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135A -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135A
KR20080000135A KR1020060057485A KR20060057485A KR20080000135A KR 20080000135 A KR20080000135 A KR 20080000135A KR 1020060057485 A KR1020060057485 A KR 1020060057485A KR 20060057485 A KR20060057485 A KR 20060057485A KR 20080000135 A KR20080000135 A KR 2008000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monorail
storage device
rail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9045B1 (ko
Inventor
백명령
Original Assignee
백명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명령 filed Critical 백명령
Priority to KR102006005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0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2Devices for changing direction of travel or for transferring from one runway to another; Crossings; Combinations of tracks of different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66C11/06Underhung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e.g. log saws, pushers for unloading vehicles, means for shunting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현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노레일의 중도에 트롤리를 횡방향으로 집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쌍의 로울러(52)를 가지는 프론트포스트(53)와 리어포스트(54); 상기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단에는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55)를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는 구성의 트롤리(50)를 물류현상에 설치되는 모노레일(51)에 안착시켜 물류작업을 수행하는 물류시스템(S)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50)를 물류시스템(S)을 구성하는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직선형태가 아닌 횡방향 형태로 많은 수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치(60)를 더 설치하고; 상기 보관장치(60)는,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트롤리(50)의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거리(L)만큼의 폭(B)을 유지시켜 일정길이만큼 더 설치하는 보관레일(61)과; 상기 보관레일(61)의 입구와 출구측에는 트롤리(50)가 직선에서 횡 방향으로, 횡 방향 상태에서 직선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 상기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 상이에 횡 방향으로 정렬된 트롤리(50)를 입구에서 진입된 트롤리(50)를 출구로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컨베이어(6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물류, 레일, 트롤리, 보관

Description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Custody device for trolley}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를 도시한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의 입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의 출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입구의 A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출구의 B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사용되는 트롤리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트롤리
51; 모노레일
60; 보관장치
61; 보관레일
62; 입구가이드
63; 출구가이드
64; 컨베이어
70; 시이소
80; 승강바
90; 감지센서
본 발명은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 현장에서 적용되는 천장레일을 통하여 이동 및 보관하는 트롤리의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한 트롤리 보관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트롤리는 물류 현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물류를 위한 해당 물품을 물류 현장 내에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모노레일에 직렬로 배치되어 순환하는 타입이면서 자유롭게 모노레일에 대하여 트롤리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트롤리는 의류제품을 물류처리하기 위한 곳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트롤리에 의류를 보관한 많은 수의 옷걸이를 걸어서 다량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물류현장에 적용되는 트롤리는, 트롤리를 물류작업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모노레일에 일렬로 배열하여 보관하여야 하는 데 이 경우에는 많은 수의 트롤리에 비하여 모노레일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전체 트롤리를 다 보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보관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하나의 트롤리에 여러 개의 트롤리를 걸친 상태로 보관함으로서 보다 많은 수의 트롤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관 방법의 경우에는 하나의 트롤리에 많은 수의 트롤리게 걸쳐지게 됨으로서 모노레일에 결합 된 트롤리에 상당한 하중이 전도되어 트롤리의 이상을 가져올 수 있어 트롤리의 수명을 단축 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모노레일에 결합 된 트롤리에 걸쳐진 트롤리가 아래 방향으로 상당히 내려오기 때문에 작업자 또는 기타 작업도구와 충돌의 우려가 높고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물류현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노레일의 중도에 트롤리를 횡 방향으로 집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치를 제공하여 많은 수의 트롤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면서 트롤리의 순환에 지장이 없도록 하면서 보관과 순환을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서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물류의 합리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를 도시한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의 입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의 출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입구의 A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출구의 B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사용되는 트롤리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물류용 트롤리(50)는 물류현장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모노레일(51)에 안착 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로울러(52)를 가지는 프론트포스트(53)와 리어포스트(54)를 가진다.
상기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단에는 물류하고자 하는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55)를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거치대(55)는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구비되어 물류시스템(S)을 구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트롤리(50)를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직선형태가 아닌 횡 방향 형태로 많은 수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치(60)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장치(60)는,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트롤리(50)의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거리(L)만큼의 폭(B)을 유지한 보관레일(61)을 일정길이만큼 더 설치한다.
상기 보관레일(61)의 길이는 모노레일(51)을 순환하는 전체 트롤리(50)를 보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보관레일(61)의 입구와 출구 측에는 트롤리(50)가 직선에서 횡 방향으로 또 횡 방향 상태에서 직선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를 설치한다.
상기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 상이에는 횡 방향으로 정렬된 트롤리(50)를 이송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컨베이어(64)를 설치하여 입구에서 진입된 트롤리(50)를 출구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입구가이드(62)는 보관장치(60)까지 연결되는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는 보관레일(61)과 곡선부(66)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보관장치(60)에 설치되는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사이에는 트롤리(50)의 무게에 의하여 끝단부(65)와 선단부(68)에 각각 연접 및 이탈되어 트롤리(50)가 횡 방향으로 보관장치(60)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이소(7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모노레일(51)과 제2모노레일(67)은 단차를 가지도록 하여 트롤리(50)가 보관장치(60)로 진입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제2모노레일(67)이 모노레일(51)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단차를 너무 많이 주는 것은 급격한 이동의 원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시이소(70)는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중심위치에 물류현장의 천장에 서포터(71)를 고정하고, 상기 서포터(71)의 하단부에 개략 ∪형상의 시소브라켓(72)을 구비한다.
상기 시소브라켓(72)에는 끝단부(65)와 선단부(68) 사이의 거리만큼의 길이(L1)를 가지는 시소바(73)를 힌지(74) 고정되어 움직임이 자유롭게 구비한다.
상기 시소바(73)가 연접 및 이탈되는 끝단부(65)의 하측에는 연접시 시소바(73)와 모노레일(51)의 표면이 일치할 수 있도록 더 이상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방지판(74)을 구비한다.
물론, 상기 시소바(73)는 무게중심을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 방향으로 두어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방향으로 하강한 후에는 항상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연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소바(73)가 연접 및 이탈되는 선단부(68)의 하측에는 시소바(73)가 연접될 때 필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소바(73)와 제2모노레일(67)의 표면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강방지판(75)을 더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출구가이드(63)는 보관레일(61)의 끝단부는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와 곡선부(77)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와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는 승강바(80)에 의하여 연접 및 이탈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승강바(80)는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에 고정되는 브라켓(81)에 힌지핀(82)으로 고정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하고, 상기 브라켓(81)과 승강바(80)의 저면 사이에는 스프링(83)을 설치하여 승강바(80)를 항상 상승상태에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83)은 브라켓(81)에서 승강바(80) 방향으로 단차(84)를 가지고 돌출되는 스프링패드(85)에 구비되는 스프링돌기(86)에 결합시켜 승강바(80)가 상승하고 하강하는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이탈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출구가이드(63)와 연결되는 모노레일(51)에는 보관장치(60)에서 진입하는 트롤리(50)가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감지센서(90)를 구비하여 앞서 진입한 트롤리(50)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한 후 다음 트롤리(50)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보관장치(60)의 컨베이어(64)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센서(90)의 설치위치는 모노레일(51)의 보관장치(60)와 연결되는 선단부(76)에서 보관장치(60)와는 약간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여 이격된 거리만큼 트롤리(50)가 거리를 유지한 채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입구가이드(62)의 전측에는 트롤리(50)의 순차적인 공급을 위한 수단과 기계적인 순환을 위하여 컨베이어를 더 설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60)는,
트롤리(50)를 모노레일(51)에 길이방향으로 안착시키면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로울러(52)가 모노레일(51)을 활주하게 되고, 상기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55)에 물 류하고자 하는 물품을 거치하여 물류현장을 순환하게 된다.
상기 트롤리(50)의 순환과 공급은 인력에 의존할 수도 있으나 입구가이드(62)의 전측에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트롤리(50)를 순환시키면서 물류활동을 수행하고 트롤리(50)는 보관장치(60)를 경유하면서 순환이 이루어지고, 물류 활동을 정지하고 보관장치(60)에 트롤리(5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트롤리(50) 전체를 보관장치(60)로 진입시킨 후 순환을 정지시키면 된다.
상기 트롤리(50)가 보관장치(60)의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를 경유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트롤리(50)가 모노레일(51)을 따라 순환하다 보관장치(60)의 입구가이드(62)에 다달으면, 시이소(70)를 구성하는 시소바(73)가 시소브라켓(72)에 힌지(74) 고정된 상태에서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연접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면 트롤리(50)의 프론트포스트(53)에 장착된 로울러(52)가 시소바(73)를 활주하여 힌지(74)를 넘어서게 되면 시소바(73)는 프론트포스트(53)의 무게에 의하여 보관레일(61)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시소바(73)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방향으로 하강하면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위치의 시소바(73)는 상승한 상태에 있으므로 트롤리(50)의 리어포스트(54)에 장착된 로울러(52)는 시소바(73)를 활주하지 못하고 모노레일(51) 의 끝단부(65)와 연결된 곡선부(66)를 따라 보관레일(61)로 활주하게 된다.
상기 시소바(73)가 시소브라켓(72)에 힌지(74) 고정되어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와 연접 및 이탈될 때 프론트포스트(53)의 로울러(52)가 활주할 수 있는 것은 모노레일(51)에서 제2모노레일(67) 방향으로 낮아지는 단차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하방에는 시소바(73)가 연접시 더 이상의 하강을 방지하여 로울러(52)가 스무드하게 활주 가능하게 하강방지판(74,75)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롤리(50)의 프론트포스트(53)는 제2모노레일(67)로 진입하고 리어포스트(54)는 보관레일(61)로 진입함으로서 직선상태에서 횡 방향 상태로 전환되고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방에 연결되는 거치대(55)는 회전자유롭게 구비됨으로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관장치(60)로 진입한 트롤리(50)는 보관장치(60)에 설치되는 컨베이어(64)에 의하여 거치대(55)가 연접되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보관장치(60)의 전방으로 이동된 트롤리(50)는 출구가이드(63)를 경유하면서 다시 모노레일(51)에 직선방향으로 전환한 상태로 공급되어 순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포스트(53)의 로울러(52)가 제2모노레일(67)에 활주하고 리어포스트(54)의 로울러(52)가 보관레일(61)에 활주하면 무게중심이 모노레일(51) 방향으로 기울어진 시소바(73)는 다음 트롤리(5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연접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출구가이드(63)를 경유하면서 트롤리(50)가 모노레일(51)에 직선타입으로 공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보관장치(60)의 출구측에 위치한 트롤리(50)의 프론트포스트(53)의 로울러(52)가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와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 사이를 연결하는 승강바(80)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컨베이어(64)가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에 힌지핀(83)으로 고정되어 스프링(83)에 의하여 상승 되어 있던 승강바(80)가 하강하여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와 연접된 상태를 이룸으로서 프론트포스트(53)의 로울러(52)는 승강바(80)를 활주하여 모노레일(51)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포스트(53)가 모노레일(51)로 이동하고 나면 승강바(80)에 가하여지는 힘이 사라짐으로서 스프링(83)에 의하여 승강바(80)는 상승하게 되고, 컨베이어(64)가 해당 트롤리(50)의 리어포스트(54)를 밀어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와 보관레일(61)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곡선부(77)를 타고 이동하여 모노레일(51)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트롤리(50)가 보관장치(60)를 벗어나면서 모노레일(51)에 직선으로 활주하게 되면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방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거치대(55)는 횡 방향에서 직선방향으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관장치(60)에서 모노레일(51)로 트롤리(50)가 공급될 때에는 보관장치(60)의 전방 모노레일(51)에 설치되는 감지센서(90)에 의하여 하나의 트롤 리(50)가 완전하게 벗어난 후 컨베이어(64)가 다음 트롤리(50)를 출구가이드(63)로 진입시키게 되므로 모노레일(51)에 공급되는 트롤리(50)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체 순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물류현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노레일(51)을 순환하는 트롤리(50)를 보관장치(60)를 이용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직선배열이 아닌 횡 방향으로 배열하여 많은 수의 트롤리(5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물류현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노레일의 중도에 트롤리를 횡 방향으로 집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치를 제공하여 많은 수의 트롤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면서 트롤리의 순환에 지장이 없도록 하면서 보관과 순환을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서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물류의 합리화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Claims (5)

  1. 한쌍의 로울러(52)를 가지는 프론트포스트(53)와 리어포스트(54);
    상기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단에는 물류하고자 하는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55)를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여 구성하는 트롤리(50)를 물류현장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모노레일(51)에 안착시켜 물류작업을 수행하는 물류시스템(S)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50)를 물류시스템(S)을 구성하는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직선형태가 아닌 횡방향 형태로 많은 수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치(60)를 더 설치하고;
    상기 보관장치(60)는,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트롤리(50)의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거리(L)만큼의 폭(B)을 유지시켜 일정길이만큼 더 설치하는 보관레일(61)과;
    상기 보관레일(61)의 입구와 출구측에는 트롤리(50)가 직선에서 횡 방향으로 또 횡 방향 상태에서 직선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
    상기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 상이에 횡 방향으로 정렬된 트롤리(50)를 입구에서 진입된 트롤리(50)를 출구로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컨베이어(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가이드(62)는 보관장치(60)까지 연결되는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는 보관레일(61)과 곡선부(66)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보관장치(60)에 설치되는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사이에는 트롤리(50)의 무게에 의하여 끝단부(65)와 선단부(68)에 각각 연접 및 이탈되어 트롤리(50)가 횡 방향으로 보관장치(60)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이소(70)를 설치하고;
    상기 모노레일(51)과 제2모노레일(67)은 트롤리(50)가 보관장치(60)로 진입하기 용이하도록 단차를 두고;
    상기 시이소(70)는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물류현장의 천장에 고정되는 서포터(71)와;
    상기 서포터(7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시소브라켓(72)에 힌지(74) 고정되어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사이를 움직이는 시소바(73)와;
    상기 시소바(73)가 연접 및 이탈되는 끝단부(65)와 선단부(68)의 하측에 연접시 시소바(73)와 모노레일(51)과 제2모노레일(67)의 표면이 일치할 수 있도록 하강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하강방지판(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이드(63)는 보관레일(61)의 끝단부와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와 곡선부(77)로 연결하고;
    상기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와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는 승강바(80)에 의하여 연접 및 이탈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승강바(80)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에 고정되는 브라켓(81)에 힌지핀(82)으로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81)과 승강바(80)의 저면 사이에 설치하여 승강바(80)를 항상 상승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이드(63)와 연결되는 모노레일(51)에는 보관장치(60)에서 진입하는 트롤리(50)가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앞서 진입한 트롤리(50)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한 후 다음 트롤리(50)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컨베이어(64)를 제어할 수 있는 통상적인 감지센서(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가이드(62)의 전측에는 트롤리(50)의 순차적인 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컨베이어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KR1020060057485A 2006-06-26 2006-06-26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KR100809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485A KR100809045B1 (ko) 2006-06-26 2006-06-26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485A KR100809045B1 (ko) 2006-06-26 2006-06-26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35A true KR20080000135A (ko) 2008-01-02
KR100809045B1 KR100809045B1 (ko) 2008-03-07

Family

ID=3921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485A KR100809045B1 (ko) 2006-06-26 2006-06-26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0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0481A (zh) * 2021-02-03 2021-05-28 中国矿业大学 一种蓄电池式无人驾驶单轨吊车及其控制方法
CN112850482A (zh) * 2021-02-03 2021-05-28 中国矿业大学 一种柴油机式无人驾驶单轨吊车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280B1 (ko) 2018-08-02 2020-07-07 남희대 행거제품 물류시스템용 트롤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5435B1 (de) * 1996-11-29 2003-03-26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Fahrwerk einer Hebevorrichtung
KR200204522Y1 (ko) 2000-07-04 2000-11-15 주식회사동성산기 호이스트용 트롤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0481A (zh) * 2021-02-03 2021-05-28 中国矿业大学 一种蓄电池式无人驾驶单轨吊车及其控制方法
CN112850482A (zh) * 2021-02-03 2021-05-28 中国矿业大学 一种柴油机式无人驾驶单轨吊车及其控制方法
CN112850481B (zh) * 2021-02-03 2021-10-29 中国矿业大学 一种蓄电池式无人驾驶单轨吊车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045B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5273A (en) Conveyorized transport system
US7854202B2 (en) Overhead transport service vehicle and method
GB2258228A (en) A load transport system for automated warehousing.
JP459707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横行駆動装置
CN102341323A (zh) 储存用设备,尤其是用于该设备的仓库货架和装卸机械
KR100809045B1 (ko)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US20140003894A1 (en) Article Storag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in Article Storage System
JP5123236B2 (ja) ドア搬送装置
JP5184184B2 (ja) 上下コンベア間の荷移載装置
KR20140143098A (ko) 유지 디바이스 및 그러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가공 공중 케이블 설비, 특히 의자식 리프트 또는 곤돌라 공중 케이블
US20010051085A1 (en) High storage shelf system for hanging goods
DE602005002246D1 (de) Hängefördersystem mit motorisiertem hängebahntransporter und doppelschiene
KR102067304B1 (ko) 컨베이어를 위한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CA2309863A1 (en) Magnetically powered conveyor system and method
JP5327655B2 (ja) 搬送設備
US4756401A (en) Load transfer apparatus for power-driven overhead conveyor
US1703773A (en) Delivery apparatus
US5048426A (en) Integrated conveyor system with transfer of trollies
KR20200015069A (ko) 행거제품 물류시스템용 트롤리
US2796165A (en) Automatic garment conveyor
JP2008222137A (ja) 吊下げ搬送設備
KR101408955B1 (ko) 경량 트롤리장치
CN218023640U (zh) 挂架运输用承载轨道及轨道机构
JP2545276Y2 (ja) 自動倉庫の移載装置
JP2021197312A (ja) 誘導加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