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204A - 기판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세정시스템 - Google Patents

기판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세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204A
KR20070121204A KR1020060055965A KR20060055965A KR20070121204A KR 20070121204 A KR20070121204 A KR 20070121204A KR 1020060055965 A KR1020060055965 A KR 1020060055965A KR 20060055965 A KR20060055965 A KR 20060055965A KR 20070121204 A KR20070121204 A KR 20070121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rack
stage
spool portion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21204A/ko
Publication of KR2007012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46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crubbing means, e.g. brush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6Methods for cleaning the liquid crystal cells, or components thereof, during manufacture: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송과정에서의 기판 오염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판이송장치와, 이를 이용해서 기판의 앞뒷면을 동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기판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판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트랙과; 상기 트랙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며, 그 상면으로부터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핀이 돌출된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기판이송장치를 제공하고, 아울러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엑시머레이저를 구비한 레이저유닛과;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약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약액노즐을 구비한 베스유닛와;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액노즐을 구비한 제 1 린싱유닛과;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의 앞뒷면에 밀착 회전되는 적어도 두 개의 롤브러쉬를 구비한 제 2 린싱유닛과; 상기 트랙이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CDA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나이프를 구비한 건조유닛을 포함하는 기판의 세정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판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세정시스템{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and substrate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기판이송장치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의 일부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세정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세정시스템의 측면 개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기판 50 : 트랙
52 : 샤프트 54 : 가이드롤러
56 : 스풀부 58 : 휠부
60 : 오링 70 : 스테이지
72 : 지지핀 74 : 개구부
본 발명은 기판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송과정에서의 기판 오염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판이송장치와, 이를 이용해서 기판의 앞뒷면을 동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기판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전기적 신호에 의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시각적 화상으로 변환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이에 부응해서 경량화, 박형화, 저소비전력화의 장점을 지닌 여러 가지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 FPD)가 소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의 대표적인 몇 가지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화상구현을 위한 평판표시패널(plat display panel)을 공통의 필수요소로 하며, 이는 고유의 형광 또는 편광 물질층을 사이에 두고 두 기판(substrate)을 나란히 합착시킨 형태를 나타낸다. 최근에는 특히 평판표시패널 상에 화상표현의 기본단위인 화소(pixel)를 행렬로 배열하고 각각을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와 같은 스위칭소자로 개별 제어하는 능동행렬방식(active matrix type)이 동영상 구현능력과 색 재현성에서 뛰어나 널리 이용된다.
한편, 일반적인 평판표시장치 제조공정의 대부분은 기판을 대상으로 진행되는데, 예를 들어 기판 표면에 소정물질의 박막을 형성하는 박막증착(deposition), 상기 박막의 선택된 일부를 노출시키는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상기 박막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목적하는 형태로 패터닝(patterning)하는 식각(etching) 등이 수 차례 반복되고, 그 외 합착이나 절단을 비롯한 세정 등의 다양한 공정이 수반된다. 이중에서 세정은 제품의 신뢰도 향상은 물론 불량저감을 위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공정으로, 전체 제조공정의 3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기판 사이즈(size)가 대면적화되는 현 추세에 있어서 불량감소에 따른 비용절감 측면을 고려할 경우에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일반적인 세정은 시간과 비용절감의 효과를 꾀하고자 기판의 이송중에 진행되는 이른바 인라인(in-line)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이 경우 기판은 기판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다.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기판이송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일반적인 기판이송장치는 기판(2)을 슬라이딩(sliding) 이동시키는 컨베이어(conveyor) 방식을 취하는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샤프트(shaft : 10)가 나란히 열을 이루어 기판 이동경로인 트랙(track : 12)을 구성하고, 기판(2)은 이들 복수의 샤프트(10)에 안착된 상태로 각각의 회전에 의해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이러한 트랙(12)은 공정장비를 비롯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세정유닛을 관통하며, 이에 따라 기판(2)은, 예컨대 엑시머레이저(excimer laser)로 기판 표면의 유기물을 제거하는 레이저유닛(laser unit)과, 습식식각 내지는 기판 상의 잔류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제거하기 위한 베스유닛(bath unit)과, 기판 상에 잔류된 약액을 제거하기 위한 DI(De-Ionized Water) 등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린싱유닛(rinsing unit)과, 잔류수분 제거를 위한 건조유닛 등을 차례로 경유하고, 이로써 습식식각 내지는 잔류 포토레지스트의 제거를 위한 스트립(stripe)을 비롯한 세정이 차례로 완료된다.
하지만 이상에서 살펴본 일반적인 기판이송장치는 기판(2)과 트랙(12)의 물리적 접촉으로 인한 몇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는데, 기판(2)과 직접 맞닿아 회전하는 샤프트(10)에 습식식각용 약액이나 포토레지스트 내지는 이를 제거하기 위한 스트립용액 또는 이물 등이 묻어있는 경우 기판(2)으로 전사되어 오히려 기판(2)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일반적인 기판이송장치의 각 샤프트(10)에는 기판(2)의 좌우양측을 가이드(guide)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guide roller : 14)가 관통 체결되며, 기판(2)의 정렬상태가 틀어지면 이들 가이드롤러(14)가 기판(2)의 측방에서 재 정렬을 위한 압력을 가하게 된다. 하지만 기판(2) 하중에 의한 관성 내지는 샤프트(10)와의 강한 마찰력에도 불구하고 가이드롤러(14)가 기판(2)에 무리한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리나 석영과 같이 깨지기 쉬운 재질로 이루어진 기판(2)이 파손되는 현상 또한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판과 트랙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이송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판 오염 가능성과 파손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기판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세정을 진행할 수 있는 기판세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트랙과; 상기 트랙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상면으로부터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핀이 돌출된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기판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트랙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의 나란한 배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테이지에는, 상기 기판 배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각 샤프트는, 상기 스테이지의 좌우 양 측면을 가이드하도록 관통 체결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각 샤프트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스테이지 배면을 따라 밀착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롤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는, 상기 스테이지의 배면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스풀부과; 상기 각 스풀부 외측에서 상기 스풀 부 보다 큰 직경을 나타내며, 상기 각 스풀부를 향해 비스듬히 하강되는 테이퍼 경사면을 제공하는 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스풀부 외면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스테이지의 배면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가이드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풀부에 각각 체결된 오링과; 상기 가이드단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오링이 수용되는 오링홈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기재에 따른 기판이송장치를 이용한 기판의 세정시스템으로서,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엑시머레이저를 구비한 레이저유닛과;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약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약액노즐을 구비한 베스유닛와;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액노즐을 구비한 제 1 린싱유닛과;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의 앞뒷면에 밀착 회전되는 적어도 두 개의 롤브러쉬를 구비한 제 2 린싱유닛과; 상기 트랙이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CDA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나이프를 구비한 건조유닛을 포함하는 기판의 세정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약액은, 습식식각용 식각액 또는 포토레지스트의 제거를 위한 스트립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기판(2)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트랙(50)과, 기판(2)을 지지한 상태로 트랙(50) 상부에 안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스테이지(stage : 70)로 이루어진다.
이때 트랙(50)은 복수개의 나란한 샤프트(52)가 나란히 열을 지어 배열된, 이른바 롤러 컨베이어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각각의 샤프트(52)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러한 트랙(50)의 샤프트(52)에 안착된 스테이지(70)는 각 샤프트(52)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그 상면으로부터는 복수개의 지지핀(72)이 돌출되어 기판(2)을 지지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기판(2)이 트랙(50)에 직접 안착되는 대신, 트랙(50)에 안착된 스테이지(70)에 기판(2)이 탑재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는 방식을 취하는바, 스테이지로(70)부터는 기판(2)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핀(72)이 직립되고, 그 결과 기판(2)은 복수의 지지핀(72)에 얹혀져 스테이지(70)와 일정간격을 두고 대면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기판(2)과 트랙(50)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배제함에 따라 트랙(50)에 의한 기판(2) 오염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하고 있다.
아울러 스테이지(70)에는 기판(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74)가 관통될 수 있고, 이러한 개구부(74)는 지지핀(72)의 장착위치를 제외한 스테이지(70)의 전 면적에 걸쳐 가급적이면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에 의해 기판(2) 배면의 대부분은 그 하단의 트랙(50)과 일정간격을 두고 직접 노출된다. 이때 스테이지(70)에 개구부(74)가 관통되는 이유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시스템에서 기판(2)의 앞뒷면에 대한 동시세정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 으로,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의 트랙(50)을 구성하는 복수의 샤프트(52) 각각에는 스테이지(70)의 좌우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54)가 관통 체결될 수 있고, 스테이지(70)에는 트랙(50)을 따르는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위해 배면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가이드단(76)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의 일부에 대한 정면도인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각각의 샤프트(52)에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롤러(54)가 관통 체결되며, 이들 가이드롤러(54)는 각각 스테이지(70)의 좌우 양 측면이 얹혀지는 소정폭의 스풀부(56)와, 이의 외측에서 스테이지(70)의 좌우 양 측면을 가이드하는 휠부(58)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풀부(56)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오링(O-ring : 60)이 끼워질 수 있고, 휠부(58)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은 스테이지(70)의 위치 이탈 시(時) 하중에 의한 재 정렬이 가능하도록 스테이지(7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직경이 증가하는 테이퍼(taper) 형상의 경사면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중 스풀부(56)에 안착되는 스테이지(70)의 배면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스풀부(56)의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가이드단(76)이 마련될 수 있고, 여기에는 특히 오링(60)을 수용하는 오링홈(78)이 만입될 수 있는바, 스테이지(70)의 슬라이딩에 의해 각 샤프트(52) 가이드롤러(54)의 스풀부(56)는 가이드단(76)을 따라 밀착 회전하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각 샤프트(52)의 스풀부(56)와 스테이지(70) 배면의 가이드단(76) 사이의 맞물림 회전에 의해 스테이지(70)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진다. 반면, 스테이지(70)가 트랙(50) 상의 정 위치로부터 이탈된 경우에는 휠부(58) 내면의 테이퍼 형상에 의해 자체하중에 따른 재 정렬이 가능하다. 이때 가이드단(76)은 직접적인 마찰을 수반하므로 별도의 보강재가 덧붙여질수도 있고, 도면상에 명확하게 나타나진 않았지만 스풀부(56)의 외면에 경사 내지는 단차 등의 일정형상이 부여된 경우에 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필요하다면 도시된 것처럼 각 샤프트(52)에 관통 체결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54) 사이로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롤러(62)가 관통 체결될 수 있고, 이들은 스테이지(70) 배면에 직접 밀착되어 샤프트(52)의 회전력을 손실없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를 이용한 세정시스템은 기판(2)의 앞뒷면에 대한 동시 세정 및 처리가 가능한데,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세정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5는 측면 개요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판세정시스템은 서로 다른 공정을 수행하는 복수의 유닛이 열을 지어 배치된 형태를 나타내며, 이들 각 유닛을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가 차례로 관통한다. 이때 기판세정시스템의 각 유닛은 기판(2)의 이동경로를 따라 임의로 레이저유닛(84), 베스유닛(86), 제 1 및 제 2 린싱유닛(88,92), 건조유닛(94)의 순서를 나타낼 수 있고, 이들 사이의 적절한 지점에는 기판(2) 이송방향의 전환을 위한 터닝포인트(turning point : 9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최초의 레이저유닛(84) 이전에는 로더(loader : 80)의 기판(2)을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의 스테이지(70)로 적재하는 인컨베이어포인트(in conveyor point : 82)가, 최종의 건조유닛(94) 다음에는 스테이지(70)의 기판(2)을 외부의 언로더(98)로 하역하는 아웃컨베이어포인트(out conveyor point : 96)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로더(80)에는 세정을 위한 복수의 기판(2)이 수납된 카세트(cassette)가 놓여질 수 있고, 이러한 카세트 내의 기판(2)은 인컨베이어포인트(82)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의 스테이지(70)에 적재되어 트랙(50)을 따라 이동한다. 다음으로 레이저유닛(84)에는 트랙(50)의 상 하단에서 기판(2)을 향해 각각 엑시머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램프 등의 레이저발진수단(85)이 마련되고, 이를 통해 기판(2) 앞뒷면의 유기물이 제거된다. 이어서 베스유닛(86)에는 트랙(50)의 상 하단에서 기판(2)을 향해 각각 습식식각용 식각액을 분사하거나 또는 잔류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스트립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약액노즐(87)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기판(2) 앞뒷면에 대한 습식식각 또는 잔류 포토레지스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이후 제 1 린싱유닛(88)에는 트랙(50)의 상 하단에서 기판(2)을 향해 각각 DI 등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노즐(89)이 구비되고, 제 2 린싱유닛(92)에는 트랙(50)의 상 하단에서 기판(2)의 앞뒷면에 각각 밀착 회전하는 롤브러쉬(93)가 구비되는바, 이들에 의해 기판(2) 앞뒷면의 약액과 이물이 제거된다. 그리고 건조유닛(94)에는 트랙(50)의 상 하단에서 기판(2)을 향해 각각 고압의 CDA(Clean Dry Air)를 분사하는 에어나이프(95)가 마련되고, 이를 통해 기판(2) 앞 뒷면의 잔류수분이 제거된다. 이후 최종적으로 아웃컨베이어 포인트(96)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의 스테이지(70)에 안착된 기판(2)은 언로더(98)로 하역되어, 대기 중인 별도의 카세트에 수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세정 및 처리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의 스테이지(70)에 안착된 기판(2)은 앞면을 비롯해서 스테이지(70)의 개구부(도 2의 74 참조, 이하 동일하다.)에 의해 뒷면 또한 노출되고, 따라서 각 유닛 내에서 기판(2)의 앞뒷면에 대한 세정 및 처리가 이루어지는바, 특히 기판(2) 뒷면에 대한 세정 및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스테이지(70)의 개구부(74)는 가급적이면 그 면적이 넓은 것이 유리하다.
한편, 앞서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기판세정시스템의 각 유닛은 몇 가지 예에 지나지 않으며, 그 외에 필요하다면 초음파에 의한 공동(cavitation) 효과를 응용해서 기판(2) 앞뒷면에 접촉되는 유체 내에 기포를 발생시켜 이의 발생 및 소멸에 따른 충격으로 기판(2)을 세정하는 케비테이션젯유닛(cavitation jet unit), 고주파에 의한 유체의 분자진동으로 기판(2) 앞뒷면을 세정하는 메가소닉유닛(megasonic unit) 등 그 밖의 여러 유닛이 대체 또는 병합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상의 기재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판이송장치를 이용할 경우에 기판과 트랙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배제함에 따라 이송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판 오염과 파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를 이용한 기판세정시스템은 기판의 앞뒷면에 대한 효과적인 세정 및 처리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기판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트랙과;
    상기 트랙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상면으로부터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핀이 돌출된 스테이지
    를 포함하는 기판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의 나란한 배열로 이루어지는 기판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에는, 상기 기판 배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관통된 기판이송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샤프트는, 상기 스테이지의 좌우 양 측면을 가이드하도록 관통 체결 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더욱 포함하는 기판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샤프트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스테이지 배면을 따라 밀착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롤러를 더욱 포함하는 기판이송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는,
    상기 스테이지의 배면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스풀부과;
    상기 각 스풀부 외측에서 상기 스풀부 보다 큰 직경을 나타내며, 상기 각 스풀부를 향해 비스듬히 하강되는 테이퍼 경사면을 제공하는 휠부
    를 포함하는 기판이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스풀부 외면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스테이지의 배면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가이드단을 더욱 포함하는 기판이송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부에 각각 체결된 오링과;
    상기 가이드단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오링이 수용되는 오링홈
    을 더욱 포함하는 기판이송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의 기재에 따른 기판이송장치를 이용한 기판의 세정시스템으로서,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엑시머레이저를 구비한 레이저유닛과;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약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약액노즐을 구비한 베스유닛와;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액노즐을 구비한 제 1 린싱유닛과;
    상기 트랙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의 앞뒷면에 밀착 회전되는 적어도 두 개의 롤브러쉬를 구비한 제 2 린싱유닛과;
    상기 트랙이 상 하부에서 각각 상기 기판을 향해 CDA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나이프를 구비한 건조유닛
    을 포함하는 기판의 세정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은, 습식식각용 식각액 또는 포토레지스트의 제거를 위한 스트립액인 기판의 세정시스템.
KR1020060055965A 2006-06-21 2006-06-21 기판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세정시스템 KR20070121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965A KR20070121204A (ko) 2006-06-21 2006-06-21 기판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세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965A KR20070121204A (ko) 2006-06-21 2006-06-21 기판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세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204A true KR20070121204A (ko) 2007-12-27

Family

ID=3913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965A KR20070121204A (ko) 2006-06-21 2006-06-21 기판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세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2120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62B1 (ko) * 2008-05-19 2008-10-17 김명학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치
KR100879085B1 (ko) * 2008-03-12 2009-01-15 (주)아이에스테크노 웨이퍼 연마용 리테이너 링
KR100926189B1 (ko) * 2008-01-04 2009-11-11 삼성전기주식회사 지그
KR101054917B1 (ko) * 2009-05-08 2011-08-05 주식회사 디엠에스 기판세정장치
KR101159208B1 (ko) * 2012-02-13 2012-06-25 백산철강(주) 필름이송시스템
KR20130113812A (ko) * 2012-04-06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용 세정장치
KR20140028578A (ko) * 2012-08-29 2014-03-10 세메스 주식회사 노즐
KR102125711B1 (ko) 2020-04-07 2020-06-23 황인 금속 박판 처리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189B1 (ko) * 2008-01-04 2009-11-11 삼성전기주식회사 지그
KR100879085B1 (ko) * 2008-03-12 2009-01-15 (주)아이에스테크노 웨이퍼 연마용 리테이너 링
KR100864262B1 (ko) * 2008-05-19 2008-10-17 김명학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치
KR101054917B1 (ko) * 2009-05-08 2011-08-05 주식회사 디엠에스 기판세정장치
KR101159208B1 (ko) * 2012-02-13 2012-06-25 백산철강(주) 필름이송시스템
KR20130113812A (ko) * 2012-04-06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용 세정장치
KR20140028578A (ko) * 2012-08-29 2014-03-10 세메스 주식회사 노즐
KR102125711B1 (ko) 2020-04-07 2020-06-23 황인 금속 박판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21204A (ko) 기판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세정시스템
US200600459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photoresist
TWI543825B (zh) A coating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ating treatment method
KR20090051930A (ko) 기판 세정 장치 및 방법
TW200526425A (en) Droplet ejecting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producing method,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179889B1 (ko) 평판표시장치용 브러쉬 세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브러쉬세정방법
KR101252481B1 (ko) 세정장치를 구비한 인-라인 현상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40082163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060004308A (ko) 포토 마스크 세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103811B1 (ko) 회전식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
KR20070118478A (ko) 평판표시장치용 습식식각 장비
KR101043712B1 (ko) 기판 이송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
KR101620547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
KR101966768B1 (ko) 기판 세정장치
KR20080049276A (ko) 버블젯 세정 유닛
KR102201884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33122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를 위한 기판세정장치
JP2978806B2 (ja) 基板の処理方法
KR101002003B1 (ko) 노즐 세정장치 및 방법
CN104425321A (zh) 基板处理装置以及方法、包括该装置的基板处理系统
KR101870293B1 (ko) 러빙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판이송로봇
KR20060001020A (ko)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포토마스크의 세정시스템
KR100987674B1 (ko) 노즐 세정장치 및 방법
KR102056857B1 (ko) 셔틀 및 이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KR20080054124A (ko) 평판 표시 소자용 기판 건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