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345A -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345A
KR20050086345A KR1020040052995A KR20040052995A KR20050086345A KR 20050086345 A KR20050086345 A KR 20050086345A KR 1020040052995 A KR1020040052995 A KR 1020040052995A KR 20040052995 A KR20040052995 A KR 20040052995A KR 20050086345 A KR20050086345 A KR 20050086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using
swing
display device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1089B1 (ko
Inventor
조봉희
이성영
김태윤
배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960,03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50187024A1/en
Priority to CNB2004101000895A priority patent/CN100373971C/zh
Priority to EP05003072A priority patent/EP1569420A2/en
Publication of KR2005008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1Including a rotatable keypad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Abstract

본 발명에는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는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일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1키 스윙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2키 스윙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1, 제2키 스윙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폰 모드, 문자 전송 모드, 게임 모드 시 등의 다양한 모드 시에 키 누름 조작이 편리하고, 적절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힌지 장치{SW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GAME AND HINGE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디지털 통신 장치, 게임용 휴대 장치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게임을 하는데 편리한 스윙 타입 휴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 통신 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능에 따라서 게임 기능을 가지는 통신 장치,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통신 장치, 문자 전송을 위한 통신 장치, 티브이 기능을 가지는 통신 장치, 사용자의 건강을 체크해 줄 수 있는 위한 통신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원하는 게임을 다운받아서 언제 어디서나 휴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게임을 즐기는 추세에 있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게임 기능을 가지는 휴대 통신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종래의 게임 기능을 가지는 휴대 통신 장치는 폰 모드일 경우에는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게임 모드 시에는 키 누름 동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게임 시에는 키 누름의 정확성, 신속성 및 편리성이 추구되어져야 하나, 종래에는 키 누름의 정확성, 신속성 및 편리성을 충족시키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기술적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 모드와 폰 모드일 경우, 선택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임 시에 키 누름 조작이 편리한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임 시에 양 손을 이용한 키 누름 조작이 편리한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드 전환에 따라서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개방이 각각 구분된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일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1키 스윙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2키 스윙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의 일측단과 이웃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단과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일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1키 스윙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상기 제1키 스윙 하우징과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단과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2키 스윙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부 영역을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윙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과 스윙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힌지 베이스; 및
상기 스윙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그의 일단이 상기 힌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는 폰 모드, 게임 모드, 문자 전송 모드 시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장치며, 특히, 폰 모드, 게임 모드, 문자 전송 모드 시에 키 누름 조작이 편리하고, 최적 사이즈의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는 휴대 장치임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10)과,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제1힌지 축(A1)(hinge axis)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제1영역(114)을 개폐하는 제1키 스윙 하우징(20)(key swing housing)과,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제2힌지 축(A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제2영역(110)을 개폐하는 제2키 스윙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측면 소정 위치에 카메라 렌즈 모듈(4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2키 스윙 하우징(20,30)은 상기 제1,2힌지 축(A1,A2)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여 서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면(10a)(top surface)에서 슬라이딩한다. 또한, 상기 제1,2키 스윙 하우징(20,30)의 각각의 회전량은 90도 이하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 장치(110,112,114)(display unit)의 주변들에는 즉, 그의 일측단(111)(one side end), 상측단(115)(upper side end), 하측단(117)(lower side end)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연속적으로 스피커용 개구들(116)(openings)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피커용 개구들(116)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10a)에서 상기 표시 장치(110,112,114)와, 상기 제1,2힌지 축(A1,A2) 부분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 걸쳐서 분포된다. 상기 스피커용 개구들(116)은 서로 직경 크기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고, 서로 상이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단(113)과 이웃하게(neighboring) 상기 제1,2힌지 축(A1,A2)이 위치하고, 상기 표시 장치의 일측단(111)과 이웃하게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0)이 위치한다.
상기 제1,2키 스윙 하우징(20,30)은 서로 대칭으로 마주보게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10a)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2키 스윙 하우징(20,30)의 회전 유무에 상관없이 항시 노출되는 중앙 영역(112)과, 상기 제1키 스윙 하우징(20)의 회전 유무에 의해 개폐되는 제1영역(114)과, 상기 제2키 스윙 하우징(30)의 회전 유무에 의해 개폐되는 제2영역(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 장치(110,112,114)는 액정 표시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정보 입력용 표시 장치 또는 정보 출력용 표시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나 2차원 또는 3차원의 홀로그램 스크린(holographic screen)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1,2영역(110,114)은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모드 전환에 따라서 노출된다.
폰 모드일 경우, 상기 중앙 영역(112)에는 항시 사용자가 확인해야 하는 정보들, 예를 들어 안테나 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아이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 메시진 도차여부를 통보해주는 아이콘, 날짜, 시간, 요일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사용 상태의 휴대 장치가 도 1, 도 2에 도시되었다.
문자 전송 모드일 경우, 상기 중앙 영역(112)과 상기 제2영역(110)에는 입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사용 상태의 휴대 장치가 도 5에 도시되었다.
게임 모드일 경우, 상기 중앙 영역(112)과, 상기 제1,2영역(110,114)에는 게임을 위한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사용 상태의 휴대 장치가 도 3, 도 4에 도시되었다.
상기 제1키 스윙 하우징(20)은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중앙 영역(112)을 항시 노출시키기 위한 제1개구(206)와, 상기 제1개구(206)와 이웃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돌출부들(202,204)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돌출부들(202,204)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키 스윙 하우징(20)은 그의 상면(20a)에 다수 개의 키들이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210)가 배열된다. 상기 제1키 어레이(210)는 숫자키, 문자키, 기능키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키 스윙 하우징의 측면(20b) 소정 위치에는 마이크 장치(212)가 배치된다.
상기 제2키 스윙 하우징(30)은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중앙 영역(112)을 항시 노출시키기 위한 제2개구(306)와, 상기 제2개구(306)와 이웃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돌출부들(302,304)을 포함한다. 상기 제2돌출부들(302,304)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키 스윙 하우징(30)은 그의 상면(30a)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 어레이(310)가 배열된다. 상기 제2키 어레이(310)는 통화키, 메뉴키, 확인키 등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돌출부들(202,204,302,304)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들(202,204)은 그의 단들(202a,204a)이 곡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들(302,304)은 그의 단들(302a,304a)이 곡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돌출부들의 단들(202a,204a,302a,304a)을 곡형으로 구성하여서 상호간의 회전 동작 시에 발생하는 간섭을 미연에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1,2키 스윙 하우징(20,30)이 서로 마주보는 경우, 상기 제1,2개구(206,306)는 연통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중앙 영역(112)을 항시 개방시킨다.
상기 제1,2힌지 축(A1,A2)은 서로 이격되며(spaced), 서로 평행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힌지 축(A1)은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중앙 영역(112)과 이웃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힌지 축(A2)은 상기 표시 장치의 중앙 영역(112)과 이웃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2힌지 축(A1,A2)은 서로 이웃한다. 특히, 상기 제1,2힌지 축(A1,A2)은 상기 표시 장치를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0)의 반대편에 대치한다.
또한, 상기 제1,2힌지 축(A1,A2)은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단(113)의 중간 부분에 근접하게 각각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제1힌지 축(A1)은 상기 제1돌출부들의 하나(202)를 관통하고, 상기 제2힌지 축(A2)은 상기 제2돌출부들의 하나(302)를 관통한다. 또한, 상기 제1,2힌지 축(A1,A2)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10a)에서 수직방향으로 각각 향한다.
또한, 상기 제1,2힌지 축(A1,A2)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0)의 힌지축과 각각 수직 방향으로 향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는 폰 모드일 경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도 3, 도 4는 게임 모드일 경우, 상기 제1,2키 스윙 하우징(20,30)을 상기 제1,2힌지 축(A1,A2)을 중심으로 완전히 회전시켜서 양 손을 이용한 키 누룸 조작이 편리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문자 전송 모드일 경우, 상기 제2키 하우징(30)을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1힌지 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키 누름 조작이 편리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6과 도 7은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을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400)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상기 힌지 장치(400)에 의해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이 본체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장치(400)는 힌지 베이스(401), 힌지 하우징(402) 및 지지 샤프트(403)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401) 내에는 힌지 캠(404), 힌지 샤프트(405) 및 코일 스프링(449)이 수용된다.
상기 힌지 베이스(401)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체결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110, 112, 114)의 타측단(113) 중앙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힌지 베이스(401)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대면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11)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일면에는 회전홈(413)이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413) 내에 고정홈(414)이 상기 회전홈(413)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414)에는 상기 지지 샤프트(403)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홈(413)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일단부가 안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홈(413)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1) 상에서 한 쌍이 나란하게 위치되며, 각각 상기 제1, 제2 힌지 축(A1, A2) 상에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양측단에는 각각 체결편(412)이 연장된다. 상기 체결편(412)은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홀(412a)을 구비함으로써,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상기 힌지 베이스(401)를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402)은 상기 제1, 제2 힌지 축(A1, A2) 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몸체(421)와, 상기 몸체(421)의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체결편(423)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 하우징(402)은 그의 일단부가 상기 힌지 베이스(401)의 회전홈(413)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체결편(423)은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홀(423a)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402)과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의 고정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일단부는 완전 개방단으로, 타단부는 관통홀(421a)이 형성된 일부 개방단으로 구성되며, 일단부로부터 상기 코일 스프링(449), 힌지 캠(404) 및 힌지 샤프트(405)가 순차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힌지 캠(404)은 상기 힌지 샤프트(405)와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449)으로부터 상기 힌지 샤프트(405)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힌지 캠(404)은 외주면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돌기(443)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443)와 상응하는 슬라이딩 홈(미도시)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캠(404)은 상기 힌지 하우징(402) 내에서 직선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402)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405)와 마주하는 상기 힌지 캠(404)의 면은 골형부(441)가 형성된 곡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405)는 상기 힌지 하우징(40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 샤프트(403) 상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샤프트(405)는 상기 힌지 하우징(402)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힌지 하우징(402)은 상기 힌지 베이스(401)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힌지 샤프트(405)는 상기 힌지 베이스(401)에 고정된 지지 샤프트(403)에 고정되므로, 상기 힌지 샤프트(405)는 상기 힌지 하우징(402)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405)는 상기 힌지 캠(404)과 대면한 상태로 밀착되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 캠(404)과 대면하는 상기 힌지 샤프트(405)의 면은 산형부(451)가 형성된 곡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샤프트(405)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힌지 캠(404)은 상기 힌지 하우징(402) 내에서 직선운동하게 되며, 상기 골형부(441)와 산형부(451)는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골형부(441)와 산형부(451)가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449)은 상기 힌지 캠(404)을 상기 힌지 샤프트(405)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상기 골형부(441)와 산형부(451)가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40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 샤프트(403)는 상기 고정홈(414)의 형상에 상응하는 고정몸체(43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몸체(431)로부터 연장되어 그의 단부는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타단부로 돌출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타단부로 돌출된 상기 지지 샤프트(403)의 외주면에는 체결홈(432)이 형성되어, 이-링(E-ring)(439a)이 체결되고 상기 이-링(439a)과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타단부 면 사이에 와셔(439b)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샤프트(403)는 상기 힌지 베이스(40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414)에 체결홀(415)이 형성되어 스크류(미도시)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샤프트(403)와 힌지 샤프트(405)는 상기 힌지 베이스(401) 상에 고정되는 구성이므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 샤프트(430)는 상기 힌지 하우징(402) 내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타단부로 돌출되므로,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타단부 면, 힌지 캠(404) 및 힌지 샤프트(405)에는 상기 지지 샤프트(403)가 지나는 관통홀(421a, 447, 459)이 각각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 장치(400)와 상기 휴대 통신 장치가 결합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 장치(400)와 휴대 통신 장치의 결합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휴대 통신 장치의 본체 하우징(1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 유의한다.
상기 힌지 베이스(401)는 상기 휴대 통신 장치의 본체 하우징(10) 내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402)은 상기 제1,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 일측의 제1 및 제2 돌출부(202, 302)의 내측면에 각각 체결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402)은 상기 제1,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샤프트(403)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체결된 힌지 베이스(401)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402)이 지나는 힌지홀의 내벽과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외주면은 서로 이격된다. 이는 상기 본체 하우징(10)과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에 각각 내장되는 회로 장치들을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409; 도 11에 도시됨)가 지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409)가 지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형성되는 힌지홀과 이를 지나는 상기 힌지 하우징(402)의 외주면이 이격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힌지 장치(400)에 의해 각각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결합된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에서 회전한 각도에 따라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에 다시 겹쳐지거나 기 설정된 위치로 회전하는 회전력을 제공받게 된다. 이는 상기 힌지 하우징(402) 내에 수용된 상기 힌지 캠(404)과 힌지 샤프트(405)의 구성에 의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의 회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의 하부 케이스(20c, 30c) 바닥면에는 각각 가이드 홀(406)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에 고정된 가이드 돌기(461)가 상기 가이드 홀(406) 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461)는 상기 가이드 홀(406)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461)는 상기 가이드 홀(406)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 홀(406)은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에 고정된 힌지 하우징(402)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402)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홀(406)은 상기 제1 및 제2키 하우징(20, 30)에 고정된 상기 힌지 하우징(402)을 중심으로 타측의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204, 304)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홀(406)이 연장된 각도 범위는 90도 이내로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의 회전 범위는 상기 가이드 홀(406)과 가이드 돌기(461)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으로부터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의 바닥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홀(406)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의 내부가 상기 가이드 홀(406)을 통해 노출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홀(406)은 홀 커버(463; 도 10에 도시됨)에 의해 폐쇄된다.
도시된 상기 가이드 돌기(461)들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양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들(461)은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의 단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키 하우징(20, 30)이 회전하여 양손으로 키 조작이 용이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들(461)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의 돌출부(204, 304) 상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으로부터 회전한 각도에 따라, 상기 힌지 장치(400)의 회전력은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으로 다시 겹쳐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겹쳐진 상태에서도 여전히 상기 힌지 장치(400)의 회전력이 작용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461)가 상기 가이드 홀(406)의 일단부에 맞닿은 상태이므로,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겹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이 완전히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461)가 상기 가이드 홀(406)의 타단부에 맞닿은 상태에서도 상기 힌지 장치(400)의 회전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키 스윙 하우징(20, 30)이 완전히 회전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키 스윙 하우징을 본체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각각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폰 모드, 게임 모드, 문자 전송 모드 시에 키 누름 조작과 최적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을 제공하게 됨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모드 전환에 따라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폰 모드일 경우의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 모드일 경우의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모드일 경우의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힌지 장치가 휴대 통신 장치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힌지 장치가 결합된 휴대 통신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휴대 통신 장치의 가이드 홀에 홀 커버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휴대 통신 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배선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34)

  1.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제1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일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1키 스윙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2키 스윙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키 스윙 하우징은 서로 대칭으로 마주보게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 슬라이딩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2키 스윙 하우징의 회전 유무에 상관없이 항시 노출되는 중앙 영역;
    상기 제1키 스윙 하우징의 회전 유무에 의해 개폐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키 스윙 하우징의 회전 유무에 의해 개폐되는 제2영역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힌지 축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 스윙 하우징은
    상기 표시 장치의 일측 영역을 항시 노출시키기 위한 제1개구; 및
    상기 제1개구의 양측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부들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키 스윙 하우징은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 영역을 항시 노출시키기 위한 제2개구; 및
    상기 제2개구의 양측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돌출부들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 축은 상기 표시 장치의 중간 영역과 이웃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힌지 축도 상기 표시 장치의 중간 영역과 이웃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2힌지 축은 서로 이웃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주변을 따라서 다수의 스피커용 개구들이 연속적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 스윙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가 배열되고, 그의 측면에 마이크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2키 스윙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 어레이가 배열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10.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의 일측단과 이웃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단과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1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일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1키 스윙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상기 제1키 스윙 하우징과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단과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2키 스윙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힌지 축은 상기 표시 장치를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반대편에 대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은 회전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 스윙 하우징은 상기 표시 장치의 중앙 영역을 항시 노출시키기 위한 제1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키 스윙 하우징은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중앙 영역을 항시 노출시키기 위한 제2개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의 양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돌출부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개구의 양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돌출부들이 더 구비하며, 상기 제1,2돌출부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대칭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돌출부들은 그의 단들이 각각 곡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키 스윙 하우징이 가장 가깝게 마주보는 경우, 상기 제1,2개구는 연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힌지 축은 상기 표시 장치의 타측단의 중간 부분과 각각 이웃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힌지축은 상기 제1,2키 스윙 하우징의 제1,2힌지 축과 각각 수직 방향으로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19.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키 스윙 하우징의 각각의 회전량은 90도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20.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부 영역을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윙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과 스윙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힌지 베이스; 및
    상기 스윙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힌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힌지 베이스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상기 힌지 하우징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지지 샤프트; 및
    상기 지지 샤프트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타단부 면에 지지되는 이-링(E-ring)을 더 구비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이 상기 힌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이스의 일면에 형성되고, 일정 깊이를 갖는 고정홈; 및
    상기 지지 샤프트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상응하는 형상의 고정몸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이스는 그의 일면에 형성되고, 일정 깊이를 갖는 회전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홈 내에 안착되어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24.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이스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체결편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25.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힌지 캠;
    상기 힌지 캠과 대면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힌지 샤프트; 및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 캠이 상기 힌지 샤프트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힌지 캠의 일면에 형성되는 골형부 및 상기 힌지 샤프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골형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산형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27.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스윙 하우징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체결편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28.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윙 하우징에 고정된 힌지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윙 하우징의 회전범위는 상기 가이드 홀 및 가이드 돌기에 의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힌지 하우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이내의 범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폐쇄시키는 홀 커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31.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하우징의 양측에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일측의 상기 돌출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은 일측의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힌지홀을 지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힌지홀의 내벽은 서로 이격되어 가요성 인쇄회로가 지나는 경로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33.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타측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스윙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34.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한 쌍의 상기 힌지 하우징이 상기 힌지 베이스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KR1020040052995A 2004-02-25 2004-07-08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힌지 장치 KR100681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60,031 US20050187024A1 (en) 2004-02-25 2004-10-08 Portable swing-type communication device for games and hinge apparatus thereof
CNB2004101000895A CN100373971C (zh) 2004-02-25 2004-12-10 用于游戏的便携式回转型通信设备以及其铰链设备
EP05003072A EP1569420A2 (en) 2004-02-25 2005-02-14 Hinge for split keyboards of a portable communication and gam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2564 2004-02-25
KR1020040012564 2004-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345A true KR20050086345A (ko) 2005-08-30
KR100681089B1 KR100681089B1 (ko) 2007-02-08

Family

ID=3727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995A KR100681089B1 (ko) 2004-02-25 2004-07-08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0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961B1 (ko) * 2008-01-23 2009-11-17 (주)엘티엠에이피 전자기기용 반자동 스윙 개폐장치
KR20110009824A (ko) * 2009-07-23 2011-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1537683B1 (ko) * 2008-09-02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961B1 (ko) * 2002-07-23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961B1 (ko) * 2008-01-23 2009-11-17 (주)엘티엠에이피 전자기기용 반자동 스윙 개폐장치
KR101537683B1 (ko) * 2008-09-02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10009824A (ko) * 2009-07-23 2011-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089B1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675B1 (ko) 회전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KR100630139B1 (ko)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KR100842530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EP1569420A2 (en) Hinge for split keyboards of a portable communication and gaming device
KR100640395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및 그의 장착 메카니즘
US20080026791A1 (en) Watch-type portable terminal
KR100640379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KR100566282B1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703497B1 (ko) 게임 겸용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81089B1 (ko)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힌지 장치
KR20070047948A (ko) 슬라이딩 회전 유형 휴대 단말기
KR100606073B1 (ko) 휴대 통신 장치
KR20050009782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160262B1 (ko) 슬라이드 구동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90089B1 (ko) 스토퍼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557065B1 (ko)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474678B1 (ko) 데이터 입력 확장성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63484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20050080336A (ko) 그립감이 향상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487223B1 (ko)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1155250B1 (ko) 휴대 장치
KR20060042169A (ko) 게임 겸용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70003347A (ko) 카메라 촬영이 편리한 스윙 타입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