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2029A -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2029A
KR20070122029A KR1020060056968A KR20060056968A KR20070122029A KR 20070122029 A KR20070122029 A KR 20070122029A KR 1020060056968 A KR1020060056968 A KR 1020060056968A KR 20060056968 A KR20060056968 A KR 20060056968A KR 20070122029 A KR20070122029 A KR 20070122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redetermined value
electronic device
remaining amount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6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22029A/ko
Publication of KR2007012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10Control circuit supply, e.g.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시스템부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상기 시스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전자장치의 사용시간을 최대로 할 수 있고,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이 필요한 타이밍을 전자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DEVICE WITH A BATTE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터리 20 : 시스템부
30 : 표시부 40 : UI 생성부
50 : 제어부 60 : 사용자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나 모바일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장치는 휴대가 가능하여 이 동 중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의 휴대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휴대 중의 전원공급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용량 또는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전자장치에 구비된 배터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그 배터리 잔량 데이터에 오차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충전 및 방전의 반복으로 인한 배터리 충전 용량의 변화, 배터리의 사용환경 등의 변화 등이 원인이 되어 배터리 잔량 데이터에 오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배터리의 전체 용량을 재설정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데 이를 배터리 캘리브레이션(Battery Calibration)이라 한다.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은 배터리의 충전시에는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시키고, 배터리의 방전시에는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킴으로써, 실제 배터리의 잔량과 전자장치가 제공하는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일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은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늘리는 데 필수적이지만, 배터리의 방전이 필요하지 않은 때에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단축되며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해야 할 올바른 타이밍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로 하고,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방지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 이다.
상기 목적은,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시스템부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상기 시스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소정값 이하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UI생성부가 상기 UI를 생성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소정값 이하인 경우 동작하는 제1전원모드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관계없이 동작하는 제2전원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전원모드를 선택받는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UI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UI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원모드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상기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상기 시스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로 판단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로 판단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U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로 판단된 경우 동작하는 제1전원모드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관계없이 동작하는 제2전원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UI를 표시하여, 상기 선택된 전원모드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는 전자장치(1)에 장착되는 배터리(10)를 소모하는 시스템부(20)와, 사용자의 지시을 입력받는 UI를 생성하기 위한 UI생성부(30)와, UI생성부(30)에 의해 생성된 UI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0)와, 배터리(10)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배터리(10)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시스템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배터리(10)는 전자장치(1)에 장착되어, 전자장치(1)에 접속된 AC어댑터(미도시)로부터 정류된 소정의 DC전원을 시스템부(20)에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10)의 일예로, 스마트 배터리를 들 수 있는데, 스마트 배터리는 그 내부에 마이컴과 메모 리를 포함한다.
배터리(10)에 포함된 마이컴은 배터리(10)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 예컨대 배터리(10)의 상태, 배터리(10)의 잔량, 제조업체 정보 등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배터리(10)가 장착된 전자장치(1)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1)는 배터리(10)로부터 제공된 DC전원을 시스템부(20)에 공급하고, 배터리(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10)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전원을 관리한다.
시스템부(20)는 전자장치(1)의 주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전자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가 휴대용 컴퓨터인 경우, 시스템부(20)의 전자부품은 CPU, 램 등의 메모리,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부(20)는 배터리(10)로부터 제공된 DC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UI생성부(3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입력받기 위한 UI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UI생성부(30)에 의해 생성된 UI를 통해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에 대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가 처리한 정보를 저장한 후, 전자장치(1)의 전원을 종료하거나 절전모드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표시부(40)는 UI생성부(30)에 의해 생성된 UI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부(40)에 표시된 UI를 통해 전자장치(1)에 장착된 배터리(10)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표시부(10)는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로 구현된다.
제어부(50)는 배터리(10)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배터리(10)의 잔량 이 단위시간당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시스템부(2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50)는 배터리(10)의 잔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10)의 잔량이 10%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전자장치(1)가 로우 배터리(Low Battery : LB) 상태로 인식되면 시스템부(20)에 포함된 CPU가 최대로 동작하도록 하고, CPU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FAN의 속도 역시 최대가 되도록 시스템부(20)를 제어한다. 물론, 표시부(10)가 LCD 패널인 경우, LCD에 포함된 광원의 밝기를 최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의 표시부(4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의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60a)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50)는 전자장치(1)의 바이오스 설정화면에서 도 2a에 표시된 인터페이스(60a)가 표시되도록 UI생성부(30)와 표시부(4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60a)를 통해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자동으로 수행할지 또는 수동으로 수행할지 여부도 설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60a)를 통해 사용자가 자동(Auto)모드(이하,'제1전원모드'라 함)를 선택하면, 제어부(50)는 사용자로부터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가 없는 경우에도, 배터리(10)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이면 시스템부(20)에 포함된 CPU, FAN 등의 동작을 최대로 함으로써, 배터리(10)의 잔량이 빠르게 소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60a)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Manual)모드(이하, '제2전원모드'라 함)를 선택하면, 제어부(50)는 사용자로부터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가 있는 경우, 즉 사용자가 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를 입력하면, 즉시 시스템부(20)에 포함된 CPU, FAN 등의 동작을 최대로 함으로써, 배터리(10)의 잔량이 빠르게 소비되도록 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에 장착된 배터리(10)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60b)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50)는 전자장치(1)의 배터리(10)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도 2b의 인터페이스(60b)를 표시부(40)에 표시하도록 UI생성부(30)와 표시부(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60b)를 통해 전자장치(1)에 장착된 배터리(10)의 상태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장치(1)의 전원모드를 최대절전모드로 변경할 것인지, 전원을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인터페이스(60b)에 표시된 메뉴 중 최대절전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50)는 전자장치(1)가 처리 중인 모든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배터리(10)를 완전히 방전시킨다.
최대절전모드에서는 전자장치(1)의 상태가 메모리에 모두 저장되므로, 배터리(10)가 완전히 방전된 후 다시 충전되면, 모드 선택시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인터페이스(60b)에 표시된 메뉴 중 전원의 종료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50)는 시스템부(20)가 배터리(10)를 빠르게 소비하도록 제어한 후, 배 터리(10)가 완전히 방전되면 전원장치(1)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배터리(10)를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60b)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소정의 시간(도 2b에서는 "10초")이 경과한 후에 자동적으로 미리 설정된 상태(최대절전모드 또는 전원종료)로 진입하게 함으로써, 배터리(10)의 잔량이 빠르게 소비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지 않음으로써, OS의 동작으로 인해 배터리(10)가 자연적으로 소비된 후 전원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3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50)는 사용자로부터 제1전원모드와 제2전원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다(S10).
제어부(50)는, 단계 S10에서 제1전원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0), 제1전원모드가 선택된 경우 배터리(10)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30). 제어부(50)는, 단계 S30에서 배터리(10)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배터리(10)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시스템부(20)를 제어한다(S40).
제어부(50)는, 단계 S10에서 제2전원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10)의 잔량에 관계없이 배터리(10)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시스템부(20)를 제어한다(S40).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해야 할 올바른 타이밍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로 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시스템부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상기 시스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소정값 이하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UI생성부가 상기 UI를 생성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소정값 이하인 경우 동작하는 제1전원모드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관계없이 동작하는 제2전원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전원모드를 선택받는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UI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UI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원모드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상기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상기 시스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로 판단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로 판단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U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값 이하로 판단된 경우 동작하는 제1전원모드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관계없이 동작하는 제2전원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UI를 표시하여, 상기 선택된 전원모드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단위시간당 소정값 이상으로 소비 및 완전 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56968A 2006-06-23 2006-06-23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22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968A KR20070122029A (ko) 2006-06-23 2006-06-23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968A KR20070122029A (ko) 2006-06-23 2006-06-23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029A true KR20070122029A (ko) 2007-12-28

Family

ID=3913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968A KR20070122029A (ko) 2006-06-23 2006-06-23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220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1697C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in mobile units
KR100630929B1 (ko) 전자기기 시스템 및 전자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5259154A (ja) コンピュータおよび電源制御方法
KR20080032764A (ko) 사용자 선택에 따라 배터리 충전모드를 변경하는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0286994A (ja) 電子機器、そのバッテリ使用可能時間の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KR100333771B1 (ko) 충전가능한배터리의용량캘리브레이팅방법
KR100630927B1 (ko) 전자기기
JP2004227832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動作制御方法
EP2479640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system performance thereof
JP2001273055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のシステム起動方法
CN113961060B (zh) 电子装置与其电量管理方法
JP2004159382A (ja) 電子機器
JP2002078227A (ja) バッテリ充電制御装置
JP2004318629A (ja) 電子機器
JP4030408B2 (ja) 動作周波数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797419B2 (en) Electronic apparatus powered by fuel cell having oxygen density detector
KR20070122029A (ko)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151489A (ja) 情報処理装置
JP3135718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cpuクロックの切換制御方法
KR101070629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0011682A (ja) 情報処理装置、バッテリ装置、バッテリ充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71759A (ja) 2次電池のリ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KR101331224B1 (ko) 휴대용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JP2809661B2 (ja) 電池駆動型情報処理装置、電池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池管理装置
KR20040050580A (ko)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