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2345A -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전자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2345A
KR20070122345A KR1020060097441A KR20060097441A KR20070122345A KR 20070122345 A KR20070122345 A KR 20070122345A KR 1020060097441 A KR1020060097441 A KR 1020060097441A KR 20060097441 A KR20060097441 A KR 20060097441A KR 20070122345 A KR20070122345 A KR 20070122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window
touch interface
input device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6497B1 (ko
Inventor
김남우
김성운
홍선기
유병인
이권주
임일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819,13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70296694A1/en
Priority to EP07747082A priority patent/EP2033202A4/en
Priority to PCT/KR2007/003053 priority patent/WO2008002038A1/en
Priority to CN2007800235791A priority patent/CN101479824B/zh
Publication of KR20070122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5Tactile feedback electro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버튼 윈도우를 갖는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 아래 배치되고, 상기 버튼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인터페이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아래 배치되어 상기 버튼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의 입력신호에 따라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조작감 생성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버튼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Input device with display butt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디스플레이 패널 일부에 대응되게 마련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투명 다분할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투명 일체형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불투명 다분할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전기 반응 물질을 이용한 조작감 생성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전기 반응 물질을 이용한 조작감 생성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버튼 프레임 11: 버튼 윈도우
12, 15, 16: 윈도우 커버 13: 메인 디스플레이 윈도우
20: 투명 다분할 터치 인터페이스 21: 투명 터치 센서
22: 투명 일체형 터치 인터페이스 23: 불투명 다분할 터치 인터페이스
24: 불투명 터치 센서 30: 디스플레이 패널
40: 제어부 41: 중앙연산부
42: 조작감 제어부 50: 진동모터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면서도 얇은 두께와 우수한 입력감을 동시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및 상기 화상 버튼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튼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입력할 때, 버튼 입력장치는 사용자에게 해당 버튼이 온전하게 입력되었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일정한 조작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이 눌렸다가 다시 올라오는 조작감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버튼 입력장치는 대체로 돔 스위치의 탄성 돔과 같은 탄성 수단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버튼 하나 하나마다 투명한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함께 전술한 탄성 수단을 마련할 경우, 소형화가 요구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버튼 입력장치가 차지하는 두께가 지나치게 커지기 쉽다. 또한,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할 경우, 조작감이 없고 오 입력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배치된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버튼 입력장치가 차지하는 두께를 얇게하면서도, 개개의 버튼에 해당하는 영역을 구획하는 버튼 프레임을 마련하여 오 입력의 가능성을 낮추고, 아울러 조작감 생성부를 마련하여 사용자에게 버튼 입력에 따른 우수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버튼 윈도우를 갖는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 아래 배치되고, 상기 버튼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인터페이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아래 배치되어 상기 버튼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의 입력 신호에 따라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조작감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 는 장치로서, 진동모터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대부분 진동신호 생성을 위한 진동모터가 구비되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반응 물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반응 물질은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므로, 휴대용 전자장치의 여러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인터페이스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 프레임은 버튼 윈도우를 덮고 그 배면이 상기 터치 센서와 접하는 윈도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레지스터 방식의 터치 스크린과 달리 반드시 센서 표면에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것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표면을 투명하게 덮는 윈도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감 생성부가 전기 반응 물질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는 상기 윈도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윈도우 커버는 그 전체가 투명한 전기 반응 물질로 만들어지거나, 적어도 일 부분이 전기 반응 물질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는 상기 윈도우 커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한 진동을 상기 윈도우 커버에 전달하는 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는 상기 모든 버튼 윈도우에 대응되는 영역에 하나의 투명한 터치 센서를 구비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윈도우에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의 투명한 터치 센서를 구비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버튼 프레임 아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버튼 윈도우를 통해 노출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불 투명한 터치 센서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버튼 윈도우를 갖는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 아래 배치되고, 상기 버튼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인터페이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아래 배치되어 상기 버튼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의 입력 신호에 따라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조작감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그 첨부 도면을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패널 일부에 대응되게 마련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프레임(10)은 메인 디스플레이 윈도우(13)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전면 케이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버튼 윈도우(11)를 갖는다. 상기 버튼 윈도우(11)는 버튼 형태의 개구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윈도우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프레임(10) 아래에는 터치 인터페이스(20)가 배치된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20)에는 상기 버튼 윈도우(11)에 대응되는 영역에 투명한 터치 센서(21)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20)는 투명한 기판 상면에 상기 터치 센서(21) 패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20) 아래에 디스플레이 패널(30)이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에 표시된 화상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윈도우(13)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센서(21) 및 상기 버튼 윈도우(11)를 통해 투영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입력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내부에는 제어부(40)가 마련되고, 조작감 생성부의 일 예로서 진동모터(5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40)는 그 기능에 따라 중앙연산부(41)와 조작감 제어부(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연산부(41)는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20)의 터치 센서(21)로부터 버튼 입력 신호를 인가받고, 그와 동시에 조작감 제어부(42)에 명령을 전달한다. 상기 조작감 제어부(42)는 상기 중앙연산부(41)의 명령을 받아 직접적으로 조작감 생성부(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모터(5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만, 상기 제어부(40)에 대한 이와 같은 구분은 기능상의 구분에 불과하고 실제 제품에서 상기 제어부(40)는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칩셋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작감 생성부인 상기 진동모터(50)는 사용자에게 탄성 돔 방식의 버튼을 누르는 것과 비슷한 조작감을 제공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버튼 윈도우(11)의 윈도우 커버(12)에 접촉하는 순간 1차 진동을 일으키고, 접촉을 해제하는 순간에 2차 진동을 일으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 차 진동은 상기 1차 진동보다 짧게 구동될 수도 있다. 다만, 본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엑츄에이터가 상기 조작감 생성부에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엑츄에이터는 그 특성에 따라 다르게 구동될 수 있다.
도 2는 투명 다분할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도 2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과 버튼 프레임(10) 및 터치 인터페이스(20)로 구성된 부분만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30) 전체에 걸쳐서 디스플레이 버튼이 마련된다. 전면(全面)에 걸쳐 버튼 윈도우(11)가 배치된 버튼 프레임(10)은 휴대용 전자장치의 버튼 입력부 몸체, 예를 들면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부본체의 전면 케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프레임(10) 아래에 투명 다분할 터치 인터페이스(20)와 디스플레이 패널(30)이 배치된 점은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와 같다.
도 3은 투명 일체형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터치 인터페이스(22)가 투명 일체형의 터치 센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22) 상에 하나의 투명한 터치 센서가 전면(全面)에 걸쳐 마련된 경우, 제어부(도 1의 40)는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22) 상에서 접촉이 감지된 위치가 어느 버튼 윈도우(11)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 1 또는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버튼 프레임(10)은 상기 버튼 윈도우(11)를 덮고 그 배면이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22)와 접하는 각각의 윈도우 커버(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불투명 다분할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버튼 프레임(10)과 디스플레이 패널(30)에 관한 사항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불투명한 다수의 터치 센서(24)를 갖는 불투명 다분할 터치 인터페이스(23)를 구비한다. 상기 불투명 다분할 터치 인터페이스(23)는 투명할 기판에 불투명한 터치 센서(24) 영역이 배치된 것일 수 있고, 이때 상기 불투명 터치 센서(24)는 상기 버튼 프레임(10)에서 버튼 윈도우(11) 외부 영역과 포개져서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전기 반응 물질을 이용한 조작감 생성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프레임(10)은 메인 디스플레이 윈도우(13)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전면 케이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버튼 윈도우(11)를 갖는다. 상기 버튼 윈도우(11)는 버튼 형태의 개구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윈도우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프레임(10) 아래에는 터치 인터페이스(20)가 배치된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20)에는 상기 버튼 윈도우(11)에 대응되는 영역에 투명한 터치 센서(21)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20)는 투명한 기판 상면에 상기 터치 센서(21) 패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20) 아래에 디스플레이 패널(30)이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에 표시된 화상은 상기 메인 디스 플레이 윈도우(13)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센서(21) 및 상기 버튼 윈도우(11)를 통해 투영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입력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내부에는 제어부(40)가 마련되고, 조작감 생성부의 일 예로서 투명한 전기 반응 물질 소재로 형성된 윈도우 커버(15)가 마련된다. 윈도우 커버(15) 전체가 투명한 전기 반응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전기 반응 고분자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40)는 그 기능에 따라 중앙연산부(41)와 조작감 제어부(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연산부(41)는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20)의 터치 센서(21)로부터 버튼 입력 신호를 인가받고, 그와 동시에 조작감 제어부(42)에 명령을 전달한다. 상기 조작감 제어부(42)는 상기 중앙연산부(41)의 명령을 받아 전기 반응 물질 부재, 일 예로서 윈도우 커버(15)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만, 상기 제어부(40)에 대한 이와 같은 구분은 기능상의 구분에 불과하고 실제 제품에서 상기 제어부(40)는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칩셋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작감 생성부로서 전기 반응 물질로 만들어진 윈도우 커버(15)는 사용자에게 탄성 돔 방식의 버튼을 누르는 것과 비슷한 조작감을 제공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버튼 윈도우(11)의 윈도우 커버(12)에 접촉하는 순간 1차 진동을 일으키고, 접촉을 해제하는 순간에 2차 진동을 일으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진동은 상기 1차 진동보다 짧게 구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투명한 전기 반응 물질로 만들어진 윈도우 커버(15)를 구비하여, 상기 윈도우 커버(15)가 사용자의 손 끝에 직접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작감 생성부로서의 전기 반응 물질 부재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내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일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반응 물질 부재로부터 발생한 진동은 간접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가 사용자의 손에 직접 닫는 윈도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 커버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전기 반응 물질을 이용한 조작감 생성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18)는 윈도우 커버(16)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투명한 커버 부재(17)에 결합된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18)로 이루어진 윈도우 커버(16)는 투명한 커버 부재(17) 부분이 버튼 윈도우(11)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18) 부분은 버튼 프레임(10) 아래에 감춰질 수 있다.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18)는 제어부(40)로부터 신호를 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진동이 커버 부재(17)를 통해 사용자의 손끝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전기 반응 물질은 특정 물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 신호에 따라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세라믹 재료이든 고분자 재료이든 상관 없고, 앞서 언급된 몇 가지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부재로 성형 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전기 반응 물질 부재는 부피가 적으면서 투명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투명하고 종이와 같이 얇으면서, 전기 신호에 따라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기 반응 물질 부재인 소위 '투명 스피커'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전기 반응 물질 부재의 바람직한 일 례이다. 이 밖에도, 전기 반응 물질 부재의 예로는 PZT 등의 압전 세라믹이나 PVdF 등의 압전 고분자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물질들이 알려진 바 있고, 이들의 복합재료 또한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로서 활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5), 제어부(40), 및 조작감 생성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버튼(5-1, ..., 5-n, ..., 5-N 중 하나)은 표시 기능을 갖는 버튼을 의미한다. 여기서, n, 및 N은 1≤n≤N (단, N은 2이상의 정수)인 정수이다. 도 1,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윈도우 커버(12), 도 5에 도시된 윈도우 커버(15), 도 6에 도시된 윈도우 커버(16) 각각은, 디스플레이 버튼(5-1, ..., 5-n, ..., 5-N 중 하나)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5-1, ..., 5-n, ..., 5-N)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사용자는 그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5-1, ..., 5-n, ..., 5-N)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튼(5-1, ..., 5-n, ..., 5-N 중 하나 이상)을 조작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버튼5-1, ..., 5-n, ..., 5-N 중 하나)을 조작한다 함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버튼을 누르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버튼에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처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버튼(5-1, ..., 5-n, ..., 5-N 중 하나)을 조작하면, 제어부(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5-1, ..., 5-n, ..., 5-N) 중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5-1, ..., 5-n, ..., 5-N 중 하나)이 무엇인지를 인식한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그 인식된 디스플레이 버튼(5-1, ..., 5-n, ..., 5-N 중 하나)에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킬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조작감 생성부(7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조작감 생성부(70)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그 인식된 디스플레이 버튼(5-1, ..., 5-n, ..., 5-N 중 하나)에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작감 생성부(70)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반응 물질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을 인식하고, 인식된 디스플레이 버튼에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킬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들(제82~ 84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제어부(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5-1, ..., 5-n, ..., 5-N) 중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5-1, ..., 5-n, ..., 5-N 중 하나)을 인식한다(제82 단계).
제82 단계 후에, 제어부(40)는 제82 단계에서 인식된 디스플레이 버튼(5-1, ..., 5-n, ..., 5-N 중 하나)에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킬 것을 지시하는 제 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조작감 생성부(70)로 출력한다(제84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배치된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버튼 입력장치가 차지하는 두께를 얇게하면서도, 개개의 버튼에 해당하는 영역을 구획하는 버튼 프레 임을 마련하여 오 입력의 가능성을 낮추고, 아울러 조작감 생성부를 마련하여 사용자에게 버튼 입력에 따른 우수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조작감 생성부가 투명 스피터와 같이 얇고 투명한 전기 반응 물질 부재를 이용하여 구현된다면, 본 발명은 전기 반응 물질이 디스플레이 버튼과 일체화되더라도 디스플레이 버튼이 표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그러한 디스플레이 버튼을 채용한 휴대용 전자장치의 소형화도 도모한다.

Claims (26)

  1.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버튼 윈도우를 갖는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 아래 배치되고, 상기 버튼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인터페이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아래 배치되어 상기 버튼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의 입력 신호에 따라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조작감 생성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반응 물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는 투명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 프레임은 버튼 윈도우를 덮고 그 배면이 상기 터치 센서와 접하는 윈도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전기 반응 물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는 상기 윈도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전기 반응 물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는 상기 윈도우 커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한 진동을 상기 윈도우 커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는 상기 모든 버튼 윈도우에 대응되는 영역에 하나의 투명한 터치 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윈도우에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의 투명한 터치 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는 상기 버튼 프레임 아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버튼 윈도우를 통해 노출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한 터치 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11.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버튼 윈도우를 갖는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 아래 배치되고, 상기 버튼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인터페이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아래 배치되어 상기 버튼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 신호에 따라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조작감 생성부; 및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조작감 생성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반응 물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는 투명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 프레임은 버튼 윈도우를 덮고 그 배면이 상기 터치 센서와 접하는 윈도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전기 반응 물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는 상기 윈도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전기 반응 물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반응 물질 부재는 상기 윈도우 커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한 진동을 상기 윈도우 커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기 시작할 때 1차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접촉에 따른 신호가 끝날 때 2차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제어 신호를 상기 2차 제어 신호보다 긴 시간동안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제어 신호를 상기 2차 제어 신호보다 강하게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21. 복수의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버튼;
    복수의 상기 버튼 중 조작된 상기 버튼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버튼에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킬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조작감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반응 물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24.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버튼 윈도우를 갖는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 아래 배치되고, 상기 버튼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인터페이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아래 배치되어 상기 버튼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의 입력 신호에 따라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조작 감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5.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버튼 윈도우를 갖는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 아래 배치되고, 상기 버튼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인터페이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아래 배치되어 상기 버튼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 신호에 따라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조작감 생성부; 및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조작감 생성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6.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버튼 중 조작된 상기 버튼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상기 버튼에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킬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060097441A 2006-06-26 2006-10-02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전자장치 KR100846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19,133 US20070296694A1 (en) 2006-06-26 2007-06-25 Input device with display button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07747082A EP2033202A4 (en) 2006-06-26 2007-06-25 INPUT DEVICE WITH DISPLAY BUTTON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REWITH
PCT/KR2007/003053 WO2008002038A1 (en) 2006-06-26 2007-06-25 Input device with display button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2007800235791A CN101479824B (zh) 2006-06-26 2007-06-25 具有显示按钮的输入设备和包含其的便携式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634 2006-06-26
KR20060057634 2006-06-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435A Division KR100790906B1 (ko) 2006-06-26 2007-08-22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345A true KR20070122345A (ko) 2007-12-31
KR100846497B1 KR100846497B1 (ko) 2008-07-17

Family

ID=391392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441A KR100846497B1 (ko) 2006-06-26 2006-10-02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전자장치
KR1020070084435A KR100790906B1 (ko) 2006-06-26 2007-08-22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435A KR100790906B1 (ko) 2006-06-26 2007-08-22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96694A1 (ko)
EP (1) EP2033202A4 (ko)
KR (2) KR100846497B1 (ko)
CN (1) CN101479824B (ko)
WO (1) WO2008002038A1 (ko)

Cited B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41B1 (ko) * 2007-04-19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기능 키 패드용 표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
KR101507110B1 (ko) * 2013-06-28 2015-03-30 실력산업 (주) 진동모터를 갖춘 정전 용량 감지형 터치 스위치
US9058653B1 (en) 2011-06-10 2015-06-16 Flir Systems, Inc. Alignment of visible light sources based on thermal images
US9143703B2 (en) 2011-06-10 2015-09-22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calibration techniques
US9208542B2 (en) 2009-03-02 2015-12-08 Flir Systems, Inc. Pixel-wise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US9207708B2 (en) 2010-04-23 2015-12-08 Flir Systems, Inc. Abnormal clock rate detection in imaging sensor arrays
US9235023B2 (en) 2011-06-10 2016-01-12 Flir Systems, Inc. Variable lens sleeve spacer
US9235876B2 (en) 2009-03-02 2016-01-12 Flir Systems, Inc. Row and column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US9292909B2 (en) 2009-06-03 2016-03-22 Flir Systems, Inc. Selective image correction for infrared imaging devices
USD765081S1 (en) 2012-05-25 2016-08-30 Flir Systems, Inc.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ttachment with camera
US9451183B2 (en) 2009-03-02 2016-09-20 Flir Systems, Inc. Time spaced infrared image enhancement
US9473681B2 (en) 2011-06-10 2016-10-18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system housing with metalized surface
US9509924B2 (en) 2011-06-10 2016-11-29 Flir Systems, Inc. Wearable apparatus with integrated infrared imaging module
US9517679B2 (en) 2009-03-02 2016-12-13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US9521289B2 (en) 2011-06-10 2016-12-13 Flir Systems, Inc. Line based image processing and flexible memory system
US9635285B2 (en) 2009-03-02 2017-04-25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ing enhancement with fusion
US9635220B2 (en) 2012-07-16 2017-04-25 Flir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ppressing noise in images
US9674458B2 (en) 2009-06-03 2017-06-06 Flir Systems, Inc. Smart surveillance camera systems and methods
US9706139B2 (en) 2011-06-10 2017-07-11 Flir Systems, Inc. Low power and small form factor infrared imaging
US9706137B2 (en) 2011-06-10 2017-07-11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US9706138B2 (en) 2010-04-23 2017-07-11 Flir Systems, Inc. Hybrid infrared sensor array having heterogeneous infrared sensors
US9716843B2 (en) 2009-06-03 2017-07-25 Flir Systems, Inc. Measurement device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and related methods
US9723227B2 (en) 2011-06-10 2017-08-01 Flir Systems, Inc. Non-uniformity correction techniques for infrared imaging devices
US9756262B2 (en) 2009-06-03 2017-09-05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ower systems
US9756264B2 (en) 2009-03-02 2017-09-05 Flir Systems, Inc. Anomalous pixel detection
US9807319B2 (en) 2009-06-03 2017-10-31 Flir Systems, Inc. Wearable imag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811884B2 (en) 2012-07-16 2017-11-07 Flir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ppressing atmospheric turbulence in images
US9819880B2 (en) 2009-06-03 2017-11-14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of suppressing sky regions in images
US9843742B2 (en) 2009-03-02 2017-12-12 Flir Systems, Inc. Thermal image frame capture using de-aligned sensor array
US9848134B2 (en) 2010-04-23 2017-12-19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er with integrated metal layers
US9900526B2 (en) 2011-06-10 2018-02-20 Flir Systems, Inc. Techniques to compensate for calibration drifts in infrared imaging devices
US9918023B2 (en) 2010-04-23 2018-03-13 Flir Systems, Inc. Segmented focal plane array architecture
US9948872B2 (en) 2009-03-02 2018-04-17 Flir Systems, Inc. Monitor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ccupant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of structures
US9961277B2 (en) 2011-06-10 2018-05-01 Flir Systems, Inc. Infrared focal plane array heat spreaders
US9973692B2 (en) 2013-10-03 2018-05-15 Flir Systems, Inc. Situational awareness by compressed display of panoramic views
US9986175B2 (en) 2009-03-02 2018-05-29 Flir Systems, Inc. Device attachment with infrared imaging sensor
US9998697B2 (en) 2009-03-02 2018-06-12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US10051210B2 (en) 2011-06-10 2018-08-14 Flir Systems, Inc. Infrared detector array with selectable pixel binning systems and methods
US10079982B2 (en) 2011-06-10 2018-09-18 Flir Systems, Inc. Determination of an absolute radiometric value using blocked infrared sensors
US10091439B2 (en) 2009-06-03 2018-10-02 Flir Systems, Inc. Imager with array of multiple infrared imaging modules
US10169666B2 (en) 2011-06-10 2019-01-01 Flir Systems, Inc. Image-assisted remote control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0244190B2 (en) 2009-03-02 2019-03-26 Flir Systems, Inc. Compact multi-spectrum imaging with fusion
US10389953B2 (en) 2011-06-10 2019-08-20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ing device having a shutter
US10757308B2 (en) 2009-03-02 2020-08-25 Flir Systems, Inc. Techniques for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US10841508B2 (en) 2011-06-10 2020-11-17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systems and methods
US11297264B2 (en) 2014-01-05 2022-04-05 Teledyne Fur, Llc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4497B2 (en) 2006-05-18 2011-08-23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Two-pin buttons
US20090207129A1 (en) * 2008-02-15 2009-08-20 Immersion Corporation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User-Operated Switch
JP2009301144A (ja) * 2008-06-10 2009-12-24 Fujitsu Ltd 電子機器
KR101537683B1 (ko) * 2008-09-02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20100271324A1 (en) * 2009-04-22 2010-10-28 Gregory Hayes Capacitive Touch Panel Label
US20100328229A1 (en) * 2009-06-30 2010-12-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TWI594173B (zh) * 2010-03-08 2017-08-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電子系統
JP5432193B2 (ja) * 2011-01-18 2014-03-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DE102011108318A1 (de) * 2011-07-22 2013-01-24 Novomatic Ag Elektronisches Spiel- und/oder Unterhaltungsgerät
WO2013057894A1 (ja) * 2011-10-17 2013-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4082202A1 (en) * 2012-11-27 2014-06-0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9582033B2 (en) * 2012-11-28 2017-02-28 Mckes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a tablet case for touch-sensitive devices
TWI519934B (zh) * 2014-06-25 2016-02-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基座裝置及其電子系統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2352A (en) * 1992-09-18 1999-11-09 Pryor; Timothy R. Method for providing human input to a computer
US6437774B1 (en) * 1996-03-26 2002-08-20 Idec Izumi Corporation Display and input device and display and input system
CA2285313A1 (en) * 1997-03-31 1998-10-08 G & R Associates Incorporated Computer-telephony integration employing an intelligent keyboard and method for same
US5914676A (en) * 1998-01-22 1999-06-22 Sony Corporation Multi-language display keypad
US6492978B1 (en) * 1998-05-29 2002-12-10 Ncr Corporation Keyscreen
US6429846B2 (en) *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JP2000148395A (ja) 1998-11-11 2000-05-26 Keii Sho タッチパッドカバー
US6842170B1 (en) * 1999-03-17 2005-01-11 Motorola, Inc. Display with aligned optical shutter and backlight cells applicable for use with a touchscreen
US6798359B1 (en) * 2000-10-17 2004-09-28 Swedish Keys Llc Control unit with variable visual indicator
JP4243007B2 (ja) * 2000-06-09 2009-03-25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機能付多機能スイッチ装置
JP3949912B2 (ja) 2000-08-08 2007-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型電子機器、電子機器、振動発生器、振動による報知方法および報知制御方法
US6661407B2 (en) * 2001-03-19 2003-12-09 John R. Severson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rchangeable overlays
US6747578B1 (en) * 2001-04-27 2004-06-08 Palmone, Inc. Integrated removable functional faceplate for portable computer system
US6636203B1 (en) * 2001-05-17 2003-10-21 Palm, Inc. Keyboard equivalent pad overlay encasement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U2002321398A1 (en) * 2001-07-20 2003-03-03 New Transducers Limited Electronic article comprising loudspeaker and touch pad
US6825833B2 (en) * 2001-11-30 2004-1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touch on a capacitive touch screen
GB2386707B (en) * 2002-03-16 2005-11-23 Hewlett Packard Co Display and touch screen
JP2003330618A (ja) * 2002-05-16 2003-11-21 Sony Corp 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EP2254025A3 (en) * 2002-05-16 2016-03-30 Sony Corporation Input method and input apparatus
US11275405B2 (en) *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JP3937982B2 (ja) 2002-08-29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入出力装置および入出力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US20040090427A1 (en) * 2002-11-08 2004-05-13 Xerox Corporation Die-cut overlays for touch-sensitive screens
CN1320421C (zh) * 2002-12-04 2007-06-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触摸检测能力的用于设备的控制面板及其控制方法
KR20040103562A (ko) * 2003-05-29 2004-12-09 주식회사 뉴러다임 터치 스크린과 결합된 키패드
US7728819B2 (en) * 2003-11-17 2010-06-01 Sony Corpo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and input device control method
EP1697827B1 (en) * 2003-11-18 2017-01-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econfigurable user interface
US7403191B2 (en) * 2004-01-28 2008-07-22 Microsoft Corporation Tactile overlay for an imaging display
JP4190459B2 (ja) * 2004-05-24 2008-12-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US20060007169A1 (en) * 2004-06-04 2006-01-12 Robbins Michael S Self-encoding control interface bezel system
KR100731019B1 (ko) * 2005-09-13 200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이에 키입력을 하는 방법
EP1752860B1 (en) * 2005-08-12 2015-03-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providing haptic feedback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0710362B1 (ko) * 2005-08-12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070257889A1 (en) * 2006-05-05 2007-11-08 Clemens Croy Display lit soft keys that have multiple states of activation potentially associated with each soft key

Cited B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41B1 (ko) * 2007-04-19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기능 키 패드용 표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
US8259073B2 (en) 2007-04-19 2012-09-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for multi-function keypa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9843742B2 (en) 2009-03-02 2017-12-12 Flir Systems, Inc. Thermal image frame capture using de-aligned sensor array
US9948872B2 (en) 2009-03-02 2018-04-17 Flir Systems, Inc. Monitor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ccupant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of structures
US9517679B2 (en) 2009-03-02 2016-12-13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US9208542B2 (en) 2009-03-02 2015-12-08 Flir Systems, Inc. Pixel-wise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US9756264B2 (en) 2009-03-02 2017-09-05 Flir Systems, Inc. Anomalous pixel detection
US10033944B2 (en) 2009-03-02 2018-07-24 Flir Systems, Inc. Time spaced infrared image enhancement
US9235876B2 (en) 2009-03-02 2016-01-12 Flir Systems, Inc. Row and column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US10244190B2 (en) 2009-03-02 2019-03-26 Flir Systems, Inc. Compact multi-spectrum imaging with fusion
US9998697B2 (en) 2009-03-02 2018-06-12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US9451183B2 (en) 2009-03-02 2016-09-20 Flir Systems, Inc. Time spaced infrared image enhancement
US9986175B2 (en) 2009-03-02 2018-05-29 Flir Systems, Inc. Device attachment with infrared imaging sensor
US9635285B2 (en) 2009-03-02 2017-04-25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ing enhancement with fusion
US10757308B2 (en) 2009-03-02 2020-08-25 Flir Systems, Inc. Techniques for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US10091439B2 (en) 2009-06-03 2018-10-02 Flir Systems, Inc. Imager with array of multiple infrared imaging modules
US9292909B2 (en) 2009-06-03 2016-03-22 Flir Systems, Inc. Selective image correction for infrared imaging devices
US9807319B2 (en) 2009-06-03 2017-10-31 Flir Systems, Inc. Wearable imag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756262B2 (en) 2009-06-03 2017-09-05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ower systems
US9674458B2 (en) 2009-06-03 2017-06-06 Flir Systems, Inc. Smart surveillance camera systems and methods
US9843743B2 (en) 2009-06-03 2017-12-12 Flir Systems, Inc. Infan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rmal imaging
US9819880B2 (en) 2009-06-03 2017-11-14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of suppressing sky regions in images
US9716843B2 (en) 2009-06-03 2017-07-25 Flir Systems, Inc. Measurement device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and related methods
US9848134B2 (en) 2010-04-23 2017-12-19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er with integrated metal layers
US9706138B2 (en) 2010-04-23 2017-07-11 Flir Systems, Inc. Hybrid infrared sensor array having heterogeneous infrared sensors
US9207708B2 (en) 2010-04-23 2015-12-08 Flir Systems, Inc. Abnormal clock rate detection in imaging sensor arrays
US9918023B2 (en) 2010-04-23 2018-03-13 Flir Systems, Inc. Segmented focal plane array architecture
US9723227B2 (en) 2011-06-10 2017-08-01 Flir Systems, Inc. Non-uniformity correction techniques for infrared imaging devices
US9473681B2 (en) 2011-06-10 2016-10-18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system housing with metalized surface
US9716844B2 (en) 2011-06-10 2017-07-25 Flir Systems, Inc. Low power and small form factor infrared imaging
US10841508B2 (en) 2011-06-10 2020-11-17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systems and methods
US9706137B2 (en) 2011-06-10 2017-07-11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US9706139B2 (en) 2011-06-10 2017-07-11 Flir Systems, Inc. Low power and small form factor infrared imaging
US10389953B2 (en) 2011-06-10 2019-08-20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ing device having a shutter
US9538038B2 (en) 2011-06-10 2017-01-03 Flir Systems, Inc. Flexible memory systems and methods
US9900526B2 (en) 2011-06-10 2018-02-20 Flir Systems, Inc. Techniques to compensate for calibration drifts in infrared imaging devices
US9521289B2 (en) 2011-06-10 2016-12-13 Flir Systems, Inc. Line based image processing and flexible memory system
US9509924B2 (en) 2011-06-10 2016-11-29 Flir Systems, Inc. Wearable apparatus with integrated infrared imaging module
US9961277B2 (en) 2011-06-10 2018-05-01 Flir Systems, Inc. Infrared focal plane array heat spreaders
US10250822B2 (en) 2011-06-10 2019-04-02 Flir Systems, Inc. Wearable apparatus with integrated infrared imaging module
US9723228B2 (en) 2011-06-10 2017-08-01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system architectures
US9058653B1 (en) 2011-06-10 2015-06-16 Flir Systems, Inc. Alignment of visible light sources based on thermal images
US9235023B2 (en) 2011-06-10 2016-01-12 Flir Systems, Inc. Variable lens sleeve spacer
US10051210B2 (en) 2011-06-10 2018-08-14 Flir Systems, Inc. Infrared detector array with selectable pixel binning systems and methods
US10079982B2 (en) 2011-06-10 2018-09-18 Flir Systems, Inc. Determination of an absolute radiometric value using blocked infrared sensors
US9143703B2 (en) 2011-06-10 2015-09-22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calibration techniques
US10169666B2 (en) 2011-06-10 2019-01-01 Flir Systems, Inc. Image-assisted remote control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0230910B2 (en) 2011-06-10 2019-03-12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system architectures
USD765081S1 (en) 2012-05-25 2016-08-30 Flir Systems, Inc.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ttachment with camera
US9635220B2 (en) 2012-07-16 2017-04-25 Flir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ppressing noise in images
US9811884B2 (en) 2012-07-16 2017-11-07 Flir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ppressing atmospheric turbulence in images
KR101507110B1 (ko) * 2013-06-28 2015-03-30 실력산업 (주) 진동모터를 갖춘 정전 용량 감지형 터치 스위치
US9973692B2 (en) 2013-10-03 2018-05-15 Flir Systems, Inc. Situational awareness by compressed display of panoramic views
US11297264B2 (en) 2014-01-05 2022-04-05 Teledyne Fur, Llc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96694A1 (en) 2007-12-27
CN101479824B (zh) 2012-05-30
EP2033202A4 (en) 2013-03-27
CN101479824A (zh) 2009-07-08
WO2008002038A1 (en) 2008-01-03
KR100846497B1 (ko) 2008-07-17
KR20070122420A (ko) 2007-12-31
KR100790906B1 (ko) 2008-01-03
EP2033202A1 (en)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97B1 (ko)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전자장치
US10705617B2 (en)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US10088927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116567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plurality of virtual buttons on a device
CN201222239Y (zh) 手持电子装置
EP2472366B1 (en) Tactile sensation impar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actile sensation imparting device
US8310444B2 (en) Projected field haptic actuation
CN104881175B (zh) 具有动态触觉效应的多触摸装置
CA2667911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718475B2 (ja) 触感呈示装置
US10795492B2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device
KR101477717B1 (ko) 촉감 제공 장치
JP2008198205A (ja) 傾斜型タッチ制御パネル
KR20120047982A (ko)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6107140A (ja) 触覚機能付きの入出力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20320085A1 (en) Display outputting image
KR20090062190A (ko)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방법
KR20150079445A (ko) 표면 피쳐를 생성하기 위해 주름형 테셀레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682527B1 (ko) 박형 햅틱 모듈을 이용한 마우스 겸용 터치 키패드
KR100563460B1 (ko)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715394B1 (ko) 터치 윈도우 유닛을 구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