체부(1)에 대하여 유도관(2)을 소정각도만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주 다이아프램(111) 측의 측도관(2b)을 폐색한다.
도2는 제1장착장치를 이용하여 기기류(123)를 부 헤드부(12) 내의 공간(15)으로 장착하는 본 발명의 청진기 헤드의 제2실시 형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헤드부(11)와 부 헤드부(12)는 유도관 접속구(2)가 삽입되고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주 헤드부(11)와 부 헤드부(12)는 일체 성형된 구조이거나,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개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 헤드부(11)와 부 헤드부(12)를 별개로 성형하여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는 후술의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 헤드부(12) 측의 내주면 에 나사 절삭부를 갖는 헤드 본체부(1)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 헤드부(12)는 깔대기형상의 원추덮개부를 구성하고, 이 원추 덮개부의 내부에는 원추대 형상의 공간(15)이 형성된다. 이 공간(15)에는 후술하는 제2실시 형태로서, 각종 기기류 중에서 선택되는 예를 들면 시계(123)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부 다이아프램(도1에서의 121)을 대신하여 이와 같이 부 헤드부(12)에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로서 기기류를 수납하는 경우는 상기 부 헤드부(1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착탈가능한 탄성 링부재(13) 외에, 상기 탄성 링부재(13)에 의해 부 헤드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시계(123)를 공간(15) 내에 수용시키기 위한 와셔부재(14)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탄성 링부재(13)를 장착하지 않아도 와셔부재(14) 및 시계(123)나 수액 메트로놈(124) 등의 기기류 자체를 부 헤드부(12)에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셔부재(14)나 기기류는 나사나 다른 결합수단 등에 의해 부 헤드부(12)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 링부재(13)는 부 헤드부(12)의 외주연을 보호 또는 커버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부 다이아프램의 장착 형태)에 관한 청진기 헤드의 헤드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부 헤드부(12)에 부 다이이프램(121)이 탄성 링부재(13)에 의해 장착된다. 이 경우, 도2에 나타낸 와셔부재(14)는 사용될 필요가 없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부 다이아프램의 장착 형태)에 관한 청진기 헤드의 헤드 본체부(1)의 단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본체부(1)는 일체 성형될 수도 있지만,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헤드부(11)와 부 헤드부(12)는 주 헤드부(1) 측의 내주면에 나사절삭부분을 갖는 헤드 본체부(11)에 외주면에 나사절삭부분을 갖는 부 헤드부(12)를 나사결합하는 방법으로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상기 주 헤드부(11)와 부 헤드부(12)는 끼움결합 방식의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기기류의 장착 형태)에서는, 상기한 제1실시 형태(부 다이아프램의 장착 형태)와 유사하게, 투명 또는 반투명체에 의해 형성되는 헤드 본체부가 2개의 구성요소(주 헤드부 및 부 헤드부)를 구비하고, 이 2개의 구성요소는 유도관 접속구가 삽입되어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다만 상기 주 헤드부에는 제1실시 형태와 유사한 주 다이아프램이 장착되지만, 상기 부 헤드부에는 부 다이아프램 대신에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 등의 기기류를 수납한 부 헤드부는 본 발명의 청진기 헤드로부터 탈착가능하게 됨으로써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 자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기기류의 장착 형태)에 관한 청진기 헤드를 포함하는 청진기의 외관도이다. 도5에서, 도1과 중복되는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 제2실시 형태에 관한 청진기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청진기 헤드(10)에서, 부 다이아프램(121)에 대신하는 구성요소로서, 헤드 본체부(1)의 부 헤드부(12)에 수납가능한 기기류의 일 예로서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가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를 수납한 부 헤드부는 본 발명의 청진기 헤드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됨으로써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 자체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6은 제1장착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기기류의 장착 형태)에 관한 청진기 헤드의 헤드 본체부의 일 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헤드 본체부(1)의 부 헤드부(1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 다이이프램(121)에 대신하는 구성요소로서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가 결합된다.
이 때문에 기기류 중 예를 들면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를 부 헤드부의 공간(도 2의 15) 내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부 헤드부(12)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착탈가능한 탄성 링부재(13)가 장착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탄성 링부재(13)에 의해 부 헤드부(12)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를 공간 내에서 지지하기 위한 와셔부재(14)가 사용된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링부재(13)를 장착하지 않아도 와셔부재(14)와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 자체를 부 헤드부(12)에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 링부재(13)는 부 헤드부(13)의 외주연을 보호 또는 커버의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의 전면 조작부에는 단침, 장침, 초침의 위치에서 시각을 표시하는 아날로그 표시부(123A), 시간, 분, 초를 표시하는 수치로 시각을 표시하는 디지탈 표시부(123B), 시각의 초기설정과 조정을 실행하기 위한 시각조정버튼(123C), 타이머 스톱워치버튼(123D), 녹음 모드 기능을 위한 녹음/재생마이크(123E) 및 녹음/재생버튼(123F)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를 수납하는 부 헤드부는 본 발명의 청진기 헤드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스톱워치 기능부여 시계 자체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 야간 순회시의 팬 라이트로서 사용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의 전면 조작부의 적절한 위치에 백색 LED를 설치할 수 있다. 휴대 이동시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의 전면 조작부의 적절한 위치에 키 록킹버튼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의 화면은 액정표시화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액정표시화면은 야간에서도 볼 수 있도록 백라이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의 외면 전체를 항균 처리할 수 있다.
타이머 스톱워치버튼(123D)은 시계의 스타트와 스톱을 원터치버튼 조작으로 가능하게 한다. 녹음/재생 마이크(123E)와 녹음/재생버튼(123F)은 녹음 모드를 녹음/재생할 때에 사용한다.
도7은 부 헤드부(12) 내에서,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 대신에, 수액 메트로놈(124)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도 앞서 설명한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123)의 장착과 유사하게 부 헤드부의 공간(도 2의 15) 내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부 헤드부(12)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착탈가능한 탄성 링부재(13)가 장착되어 그 탄성 링부재(13)에 의해 부 헤드부(12)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수액 메트로놈(124)을 공간 내에 유지시키기 위한 와셔부재(14)가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링부재(13)를 장착하지 않아도, 와셔부재(14)와 수액 메트로놈(124) 자체를 부 헤드부(12)에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 링부재(13)는 부 헤드부(12)의 외주연을 보호 또는 커버의 기능을 담당한다.
도8은 상기 수액 메트로놈(124)이 결합된 경우의 청진기 헤드의 헤드 본체부의 일 구성 예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수액 메트로놈(124)의 전면 조작부에는 수액 오퍼레이션의 수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수치로 표시하는 디지털 표시부(124A), 수액 오퍼레이션의 수액 타이밍을 화상표시 및 음성표시하는 적하 타이밍 표시부(124B), 수액된 수액방울수를 표시하기 위한 방울수 표시버튼(124C), 수액된 총량을 표시하기 위한 수액총량 표시버튼(124D), 수액될 때의 수액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수액속도 표시버튼(124E) 및 수액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수액시간 표시버튼(124F)을 포함한다.
그 외, 상기 디지털 표시부(124A)에는 전지의 총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이동시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액 메트로놈(124)의 전면 조작부의 적절한 위치에 키 록킹버튼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액 메트로놈(124)의 외면 전체를 항균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방울수 표시버튼(124C)을 누를 경우, 상기 디지털 표시부(124A)의 수액방울수 표시부에 수액된 방울수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수액총량 표시버튼(124D)을 누를 경우, 상기 디지털 표시부(124A)의 수액총량 표시부에 수액총량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수액속도 표시버튼(124E)을 누를 경우, 상기 디지털 표시부(124A)의 수액속도 표시부에 수액될 때의 수액속도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수액시간 표시버튼(124F)을 누를 경우, 상기 디지털 표시부(124A)의 수액시간 표시부에 수액될 때의 시간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 수액 메트로놈을 수납하는 부 헤드부는 청진기 헤드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단일체의 수액메트로놈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기기류의 장착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 다이아프램(121)에 대신하는 구성요소로서, 부 헤드부(12)에 스톱워치기능부여 시계를 장착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 다이아프램(121)에 대신하는 구성요소로서, 부 헤드부(12)에 수액 메트로놈(124)을 결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헤드 본체부(1)의 부 헤드부(12)에는 이 외의 다양한 소형기기류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소형기기류로서, 상기 부 헤드부(12)에는 심박계수, 온도계, LED 라이트, 및 간호사 호출 버저가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기기류의 장착 형태)에 있어서의 제2장착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9의 (a) 내지 (d)는 제2장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9의 (a)는 결합 전의 장착장치의 평면도, 도9의 (b)는 결합 전 장착장치의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 도9의 (c)는 결합 시의 장착장치의 평면도, 도9의 (d)는 결합 시의 장착장치의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장착장치는 기기류(123, 124)에 결합된 회전가능한 캠(52), 상기 캠(52)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51) 및 상기 구동부(51)의 외측부에 끼워진 오링(53)을 포함한다. 상기 기기류(123, 124)에 결합된 캠(4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오링(53)이 끼워진 상기 구동부(51)의 외주부의 일부가 상기 부 헤드부(12)의 공간 내벽으로 가압되어 기기류(123, 124)가 상기 부 헤드부(12)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51)는 상기 캠(52) 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며, 상기 캠(52)의 최대 회전각도는 약 90도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도9의 (a) 및 (c)에서, 제2장착장치는 상기 캠(52)의 회전을 제공받아 좌우의 반원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51),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부(51)의 좌우의 반원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52), 상기 구동부(51)의 외주부에 끼워지는 오링(53) 및 상기 캠(52)을 수납하는 공간(54)을 포함한다.
또한 도9의 (b)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장착장치는 부 헤드부(12)측의 공간 내벽(56)에 대하여 기기류(123, 124)를 부착한 구동부(51)를 오링(53)을 통해 가압함으로써 마찰력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51)를 구성하는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나무, 도기, 고무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캠(52)을 구성하는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나무, 도기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링(53)을 구성하는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고무 등이 가능하다. 상기 오링(53)의 내측에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삽입할 수도 있다.
도10의 (a) 내지 (d)는 제2장착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10의 (a)는 캠에 대한 공간을 갖는 구동부(51)의 평면도, 도10의 (b)는 구동부(51)의 측면도, 도10의 (c)는 오링(53)의 평면도, 도10의 (d)는 캠(52)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10에서, 상기 구동부(51)는 좌우로 분리된 2개의 반원부로 구성되고, 그의 내부에는 캠(52)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상기 구동부(51)의 전체 형상(평면도)은 대략 원형이지만, 대체로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 부(51)의 전체 형상(평면도)은 임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52)은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을 중심으로 길이가 다른 적어도 2축(장축과 단축)을 가지며, 상기 캠(52)은 중심축 둘레로 최대 90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도9의 (a)). 다만, 상기 캠(52)의 회전각도가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90도)에 도달할 때, 상기 캠(52)은 그 이상의 회전은 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캠(52)이 회전함에 따라서, 그의 장축의 작용에 의해 상기 캠(52)을 수납하는 공간이 가압되어 확장된다. 여기에서, 상기 오링(53)은 탄성을 가지며, 상기 캠(52)의 회전과 함께 구동부(51)의 외주부가 확장될 때 연신되어 그 확장을 대항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51)의 외주부가 부 헤드부 내의 공간 내벽에 접촉할 때에는 큐션(완충장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오링(53)의 외경은 기기류(123, 124)를 결합할 때(결합 전), 즉 상기 구동부(51)의 2개의 반원부가 밀착될 때에 있어, 상기 부 헤드부(12) 측의 공간 내벽(56)의 내경보다도 약간 짧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결합시(결합 전)에는 상기 부 헤드부(12)측 공간 내부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캠용 공간은, 상기 기기류(123, 124)가 결합될 때(결합 전), 즉 상기 구동부(51)의 2개의 반원부가 밀착하고 있는 때에 있어, 상기 캠(52)을 수납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다. 상기 캠(52)이 회전할 경우, 상기 캠(52)을 수납하고 있는 캠용 공간이 가압 확장되고, 이에 의해 캠용 공간을 갖는 구동부(51)의 좌우의 반원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적어도 상기 구동부(51)의 외주부의 두 부위에서, 상기 구동부(51)는 부 헤드부(12) 측 공간 내벽(56)과 접촉하고, 상기 캠(52)의 회전과 동시에 그 접촉압이 높아지고, 상기 캠(52)의 회전이 소정의 회전각도(예를 들면, 90도)에 도달한 때, 상기 구동부(51)는 암나사부(66)와 최대강도로 결합한다.
도11의 (a) 및 (b)는 제2장착장치를 이용하여 시계 모듈(기기류)(123)을 부착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1의 (a)는 도9의 (a) 및 (b)의 물체의 장착(체결) 전의 상태에 대응하는 시계 모듈(123)의 체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11의 (b)는 도9의 (c) 및 (d)의 물체의 부착(체결) 후의 상태에 대응하는 시계 모듈(123)의 체결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시계 모듈(123)의 각도를 약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장착장치는 기기류(123, 124)를 체결하거나, 그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청진기는 헤드 본체부에 구경이 다른 2개의 다이아프램을 구비함으로써, 환자가 어른인 경우인 경우에도, 구경이 작은 쪽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하여 신체의 협소한 부위를 청진하거나, 고주파의 체음을 청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청진기 헤드에 있어 상기한 원추대 형상의 부 헤드부의 공간 내에 스톱워치, 시계, 수액 메트로놈 등의 기기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기기류를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어 청진기 헤드에 디자인과 기능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진기에 있어서는 헤드 본체부에 구 경이 다른 2개의 다이아프램을 구비함으로써 환자가 어른인 경우에도 구경이 작은 쪽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하여 신체상의 좁은 부위에 좁혀서 청진하거나 고주파의 체음을 청진할 수 있다.
또한 청진기 헤드에 있어서는 상기한 원추덮개 형상의 부 헤드부의 공간 내에 스톱워치, 시계, 수액 메트로놈 등의 기기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기를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헤드 본체부 및 상기 헤드 본체부에 설치된 유도관 접속구를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로서,
    상기 헤드 본체부는 상기 유도관 접속구를 삽입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소재로 이루어지는 주 헤드부와 부 헤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주 헤드부는 상기 유도관 접속구와 접속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주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상기 부 헤드부는 고주파 청진 및/또는 협소영역 청진을 위한 부 다이아프램 또는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류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부 다이아프램 또는 상기 기기류를 상기 부 헤드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을 구비하는
    청진기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부 헤드부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탈착가능한 탄성 링부재를 구비하는
    청진기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링부재에 의해 상기 부 헤드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기기류를 상기 공간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와셔부재를 구비하는
    청진기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기기류에 결합되는 회전가능한 캠,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오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기류에 결합된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오링이 구비된 상기 구동부의 외주부의 일부가 상기 부 헤드부의 공간 내벽에 가압되어 상기 기기류가 상기 부 헤드부에 장착되는
    청진기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캠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청진기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최대 회전각도는 90도인
    청진기 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헤드부 및 상기 부 헤드부의 재료는 금속, 아크릴 수지 또는 글라스 중 어느 하나인
    청진기 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다이아프램은 투명 또는 반투명이 에폭시 수지 또는 나일론을 소재로 형성되는
    청진기 헤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헤드부와 상기 부 헤드부는 끼움결합 방식의 결합부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청진기 헤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류는 스톱워치, 시계, 수액 메트로놈, 심박계수 또는 온도계인
    청진기 헤드.
  11.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의 기재의 청진기 헤드;
    상기 청진기 헤드에 접속되어 청진음을 유도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에 접속되는 이관; 및
    상기 이관에 접속되는 이어 팁
    을 포함하는 청진기.
  12. 청구항4 내지 청구항11 중 어느 한 항의 기재의 청진기 헤드;
    상기 청진기 헤드에 접속되어 청진음을 유도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에 접속되는 이관; 및
    상기 이관에 접속되는 이어 팁
    을 포함하는 청진기.
KR1020077005176A 2005-04-19 2005-04-19 청진기 헤드 KR101137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07425 WO2006114863A1 (ja) 2005-04-19 2005-04-19 聴診器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05A true KR20080001705A (ko) 2008-01-03
KR101137030B1 KR101137030B1 (ko) 2012-04-26

Family

ID=3721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176A KR101137030B1 (ko) 2005-04-19 2005-04-19 청진기 헤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35598B2 (ko)
EP (1) EP1764041B1 (ko)
JP (1) JP4368380B2 (ko)
KR (1) KR101137030B1 (ko)
CN (1) CN100506162C (ko)
DE (1) DE602005013781D1 (ko)
TW (1) TW200642665A (ko)
WO (1) WO2006114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714A (ja) * 2006-08-29 2008-03-13 Ichikawa Sadamu 聴診器
US20100042585A1 (en) * 2008-08-14 2010-02-18 Dustin Kurt Adler Command Interpretation
US7979450B2 (en) * 2008-09-15 2011-07-12 Xsevo Systems, Inc. Instance management of code in a database
US8171045B2 (en) * 2008-07-31 2012-05-01 Xsevo Systems, Inc. Record based code structure
US7942233B2 (en) * 2008-11-20 2011-05-17 Tommaso Cammilleri Method to personalize a stethoscope
US8939251B2 (en) * 2012-06-27 2015-01-27 MDF Instruments USA, Inc. Stethoscope with light source and/or timepiece
US9486180B2 (en) 2012-06-27 2016-11-08 MDF Instruments USA, Inc. Chestpiece of a stethoscope
USD746802S1 (en) * 2013-10-15 2016-01-05 Stratoscientific, Inc. Electronic device case with stethoscope
US9414155B2 (en) 2013-10-15 2016-08-09 Stratoscientific, Inc. Acoustic collection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9602917B2 (en) 2013-10-15 2017-03-21 Stratoscientific, Inc. Acoustic collection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A2962502A1 (en) 2014-10-14 2016-04-21 Arsil Nayyar Hussai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outputting data regarding a bodily characteristic
USD840028S1 (en) * 2016-12-02 2019-02-05 Wuxi Kaishun Medical Device Manufacturing Co., Ltd Stethoscope head
CN108670294A (zh) * 2018-05-29 2018-10-19 河南科技大学第附属医院 一种心脏内科听诊器
US20200121189A1 (en) * 2018-10-21 2020-04-23 House Calls LLC Virtual stethoscope and otoscope
WO2020142278A1 (en) * 2018-12-31 2020-07-09 Star Luminal LLC Electronic stethoscope with accessorie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9390U (ko) * 1977-12-23 1979-07-13
JPS609452B2 (ja) 1978-01-20 1985-03-11 株式会社ダイフク 消毒済み物品搬送設備
US4362164A (en) * 1980-09-11 1982-12-07 Hughes Aircraft Company Electronic pick-up device for transducing electrical energy and sound energy of the heart
US4502562A (en) 1983-03-28 1985-03-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ethoscope with removable insert
JPS60180408A (ja) 1984-02-27 1985-09-14 日本大洋海底電線株式会社 ケーブルの被覆解体工具
JPS60180408U (ja) * 1984-05-10 1985-11-30 白木 春彦 ストツプウオツチ付き聴診器
US4770270A (en) * 1987-05-13 1988-09-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ethoscope chestpiece with a sound conveying indexing detent
US4802550A (en) * 1987-09-11 1989-02-07 Poore Henry B Chrono-stethoscope
US4972841A (en) * 1988-11-14 1990-11-27 Iguchi Robert K Stethoscope with pulse rate display
US5252787A (en) * 1991-05-09 1993-10-12 Jerome Moore Stethoscope
CN2180213Y (zh) * 1994-01-05 1994-10-26 汇台实业股份有限公司 听诊器
JP3106385B2 (ja) 1994-11-28 2000-11-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検出素子とそれを用いた高周波加熱装置
WO1997001987A1 (de) * 1995-07-06 1997-01-23 Caditec Sa Elektronisches stethoskop
US5638453A (en) * 1996-01-29 1997-06-10 Mclaughlin; Bruce E. Transducer enhanced stethoscope
US5812678A (en) * 1996-02-26 1998-09-22 Scalise; Stanley J. Auscultation augmentation device
US6308798B1 (en) * 1996-04-22 2001-10-30 Prestige Medical Corporation Lightweight stethoscope with variable diaphragm and bell components
US5774563A (en) * 1996-07-11 1998-06-30 Deslauriers; Richard J. Combined electronic acoustical stethoscope
US5960089A (en) * 1996-11-08 1999-09-28 Nicolet Vascular, Inc. Ultrasound bell attachment for stethoscope
DE19651604C1 (de) * 1996-12-12 1998-03-12 Paul Zinser Spannanordnung
CH691757A5 (de) * 1997-05-13 2001-10-15 Artemio Granzotto Stethoskopkopf.
US5945640A (en) * 1997-08-01 1999-08-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ethoscope chestpiece having two suspended diaphragms
US5910992A (en) * 1998-01-21 1999-06-08 Ho; Chi-Sheng Stethoscope with an indexing detent
CN2343974Y (zh) * 1998-10-22 1999-10-20 杜长军 多功能听诊器
US6210344B1 (en) * 1999-03-24 2001-04-03 Umm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ssive heart rate detection
US20010030077A1 (en) * 2000-01-10 2001-10-18 Watson Richard L. Stethoscope with ECG monitor
US6342038B1 (en) * 2000-11-02 2002-01-29 Alberto Carrasquillo Electronic pulse rate counter
CN2584130Y (zh) * 2002-11-19 2003-11-05 曾登科 快换式听诊头
US6847720B2 (en) * 2002-12-12 2005-01-25 Teng Ko Tseng Quick-updating stethoscope receiver
JP3106385U (ja) * 2004-07-05 2005-01-06 有限会社メディソレーユジャパン 聴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14863A1 (ja) 2006-11-02
US7735598B2 (en) 2010-06-15
KR101137030B1 (ko) 2012-04-26
EP1764041B1 (en) 2009-04-08
EP1764041A1 (en) 2007-03-21
DE602005013781D1 (de) 2009-05-20
JPWO2006114863A1 (ja) 2008-12-11
TW200642665A (en) 2006-12-16
CN100506162C (zh) 2009-07-01
EP1764041A4 (en) 2007-07-04
CN1905837A (zh) 2007-01-31
US20080245602A1 (en) 2008-10-09
JP4368380B2 (ja)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030B1 (ko) 청진기 헤드
US6251080B1 (en) Self contained ambulatory blood pressure cincture
US20200178812A1 (en) Pulse pressure conducting structure, portable blood pressure detection module, and smart wearable device
US20080228095A1 (en) Medical device
EP0242371B1 (fr) Stethoscope acoustique et a filtre electrique
EP3142545B1 (en) An apparatus for a wearable device
JP6328223B2 (ja) 聴診音識別訓練器及び聴診音識別訓練システム
CN112515648B (zh) 一种具有连接件的腕带、电子血压计及生命体征监护仪
JPH10216125A (ja) モニタ付き超音波診断装置
US11666302B2 (en) One-piece diaphragm and ring for stethoscope chestpiece
CN201312810Y (zh) 医用电子听诊器
WO2024093720A1 (zh) 可穿戴设备
US7721843B1 (en) Visual acoustic device
JP3111463U (ja) 聴診器ヘッド
WO2008047417A1 (fr) Tête de stéthoscope
JP3109484U (ja) 聴診器ヘッド
JP3139756U (ja) ディスプレイ画面角度可調整血圧計
TW201519858A (zh) 健康手環
CN2180213Y (zh) 听诊器
CN211355439U (zh) 一种带血流量监测功能和报警功能的血管内瘘护腕
US20090235807A1 (en) Tuner mounting device
WO2014156259A1 (ja) 超音波診断装置用操作装置
JP2000000237A (ja) 聴診器、聴診器用パッド
US20140330168A1 (en) Multifunction stethoscope
WO2018034313A1 (ja) 聴診音識別訓練器及び聴診音識別訓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