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183B1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183B1
KR101554183B1 KR1020080101328A KR20080101328A KR101554183B1 KR 101554183 B1 KR101554183 B1 KR 101554183B1 KR 1020080101328 A KR1020080101328 A KR 1020080101328A KR 20080101328 A KR20080101328 A KR 20080101328A KR 101554183 B1 KR101554183 B1 KR 10155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output
time information
comman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166A (ko
Inventor
전병수
최현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183B1/ko
Priority to EP09011207.9A priority patent/EP2178277B1/en
Priority to US12/556,498 priority patent/US8224258B2/en
Priority to CN2009102063682A priority patent/CN101729669B/zh
Publication of KR20100042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복수의 센서들 각각과 관련된 위치들 중 상기 제1 시각정보와 관련하여 제1 명령 입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연관된 위치(들)에서 가시광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시광이 출력되는 위치(들)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상기 제1 명령 입력이 가능한 센서(들)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이 구현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THEREOF}
본 발명은 명령의 입력을 위한 수단의 작동과 관련하여 빛이 출력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로 입력 수단과 관련한 가시광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명령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입력 수단에 대응하여 가시광의 출력 위치가 달라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가시광의 출력에 의해 명령 입력을 위한 수단을 조작하는 사용자가 조작 대상을 보다 쉽게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복수의 센서들 각각과 관련된 위치들 중 상기 제1 시각정보와 관련하여 제1 명령 입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연관된 위치에서 가시광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시광이 출력되는 위치(들)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상기 제1 명령 입력이 가능한 센서(들)에 대응하여 달라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빛을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빛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이다. 상기 출력되는 빛이 가시광의 파장 대역을 벗어나는 파장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광센서에 연관되게 배치되는 발광 요소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시광이 출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센서(들)에 상기 제1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채로 설정 시간이 경과 되면 상기 가시광의 출력 상태가 해제되나, 상기 제1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센서(들)에 상기 제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명령과 관련된 제2 시각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다. 상기 제2 시각정보는 상기 제1 시각정보의 변동(變動)을 유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제1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시각정보와 관련하여 제1 명령 입력이 가능한 복수의 센서들과, 상기 센서들 각각과 관련된 위치들 중 상기 제1 명령 입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연관된 위치(들)에서 가시광을 출력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시광이 출력되는 위치(들)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상기 제1 명령 입력이 가능한 센서(들)에 대응하여 달라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빛을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빛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이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광센서가 가시광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센서이고, 상기 광센서가 가시광의 파장 대역을 벗어나는 파장의 빛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을 출력하는 발광요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의 중앙 영역을 차지하고, 상기 센서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주변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시각정보에 대응한 명령의 입력 가능한 센서(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가시광이 발광 되도록 하기에,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센서에 대해 쉽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및 복수의 광센서들(142 내지 148)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들(142 내지 148)은 빛을 출력한 후에 그 빛의 변화, 예를 들어 파장,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일정 동작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발광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 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155)는 광센서들(142 내지 148)과 관련된 위치에 설치되어, 광센서들(142 내지 148)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 또는 대기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빛을 발생시킨다. 광센서들(142 내지 148)이 가시광을 출력하는 경우라면, 광센서들(142 내지 148) 자체가 발광부(155)가 된다. 광센서들(142 내지 148)이 가시광 대역을 벗어난 파장 대역의 빛을 출력하는 경우라면, 발광부(155)는 광센서들(142 내지 148)에 근접되게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요소, 예를 들어 LED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발광부(155)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센서들로서는, 광센서들(142 내지 148)이 아닌 다른 종류의 센서들, 예를 들어 압력 센서, 자기 센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100) 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 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본체 또는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광센서들(142 내지 148),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광센서들(142 내지 148)은 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와 관련된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광센서들(142 내지 148)은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중앙 영역에서 벗어난 주변 영역,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부(151)를 감싸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광센서들은 복수의 광센서들로서 그 수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내지 제7 광센서들(142 내지 148)을 대표적으로 언급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 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 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35a)과 입력창(135b)이 표시된다. 입력창(135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35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35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를 통하여 소프트키(135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35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35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광센서들(142 내지 148) 각각은 그들이 출력하는 빛의 변화를 유발하는 개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근{이하, 간단히 '액세스(access)'라고도 한다}의 정도, 상기 액세스된 상태의 유지 시간, 상기 액세스의 해제, 상기 해제의 방향, 상기 액세스의 해제 후의 재 액세스의 횟수, 및 복수의 센서들에서 상기 개체가 감지됨에 따른 상기 개체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함으로써, 설정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재 액세스의 횟수와 관련하여, 손가락을 광센서에 접근시켰다 멀리한 후에 재차 접근시키는 경우(이하, '더블 액세스'라고도 한다)가 있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광센서들(142 내지 148)이 상기 개체의 이동 방향을 인식하는 방식을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광센서(142)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활성화된 일 상태에서, 주변 광센서들(142a 및 142b)은 비활성화된다. 상기 활성화된 상태는 대기 상태를 의미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광센서(142)에 대한 액세스에 의해, 제1 광센서(142)에 일 명령이 입력된다. 제1 광센서(142)에 대한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주변 광센서들(142a 및 142b)은 활성화되어 대기 상태가 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광센서(142)에 대해 액세스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이동되면, 주변 광센서(142b)에도 일 명령이 입력된다. 제1 광센서(142) 및 또 다른 주변 광센서들(142a,142c)은 대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광센서(142)에 대한 명령 입력 후에 일정 시간 내에 일정 방향을 따라 주변 광센서(142b)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면, 이러한 상황은 광센서들(142 및 142b)가 상기 일정 시간 범위를 벗어나서 각각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와 다른 경우로 인식된다. 이러한 입력은 '드래그(drag)' 동작에 의한 입력으로 칭해질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에 따라 활성화되는 광센서가 달라지는 것을 보이는 개념도들이고, 도 5c는 활성화되는 광센서가 이동되는 것을 보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와 광 센서들(142 내지 148) 위주로 간단하게 도시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가 포트레이트(portrait) 방향으로 놓인 경우에, 제1 광센서(142)에 연관된 위치에서 가시광이 출력된다. 상기 가시광은 제1 광센서(142)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제1 시각정보(151a)와 관련된 제1 명령을 입력을 받도록 설정된 광센서임을 알리는 의미를 갖는다.
제1 광센서(142)에 인접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는 안내 정보(151a')가 표시될 수 있다. 안내 정보(151a')는 제1 광센서(142)를 통하여 제1 명령이 입력되면 메뉴 등과 같은 제2 시각 정보(151b, 도 6a 참조)가 표시될 것임을 안내하게 된다. 안내 정보(151a')의 내용은, 일 예로서 '메뉴는 여기(에 있습니 다)'와 같은 문구일 수 있다.
제1 광센서(142)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지면, 제1 시각정보(151a)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이므로, 안내 정보(151a')가 표시되는 영역이 터치 됨에 따라 상기 메뉴가 출력될 수도 있다. 설정 시간이 경과 되도록 제1 광센서(142)나 터치스크린에 대한 조작이 없다면, 안내 정보(151a')는 사라지게 될 것이다. 안내 정보(151a')가 사라지면, 제1 광센서(142)와 연관된 위치에서의 가시광의 출력 상태도 해제될 것이다. 이 경우 제1 광센서(142) 역시 비활성화된다.
발광부(155, 도 1 참조)에 의해 제1 광센서(142)와 연관되게 가시광이 발광 되나, 제1 광센서(142)의 주변에서도 추가적인 알람용 가시광이 발광 될 수 있다. 위 알람용 가시광은 제1 광센서(142)와 연관되어 발광 되는 가시광에 대한 사용자의 보다 큰 주의를 끌기 위함이다.
알람용 가시광은 제1 광센서(142)의 주변 위치들(142a 내지 142d)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발광되거나 점멸되는 형태로 발광될 수 있다. 점멸되는 경우라면, 주변 위치들(142a 내지 142d)에서 순차적으로 점멸되어 제1 광센서(142) 측으로 집중되게 하거나, 동시에 깜빡거리는 형태로 발광될 수도 있다. 주변 위치들(142a 내지 142d)에서의 발광은 제1 광센서(142)에 대한 입력 전, 후 또는 입력 시에 일어날 수 있다. 입력 전이라면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발광일 것이며, 입력 시 또는 후라면 입력에 대한 확인의 의미로서 발광 되는 것이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됨에 따라, 제1 시각정보(151a)에 대응하여 제1 광센서(142) 대신에 제2 광센서(143)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 방향이 랜드스케이프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에, 사용자가 제2 광센서(143)를 사용하기가 보다 편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광센서(143)가 활성화되는 경우라면, 더 이상 제1 광센서(14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시광이 발광되지 않는다. 대신에, 제2 광센서(14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시광이 발광 된다.
광센서의 변경에 대응하여, 안내 정보(151a') 역시 앞서와는 다른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표시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1 시각정보(151a)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명령은 제2 광센서(143)가 아닌 제3 광센서(144)에서 입력될 수 있다. 제3 광센서(144)는 이동 단말기(100)의 중앙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이동 단말기(100)를 잡는 경우라면, 제2 광센서(143)를 조작하기가 불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2 광센서(143)에 액세스한 상태에서 제3 광센서(144)를 향해 드래그 동작을 취하게 되면, 상기 제1 명령의 입력을 위해 제3 광센서(144)가 활성화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3 광센서(144)와 연관되어서는 가시광이 출력되고, 제2 광센서(143)에 연관된 가시광은 그 출력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드래그 동작에 따라 제3 광센서(144)가 활성화된 경우, 이를 강조하기 위하여, 주변 광센서들(144a 내지 144d)에 연관된 위치들에서 알람용 가시광이 발 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제1 시각정보(151a)에 대응하여 광센서들(142 내지 148) 중 어떤 광센서(들)가 활성화되고 그와 연관된 위치(들)에서 가시광이 출력되는 지는 사용자의 조작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와는 다르게 사전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도 6a는 제1 명령의 입력에 의해 제2 시각정보가 표시되는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6b는 제2 시각정보에 표시된 명령이 실행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이며, 도 6c는 제2 시각정보에 관한 제2 명령을 입력받을 광센서의 이동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2 광센서(143)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제1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제1 시각정보(151a)의 제어를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제2 시각정보(151b)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제2 시각정보(151b)에 대응해서, 제2 명령{제2 시각정보(151b)에 표시된 내용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이 입력 가능한 광센서로서 제4 광센서(145)가 활성화된다. 제2 명령의 개수에 따라서 제4 광센서(145)는 복수개, 예를 들어 3개의 광센서들(145a 내지 14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명령이 복수 개인 경우라면 제2 명령은 제1 명령을 입력받은 광센서(143)와 다른 광센서(145)에 의해 입력될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명령을 입력받은 광센서(143)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제2 시각정보(151b)는 제1 시각정보(151a) 상에 중첩되게 표시되기 위하여 팝업(pop-up)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시각정보(151b)는 제1 시각정보(151a)의 변동, 다시 말해서 생성, 편집, 소멸을 야기하는 제2 명령을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각정보(151a)가 재생되고 있는 영화 컨텐츠라면, 제2 시각정보(151b)는 상기 영화 컨텐츠에 대한 제어 동작으로서 되감기, 저장, 앞으로 감기 등의 제2 명령을 나타내는 내용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4 광센서(145) 중 하나의 광 센서(145b)에 대한 액세스에 의해 제2 명령으로서 '저장'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장면이 메모리(160, 도 1 참조)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동작에 대한 설명은 디스플레이부(151)에 '저장됩니다' 등과 같은 문구로서 표시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광센서(145)가 다른 광센서(146)로 교체될 수 있다. 광센서의 변경은 앞서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광센서(145)에 대해 액세스한 상태에서 원하는 다른 광센서(146) 측으로 드래그 동작을 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래그 동작을 위한 광센서(145)로의 액세스 시에 광센서들(145a 내지 145c) 중 일부가 제2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막기 위하여, 광센서들(145a 내지 145c) 중 적어도 2개 이상에 손가락들이 접근된 상태에서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a의 제2 시각정보(151b)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광센서(143)를 통한 제1 명령의 입력에 의해 표시된 제2 시각정보(151b, 도 6a 참조)의 출력 형태는 시간의 경과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시각정보(151b)가 그 내용을 대표할 수 있 는 영문 이니셜 등에 의해 간략하게 표시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2 시각정보(151b)가 '되감기(Reward), 저장(Save), 앞으로 감기(Forward)'라면, 변형된 제2 시각정보(151b')는 그들의 영문 이니셜인 'R, S, F'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되감기 등을 표시하는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변형된 제2 시각정보(151b')로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니셜이나 아이콘 만으로는 제2 시각정보(151b)의 내용이 이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다시 제2 시각정보(151b)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은 제2 광센서(143)에 대한 액세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변형된 제2 시각정보(151b')가 표시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변형된 제2 시각정보(151b')가 표시된 상태에 안내정보(151a')만 표시되거나 아예 제1 시각정보(151a)만 표시되는 상태로 복귀하기 위하여, 제2 광센서(143)에 대한 반복적인 액세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광센서(143)에 대해 더블 액세스하게 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를 더블 클릭과 같은 형태의 명령으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 인식에 의해, 변형된 제2 시각정보(151b')만 사라지거나 또는 안내정보(151a')까지 모두 사라질 수 있다. 이때, 제4 광센서(145) 또는/및 제2 광센서(143)는 비활성화된다.
이 경우에, 제4 광센서(145)의 주변 광센서들은 순차로 알람용 가시광을 발광한다. 상기 발광의 순서는 제4 광센서(145)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는 순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알람용 발광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시각 정보가 상위 단계로 이동되고, 광센서들에 대한 활성화 상태가 해소됨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이와 달리, 제4 광센서(145)에 대한 제2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상황에서 제2 광센서(143)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제2 광센서(143){및 다른 광센서들(144,146 내지 148)}가 비활성화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불필요하게 제2 광센서(143)에 명령이 입력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다만, 위에서와 같이 전 단계로 복귀하려는 등의 경우를 위한 제2 광센서(143)에 대한 조작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4 광센서(145)에 대한 입력이 일정 시간 동안 없는 경우에 제2 광센서(143)를 다시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a 내지 9c는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한 문자 메서지의 입력 중에 입력되는 종류와 다른 종류의 정보를 입력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소프트키들을 통하여 국문을 입력할 수 있다. 국문의 입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부에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입력을 위한 소프트키들(151c)이 출력된다.
국문의 입력 중에 숫자나 영문, 또는 특수기호 등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제1 광센서(142)에 대한 액세스를 실행한다. 상기 액세스에 의해 제1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좌측에는 제2 시각정보(151b)로서 숫자, 영문 등을 보이기 위한 메뉴가 표시된다. 상기 제2 시각정보(151b)에 대응하는 제3 광센서(144)의 광센서들(144a 내지 144c)은 활성화되고 그들에 연관된 위치 들에서는 각각 가시광이 출력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숫자의 입력을 위하여 숫자 메뉴에 상응하는 광센서(144b)에 액세스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제3 시각정보로서 숫자 입력을 위한 소프트키들(151c')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왼손의 일 손가락이 광센서(144b)에 대해 액세스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오른손의 일 손가락으로 위 소프트키를 터치할 수 있다.
위 디스플레이부(151)의 소프트키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에 의해 원하는 숫자(9)가 입력되면, 상기 숫자(9)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의 출력창에 표시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시각정보(151a)의 내용이 편집된다. 상기 편집 후에 사용자가 왼손가락을 광센서(144b)에서 떼게 되면, 숫자 입력을 위한 소프트키들(151c')은 사라지게 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특수기호의 입력을 위해 그에 대한 입력이 가능한 광 센서(144c)를 액세스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에 의해 제2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부에는 특수기호의 입력을 위한 소프트키들(151c")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특수기호(?)를 표시하는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상기 특수기호(?)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창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10a 내지10c는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문자 메세지의 내용을 보는 상항을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문자 메세지가 수신됨에 따라 제1 광센서(142)가 활성화 되고 그에 상응하는 가시광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광센서(142)에 대해 액세스하여 제1 명령이 입력되면, 제6 광센서(147)가 활성화된다. 제6 광센서(147)의 활성화에 따라, 제2 시각정보(151b)로서 문자 메세지를 표시하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6 광센서(147)에 액세스하게 되면, 제3 시각정보(151c)로서 문자 메세지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제6 광센서(147)에 대한 액세스를 해제하면, 상기 문자 메세지의 내용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라지게 된다.
도 11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감상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광센서(142)에 제1 명령이 입력되면 제2 시각정보(151b)로서 이미지 파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4 광센서(145)에 대해 네째 손가락을 이용한 액세스가 이루어지면,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에 대한 스크롤(scroll)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롤은 상기 제4 광센서(145)에 대한 액세스가 해제되거나 그 액세스된 정도가 약화됨에 따라 정지될 수 있다.
스크롤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5 광센서(146)에 대해 둘째 손가락에 의한 액세스가 이루어지면, 현재 커서가 위치하는 이미지 파일(151b)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이 제3 시각정보(151c)로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및 미리 보기를 위한 제4 광센서(145)와 제5 광센서(146)에 대한 조작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왼손으로 쥔 상태에서 둘째 및 넷째 손가락을 이용하게 되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4a 내지 도 4c는 광센서들이 상기 개체의 이동 방향을 인식하는 방식을 보인 개념도들.
도 5a 및 5b는 이동 단말기의 방위에 따라 활성화되는 광센서가 달라지는 것을 보이는 개념도들.
도 5c는 활성화되는 광센서가 이동되는 것을 보이는 개념도.
도 6a는 제1 명령의 입력에 의해 제2 시각정보가 표시되는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6b는 제2 시각정보에 표시된 명령이 실행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
도 6c는 제2 시각정보에 관한 제2 명령을 입력받을 광센서의 이동을 보인 개념도.
도 7은 도 6a의 제2 시각정보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8은 변형된 제2 시각정보가 표시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
도 9a 내지 9c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메서지의 입력 중에 입력되는 종류와 다른 종류의 정보를 입력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들.
도 10a 내지10c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메세지의 내용을 보는 상항을 보인 개념도들.
도 11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감상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Claims (21)

  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제1 시각정보와 관련하여 제1 명령 입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를 활성화 및, 상기 제1 센서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가시광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제1 시각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가시광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빛을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빛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빛이 가시광의 파장 대역을 벗어나는 파장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광센서에 연관되게 배치되는 발광 요소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시광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출력되는 빛의 변화를 유발하는 개체의 접근 여부, 상기 접근된 상태의 유지 시간, 상기 접근의 해제, 상기 해제의 방향, 상기 접근의 해제 후의 재접근의 횟수 및 복수의 센서들에서 상기 개체가 감지됨에 따른 상기 개체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에 상기 제1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채로 설정 시간이 경과 되면, 상기 가시광의 출력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2 센서와 연관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제2 명령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각정보는 상기 제1 시각정보에 중첩되게 팝업(pop-up)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각정보의 출력 형태는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각정보는 상기 제1 시각정보의 변동을 유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는 각각 다른 센서임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면, 다른 하나는 명령의 입력이 불가능한 비활성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센서를 강조하기 위한 알람용 가시광이, 상기 활성화된 센서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용 가시광은,
    상기 활성화된 센서 주변을 중심으로 복수의 위치에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는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의 변경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방향의 변경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이고, 상기 제1 명령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에 의해서도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벗어난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제어 방법.
  18. 무선통신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제1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과 연관되는 상기 본체 상의 복수의 위치에서 가시광을 출력하는 발광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시각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1 시각 정보와 관련된 제1 명령 입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를 활성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본체 상의 위치에서 가시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제1 시각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본체 상의 위치에서 가시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빛을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빛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이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광센서가 가시광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센서이고, 상기 광센서가 가시광의 파장 대역을 벗어나는 파장의 빛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을 출력하는 발광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에 상기 제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명령과 관련된 제2 시각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의 중앙 영역을 차지하고, 상기 센서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80101328A 2008-10-15 2008-10-15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10155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328A KR101554183B1 (ko) 2008-10-15 2008-10-15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EP09011207.9A EP2178277B1 (en) 2008-10-15 2009-09-01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thereof
US12/556,498 US8224258B2 (en) 2008-10-15 2009-09-09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thereof
CN2009102063682A CN101729669B (zh) 2008-10-15 2009-10-15 便携式终端和控制其输出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328A KR101554183B1 (ko) 2008-10-15 2008-10-15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166A KR20100042166A (ko) 2010-04-23
KR101554183B1 true KR101554183B1 (ko) 2015-09-18

Family

ID=4151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328A KR101554183B1 (ko) 2008-10-15 2008-10-15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24258B2 (ko)
EP (1) EP2178277B1 (ko)
KR (1) KR101554183B1 (ko)
CN (1) CN1017296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204A (ko) * 2008-09-12 2010-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10125358A (ko) * 2010-05-13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2001432A1 (en) * 2010-06-30 2012-01-05 Anto Spaji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functions and data entry for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said system and method
US9223431B2 (en) 2010-09-17 2015-12-29 Blackberry Limited Touch-sensitive display with depression detection and method
US9513737B2 (en) 2010-09-17 2016-12-06 Blackberry Limited Touch-sensitive display with optical sensor and method
DE112010005893T5 (de) * 2010-10-22 2013-07-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swerten einer Eingabe relativ zu einer Anzeige
US20120262408A1 (en) * 2011-04-15 2012-10-18 Jerome Pasquero Touch-sensitive display with optical sensor and optical method
TW201243699A (en) * 2011-04-27 2012-11-01 Acer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2768606A (zh) * 2011-05-06 2012-11-07 宏碁股份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及便携式电子装置的控制方法
EP2570893A1 (en) * 2011-09-16 2013-03-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haracter selection
US8866747B2 (en) 2011-09-16 2014-10-2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haracter selection
US8976136B2 (en) * 2011-10-13 2015-03-10 Autodesk, Inc. Proximity-aware multi-touch tabletop
EP2720129B1 (en) * 2012-10-11 2019-12-04 BlackBerry Limited Strategically located touch sensors in smartphone casing
US9008725B2 (en) 2012-10-11 2015-04-14 Blackberry Limited Strategically located touch sensors in smartphone casing
US9927902B2 (en) * 2013-01-06 2018-03-27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istributed pre-processing of touch data and display region control
CN104980568A (zh) * 2014-04-10 2015-10-1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的来电控制系统及其来电控制方法
CN105653163A (zh) * 2014-11-14 2016-06-0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携式电子装置的字符输入系统及方法
CN104615400B (zh) * 2015-02-10 2017-04-05 解庶 展示可视信息的方法与设备
CN108108065A (zh) * 2017-11-28 2018-06-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光感按键实现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90961B (zh) * 2018-01-25 2020-06-26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响应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2639719A (zh) * 2018-09-07 2021-04-09 索尼公司 终端设备、终端设备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2977A1 (en)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Illuminated touchpad
WO2007103631A2 (en) 2006-03-03 2007-09-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6154B2 (en) * 2001-05-30 2004-11-09 Palmone, Inc. Optical sensor based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2003211809A1 (en) * 2002-03-01 2003-09-16 Sharp Kabushiki Kaisha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unit u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reading device
GB2386707B (en) * 2002-03-16 2005-11-23 Hewlett Packard Co Display and touch screen
ATE372895T1 (de) * 2002-12-20 2007-09-15 Donnelly Corp Hilfseinrichtungssystem für fahrzeuge
US7896511B2 (en) * 2006-09-29 2011-03-01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090054107A1 (en) * 2007-08-20 2009-02-26 Synaptics Incorporate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ference call initiation
US8947364B2 (en) * 2007-08-20 2015-02-03 Synaptics Incorporated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activation confirmation
US20090194341A1 (en) * 2008-02-05 2009-08-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resistive touch input component as a proximity sensor
US8576181B2 (en) * 2008-05-20 2013-11-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touch and wallpap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90288889A1 (en) * 2008-05-23 2009-11-26 Synaptics Incorporated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swipethrough data entry
US8363019B2 (en) * 2008-05-26 2013-01-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8417296B2 (en) * 2008-06-05 2013-04-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proximity-based radio power control
US9335868B2 (en) * 2008-07-31 2016-05-10 Apple Inc. Capacitive sensor behind black mask
ES2569120T3 (es) * 2009-01-14 2016-05-06 Perceptive Pixel, Inc.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sensible al tacto
US8704767B2 (en) * 2009-01-29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Environmental gesture recognition
KR101558211B1 (ko) * 2009-02-19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8019390B2 (en) * 2009-06-17 2011-09-13 Pradeep Sindhu Statically oriented on-screen transluscent keyboard
KR101387270B1 (ko) * 2009-07-14 2014-04-18 주식회사 팬택 터치 궤적에 따라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EP2494428A4 (en) * 2009-10-28 2015-07-22 E Ink Corp ELECTRO-OPTICAL INDICATORS WITH TOUCH SENSORS
US8698845B2 (en) * 2010-01-06 2014-04-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interactive popup views
US20110199335A1 (en) * 2010-02-12 2011-08-18 Bo Li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Object Using a Single Camera
KR20110107143A (ko) * 2010-03-24 201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US9019229B2 (en) * 2010-03-26 2015-04-28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Sample and hold capacitance to digital converter
US20110310126A1 (en) * 2010-06-22 2011-12-22 Emil Markov Georgiev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ng with datasets for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2977A1 (en)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Illuminated touchpad
WO2007103631A2 (en) 2006-03-03 2007-09-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8277B1 (en) 2018-03-14
CN101729669B (zh) 2013-08-28
CN101729669A (zh) 2010-06-09
KR20100042166A (ko) 2010-04-23
EP2178277A1 (en) 2010-04-21
US20100093402A1 (en) 2010-04-15
US8224258B2 (en) 201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18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1016174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29916B1 (ko) 휴대 단말기
KR101626621B1 (ko)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31958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3501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KR101559178B1 (ko)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219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음악재생 제어방법
KR1014516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402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56835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3333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172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85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37683B1 (ko) 휴대 단말기
KR101688134B1 (ko) 사이드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5001041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300105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816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제어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742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079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36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78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52992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