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521U - 수세식 간이 변기 - Google Patents

수세식 간이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521U
KR20080000521U KR2020060027806U KR20060027806U KR20080000521U KR 20080000521 U KR20080000521 U KR 20080000521U KR 2020060027806 U KR2020060027806 U KR 2020060027806U KR 20060027806 U KR20060027806 U KR 20060027806U KR 20080000521 U KR20080000521 U KR 200800005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flush
water in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길영
Original Assignee
홍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길영 filed Critical 홍길영
Priority to KR2020060027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521U/ko
Publication of KR20080000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5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세식 간이 변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간이 화장실에 수세식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기에 용수를 유입하는 용수 유입부와, 상기의 용수 유입부로 유입된 물이 변기 내부에 유입되도록 한 용수 이송로와, 상기의 용수 이송로에 변기 표면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용수 배출공이 형성된 변기를 구성하고, 상기의 변기를 변기 내입부가 형성된 받침대와 결합하여, 간이 화장실의 수세식 변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간이 화장실, 간이 변기, 수세식 변기.

Description

수세식 간이 변기{a toilet stool}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변기의 용수 배출공을 표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수 유입관 20; 밸브
100; 변기
101; 좌대 102; 배출부
103; 몸체 104; 용수 유입부
105; 용수 이송로 106; 용수 배출공
200; 받침대
201; 변기 내입부
본 고안은 수세식 간이 변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임시로 설비되는 시설물의 간이 화장실용 변기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설된 수도 시설과 변기를 직접연결하여, 간편하게 수세식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시로 설치되는 간이 화장실의 변기는, 간이 화장실의 잦은 이동과 설치와 철거를 위하여, 재래식 변기를 이용한 화장실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간이 화장실의 변기는, 별도로 변기를 세척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용변 후의 변기는 배설물로 인하여 위생이 불결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간이 화장실에 수세식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기에 용수를 유입하는 용수 유입부와, 상기의 용수 유입부로 유입된 물이 변기 내부에 유입되도록 한 용수 이송로와, 상기의 용수 이송로에 변기 표면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용수 배출공이 형성된 변기를 구성하고, 상기의 변기를 변기 내입부가 형성된 받침대와 결합하여, 간이 화장실의 수세식 변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측으로 좌대(101)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배출부(102)가 형성된 몸체(103)와, 상기의 몸체(103)에 용수를 유입하는 용수 유입부(104)와, 상기의 용수 유입부(104)로 유입된 물이 몸체(103) 내부에 유입되도록 한 용수 이송로(105)와, 상기의 용수 이송로(105)에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용수 배출공(106)이 형성된 변기(100)를, 상기의 변기(100)가 내입되는 변기 내입부가(201) 형성된 받침대(200)를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수세식 간이 변기(100)의 용수 유입부(104)에 용수 유입관(10)을 연결하여 수세식 변기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수세식 간이 변기(100)는 간이 화장실이나 임시로 화장실을 구비하여야 하는 이동식 화장실에 구비하여, 받침대(200)의 변기 내입부(201)에 내입되어 고정된 변기(100)의 좌대(101)에 사람이 앉아 용변을 보면 배설물은 배출구(102)를 통하여 변기(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수세식 간이 변기(100)에 용수를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변기(100)에 형성된 용수 유입부(104)에 수도 시설의 용수 유입관(10)을 연결하고, 밸브(20)를 통하여 용수 유입부(104)로 용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변기(100)에 공급된 용수는 용수 이송로(105)를 따라 몸체(103)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고, 용수 이송로(105)에 형성된 각각의 용수 배출공(106)으로 배출되면서 변기(100)를 세척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수세식 간이 변기(100)의 사용은, 변기(100)를 고정하는 받침 대(200)를 배설물 저장통이 형성된 화장실 바닥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로 수도시설을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간이 화장실의 수세식 변기(100)는, 임시로 설치되는 간이 화장실의 변기를 수세식으로 사용하므로, 간이 화장실을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측으로 좌대(101)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배출부(102)가 형성된 몸체(103)와,
    상기의 몸체(103)에 용수를 유입하는 용수 유입부(104)와,
    상기의 용수 유입부(104)로 유입된 물이 몸체(103) 내부에 유입되도록 한 용수 이송로(105)와,
    상기의 용수 이송로(105)에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용수 배출공(106)이 형성된 변기(100)를,
    상기의 변기(100)가 내입되는 변기 내입부가(201) 형성된 받침대(200)를 결합하여서 된 수세식 간이 변기.
KR2020060027806U 2006-10-13 2006-10-13 수세식 간이 변기 KR200800005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806U KR20080000521U (ko) 2006-10-13 2006-10-13 수세식 간이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806U KR20080000521U (ko) 2006-10-13 2006-10-13 수세식 간이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21U true KR20080000521U (ko) 2008-04-17

Family

ID=4132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806U KR20080000521U (ko) 2006-10-13 2006-10-13 수세식 간이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5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117A (ko) * 2014-05-31 2015-12-09 한은혜 동양식변기 좌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117A (ko) * 2014-05-31 2015-12-09 한은혜 동양식변기 좌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318B1 (ko) 세면기
RU2374397C2 (ru) Писсуар с гигиеническим душем
KR20080000521U (ko) 수세식 간이 변기
KR20110135246A (ko) 비데 세정기의 세척장치
CN102912828A (zh) 集成式整体洁具
CN212026490U (zh) 一种移动式自动洁身的坐便器
CN203924287U (zh) 一种防异味防溅水的便器
US20130055500A1 (en) Sanitary fixture
JP3737434B2 (ja) 洋式小便器
CN202466694U (zh) 集成式整体洁具
JPH10121543A (ja) 清掃兼用簡易水洗ポンプ装置
CN104032819A (zh) 一种防异味防溅水的便器
KR200455687Y1 (ko) 여성용 수세식 변기
JP2016061101A (ja) 移動式便器
KR200397390Y1 (ko) 국부 세정기
JP2015039396A (ja) 足浴槽
JP4398849B2 (ja) 水洗トイレ装置
US20060037129A1 (en) Bidet attachment for toilets
KR101359284B1 (ko) 여성 전용 소변기
ATE551477T1 (de) Hygienische verbesserungen bei sanitärbecken
RU2371552C2 (ru) Убирающееся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анузла
RU2141240C1 (ru) Биде-комби
KR102482840B1 (ko) 위생 좌변기
JP2002322716A (ja) 水洗式便器
KR200247240Y1 (ko) 절수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