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325U -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 - Google Patents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325U
KR20080001325U KR2020060030128U KR20060030128U KR20080001325U KR 20080001325 U KR20080001325 U KR 20080001325U KR 2020060030128 U KR2020060030128 U KR 2020060030128U KR 20060030128 U KR20060030128 U KR 20060030128U KR 20080001325 U KR20080001325 U KR 200800013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drainage
drain
hair growth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462Y1 (ko
Inventor
강문식
Original Assignee
(주) 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루 filed Critical (주) 파루
Priority to KR2020060030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462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3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4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묘장치에 사용되는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렴하면서도 평상시에는 급수에 의한 물 넘침을 방지하며, 급수가 중단시 빠른 배수가 가능한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육묘장치에 사용되는 육묘용 베드로서, 측벽으로 둘러싸인 바닥판이 일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일측을 따라 경사진 배수로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의 일단에는 배수구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를 제공한다. 또한, 베드의 측벽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배수부재를 채택하여 배수 효율 및 유지보수성이 유리하다.
육묘, 베드, 저면관수식, 배수홀

Description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 {Bottom Irrigation System Raising Seedlings Bed}
도 1은 본원 고안의 육묘용 베드 사시도
도 2는 육묘용 베드의 정면도 및 절개도
도 3은 배수부재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는 배수부재와 육묘용 베드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드 130 : 배수로
140 : 배수구 150 : 결합구
160 : 돌출블럭 200 : 배수부재
220 : 삽입부 230 : 나사
240 : 배수홀
본 고안은 육묘장치에 사용되는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드에 급수할 때에 물 넘침이 방지되다가 급수가 정지되었을 때 빠르게 자연적인 배수가 가능한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장치는 씨앗이 발아되고 생육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조성하는 장치로 크게 온도조절, 광조절, 급수 조절, 배수조절 장치로 구성된다. 육묘장치에는 상기 각종 조절 작용이 가능한 각 세부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어, 육묘장치에 상치된 육묘포트에 영양, 물 및 광 등의 공급이 가능하다. 육묘장치에는 상기 육묘포트를 1개 이상에서 수개까지 올릴 수 있고, 물을 가두어 둘 수 있는 장치로서 육묘용 베드가 포함된다.
한편, 육묘장치의 중요한 부분은 온도조절, 급수 장치, 배수장치이다. 온도조절은 히터와 에어콘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급수와 배수를 자동으로 조절할 경우에는 전자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전자밸브를 사용하여 급배수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전기적 오작동 및 이물질의 걸림에 의해 급수나 배수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점은 육묘중인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는데, 특히나 고가의 육묘를 키우는 중에는 급수나 배수시마다 인위적으로 항시 체크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전자밸브는 고가이며, 상기 전자밸브를 부착하는 경우 별도의 컨트롤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저렴하면서도 급수가 중단될 경우 빠른 자연 배수가 가능하여 육묘 피해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육묘장치에 사용되는 육묘용 베드로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바닥판; 과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의 일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이 경사진 방향과 동일하게 경사진 배수로; 와, 상기 배수로의 일단에 배수구;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의 경사는 1도 내지 3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배수로의 경사는 바닥판의 경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에는 폭방향으로 육묘포트를 띄울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된 돌출블럭이 복수로 형성된 것이 좋다.
본원 고안의 다른 측면으로서, 상기 배수구에는 베드의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되 측면에는 상하로 길게 배수홀이 형성된 배수부재를 더 구비한 것이 특징인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를 제공한다.
상기 배수홀은 복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배수홀의 폭은 3mm 내지 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부재의 측벽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 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상기 높이 조절 방법으로서, 상기 배수부재는 상기 베드의 배수구에 나사 결합되되, 길게 형성되어 나사 결합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배수부재의 베드 측벽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다른 높이 조절 방법으로서, 상기 배수부재는 상기 베드의 배수구에 끼움 결합되되, 끼움 결합의 마찰력이 배수부재의 인위적인 상하 이동에 대응되어 있어, 상기 배수부재의 베드 측벽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부재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관형으로 하는 것이 좋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는 본원 고안의 육묘용 베드 사시도이고, 도 2는 육묘용 베드의 정면도 및 절개도이며, 도 3은 본원 고안의 핵심을 이루는 배수부재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배수부재와 육묘용 베드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배수부재와 육묘용 베드의 결합관계를 명확히 보여 준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육묘용 베드(100)는 육묘포트가 안치되는 바닥판(110)의 둘레로 측벽(120)이 사방으로 둘러싸 형성된다. 상기 측벽(120)의 높이는 육묘포트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선정된다. 베드(100)는 폴리스틸렌을 발포시켜 측벽(120)과 바닥판(110)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드(100)의 일측벽 아래로 바닥판(110)에는 배수로(130)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130)는 도 2a의 AA선을 따르는 절개도, 도 2b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배수로(130)로 유입된 물은 배수로(130)의 일단에 형성된 배수구(14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로(130)의 경사각은 대략 1도 정도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하는 배수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배수구(140)에는 추후 설명할 배수부재(200)가 끼워질 결합구(150)가 구비된다. 원통형 결합구(150)의 안쪽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배수부재(2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판(110) 또한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도 2c의 BB선 절개도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바닥판(110)의 경사는 바닥판(110)에 고인 물이 자연적으로 배수로(130)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적정한 각도를 갖도록 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1도 정도의 각도가 유리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110)에는 바닥판(110)의 폭방향으로 돌출블럭(16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 바닥판(110)에 안치된 육묘포트에 의하여 물흐름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육묘포트는 돌출블럭(160)에 의해 바닥판(110)에서 일정한 높이로 떨어져 안치되는 것이고, 이에 의해 바닥판(110)의 경사에 의한 물빠짐이 원활하다. 상기 돌출블럭(160)은 배수로(130)를 향해 길게 형성되며, 돌출블록(160) 간의 간격은 육묘포트가 바닥판(110)에서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적정한 폭으로 정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본원 고안의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에 끼워지는 배수부재(2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배수부재(20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된 원통 관형 몸체(210)의 아래로 배수구(140)의 결합구(150)에 끼워지는 삽입부(220)로 구성된다. 삽입부(220)에는 수나사(230)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구(150)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삽입부(220)의 길이는 충분히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부(220)가 배수구(140)의 결합구(150)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배수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베드(100) 측벽(120)에 대한 배수부재(200)의 상대적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도 4b, c와 같이 나사결합 길이에 따라 H1에서 H2로 달라진다).
한편, 배수구(140)의 결합구(150)와 배수부재(200)의 삽입부(220)간의 결합에 관하여 본원 고안에서는 나사 결합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마찰 끼워 맞춤 결합 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때 결합구(150)와 삽입부(220)는 적정한 힘에 의하여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나 배수되는 물의 힘이나 통상적인 충격에 의하여는 이동되지 않을 정도의 마찰력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몸체(210)는 원형 관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몸체(210) 상부에는 상부개구(250)가 하부에는 하부개구(260)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과급된 급수가 상부개구(250)를 통해 하부개구(260)로 배수됨으로서 급수에 의한 베드(100)의 물넘침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210)는 원형 관체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상의 파이프도 채용이 가능하다.
상기 배수부재(200)의 몸체(210) 일측에는 길게 배수홀(240)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홀(240)은 상부개구(250)에서부터 하부개구(260)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배수부재(200)의 강도 유지를 위하여 몸체(210) 전체를 관통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적으로는 삽입부(220)의 중간까지 이르도록 형성한다. 배수홀(240)의 개수는 1개로서 3mm 내외의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하는 자연 배수 속도에 따라 복수로 하고 폭을 크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본원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a와 같이 베드(100)의 배수구(140) 결합구(150)에 배수부재(200)를 끼운다. 배수부재(200)의 삽입부(220)를 결합구(150) 구멍에 맞추고 몸체(210)를 잡고 정해진 회전수로 회전 시켜 베드(100) 측벽(120)과 배수부재(200) 상부개구(250)간의 이격 높이를 정해진 크기로 맞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부재(200)의 회전수에 따라 도 4b 또는 도 4c와 같이 상기 이격 높이가 달라진다. 상기 육묘용 베드(100)에 다수의 육묘포트를 안치시킨다. 육묘포트의 밑면은 돌출블럭(160)에 의해 바닥판(110)으로부터 일정한 높이 이격되어 위치됨으로 바닥판(110) 상의 배수 경로가 확보된다. 상기 육묘용 베드(100)를 통상의 육묘장치에 적치하고 급수관로(미도시) 및 하수관로(미도시)를 연결한다. 급수관로는 베드(100)의 상면 일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수관로는 베드(100)의 배수구(140) 하부로 연결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급수관로로 급수된 물은 베드(100) 내부를 채우며, 급수량이 많기 때문에 차오른 물은 배수부재(200)의 상부개구(250)를 통해 하부개구(260)로 빠져나가 배수구(140)에 연결된 하수관로로 배출된다. 즉, 물이 과급되더라도 과급된 물이 배수부재(200)의 상부로 빠져나가므로 베드(100) 측벽(120)으로 물이 넘치는 일은 없다. 한편, 배수부재(200)의 배수홀(240)은 베드(100)의 배수로(130) 면에까지 이어져 뚫려 있으므로 정상적인 운전 상태에서도 일부 급수된 물이 배수홀(240)을 통해 빠져나간다.
급수가 비정상적으로 멈춘 경우의 작용을 설명한다. 급수가 멈추면 공급되는 물은 없는 반면 배수홀(240)을 통한 배수는 지속된다. 육묘포트의 하부로 바닥판(110)에 고여 있는 물 들 또한 돌출블럭(160)의 작용으로 흐름 저항없이 모두 바닥판(110)의 경사를 따라 배수로(130)로 모여 든다. 배수로(130)로 모인 물은 배수 로(130) 또한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이루므로, 모두 배수구(140)에 끼워져 있는 배수부재(200)의 배수홀(240)로 배수된다. 따라서 고가의 전자밸브 없이도 베드(100) 내에 들어 있던 물이 모두 자연적으로 빠져 나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원 고안의 간단한 배수구조는 유지 보수의 편리성도 보장한다. 즉, 배수구에 이물질이 걸리더라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여 육묘용 베드의 바닥면 및 배수로가 경사를 이룸에 따라 베드에 고여 있던 물이 신속하게 자연적으로 배수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베드 바닥판에 돌출블럭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어 육묘포트가 바닥판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고 이에 의해 베드의 배수가 원활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통형 배수부재에 상하로 형성된 배수홀이 배수로 하부까지 이어져 있어 평상시 과급시에는 베드의 물 넘침이 방지되고, 급수가 중단되는 경우 자연적인 배수가 빠르게 일어남으로서 저렴하고 확실한 배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수부재는 나사식으로 베드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종의 육묘포트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바닥판; 과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의 일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이 경사진 방향과 동일하게 경사진 배수로; 와,
    상기 배수로의 일단에 배수구;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경사는 1도 내지 3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경사는 1도 내지 3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폭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돌출블럭이 복수로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는 베드의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되 측면에는 상하로 길게 배수홀이 형성된 배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의 직경은 3mm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의 높이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는 상기 베드의 배수구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나사 결합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배수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는 상기 베드의 배수구에 끼움 결합하며, 상기 배수부재의 삽입정도에 따라 상기 배수부재의 높이가 조절가능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육모용 베드
KR2020060030128U 2006-11-21 2006-11-21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 KR200448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128U KR200448462Y1 (ko) 2006-11-21 2006-11-21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128U KR200448462Y1 (ko) 2006-11-21 2006-11-21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325U true KR20080001325U (ko) 2008-05-26
KR200448462Y1 KR200448462Y1 (ko) 2010-04-13

Family

ID=4422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128U KR200448462Y1 (ko) 2006-11-21 2006-11-21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46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20B1 (ko) * 2009-11-03 2010-04-27 (주) 파루 육묘용 베드
WO2014106512A1 (en) * 2013-01-07 2014-07-10 Growcamp A/S Device for watering plants
KR20200054682A (ko) * 2018-11-12 202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KR20200058040A (ko) * 2018-11-19 202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KR20200070789A (ko) * 2018-12-10 2020-06-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재배베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943B1 (ko) 2015-06-03 2018-03-26 이민수 육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437U (ko) * 1990-03-28 1991-12-17
JP3680481B2 (ja) 1997-03-18 2005-08-10 井関農機株式会社 育苗箱
KR100772473B1 (ko) * 2005-03-18 2007-11-02 다이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육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20B1 (ko) * 2009-11-03 2010-04-27 (주) 파루 육묘용 베드
WO2014106512A1 (en) * 2013-01-07 2014-07-10 Growcamp A/S Device for watering plants
KR20200054682A (ko) * 2018-11-12 202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KR20200058040A (ko) * 2018-11-19 202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KR20200070789A (ko) * 2018-12-10 2020-06-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재배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462Y1 (ko) 201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462Y1 (ko) 저면관수식 육묘용 베드
KR101572372B1 (ko)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CA2675810C (en) Groundwater control system with automatic water flow regulator
US7644537B1 (en) Unattended plant watering system
KR100954520B1 (ko) 육묘용 베드
KR101549189B1 (ko) 수경재배장치
WO2014203421A1 (ja) 地下灌漑システム
JP2006304738A (ja) 地下水位調整器
JP2006288392A (ja) 種苗の育苗装置
KR101501093B1 (ko) 수분 및 산소 공급 파이프
CN108697056B (zh) 自主灌溉系统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KR20180089621A (ko) 농업 용수로용 급수조절장치
KR200475509Y1 (ko) 식재용 상자 조립체
JP2002360072A (ja) 植物栽培装置と植物栽培方法
JPH1189450A (ja) 水田の給排水装置
KR20100037393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210092056A (ko)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의 사이펀 장치
KR200375956Y1 (ko) 화분의 급수장치
KR200371676Y1 (ko) 높이 조절과 청소구가 구비되는 파종기의 급수장치
WO2013175180A1 (en) Flow control device
JPS5930379B2 (ja) 貝類の飼育装置
KR102171857B1 (ko)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
KR960004174Y1 (ko) 부구를 이용한 논 자동 수위조절장치
CN218184477U (zh) 一种用于水利灌排用节水灌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