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204A -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204A
KR20100031204A KR1020080090183A KR20080090183A KR20100031204A KR 20100031204 A KR20100031204 A KR 20100031204A KR 1020080090183 A KR1020080090183 A KR 1020080090183A KR 20080090183 A KR20080090183 A KR 20080090183A KR 20100031204 A KR20100031204 A KR 20100031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sensing information
content
function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웅석
박휘원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204A/ko
Priority to EP09169952A priority patent/EP2166436A1/en
Priority to US12/559,081 priority patent/US20100066696A1/en
Publication of KR2010003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부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복수개의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방향키 기능 및 회전키 기능을 구분하여,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근접 센서, 입력, 셔플 기능, 회전 컨트롤

Description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Input Device based on a Proximity Sensor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복수개의 근접 센서를 마련하고, 각 근접 센서들이 센싱하는 센싱 정보에 따라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 중에 이동하면서도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체 국민의 85% 이상이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그 인기가 매우 높은 휴대 단말기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자 간의 통화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 하면서도 다른 다양한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파일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MP3 기능을 가지기도 하고,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응하는 영상 수집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의 경우, 모바일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를 구성하는 키의 개수가 한정되어 있으며,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적절한 키 배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키패드의 키를 누르거나,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의 일정 영역을 터치해야 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해당 키 또는 터치 영역의 민감도 둔화되어 궁극적으로 적절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의 입력 신호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는, 복수개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부; 상기 근접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들의 순서에 따라 좌우 방향키 기능, 상하 방향키 기능, 대각선 방향키 기능 및 셔틀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은, 복수개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부를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근접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과정;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들의 수신 순서에 따라 좌우 방향키 기능, 상하 방향키 기능, 대각선 방향키 기능 및 셔틀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 운용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입력신호를 손쉽게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 운용 방법은 근접 센서들이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우측 하단 중 적어도 두개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좌우 방향키 기능에 따른 입력신호 생성 과정,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하단 또는 상단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하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과정,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특정 지점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 이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복수개의 다른 지점에 배치된 근접 센서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셔틀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과정,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상단의 좌측 또는 우측, 하단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 이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하단의 우측 또는 좌측, 상단의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대각선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과정을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 운용 방법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컨텐츠가 멀티 화면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며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를 지정하는 하이라이트 박스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상하 방향키, 상기 좌우 방향키, 상기 대각선 방향키 및 상기 셔틀 기능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하이라이트 박스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과정, 다수개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 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상하 방향키, 상기 좌우 방향키, 상기 대각선 방향키 및 상기 셔틀 기능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다수개의 컨텐츠들을 상기 표시부 상에서 슬라이딩, 회전, 드래그 또는 줌인/줌아웃 시키도록 제어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가 음원 컨텐츠이고 상기 음원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상하 방향키, 상기 좌우 방향키, 상기 대각선 방향키 및 상기 셔틀 기능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다음 곡 선곡, 빨리 감기, 되감기, 볼륨 조절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컨텐츠가 화상 통화 기능인 경우, 상기 상하 방향키, 상기 좌우 방향키, 상기 대각선 방향키 및 상기 셔틀 기능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화상 통화 시 볼륨 조절, 화상의 줌인/줌아웃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10), 근접 센서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모드에 따라 근접 센서부(120)를 활성화하고, 근접 센서부(120)에서 수집되는 복수의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입력신호를 구분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이렇게 구분된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1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프로그램 활성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2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LCD를 근접 센서부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20)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는 터치패널로 형성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이 배치되는 경우 입력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는 별도로 독립된 키패드 형태의 입력부로 구현될 수 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파일 재생 기능에 따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파일 재생 기능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먼저 파일 재생 기능에 해당하는 항목이나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메뉴 화면 중에 파일 재생 기능에 해당하는 항목이나 아이콘을 활성화하면, 파일 목록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특정 파일 목록을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선택된 파일 목록을 재생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표시부(110)는 근접 센서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정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재생 화면의 변화된 화면 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일 목록이 사진 파일 목록인 경우, 표시부(110)는 다수개의 사진 파일을 일정 사이즈로 축소한 멀티 사진 파일들을 한 화면에 다수 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특정 사진 파일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사진 파일이 화면 전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멀티 사진 파일이 출력되는 화면 및 선택 파일을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상태에서 센싱 정보에 따라 사진 보기 기능 중 슬라이드 기능, 사진 회전 기능, 사진 확대 또는 축소 기능 등을 수행하고, 표시부(110)는 그에 따라 해당 사진이 변화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잇다.
상기 근접 센서부(120)는 복수개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근접 센서는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자기형, 자기 포화형, 고주파 발진형, 차동 코일형, 정전 용량형, 레이저 송수신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기형 근접 센서는 컨덕터 소자와 자성 소자로 분리되고, 컨덕터 소자의 가운데 리드 스위치 및 자성 소자에 영구자석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자기 포화형은 코어에 코일을 감으면 인덕턴스가 형성되고, 이 인덕턴스의 저하에 따라 코어의 투자율을 저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압이 이에 대응하여 저하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형태의 근접 센서이다. 고주파 발진형은 발진폭 변화의 검출 또는 발진주파수 변화의 검출을 이용한 근접센서이며, 차동 코일형은 발진회로에 포함된 여자코일에 대칭적인 차동 코일을 배치함으로써 유기된 전압을 증폭하여 이를 이용하는 근접센서이다. 정전 용량형은 전하의 이동에 따라 변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근접센서이다. 레이저 송수신형은 발광부에서 광을 조사한 후, 수광부에서 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 또는 광을 수신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 등을 검출하여 센서 전면에 물체의 이동이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근접 센서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정전 용량형을 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부(120)는 표시부(110)의 일측 또는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 중 일정 영역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부(120)는 휴대 단말기(100) 상단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사용자가 손이나 기타 물체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부(120)가 위치한 영역의 인근 영역을 이동하게 되면 센싱 정보를 발생하고, 발생된 센싱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근접 센서부(120)는 이동하는 물체와 근접 센서 간의 이격거리에 따른 전하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입력신호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센싱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근접 센서부(120)가 생성한 센싱 정보는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전달되며, 이에 따라, 센싱 정보의 형태와 발생 시간차, 발생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한 기능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근접 센서부(120)의 운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 중에 각 파일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해당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기능 등의 지원을 위하여 오디오 수집 기능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근접 센서부(120)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저장된 다양한 파일들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140)는 근접 센서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정보를 특정 기능키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매칭시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링 기능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근접 센서부(120)를 운용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기능을 가지는 경우, 즉, 카메라와 무선주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프로그램 영역은 화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140) 조작 및 오디오 수집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무선주파수부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앞서 설명한 다양한 음원 파일, 사진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근접 센서부(120)의 입력부로서의 운용을 위한 키 매핑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키 매핑 정보는 근접 센서부(120)로부터 전 달되는 센싱 정보를 특정 기능키로 매핑한 정보이다. 제어부(150)는 근접 센서부(120)로부터 센싱 정보가 전달되면, 키 매핑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된 센싱 정보의 기능을 결정하고, 이를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키 매핑 정보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근접 센서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센싱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센싱 정보가 전달되는 순서에 따라 특정 방향키 기능 또는 셔틀 기능 등을 정의하는 키 매핑 정보이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기능을 가지는 경우, 카메라와 무선주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수집하고, 프리뷰 영상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무선주파수부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타 휴대 단말기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타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는 한편,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상을 표시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 및 각 장치들의 활성화와, 각 장치들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50)는 근접 센서부(120)로부터의 입력되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 단말기(100)에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 중 근접 센서부(120)를 이용한 입력 제어를 수행하고자 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지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50)는 근접 센서부(120) 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가 파일 재생 기능과 화상 통 화 기능에 근접 센서부(120)의 기능을 이용하고자 설정하였다면, 제어부(150)는 각 기능 활성화 시에만 근접 센서부(120)를 활성화하고, 근접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각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근접 센서부(120)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센싱 정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정보 수집부(151), 센싱 정보 연산부(153) 및 컨텐츠 제어부(15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정보 수집부(151)는 사용자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부(12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싱 정보 수집부(151)는 사용자가 특정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 시에 근접 센서부(120)를 이용한 입력 제어를 설정한 정보를 토대로, 근접 센서부(12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센싱 정보 수집부(151)는 현재 어떠한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기능 예를 들면 파일 재생 기능 또는 화상 통화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근접 센서부(120)를 활성화하도록 전원 공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파일 재생 기능 및 화상 통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기능 예를 들면, 카메라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센싱 정보 연산부(153)는 센싱 정보 수집부(151)로부터 센싱 정보를 전달받고, 수신된 센싱 정보가 어떠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지를 연산한다. 이를 위하여, 센싱 정보 연산부(153)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키 매핑 정보를 확 인하고, 센싱 정보와 매칭되는 키 매핑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컨텐츠 제어부(155)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에 마련된 제1 근접 센서로부터 제1 센싱 정보가 전달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우측 상단에 마련된 제2 근접 센서로부터 제2 센싱 정보가 전달된 경우, 센싱 정보 연산부(153)는 키 매핑 정보를 확인하여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 방향키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어부(155)는 센싱 정보 연산부(153)가 연산한 입력 신호를 컨텐츠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현재 파일 재생 기능 중에 사진 검색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 방향키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센싱 정보 연산부(153)로부터 전달되면, 컨텐츠 제어부(155)는 사진 검색에 있어서, 슬라이드 기능이 수행되고 있을 경우, 좌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어부(155)는 사진 검색에 있어서, 다수개의 사진들이 일정 사이즈로 복수개가 출력되는 멀티 사진 화면인 경우에는 특정 사진을 하이라이트하고 있는 박스를 좌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입력 장치는 복수개의 근접 센서를 휴대 단말기의 일측에 마련하고, 각 근접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센싱 정보를 기 설정된 키 매핑 정보에 따라 분석하고, 해당 키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한 후, 현재 수행 중인 기능을 제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배치와 운용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3a는 휴대 단말기에 배치되는 두개의 근접 센서들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두개의 근접 센서와 제어부 구성만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좌측 상단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근접 센서(121)와, 휴대 단말기의 우측 상단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근접 센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3) 운용을 위하여 별도의 포트를 할당할 수 있으며, 할당된 포트를 이용하여 제1 근접 센서(121)와 제2 근접 센서(123)로부터 전달되는 센싱 정보가 어떠한 근접 센서로부터 전달되었는지를 구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배치되는 근접 센서부(120)는 사용자가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대한 입력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근접 센서부(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센싱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이나 기타 물체를 이용하여 제1 근접 센서(121)의 센싱 영역 내에 접근하면, 제1 근접 센서(121)는 물체가 전달되었음을 감지하고, 이러한 물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여, 실질적인 입력 신호를 위한 물체의 이동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근접 센서(121)는 다양한 센서 형태 예를 들면 정전 용량형 또는 레이저 송수신형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정전 용량형 의 경우, 제1 근접 센서(121)는 물체가 접근하는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 용량을 검사하고, 기 설정된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면, 입력 신호 발생을 위한 물체의 접근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근접 센서(121)는 레이저 송수신형인 경우, 발광부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수광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송수신 시간을 검사하여, 물체의 근접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송수신 시간이 일정 시간 예를 들면, t1 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입력 신호 발생으로 판단하고, 센싱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t1 시간은 기 설정된 시간으로서 단말기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손이나 물체를 제1 근접 센서(121)가 센싱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을 만큼의 지근거리에 접근시킨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제2 근접 센서(123)에 센싱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을 만큼의 지근거리에 접근시킨다면, 제어부(150)는 제1 근접 센서(121)로부터 제1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일정 시간 이후, 제2 근접 센서(123)로부터 제2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상기 일정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제1 근접 센서(121)에서 제2 근접 센서(123)로 물체를 이동시키고자 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특정 포트 예를 들면 제1 포트로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다른 포트 예를 들면 제2 포트로 제2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현재 센싱 정보를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에 대하여 검사한다. 즉, 제어부(150)는 현재 응용 프로그램이 어떠한 기능 예를 들면, 멀티 사진 검색 기능인지, 전체 화면의 사진 검색 기능인지, 파일 뷰 기능에서 책 읽기 기능인지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결정된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현재 실행되고 있는 각 기능에 맞도록 컨텐츠를 제어하여 표시부(11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표시부(110)에 멀티 사진 검색 기능이 실행 중인 경우, 좌측에서 우측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표시부(110)에 전체 화면의 사진 검색 기능이 실행 중인 기능인 경우 좌측에서 우측으로 사진들을 검색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제2 근접 센서(123)로부터 제2 센싱 정보를 수신한 이후, 제1 근접 센서(121)로부터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현재 발생하는 센싱 정보들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로 결정하고, 그에 따라 현재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a는 4개의 근접 센서가 배치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4개의 근접 센서와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좌측 상단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근접 센서(121)와, 휴대 단말기의 우측 상단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근접 센서(123), 우측 하단 일측에 배치되는 제3 근접 센서(125) 및 좌측 하단 일측에 배치되는 제4 근접 센서(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제1 근접 센서 내지 제4 근접 센서(121, 123, 125, 127) 운용을 위하여 별도의 포트를 할당할 수 있으며, 할당된 포트를 이용하 여 제1 근접 센서 내지 제4 근접 센서(121, 123, 125, 127)로부터 전달되는 센싱 정보가 어떠한 근접 센서로부터 전달되었는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되는 근접 센서부(120)는 사용자가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50)는 근접 센서부(120)의 입력 제어가 설정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해당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면 근접 센서부(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센싱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이나 기타 물체를 이용하여 제1 근접 센서(121)의 센싱 영역 내에 접근하면, 제1 근접 센서(121)는 물체가 전달되었음을 감지하고, 이러한 물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여, 실질적인 입력 신호를 위한 물체의 이동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근접 센서(121)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2 내지 제4 근접 센서(123, 125, 127)는 물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특정 포트 예를 들면 제1 포트로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다른 포트 예를 들면 제2 포트로 제2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현재 센싱 정보를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에 대하여 검사한다. 즉, 제어부(150)는 현재 응용 프로그램이 어떠한 기능 예를 들면, 멀티 사진 검색 기능인지, 전체 화면의 사진 검색 기능인 지, 파일 뷰 기능에서 책 읽기 기능인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방향키 기능에 대한 입력 신호 판단은 제1 근접 센서(121)가 생성하는 제1 센싱 정보, 제2 근접 센서(123)가 생성하는 제2 센싱 정보, 제3 근접 센서(125)가 생성하는 제3 센싱 정보, 제4 근접 센서(127)가 생성하는 제4 센싱 정보의 순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센싱 정보가 수신되고, 일정 시간 예를 들면, t3 시간 이내에 제3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수신된 센싱 정보들에 대하여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키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3 센싱 정보 수신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제4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센싱 정보들에 대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방향키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센싱 정보가 수신된 이후, 일정 시간 예를 들면, t1 시간 이내에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수신된 센싱 정보들에 대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키로 판단할 수 있으며,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부(150)는 제3 센싱 정보가 수신된 이후 일정 시간 예를 들면 t2 시간 이내에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센싱 정보들에 대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키로 판단할 수 있다. 덧붙여, 제어부(150)는 제4 센싱 정보 및 제3 센싱 정보가 시간차 없이 동시에 수신된 이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제1 센싱 정보 및 제2 센싱 정보가 시간차 없이 동시에 수신된 경우, 수신된 센싱 정보들에 대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키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제4 센싱 정보 및 제3 센싱 정보 수신 이후 제1 센싱 정보 또는 제2 센싱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될 경우에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키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들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센싱 정보가 대각선 형태로 수신되는 경우 즉, 제1 센싱 정보 수신 이후 제3 센싱 정보가 수신되거나, 제4 센싱 정보가 수신된 이후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수신되는 센싱 정보들을 대각 방향키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들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상기 센싱 정보들을 판단된 결과 즉, 좌우 방향키 기능, 상하 방향키 기능, 대각선 방향키 기능 및 셔틀 기능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및 컨텐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대각선 방향키 기능에 따른 컨텐츠 제어는 예를 들면 표시부보다 큰 이미지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경우, 대각선 방향키 기능에 따라 큰 이미지를 표시부 상에서 드래그 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센싱 정보들을 대각선 방향키 기능으로 판단하는 경우, 멀티 화면에서 하이라이트 박스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t1, t2, t3 시간은 동일한 시간 간격이거나, 서로 다른 시간 간격이 될 수 있으며, 단말기 설계자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도 있다.
한편, 표시부(110)는 두개의 화면으로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각 분할된 화면에 대하여 근접 센서부(120)가 수집하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110)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화면으로 분할되며, 각 분할된 화면에 파일 검색 기능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실행되고 있다고 가정하면, 제1 표시부 화면(111)은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3)의 센싱 정보에 따라 화면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표시부 화면(113)은 제3 근접 센서(125) 및 제4 근접 센서(127)의 센싱 정보에 따라 화면이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근접 센서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특히,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3)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바닥이 제3 근접 센서(125) 및 제4 근접 센서(127)에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표시부(110)가 제1 표시부 화면(111) 및 제2 표시부(110) 화면으로 분할된 환경에서, 제3 근접 센서(125) 및 제4 근접 센서(127)로부터 제3 센싱 정보 및 제4 센싱 정보가 동시에 수신된 이후,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센싱 정보들을 제1 표시부 화면(111)에 대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키로 판단할 수 있다.
또 한편, 제어부(150)는 센싱 정보들이 3개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셔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근접 센서(127)로부터 제4 센싱 정보가 수신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다시 일정 시간 이내에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며,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된 이후에 제3 센싱 정보가 수신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다시 제4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각 근접 센서들을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수신되는 센싱 정보들을 표시부에 출력된 컨텐츠를 회전하도록 하는 "셔틀 기능키"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셔틀 기능키"는 각 근접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들의 수신 속도에 따라 "셔틀 기능키"의 셔틀 속도 즉, 컨텐츠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각 센싱 정보들이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속도에 따라 표시 부(110)에 출력 중인 컨텐츠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각 센싱 정보들이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순서에 따라 표시부(110)에 출력 중인 컨텐츠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는 다수개의 근접 센서를 휴대 단말기에 배치하고, 수신되는 센싱 정보의 순서와 시간차 등을 고려하여 표시부에 출력 중인 컨텐츠의 다양한 입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향키 기능을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 맞도록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방향키 기능은 음원 재생 제어에 있어서, 볼륨 조절 기능을 지시하는 방향키 기능이 될 수 있으며, 좌우 방향키 기능은 음원 재생 제어에 있어서 음원 선택을 위한 키,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키 등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일한 방향키 기능이라 하더라도 사진 검색 기능인 경우에는 슬라이드 방향을 지시하는 키, 하이라이트 박스의 이동을 지시하는 키가 될 수 있다. 화상 통화에 있어서, 방향키 또는 셔틀 기능키는 화상 통화 시 볼륨 조절을 위한 키, 화상 통화 시 화면의 축소/확대, 줌인/줌아웃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개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은 먼저, S1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부팅이 완료된 후,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이 출력된다.
이후,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활성화하면, S1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해당 기능에 따른 컨텐츠를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사용자가 사진 검색 기능을 활성화하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즉, 사진 파일을 특정 화면 예를 들면 다수개의 사진 파일을 일정 사이즈로 다수 개 표시하는 멀티 화면 또는 하나의 사진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화면 등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원 파일 재생 기능을 활성화하면, 제어부는 특정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기타, 제어부는 화상 통화 기능, 카메라 기능 등 다양한 휴대 단말기 기능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S103 단계에서, 근접 센서부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근접 센서부에 전원 공급을 제어한 후, 근접 센서부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근접 센서부는 부팅 이후 지속적으로 활성화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특정 컨텐츠 또는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동작시키도록 제어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어부는 컨텐츠 활성화에 따라 근접 센서부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S105 단계에서 제1 근접 센서로부터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별도의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S103 단계로 분기하여 컨텐츠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S105 단계에서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S107 단계로 분기하여 일정 시간 예를 들면 t1 시간 이내에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t1 시간은 휴대 단말기의 설정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임의의 시간으로 수 초 내지 수 밀리 초 이내가 될 수 있다. S107 단계에서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S111 단계로 분기하여 제1 센싱 정보 수신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제1 센싱 정보만 수신되면, 제1 센싱 정보를 현재 활성화 중인 컨텐츠를 "확인"하는 키에 대응하는 값으로 판단할 수 있고, 컨텐츠가 음원인 경우, "재생" 또는 "일시정지" 등에 대응하는 키 값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S107 단계에서 t1 시간 이내에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S109 단계로 분기하여 방향키 기능에 따른 컨텐츠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컨텐츠 사진과 같은 이미지인 경우, 슬라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도 있으며, 멀티 화면인 경우, 특정 컨텐츠를 지정하는 하이라이트 박스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컨텐츠가 음원인 경우, 음원 재생 중 다른 음원을 검색하도록 제어하거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S113 단계에서 컨텐츠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고, 컨텐츠 활성화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S103 단계로 분기하여 이후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4개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부를 기반으로 입력 장치 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은 먼저, S2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가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 과정을 완료하 고,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S203 단계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별도의 키패드 형태의 입력부를 더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컨텐츠 활성화 시, 근접 센서부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근접 센서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특성상 사용자가 주머니나 가방 등에 휴대 단말기를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근접 센서부는 휴대 단말기의 특정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화상 통화 기능,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등이 활성화되는 과정에서 활성화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전원 절약 측면 및 입력 오류 방지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S205 단계에서 근접 센서부에 포함된 제1 근접 센서로부터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별도의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S203 단계로 분기하여 컨텐츠 활성화 기능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S205 단계에서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S207 단계로 분기하여 제2 센싱 정보, 제3 센싱 정보, 제4 센싱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는 제2 내지 제4 센싱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S209 단계로 분기하여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하여 셔틀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S207 단계에서 센싱 정보들이 순차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S211 단계로 분기하여 일정 시간 예를 들면 t0 시간 이내에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211 단계에서 제2 센싱 정보가 t0 시간 이내에 수신되면, 제어부는 S213 단계로 분기하여, 현재 수신되는 센싱 정보들을 바탕으로 좌우 방향키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207 단계에서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S215 단계로 분기하여 일정 시간 예를 들면 t1 시간 이내에 제4 센싱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215 단계에서 제4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S217 단계로 분기하여 현재 수신되는 센싱 정보들을 바탕으로 상하 방향키 기능을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S215 단계에서 제4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S219 단계로 분기하여 현재 수신되는 센싱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 예를 들면, 컨텐츠 확인, 음원 재생, 재생 중인 음원의 일시 정지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09 단계, S213 단계, S217 단계 수행 이후, 제어부는 S221 단계로 분기하여 종료여부를 확인하고, 응용 프로그램 및 컨텐츠 활성화가 유지되는 경우, S203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제어부는 제1 센싱 정보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키 기능, 상하 방향키 기능 및 셔틀 기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는 특정 근접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센싱 정보를 중심으 로, 이후 일정 시간 이내에 어떠한 센싱 정보가 전달되느냐에 따라, 좌우 방향키 기능, 상하 방향키 기능 및 셔틀 기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셔틀 기능 수행에 있어서,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2개 및 4개의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입력 장치를 구성하고 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2개 이상의 근접 센서 예를 들면, 3개, 5개, 6개 등의 근접 센서를 이용해서도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근접 센서의 개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키 기능을 활성화하여 특정 컨텐츠 예를 들면, 화상 통화 기능, 파일 재생 기능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발명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은 복수개의 근접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의 수신 순서에 따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제어를 위한 좌우 방향키 기능, 상하 방향키 기능 및 셔틀 기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수신되는 센싱 정보의 순서에 따라 대각선 방향에 대한 방향키 기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외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외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18)

  1. 복수개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부를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근접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과정;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들의 수신 순서에 따라 좌우 방향키 기능, 상하 방향키 기능, 대각선 방향키 기능 및 셔틀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부를 활성화하는 과정은
    저장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를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활성화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부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 과정은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좌우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에 출력 중인 컨텐츠 제어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어 과정은
    다수개의 컨텐츠가 멀티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를 지정하는 하이라이트 박스를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는 과정;
    다수개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들을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 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시키는 과정;
    상기 컨텐츠가 음원 컨텐츠이고 상기 음원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다음 곡 선곡, 빨리 감기, 되감기, 볼륨 조절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수행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가 화상 통화 기능인 경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화상 통화 시 볼륨 조절을 수행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하단 또는 상단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 과정은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하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에 출력 중인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어 과정은
    다수개의 컨텐츠가 멀티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를 지정하는 하이라이트 박스를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과정;
    다수개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들을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시키는 과정;
    상기 컨텐츠가 음원 컨텐츠이고 상기 음원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다음 곡 선곡, 빨리 감기, 되감기, 볼륨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수행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가 화상 통화 기능인 경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화상 통화 시 볼륨 조절을 수행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제1 지점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복수개의 다른 지점에 배치된 근접 센서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 과정은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셔틀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과 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과정은
    상기 제1 지점 및 복수개의 다른 지점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센싱 정보들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셔틀 기능에 따른 입력 신호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에 출력 중인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어 과정은
    다수개의 컨텐츠가 멀티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를 지정하는 하이라이트 박스를 상기 입력신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
    다수개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들을 표시부 상에서 상기 입력신호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시키거나, 상기 입력신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의 줌인/줌아웃 기능을 수행하 는 과정;
    상기 컨텐츠가 음원 컨텐츠이고 상기 음원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입력신호의 회전 방향에 따라 다음 곡 선곡, 빨리 감기, 되감기, 볼륨 조절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가 화상 통화 기능인 경우, 상기 입력 신호의 회전 방향에 따라 화상 통화 시 볼륨 조절, 화상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상단의 좌측 또는 우측, 하단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하단의 우측 또는 좌측, 상단의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 과정은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대각선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 상에 출력 중인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어 과정은
    다수개의 컨텐츠가 멀티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를 지정하는 하이라이트 박스를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특정 컨텐츠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 시키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운용 방법.
  12. 복수개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부;
    상기 근접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들의 순서에 따라 좌우 방향키 기능, 상하 방향키 기능, 대각선 방향키 기능 및 셔틀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 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 또는 상기 컨텐츠 활성화 시, 상기 근접 센서부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들은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우측 하단 중 적어도 두개의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좌우 방향키 기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하단 또는 상단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하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특정 지점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 이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복수개의 다른 지점에 배치된 근 접 센서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셔틀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상단의 좌측 또는 우측, 하단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 이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단말기의 전면을 중심으로 하단의 우측 또는 좌측, 상단의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된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반으로 대각선 방향키 기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수개의 컨텐츠가 멀티 화면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며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를 지정하는 하이라이트 박스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상하 방향키, 상기 좌우 방향키, 상기 대각선 방향키 및 상기 셔틀 기능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하이라이트 박스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수개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상하 방향키, 상기 좌우 방향키, 상기 대각선 방향키 및 상기 셔틀 기능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다수개의 컨텐츠들을 상기 표시부 상에서 슬라이딩, 회전, 드래그 또는 줌인/줌아웃 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음원 컨텐츠이고 상기 음원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상하 방향키, 상기 좌우 방향키, 상기 대각선 방향키 및 상기 셔틀 기능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다음 곡 선곡, 빨리 감기, 되감기, 볼륨 조절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화상 통화 기능인 경우, 상기 상하 방향키, 상기 좌우 방향키, 상기 대각선 방향키 및 상기 셔틀 기능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화상 통화 시 볼륨 조절, 화상의 줌인/줌아웃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KR1020080090183A 2008-09-12 2008-09-12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00031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183A KR20100031204A (ko) 2008-09-12 2008-09-12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EP09169952A EP2166436A1 (en) 2008-09-12 2009-09-10 Proximity sensor based inpu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2/559,081 US20100066696A1 (en) 2008-09-12 2009-09-14 Proximity sensor based inpu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183A KR20100031204A (ko) 2008-09-12 2008-09-12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204A true KR20100031204A (ko) 2010-03-22

Family

ID=4134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183A KR20100031204A (ko) 2008-09-12 2008-09-12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066696A1 (ko)
EP (1) EP2166436A1 (ko)
KR (1) KR201000312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73B1 (ko) * 2010-08-31 2012-02-28 주식회사 이음플러스 근접센서를 이용한 이동 감지장치 및 이동 감지방법
KR20150061274A (ko) * 2013-11-27 2015-06-04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Rf 센서 및 영상센서를 이용한 3차원 동작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2017086751A1 (ko) * 2015-11-19 2017-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0901A1 (en) * 2010-06-02 2011-12-08 Microsoft Corporation Intelligent Input Handling
US8610681B2 (en) * 2010-06-03 2013-12-1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201209694A (en) * 2010-08-26 2012-03-01 Chi Mei Comm System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on a user interface
KR20120028553A (ko) * 2010-09-15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터치 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US9547438B2 (en) * 2011-06-21 2017-01-17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Gesture based user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US20130155010A1 (en) * 2011-12-14 2013-06-20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Capacitive Proximity Based Gesture Input System
JP5846930B2 (ja) * 2012-01-24 2016-01-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594499B2 (en) * 2012-02-21 2017-03-1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hover-based spatial searches on mobile maps
US9201548B2 (en) * 2012-05-03 2015-12-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aterial-discerning proximity sensing
US9130266B2 (en) * 2012-09-19 2015-09-08 Htc Corporatio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CN103412622A (zh) * 2013-08-27 2013-11-27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4866080B (zh) * 2014-02-24 2020-08-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屏幕内容显示方法和系统
US9652044B2 (en) * 2014-03-04 2017-05-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ity sensor-based interactions
US9575014B2 (en) 2014-12-22 2017-02-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aterial determination by sweeping a range of frequencies
US10649559B2 (en) * 2017-04-20 2020-05-12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2951A (en) * 1989-04-28 1993-10-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gesture recognition in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5675326A (en) * 1990-04-11 1997-10-07 Auto-Sense, Ltd. Method of determining optimal detection beam locations using reflective feature mapping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GB0017793D0 (en) * 2000-07-21 2000-09-06 Secr Defence Human computer interface
US20080052090A1 (en) * 2003-09-04 2008-02-28 Jens Heinemann Method and Device for the Individual, Location-Independent Designing of Images, Cards and Similar
GB0323570D0 (en) * 2003-10-08 2003-11-12 Harald Philipp Touch-sensitivity control panel
US7653883B2 (en) * 2004-07-30 2010-01-26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CN101137956A (zh) * 2005-03-10 2008-03-0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与触摸屏显示器交互的多个对象的位置、大小和形状的系统和方法
US9019209B2 (en) * 2005-06-08 2015-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location determination involving multiple touch location processes
EP1988448A1 (en) * 2006-02-23 2008-11-05 Pioneer Corporation Operation input device
US20070222765A1 (en) * 2006-03-22 2007-09-27 Nokia Corporation Slider input lid on touchscreen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8665225B2 (en) * 2007-01-07 2014-03-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preting a finger gesture
US8860683B2 (en) * 2007-04-05 2014-10-14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grated button activation sensing and proximity sensing
US8674946B2 (en) * 2007-10-04 2014-03-18 Alpin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iming of status change of electronics apparatus based on user's finger location and input speed
US8576181B2 (en) * 2008-05-20 2013-11-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touch and wallpap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I442293B (zh) * 2008-07-09 2014-06-21 Egalax Empia Technology Inc 電容式感測裝置及方法
KR101554183B1 (ko) * 2008-10-15 2015-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US20100117970A1 (en) * 2008-11-11 2010-05-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s Using Touch Sensitive Interfaces with Contact and Proximity Detection and Relate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8060029B2 (en) * 2009-05-19 2011-11-15 Broadcom Corporation Antenna with resonator grid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73B1 (ko) * 2010-08-31 2012-02-28 주식회사 이음플러스 근접센서를 이용한 이동 감지장치 및 이동 감지방법
WO2012030078A3 (ko) * 2010-08-31 2012-05-10 주식회사 이음플러스 근접센서를 이용한 이동 감지장치 및 이동 감지방법
KR20150061274A (ko) * 2013-11-27 2015-06-04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Rf 센서 및 영상센서를 이용한 3차원 동작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2017086751A1 (ko) * 2015-11-19 2017-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조방법
US10768754B2 (en) 2015-11-19 2020-09-08 Hyundai Motor Company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1281344B2 (en) 2015-11-19 2022-03-22 Hyundai Motor Company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6436A1 (en) 2010-03-24
US20100066696A1 (en)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1204A (ko) 근접 센서 기반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US11681430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auxiliary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80491B1 (ko)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841574B1 (ko)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91478B1 (ko) 통합 입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9703456B2 (en) Mobile terminal
CN108268187A (zh) 智能终端的显示方法及装置
JP7393541B2 (ja) ビデオ表示方法、電子機器及び媒体
KR20110093327A (ko) 3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201212347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方法
KR20110040352A (ko) 리스트 스크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CN110868636B (zh) 视频素材的截取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9743461B (zh)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530546B1 (ko)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CN112738607A (zh) 播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966708B1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10868642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6502522A (zh) 移动终端的操作控制方法及装置
CN106406661A (zh) 拍摄界面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5185396B (zh) 一种播放音频信号的方法和装置
CN109032492B (zh) 一种切歌的方法及装置
CN108966026B (zh) 制作视频文件的方法和装置
WO2022227589A1 (zh) 音频处理方法及装置
CN107920015A (zh) 发布图片的方法和发布图片的装置
CN108965990B (zh) 控制音高线移动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