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628U -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628U
KR20080000628U KR2020060028121U KR20060028121U KR20080000628U KR 20080000628 U KR20080000628 U KR 20080000628U KR 2020060028121 U KR2020060028121 U KR 2020060028121U KR 20060028121 U KR20060028121 U KR 20060028121U KR 20080000628 U KR20080000628 U KR 200800006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breaker
branch
case
mai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전기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전기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전기공업
Priority to KR2020060028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628U/ko
Publication of KR20080000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6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6Mounting on plug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01H71/0271Mounting several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toge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1Mechanical coupling for side-by-side moun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스내에 메인차단기와, 다수개의 분기차단기들을 일체로 내장시켜 구성한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메인차단기와, 상기 메인차단기와 부스바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분기차단기들로 이루어진 분전반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 차단기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덮혀지는 케이스로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내에는 상기 메인차단기와 분기차단기들을 일체로 내장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분전반,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 케이스, 메인차단기, 분기차단기, 부스바

Description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Circuit Braker For The Distribution Panel}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분전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과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로 이루어진 분전반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전반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에 증설용분기차단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에 증설용분기차단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분전함 12: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
16: 케이스 18: 메인차단기
22: 부스바 24: 분기차단기
32: 볼트 34: 전선
36: 증설용분기차단기 100: 분전반
본 고안은 분전반 차단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내에 메인차단기와, 다수개의 분기차단기들을 일체로 내장시켜 구성한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분전반은 직사각형태의 분전함내로 메인차단기 및 다수개의 분기차단기들을 설치하고, 각 차단기들은 부스바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력을 사용처로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말한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분전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반은 분전함(112)과, 메인차단기(118)와, 배선용차단기 및 누전차단기들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분기차단기들(124)(이하에서는 "분기차단기"로 칭함) 및 부스바(122)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차단기(118)의 전력입력측(118a)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는 인입선(120)이 접속되고, 전력출력측(118b)에는 부스바(122)가 접속된다. 상기 부스바(122)에는 다수의 자선부스바(122a)들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자선부스바(122a)에는 상기 분기차단기(124)들이 접속된다.
한편, 종래 분전반의 시공은 분전함(112)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패널(114) 상에 메인차단기(118)를 고정 설치한 후, 부스바(122) 연결작업을 수행한 다음, 상기 부스바(122)의 자선부스바(122a)에 다시 다수개의 분기차단기(124)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기차단기(124)들을 나사등의 체결수단으로 베이스패널(114)에 고정시키는 작업으로 진행되는 데, 이러한 조립작업은 시공의 번거로움을 가져와 불필요한 시간낭비와 함께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종래 분전반은 부스바(122)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서 사용과정에서 감전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분전반은 분기차단기(124)를 증설할 수 있는 수단과 공간이 구비되어 있지 못해, 전력사용처 증가에 따라 분기차단기(124)를 효과적으로 증설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내에 메인차단기와 다수개의 분기차단기들을 일체로 내장시켜 시공의 편리함을 구현토록 한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분기차단기의 증설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메인차단기와 분기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바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메인차단기와, 상기 메인차단기와 부스바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분기차단기들로 이루어진 분전반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 차단기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덮혀지는 케이스로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내에는 상기 메인차단기와 분기차단기들을 일체로 내장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를 제안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부스바와 접속하는 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볼트에는 증설용분기차단기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이 연결되어, 상기 증설용분기차단기와 상기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반은 직사각형태의 분전함(10)과, 메인차단기(18)와 다수개의 분기차단기(24)들로 이루어진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12)를 포함한다.
상기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12)는 베이스패널(14)과, 상기 베이스패널(14)에 덮혀지는 케이스(16)로 외형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16)내에는 메인차단기(18)와 다수개의 분기차단기(24)들이 내장된다.
상기 메인차단기(18)는 베이스패널(14)에 나사로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16)에 덮혀지게 된다. 상기 메인차단기(18)의 전력입력측(18a)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는 인입선(20)이 접속되고, 전력출력측(18b)에는 부스바(22)가 접속된다.
상기 분기차단기(24)들은 베이스패널(14)에 각기 나사로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16)에 덮혀지게 된다. 상기 분기차단기(24)들의 전력입력측(24a)에는 상기 부스바(22)에서 연장 형성된 자선부스바(22b)가 접속하게 되고, 상기 분기차단기(24)들의 전력출력측(24b)에는 전력사용처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이 접속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분전반 차단기(12)를 구성하는 메인차단기(18)와, 상기 메인차단기(18)와 부스바(22)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분기차단기(24)들을 언급한 바와 같이, 케이스(16)내에 일체로 내장시켜 구성함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한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은 분전반 차단기(12)의 설치작업에 따른 불필요한 작업시간을 줄여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메인차단기와, 분기차단기들을 분전함에 별도로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및 분기차단기들을 부스바로 연결시켜 하나의 분전반을 제작토록 함으로서 조립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메인차단기(18)와, 분기차단기(24)들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부스바(22)들이 케이스(16)에 내장되어 있는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12)를 분전함(10)내에 부착시키는 작업만으로 하나의 분전반(100)을 제작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분전반(100) 조립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여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메인차단기(18)와 분기차단기(24)를 연결하는 부스바(2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케이스(16)내에 내장되어 짐으로서 사용과정에서 부스바(22)로 흐르는 전류로 인해 감전등의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함께 가진다.
한편, 메인차단기(18)와 분기차단기(24)들은 케이스(16)에 내장시켜 구성하되, 상기 메인차단기(18)와 분기차단기(24)들에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18c, 24c)들은 케이스(16) 외부로 노출시켜 전력을 사용처로 공급 및 차단시키는 메인 및 분기차단기(18, 24)들의 동작을 임의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으로 본 고안의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12)는 사용과정에서 분기차단기를 증설하여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이 분전반 차단기(12)를 이루는 케이스(16)의 일측상단에는 커버(28)로 개폐되는 차단기증설구멍(30)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증설구멍(30)에는 볼트(32)가 관통하며, 상기 차단기증설구멍(30)을 관통한 볼트(32)는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부스바(22)에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증설용자선부스바(22b)에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볼트(32)로 전선(34)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전선(34)의 타단을 별도로 제작된 증설용분기차단기(36)의 전류입력측(36a)에 연결시키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부스바(22)와 증설용분기차단기(36)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의 작용을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12)는 케이스(16)내로 메인차단기(18)와, 상기 메인차단기(18)와 부스바(22)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분기차단기(24)들을 일체로 내장시켜 구성함으로서 시공시, 메인차단기(18)와 분기차단기(24)들을 각각 분전함(10)내로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 없이, 메인차단기(18)와 분기차단기(24)들이 내장되어 있는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12) 자체를 분전함(10)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하나의 분전반(100) 제작이 완료되어 분전반(100) 제작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분전반(100)에 분기차단기를 증설하고자 할 때에는 케이스(16)의 커버(28)를 분리한 후, 증설용분기차단기(36)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34)을 볼트(32)에 연결시킴으로서 케이스(16)내의 부스바(22)와, 증설용분기차단기(36)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됨으로서 분전반에 분기차단기를 사용자의 요구대로 증설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의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52)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의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12)와 동일한 구조로 제작하되, 다수개의 분기차단기(54)들을 일단형으로 제작하지 않고, 상기 분기차단기(54)들을 위, 아래로 이단형으로 하여 제작토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단형으로 제작된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52)에도 분기차단기를 증설하여 설치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분전반 차단기(52)를 이루는 케이스(56)의 일측면에 커버(58)로 개폐되는 증설구멍(60)을 형성하고, 상기 증설구멍(60)으로 증설용분기차단기(66)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부스바(68)를 삽입시킨 다음, 상기 부스바(68)를 분전반 차단기(52)에 내설되어 있는 다른 부스바에 리벳팅시킴으로서 분전반 차단기(52)와 증설용분기차단기(66)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스내에 메인차단기와 다수개의 분기차단기들을 일체로 내장시켜 구성함으로서 분전반 차단기를 분전반에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여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증설용분기차단기를 부스바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분전반에 분기차단기를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부스바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서 감전등의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메인차단기(18)와, 상기 메인차단기(18)와 부스바(22)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분기차단기(24)들로 이루어진 분전반 차단기(12)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 차단기(12)는 베이스패널(14)과, 상기 베이스패널(14)에 덮혀지는 케이스(16)로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6)내에는 상기 메인차단기(18)와 분기차단기(24)들을 일체로 내장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6)에는 상기 부스바(22)와 접속하는 볼트(32)가 구비되며, 상기 볼트(32)에는 증설용분기차단기(36)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34)이 연결되어, 상기 증설용분기차단기(36)와 상기 부스바(2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
KR2020060028121U 2006-10-19 2006-10-19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 KR200800006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21U KR20080000628U (ko) 2006-10-19 2006-10-19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21U KR20080000628U (ko) 2006-10-19 2006-10-19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628U true KR20080000628U (ko) 2008-04-23

Family

ID=4132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121U KR20080000628U (ko) 2006-10-19 2006-10-19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62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104A1 (ko) * 2017-09-08 2019-03-14 (주)토즈테크 부스바 일체형 계량기를 갖는 분전함
KR20230092628A (ko) * 2021-12-17 202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분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104A1 (ko) * 2017-09-08 2019-03-14 (주)토즈테크 부스바 일체형 계량기를 갖는 분전함
KR20230092628A (ko) * 2021-12-17 202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분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101524233B1 (ko)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CN102356704A (zh) 包括变速驱动器和断路器的控制组件
KR20080000628U (ko) 일체형 분전반 차단기
KR100534588B1 (ko) 전력장치용 차단기
KR100811374B1 (ko) 버스바의 체결 방법
KR101198620B1 (ko) 상용차용 배터리 퓨즈 터미널
KR200464646Y1 (ko) 배전반용 전원분배기
KR100500409B1 (ko) 전력기용 보호장치
KR100802093B1 (ko) 배전반용 커버 장치
KR100843457B1 (ko) 철재 분전반의 부스바 절연장치 및 구조
KR200344746Y1 (ko) 배전반
KR100550180B1 (ko) 분전반
KR100689925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기구
KR200477045Y1 (ko) 배전반의 부스바 고정구
CN204885019U (zh) 一种继电器保险盒
KR20090011123U (ko) 분전반용 콘센트
JPH10313511A (ja) 高圧受電設備
KR200287656Y1 (ko) 단자대
CN212908630U (zh) 一种防雷高低压配电柜
KR200431486Y1 (ko) 분전반용 차단기
JP3131499U (ja) スケルトン型低圧配電盤
CN211126518U (zh) 一种新型的低压多传动控制柜
KR200383042Y1 (ko) 분전반용 콘센트
KR200442888Y1 (ko) 분전반용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