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683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683B1
KR101537683B1 KR1020080086491A KR20080086491A KR101537683B1 KR 101537683 B1 KR101537683 B1 KR 101537683B1 KR 1020080086491 A KR1020080086491 A KR 1020080086491A KR 20080086491 A KR20080086491 A KR 20080086491A KR 101537683 B1 KR101537683 B1 KR 101537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s
main display
display unit
out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544A (ko
Inventor
최성우
최현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683B1/ko
Priority to US12/497,302 priority patent/US8364208B2/en
Priority to EP09167730.2A priority patent/EP2159998B1/en
Priority to CN200910168796.0A priority patent/CN101668055B/zh
Publication of KR2010002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면서 상기 본체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은 터치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복수의 터치 입력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를 가지는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유저 인터페이스들이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배치 상태들에 위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유저 인터페이스들이 터치 입력 가능하여 복수의 터치 입력 수단에 의한 새로운 입력 방식 또는 작업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본체와,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본체는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은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면서 상기 본체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의 적어도 일 부분은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중첩되게 배치되고, 그들은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입력을 위해,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은 터치 스크린이거나 터치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은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에게서 멀어지도록 일 직선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위 근접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은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일 부분을 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의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들 중 대응하는 일 영 역들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들이 서로 접촉됨에 따라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위 인접한 또는 멀어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멀어지거나 다른 하나를 향해 이동될 때,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은 위 이동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위 인접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인 터치 스크린에서 제1 시각 정보가 출력될 때,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노출된 부분에서는 제2 시각 정보가 출력된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부에는 제1 시각 정보 또는 제2 시각 정보와 관련된 제3 시각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뿐만 아니라 메인 디스플레이부도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의해, 위 어느 하나에 출력되는 개체 또는 화면은 다른 하나로 이동되어 위 다른 하나에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서는 제1 시각 정보가 출력되고, 다른 하나에서는 제1 시각정보와 관련된 제2 시각정보가 출력되며, 또 다른 하나에서는 제1 또는 제2 시각정보와 관련된 제3 시각정보가 출력된다. 제3 시각정보는 제1 시각정보의 일 부분이 확대된 정보이거나, 저장된 정보 중 위 일 부분과 관련되어 추출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제1 작업 중에 나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제2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이 각각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과 메인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배치 관계를 사용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이 모두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위 배치 관계의 변동에 연동되어 새로운 입력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본체 또는 바디 내부에 위치 하거나(도 3 등 참조), 적어도 일부라도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과 관련된 방송 수신용 안테나(116, 도 2 참조)는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 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기의 방위, 휴대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 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 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 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다른 상태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본체 또는 바디에, 터치 입력 가능한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본체에 회전 또는 스위블 가능하게 장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 또한 복수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케이스, 케이싱,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제1 또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제2 또는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는 본체의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카메라(121)와 음향출력부(152)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21)와 음향출력부(152)는 각각 전체로서 또는 그들의 일부만이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편의상,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 카메라(121)와 음향출력부(152)를 표시한다.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위 중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투명하게 구성된다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력됨에 따라 바로 외부로 출력되는 경우와는 다른 시각적 인식이 생기도록 한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은 서로 '인접한 상태'(도 2 참조)를 이루거나, 서로에게서 '멀어진 상태'(도 4 참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멀이진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는 최대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 인접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를 덮게 되나,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전 영역이 그들에 의해 덮여지지는 않는다. 이는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 각각의 마주하는 모서리들 중 일 영역들에서 돌출하는 돌출부들(135a 및 136a)이 서로 접촉되어 상기 인접한 상태가 형성될 때, 돌출부들(135a 및 136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들 사이 영역에 대응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부분이 노출되기 때문이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의 인접한 모서리들에서 돌출부들(135a 및 136a)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키(131)가 사용자 입력부(130)의 하나로서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을 보완하기 위하여, 키(131)는 누름 방식(돔 스위치를 채용하는 형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키(131)는 종료, 확인 등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 중 어느 하나가 복수의 터치 입력 모드들(예를 들어, 한글/영어/숫자 등이 각각 입력 가능한 형태)을 가지는 경우에, 키(131)는 하나의 터치 입력 모드를 다른 터치 입력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키(131)가 이루는 면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나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이루는 면들과는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그에 의하여, 키(131)가 이루는 면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와 제1 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5 또는 136)를 완만하게 연결하게 된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은 터치 입력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터치 입력만을 받기 위한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터치 입력 모드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 중 적어도 하나는 적층된 복수의 터치 패드들(136b)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은 터치 입력 가능함과 아울러 시각 정보의 출력도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와 관련된 것이거나, 그와는 독립적인 것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을 통해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는, 그들 각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돌출부들(135a 및 136a)이 형성되지 않아서,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일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를 완전히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 및 인터페이스(17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들을 제어하는 회로기판(들)이 본체 내에 배치된다. 이 회로기판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 등을 제어하기에 제어부(180, 도 1 참조)로도 칭해질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배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인접한 상태에서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를 이동시킨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는 휴대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된 영역에는 현재 시각, 요일, 배터리 잔량 등이 간단하게 표시될 수 있다(도 2 참조).
본 도면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가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확대된 노출 영역에는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소프트키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동은 센싱부(140, 도 1 참조)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180)에 입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위와 같은 상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는 소프트키들에 표시된 정보를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이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된 영역 중 돌출부들(135a 및 136a)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소프트키들을 스크롤하기 위한 스크롤바(scroll bar, 151a)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는 소프트키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표시되는 출력창이 표시된다.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의 돌출부들(135a)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소프트키들을 다른 종류(예를 들어, 알파벳, 숫자 등)로 변경하기 위한 변환키가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위 변경은 사용자 입력부(131, 도 2 참조)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 소프트키들 및 변환키 등에 대한 조작에 의해,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 표시되는 내용은 편집되어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인접한 상태에서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가 이동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와 달리,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의 이동에 의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확대된 노출 영역에는 게임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되는 게임 화면 속의 개체의 조정을 위하여,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는 터치 입력 가능한 기능키들이 출력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 중 어느 하나가 인접한 상태에서 이동됨을 신호로 읽어서 설정된 모드가 실행되게 한다. 이는 여러 단계의 메뉴 선택 과정을 피한 채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모드에 바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달리,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멀어진 상태( 도 4 참조)에서 그들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를 향해 슬라이딩시키느냐에 따라 특정한 모드가 실행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접한 상태의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을 서로에게서 멀어지게 이동시킨 후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만을 원위치로 복귀시켜서, 사진 촬영 모드가 실행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대상체에 대한 프리뷰(preview) 화면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확대된 노출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키들은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 표시될 수 있다.
위에서는 문자 모드, 게임 모드, 사진 촬영 모드를 예로 들었으나, 설정에 따라서는 다른 모드들, 예를 들어 음악 재생 모드, 인터넷 접속 모드 등이 위 제1 및/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또는 136)의 이동과 관련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4개의 작동 모드에 대한 실행이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51) 사이의 상대적인 배치 및 이동 관계에 따라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 및 도 9는 영화 감상 중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를 이동시킨 경우의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인접한 상태에서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 영화 등과 같은 동영상(제1 시각 정보)이 출력된다. 이 경우, 영화에 대한 자막(제2 시각정보)은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가 아닌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된 부분에 출력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된 부분을 통한 자막의 표시가 사이즈면에서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 사용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를 터치 조작할 수 있 다. 상기 조작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자막은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조작은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 대한 롱-터치나, 소용돌이 형태의 드래그 동작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된 부분에 대한 터치 후에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 측으로 드래그를 함에 따라 위 자막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와 같이,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가 이동된 경우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확대된 노출 영역에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외에 다른 동영상(들)에 대한 리스트(제3 시각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자막과는 무관한 것이라 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 출력되는 제1 시각정보가 대체될 수 있는 것이기에, 제1 시각정보와는 관련이 있는 시각정보이다.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리스트들 중 어느 하나의 동영상을 터치하여 그가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위 어느 하나의 동영상의 선택을 위하여, 사용자는 스크롤바(151a)를 이용하여 메모리(160)나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에 저장된 추가적인 동영상 등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11은 사진 보기 중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를 이동시킨 경우에 대한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0과 같이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인접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사진(제1 시각정보)을 감상할 수 있다. 이때, 문자 메세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된 영역에 메세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내용 및/또는 아이콘(제2 시각정보)이 표시된다.
이 상황에서,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가 이동되면,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서의 사진 보기 화면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확대된 노출 영역에 수신된 문자 메세지의 내용(제3 시각정보)이 출력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스크롤바(151a, 도 9 참조)가 출력된다면, 그를 조작하여 메세지의 내용을 스크롤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위 제3 시각정보는 제1 시각정보와는 무관하나, 제2 시각정보를 통해 알리고자하는 구체적인 내용이라는 점에서 제2 시각정보와 관련된 정보라 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이 멀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개체(O)들, 예를 들어 아이콘, 파일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개체(O)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 중 어느 하나를 향해 드래그하는 등의 터치 조작을 하게 되면, 조작된 개체(O)는 상기 어느 하나로 이동되어 출력된다. 이와 달리, 개체(O)를 감싸는 원을 한번 이상 그린 후에 이동되길 원하는 다른 스크린, 예를 들어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의 일 부분에 원을 한번 이상 그리면 위 원이 그 려진 위치로 상기 개체(O)가 이동되는 방식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 중 어느 하나에 출력되는 개체 역시 그들 중 다른 하나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로 이동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개체(O)의 이동에 의해, 일 공간에 저장된 복수의 개체(O)들이 적어도 3 그룹으로 나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체 사진 파일들이 표시된다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일 그룹의 사진들은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른 그룹의 사진들을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로 이동시키고, 또 다른 그룹의 사진들은 그대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남겨둘 수 있다. 그 결과로, 3 그룹으로 사진들을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들, 예를 들어 돌출부들(135a 및 136a) 또는 그들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는 그들(135,136,151)에 분류된 개체(O)들의 처리에 관한 메뉴, 예를 들어 저장, 삭제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위 개체(O)의 이동 명령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기 위한 이동 영역(151b)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되어 드래그된 개체(O)가 이동 영역(151b) 내에 드롭(drop)되면, 상기 개체(O)가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 중 하나로 이동되어야 할 개체로 취급되는 방식이다.
이동 영역(151b)은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에 각각 대응하여 그들 각각과 인접한 부분, 예를 들어 그들(135 및 136)의 인접한 모서리들의 돌출부들(135a 및 136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들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동 영역(151b) 내에는 드롭된 개체(O)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화살표가 추가로 표시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어느 하나의 화면에서 다른 하나의 화면으로 개체(O)가 이동되는 중에, 위 이동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 개체가 위 어느 하나의 화면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는 개체들 사이의 교환의 의미를 갖게 된다.
도 13 및 14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되는 화면을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그의 크기에 따라 대략 3 ~ 4 그룹의 메뉴(M)들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각 메뉴 그룹에는 구체적인 서브 메뉴들까지 표시된다.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 조작하게 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 전체가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어 출력된다. 위 터치 조작은 메뉴(M)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터치와 그 이후의 드래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M)를 터치해서 드래그한 경우라면, 앞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선택된 개체로서의 특정 메뉴(M)만이 이동될 수 있다.
메뉴(M)들을 표시하는 화면의 이동에 의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른 메뉴(M')들이 표시된다. 다른 메뉴(M')들을 표시하는 화면이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로 이동된 경우라면, 또 다른 메뉴드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첫 번째 메뉴(M)들에 속하는 서브 메뉴는 메뉴 선택 화면에서 바로 실행이 가능해지고, 서브 메뉴가 두 번째 메뉴(M')에 속하더라도 한 번의 화면 이동 조작 이후에 실행이 가능해진다. 주로 사용하는 기능들(서브 메뉴)이 첫 번째 메뉴(M)들에 포함된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구체적인 메뉴에 대한 빠른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은 선택된 개체의 이동 및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화상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는 사용자 자신의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위 이미지는 카메라(121, 도 2 참조)를 통해 획득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정된 이미지일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상대방의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대방의 이미지는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가 될 것이다.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는 사용자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아이콘(이모티콘)이 출력될 수 있다. 위 이모티콘(E)은 메모리(160)에 저장된 것들로서, 예를 들어, 사랑, 기쁨, 슬픔, 즐거움 등에 관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모티콘(E)을 터치하여 상대방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동된 이모티콘(E)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사이즈에 맞게 확대된 채로 상대방의 이미지에 오버랩(overlay)된 채로 표시된다. 또한, 위 이동된 이모티콘(E)은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그 결과로, 사용자는 물론 상대방 도 상대방의 이미지에 오버랩된 이모티콘을 보면서 말에 의하지 않고도 감정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사용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개체를 그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트 모양이나, 별 모양 등을 그릴 수 있고, 이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은 3개의 화면을 이용하여 정보들을 3 단계로 표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제1 시각 정보로서 몇 개의 메뉴(M)들이 표시될 수 있다. 위 메뉴(M)에 관련한 구체적인 서브 메뉴들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지 않는다.
위 서브 메뉴들은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 표시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M)들 중에서 두 번째 항목인 '화면 설정'에 관한 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는 그에 관련된 '그림 화면, 시계 화면' 등과 같은 서브 메뉴들인 제2 시각정보가 출력된다. 제2 시각 정보 중에 '그림 화면'을 선택하게 되면,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는 그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서브 메뉴인 복수의 화면 배경용 그림들인 제3 시각정보가 출력된다.
이상의 작동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시각정보에 대한 선택 후에 왼손으로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 출력되는 제2 시각정보를 선택하면서 오른손으로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 출력되는 제3 시각정보 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복수의 계층 구조를 가지는 메뉴들을 한 눈으로 파악하면서 원하는 메뉴를 보다 빨리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양한 메뉴들을 보다 빠르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8 및 19는 3개의 화면을 이용하여 정보들을 3 단계로 표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문자를 보내기 위한 화면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입력은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 표시되는 소프트키들에 대한 터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의 돌출부(135a)에는 출력되는 소프트키들을 다른 키들(예를 들어, 알파벳 입력을 위한 키들, 숫자 입력을 위한 키들 등)로 교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변환키가 출력될 수 있다.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문자 메세지의 일 부분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지막으로 입력된 어구, 예를 들어 '종로에서'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크기보다 큰 크기로서 출력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현재 입력되는 어구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여, 오류가 있는 경우에 그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8에서와 같이 문자를 보내는 상황에서,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서 마지막에 출력되는 단어 등이 포함된 여러 문장들이 출력될 수 있다. 위 문장들은 메모리(160)에 특정한 단어나 어구 등과 관련하여 저장된 것이며, 해당 휴대 단말기(100)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장들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저장된 문장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문장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내용에 추가된다. 이는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내용이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완성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 출력된 문장이 자신의 의도와 맞지 않거나 잘 사용되지 않는 것이라면, 이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문장을 메모리(160)로부터 삭제하거나, 특정 문장을 롱 터치한 후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 표시되는 소프트키들을 이용하여 내용 중 일부를 변경할 수도 있다. 위 삭제나 저장 등의 명령은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의 돌출부들(136a)에 표시되는 메뉴키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은 글을 읽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10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글이 출력된다. 출력된 글들 중에서 사용자는 한 단어나 어구 등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반언'이라는 단어를 감싸는 원을 메인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그리게 되면, 그 단어 주변에는 그를 감싸는 점선이 표시되거나 그 단어가 주변과는 다른 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위 특정된 단어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의 상부에 표시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그에 관한 메모나 코멘트를 기록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제1 유저 인 터페이스(135)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 표시되는 내용을 편집하기 위한 소프트키들(예를 들어, 한글 자음 및 모음)이 표시될 것이다. 위 소프트키들을 이용하여, 특정된 단어 '금반언'에 대해서는 '시험 출제 가능성 높음' 또는 '특허법 12 페이지 참조' 등과 같이, 기록을 남길 수 있게 된다.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서 편집된 내용은 위 글과 함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다. 다시 편집된 글을 출력하게 되면, 위 특정 단어에 식별 가능한 표시가 되어 있기에, 사용자는 전에 기록한 내용을 시간이 지난 후에도 다시 살펴볼 수 있게 된다.
도 21은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 중에 문자 메세지 작성 중인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영상 통화 중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는 두 개의 화면으로 분할될 수 있다. 큰 화면에는 상대방의 이미지가 출력되고, 작은 화면에는 사용자의 이미지가 출력된다.
위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제1 작업(화상 통화)이 진행되는 중에도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을 이용하여 다른 제2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제2 작업으로서, 본 도면에서는 문자 보내기 작업이 예시되어 있다. 화상 통화 중에 또 다른 상대방으로부터 문자를 수신한 경우에, 그에 관한 답장을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 편집되는 문자 내용이 출력된다면,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를 이용 해서는 상기 내용을 편집하기 위한 소프트키들을 출력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대방과의 화상통화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또 다른 상대방과의 문자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역시 위 화상통화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22는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타임머신 기능 및 그와 관련한 메일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축구 경기가 출력될 수 있다. 경기의 스코어는 돌출부들(135a 및 136a) 사이의 영역에 표시되는 것이 나머지 영역에서 온전하게 사각 형태의 경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휴대 단말기(100)는 타임머신 기능{재생되는 동영상 등이 순차로 녹화되어 메모리부(160)에 저장됨에 따라 선택된 특정 시간대의 내용을 다시 볼 수 있게 하는 기능으로서, 구체적인 작동 방식은 본 출원인의 다수의 선행특허를 통해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을 구현한다.
축구 경기 중에 골 장면이 출력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타임머신 기능을 이용하여 위 골 장면을 다시 재생(replay)하고자 할 수 있다. 다시 재생을 위한 명령은 사용자 입력부(132, 도 2 참조) 등에 대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 중 하나를 다른 하나를 향해 슬라이딩 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에 따라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가 이동된 경우에는 골 장면은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서 출력되고,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가 이동된 경우에는 본 도면과 같이 제2 유저 인터 페이스(136)에 골 장면이 출력된다. 돌출부들(136a)에는 골 장면을 반복 재생하기 위한 키버튼이 출력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 중 하나의 이동에 의해 타임머신 기능이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키(예를 들어, 132)를 찾지 않고 직관적으로 위 기능 구현을 위한 조작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에 골 장면이 재생될 때,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에서는 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는 두 개의 화면으로 나뉘어, 상부에는 편집되는 내용이 표시되고 하부에는 위 내용 편집을 위한 소프트키들이 출력될 수 있다. 위 메일에는 녹화된 골 장면이 파일로서 첨부된다. 사용자는 소프트키들을 이용하여 골 장면을 보라는 내용의 간단한 메세지를 작성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다.
도 23은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2인이 함께 게임을 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볼이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형태가 출력된다. 화면의 가장 자리,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에 각각 인접한 부분에는 막대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막대는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의 마주하는 모서리들 중 돌출부들(135a 및 136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막대에 부딪힌 공은 그 반발력에 의해 튕겨 나가게 된다. 막대는 휴대 단말기(10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게임 점수는 돌출부들(135a 및 136a) 사이의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막대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135 및 136)에는 각각 터치 입력 가능한 조작키들이 출력된다. 이 경우, 한 사람은 제1 유저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그에 인접한 막대를 조작하고, 다른 사람은 제2 유저 인터페이스(136)를 통해 그에 인접한 막대를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2인이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이 다른 상태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인접한 상태에서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킨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7은 인접한 상태에서 제2 유저 인터페이스가 이동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8 및 도 9는 영화 감상 중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킨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 및 11은 사진 보기 중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킨 경우에 대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2는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이 멀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 및 14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출력되는 화면을 제1 유저 인터페이스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5 및 도 16은 선택된 개체의 이동 및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7은 3개의 화면을 이용하여 정보들을 3 단계로 표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8 및 19는 3개의 화면을 이용하여 정보들을 3 단계로 표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20은 글을 읽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1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 중에 문자 메세지 작성 중인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22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타임머신 기능 및 그와 관련한 메일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3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2인이 함께 게임을 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Claims (28)

  1.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은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서로에게서 멀어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이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덮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이 서로에게서 멀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상기 터치 입력부가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서 동시에 시각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와 관련된 것이거나, 그와는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은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에게서 멀어지도록 일 직선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은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들 중 대응하는 일 영역들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들이 서로 접촉됨에 따라 상기 근접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하는 모서리들 중 상기 돌출부들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키(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과 관련한 신호를 입력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때,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은 상기 이동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은 상기 이동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인 터치 스크린에서 제1 시각 정보가 출력될 때,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노출된 부분에서는 제2 시각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은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 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에 출력되는 개체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화면은 다른 하나로 이동되어 상기 다른 하나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서는 제1 시각 정보가 출력되고, 다른 하나에서는 상기 제1 시각정보와 관련된 제2 시각정보가 출력되며, 또 다른 하나에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 시각정보와 관련된 제3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동영상이 출력되는 중에 상기 제1 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또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향해 슬라이디딩 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슬라이딩되면, 상기 동영상 중 일정 시간 동안 재생된 내용이 상 기 제1 또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6. 삭제
  27. 삭제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의 마주하는 모서리들 중 일부 영역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들에 표시되는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키(들)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86491A 2008-09-02 2008-09-02 휴대 단말기 KR101537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491A KR101537683B1 (ko) 2008-09-02 2008-09-02 휴대 단말기
US12/497,302 US8364208B2 (en) 2008-09-02 2009-07-02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ensitive user interfaces
EP09167730.2A EP2159998B1 (en) 2008-09-02 2009-08-12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ensitive user interfaces
CN200910168796.0A CN101668055B (zh) 2008-09-02 2009-09-02 具有触敏用户界面的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491A KR101537683B1 (ko) 2008-09-02 2008-09-02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544A KR20100027544A (ko) 2010-03-11
KR101537683B1 true KR101537683B1 (ko) 2015-07-20

Family

ID=4120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491A KR101537683B1 (ko) 2008-09-02 2008-09-02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64208B2 (ko)
EP (1) EP2159998B1 (ko)
KR (1) KR101537683B1 (ko)
CN (1) CN1016680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2190B2 (en) * 2010-10-01 2015-07-28 Z124 Smartpad split screen
US8121640B2 (en) * 2009-03-19 2012-02-21 Microsoft Corporation Dual module portable devices
US8391935B2 (en) * 2009-03-23 2013-03-05 T-Mobile Usa, Inc. Multifunction mobile device having a movable element, such as a display, and associated functions
CN101995989A (zh) * 2009-08-20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屏显示装置
KR101591524B1 (ko) * 2009-08-25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US8359541B1 (en) * 2009-09-18 2013-01-2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istributing icons so that they do not overlap certain screen areas of a mobile device
US9223350B2 (en) * 2010-02-12 2015-12-29 Kyocera Corporation Slidable display portable mobile device
JP5565861B2 (ja) * 2010-06-28 2014-08-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20120034953A1 (en) * 2010-08-06 2012-02-09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handset having combined multiple displays
US20130009915A1 (en) * 2011-07-08 2013-01-10 Nokia Corporation Controlling responsiveness to user inputs on a touch-sensitive display
JP6082458B2 (ja) * 2012-05-09 2017-02-1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内で実行される動作の触知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D748082S1 (en) * 2013-06-14 2016-01-26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47302S1 (en) * 2013-06-14 2016-01-12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102104363B1 (ko) * 2013-09-27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69379A (ko) * 2013-12-13 2015-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11092B1 (ko) * 2014-03-13 2021-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스,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5022575B (zh) * 2014-04-23 2018-01-0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EP2960750B1 (en) 2014-06-27 2019-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2264444B1 (ko) * 2014-09-04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11797172B2 (en) * 2015-03-06 2023-10-24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through overlays
KR102510395B1 (ko) * 2015-12-01 2023-03-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시스템
KR102525484B1 (ko) 2016-01-06 202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8502B1 (ko) * 2016-04-20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와 상기 커버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101319B (zh) * 2016-07-27 2019-10-2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终端及其显示控制方法
KR20180067855A (ko) * 2016-12-13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418467B2 (en) * 2017-09-12 2022-08-16 Get Together, Inc. Method for delivery of an encoded EMS profile to a user device
US11614715B2 (en) 2020-03-11 2023-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ally orbiting user-worn device
US11586154B2 (en) * 2020-03-11 2023-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worn device with extendable displ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345A (ko) * 2004-02-25 2005-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힌지 장치
KR20070030566A (ko) * 2005-09-13 200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338B1 (en) * 1999-09-30 2002-07-23 Gateway, Inc. Speed zone touchpad
GB2357220B (en) * 1999-12-10 2003-11-05 Nokia Mobile Phones Ltd A user interface
US6822635B2 (en) * 2000-01-19 2004-11-2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interface for laptop computers and other portable devices
US7692667B2 (en) * 2001-08-17 2010-04-06 Palm, Inc. Handheld computer having moveable segments that are interactive with an integrated display
TW560783U (en) * 2002-06-24 2003-11-01 Benq Corp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40091272A (ko) * 2003-04-21 2004-10-28 홍충식 더블 폴더 휴대폰
US7057607B2 (en) * 2003-06-30 2006-06-06 Motorola, Inc. Application-independent text entry for touch-sensitive display
US20050187024A1 (en) 2004-02-25 2005-08-25 Bong-Hee Cho Portable swing-type communication device for games and hinge apparatus thereof
US7616974B2 (en) * 2004-08-13 2009-11-10 Nokia Corporation Keypad with pivotable sections
US20060139328A1 (en) * 2004-12-29 2006-06-29 Nina Maki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a method therefor
US20070026371A1 (en) * 2005-08-01 2007-02-01 Beryl Wood Personal electronic text library system patent
KR100640808B1 (ko) * 2005-08-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상 이미지의 듀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EP1758345B1 (en) * 2005-08-26 2016-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KR20070034767A (ko) * 2005-09-26 200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표시영역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간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100732115B1 (ko) 2005-10-01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E202006005761U1 (de) * 2006-04-06 2006-07-06 Brunnbauer, Gerhard Faltcomputer
KR100846497B1 (ko) * 2006-06-26 2008-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전자장치
FI124480B (fi) 2006-07-19 2014-09-15 Mendor Oy Laitekotelointi
US7886979B2 (en) * 2006-09-19 2011-02-15 Microscan Systems, Inc. Methods for illuminating barcodes
US20080105749A1 (en) * 2006-09-19 2008-05-08 Ming Lei Methods for automatically imaging barcodes
US20080105745A1 (en) * 2006-09-19 2008-05-08 Ming Lei Devices and/or systems for illuminating barcodes
US7857224B2 (en) * 2006-09-19 2010-12-28 Microscan Systems, Inc. Devices and/or systems for automatically imaging barcodes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0831721B1 (ko) * 2006-12-29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O2008081710A1 (ja) * 2007-01-04 2008-07-10 Nissha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機能を有する保護パネル
US20080167081A1 (en) * 2007-01-10 2008-07-10 Eng U P Peter Keyless touch-screen cellular telephone
DE102007050177B4 (de) * 2007-06-12 2012-04-12 Lg Electronics Inc. Eingabe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ausgestattetes mobiles Endgerät sowie Benutzerschnittstelle desselben
KR101373333B1 (ko) * 2007-07-11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인식을 통한 영상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그 촬영방법
KR101453909B1 (ko) * 2007-07-30 201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90049392A1 (en) * 2007-08-17 2009-02-19 Nokia Corporation Visual navigation
US7956848B2 (en) * 2007-09-04 2011-06-07 Apple Inc. Video chapter access and license renewal
KR101413473B1 (ko) * 2007-11-20 201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방법
US9656450B2 (en) * 2008-01-02 2017-05-23 Tpk Touch Solutions, Inc. Apparatus for laminating substrates
US20090247112A1 (en) * 2008-03-28 2009-10-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vent disposition control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159399B2 (en) * 2008-06-03 2012-04-17 Apple Inc. Antenna diversity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345A (ko) * 2004-02-25 2005-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힌지 장치
KR20070030566A (ko) * 2005-09-13 200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8055B (zh) 2015-10-07
KR20100027544A (ko) 2010-03-11
EP2159998B1 (en) 2016-11-09
EP2159998A1 (en) 2010-03-03
CN101668055A (zh) 2010-03-10
US8364208B2 (en) 2013-01-29
US20100056222A1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683B1 (ko) 휴대 단말기
KR1018734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9229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KR1019900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174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5418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10157172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374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0014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64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음악재생 제어방법
KR10197816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제어방법
KR1015922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10155977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87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42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8865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컨텐츠 편집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078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6047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8650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19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9774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96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74463B1 (ko) 이동단말기의 리스트 표시방법
KR201001152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400611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