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920A - 실험용기 - Google Patents

실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920A
KR20070119920A KR1020060054483A KR20060054483A KR20070119920A KR 20070119920 A KR20070119920 A KR 20070119920A KR 1020060054483 A KR1020060054483 A KR 1020060054483A KR 20060054483 A KR20060054483 A KR 20060054483A KR 20070119920 A KR20070119920 A KR 20070119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contact
inlet
experiment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상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엘
Priority to KR102006005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9920A/ko
Publication of KR2007011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6Crystallising di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0Petri dis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8Caps; Covers; Plugs; Pou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8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enabling gas exchange, e.g.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8Side 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덮개가 접촉되는 접촉면에 결로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실험용기를 개시한다.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입구가 일측면에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를 덮는 상부와 상기 상부의 테두리를 따라 직각을 이루도록 돌출되고 연장된 측부로 이루어진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의 입구를 복개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의 상부 내측면에서 발생되는 결로가 상기 본체와 덮개의 접촉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측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결로유입방지턱으로 구성됨으로써, 결로유입방지턱에 의해 덮개의 상부 내측면에서 발생되는 결로가 본체와 덮개의 접촉면으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접촉면 부위의 오염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체, 덮개, 결로유입방지턱

Description

실험용기{VESSEL FOR LABORATORY}
도 1은 종래 구조의 실험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험용기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실험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실험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덮개 104 : 결로유입방지턱
110 : 본체
본 발명은 실험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로유입방지턱에 의해 덮개와 본체의 접촉면에 결로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체와 덮개가 접촉되는 접촉면에 본체 엠보싱면 및 덮개 엠보싱면을 형성하여 외부 이물질은 걸러지고 공기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실험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세포 또는 조직 배양이란 다세포로 이루어진 식물의 기관, 조직 또는 세포 등을 식물체에서 적출, 분리하여 영양분이 들어있는 기내에서 배양하여, 캘러스(callus, 분열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기관이 형성되지 않은 조직으로 흔히 상처에서 형성되는 무정형성의 덩어리) 또는 단세포 집단을 유기시키거나 식물체 또는 기관을 캘러스, 세포 또는 원조직편 등에서 직접 분화시키는 일련의 조작을 일컫는 것으로 정의되며, 세균, 진균 등의 미생물을 포함하여 식물 또는 동물 등과 같은 고등생물의 세포 또는 조직은 시험관 내에서 배양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미생물, 식물 및 동물의 세포, 조직의 배양은 무균의 배양배지를 무균의 배양용기인 실험용기(삼각플라스크, 유리병, 페트리디쉬 등 )에 주입하고 거기에 오염되지 않은 세포 또는 조직을 치상한 다음 외부의 오염원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덮개를 덮은 상태로 배양실에서 일정기간 동안 배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험용기 중에 하나인 페트리디쉬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본체(10)와 본체(10)의 개구부인 입구(11)를 복개하는 덮개(1)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입구(11) 부에 끼워지도록 본체(10) 입구의 외경과 덮개(1)의 내경 사이에는 일정량의 간격이 형성되어 덮개(1)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실험용기는 배양중에 본체(10)의 내부수용공간에 함유된 수분이 배양중에 덮개(1)의 상부 내측면에 결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덮개(1)의 상부 내측면에 맺힌 수분은 본체(10)와 덮개(1)의 접촉 면 틈새로 유입되고, 틈새로 유입된 수분에 외부 공기가 접촉되면서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미생물이 번식하게 되어 실험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실험용기는 본체(10) 입구의 외경과 덮개(1)의 내경 사이 간격유지가 용이하지 못하고, 그 간격(d)이 작으면 덮개(1)가 잘 끼워지지 못하고, 그 간격(d)이 크게 되면 헐거워져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덮개(1)를 덮은 상태에서 이송하게 되는 경우 덮개(1)가 본체(10)에서 미끄러져 이탈되거나, 떨어뜨림 위험이 있다.
또한, 무균배양의 경우 본체(10)와 덮개(1) 사이의 틈새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체(10) 입구에 덮개(1)를 복개하고 본체(10)와 덮개(1)를 별도의 실링(Sealing) 테이프로 감아주거나 파라핀 등으로 밀봉함으로써 본체(10)와 덮개(1)를 고정시켜야 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의 상부 내측면에 맺혀진 수분이 덮개와 본체가 접촉되는 접촉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험용기의 본체와 덮개 사이의 간격으로 외부 이물질이 쉽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본체에서 덮개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험용기는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입구가 일측면에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를 덮는 상부와 상기 상부의 테두리를 따라 직각을 이루도록 돌출되고 연장된 측부로 이루어진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의 입구를 복개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의 상부 내측면에서 발생되는 결로가 상기 본체와 덮개의 접촉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측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결로유입방지턱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결로유입방지턱에 의해 덮개의 상부 내측면에 맺혀진 수분이 덮개와 본체의 접촉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실험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실험용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실험용기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본체(110)와 본체(110)의 개구부인 입구(111)를 복개하는 상부(101a)와 상부(101a)의 테두리를 따라 직각을 이루도록 돌출되고 연장된 측부(101b)로 이루어진 덮개(101)로 구성되고, 본체(110) 및 덮개(101)는 원형 단면을 갖는 형상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다각형 구조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체(110)와 덮개(101)는 투명하면서도 강도가 높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스티렌(Polystylene)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본체(110)는 덮개(101)의 측부(101b) 끝단면과 접촉되는 위치인 외측면 상단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15)가 형성되고, 덮개(101)와 접촉되는 접 촉면인 입구(111)의 외측면 상단부와 걸림돌기(115)의 일측면에 본체 엠보싱면(112)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 엠보싱면(112)과 직각을 이루도록 접촉되는 입구(111) 상측면(113)에도 본체 엠보싱면(112)과 동일한 엠보싱면(112)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덮개(101)는 입구(111)를 복개하는 평면 형상을 상부(101a)와 상부(101a)의 테두리를 따라 직각을 이루도록 돌출되고 연장된 측부(101b)로 이루어지고, 상부(101a) 내측면에는 테두리에 접하도록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고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삽입홈(103)이 형성되며, 본체 엠보싱면(112)과 접촉되는 측부(101b)의 내측면과, 걸림돌기(115) 일측면에 접하는 측부(101b) 끝단면 및 상측면(113)에 접하는 삽입홈(103)에는 덮개 엠보싱면(102)이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101)의 측부(101b)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돌출되고 연장되는 결로유입방지턱(104)이 형성된다.
상기 결로유입방지턱은 상부(101a) 내측면에 발생된 결로된 수분이 덮개(101)과 본체(110)의 접촉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것으로서, 사각 및 삼각 단면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돌출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내측면에 접하는 일측면이 중심부를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104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실험용기인 덮개(101)를 본체(110)가 입구(111)에 씌워 덮은 상태가 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입구 끝단면이 덮개(101)의 삽입홈(103)에 삽입되고 덮개(101)와 본체(110)가 접촉되는 접촉면에 형성된 각각 본체 엠보싱면(112)과 덮개 엠보싱면(102) 이 서로 밀착되며, 그 상태로 배양작업을 진행 시 상부(101a) 내측면에 발생되는 결로에 의해 수분이 맺히게 된다.
이때, 덮개(101)의 상부(101a) 내측면에 맺힌 수분은 내측면을 따라 흐르게 되고 결로유입방지턱(104)에 이르러서는 본체 엠보싱면(112)과 덮개 엠보싱면(102)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고, 결로유입방지턱(104)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본체(11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 엠보싱면(112)과 덮개 엠보싱면(102)은 각각 미세한 요철을 이룰 정도의 표면 거칠기를 가지며, 덮개(101)와 본체(110)의 끼워짐 부분의 간격이 중간 끼워맞춤이나 헐거운 끼워맞춤 정도의 틈새 간격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본체 엠보싱면(112)과 덮개 엠보싱면(102)이 밀착되더라도 요철의 틈새를 통해 외부 공기는 본체(110)의 내부 수요공간 내부로 유입이 가능함과 동시에 내부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므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이물질은 미세한 요철부분을 지나면서 걸러지게 되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덮개(101)를 본체(110)에 덮은 상태에서는 본체 엠보싱면(112)과 덮개 엠보싱면(102) 사이의 표면 거칠기에 의해 마찰이 발생되어 덮개(101)가 본체(11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멸균 방법인 오토클레이빙(Autoclaving)에 의한 멸균 작업 시, 완전한 멸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온도 및 압력 조건으로는 온도가 115℃ 일 경우에 압력은 71kN/㎡ 이 유지되어야 하고, 온도가 121℃ 일 경우에는 104kN/㎡이 유지되어야한다. 본체(110) 및 덮개(101)가 각각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프로 필렌 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져 멸균작업 시 상기와 같은 온도 및 압력조건을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실험용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101b) 내측면 하단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돌기(114)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마찰돌기(114)는 본체 엠보싱면(112)이 아니라 덮개 엠보싱면(102)에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마찰돌기(114)가 형성되면 마찰돌기(114)의 높이에 의해 덮개(101)의 측부(101b)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변형량만큼 그 주변부는 본체 엠보싱면(112) 방향으로 밀착되어 덮개(101)가 본체(1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마찰돌기(114)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나 작동효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실험용기는 배양중에 상부(101a) 내측면에 맺힌 수분은 결로유입방지턱(104)에 의해 접촉면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본체(110)의 내부수용공간으로 추락하게 되며, 수분이 접촉면 사이로 유입되어 머무르면서 미생물이 번식되거나,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덮개(101)와 본체(110)가 접촉되는 접촉면에 본체 엠보싱면(112) 또는 덮개 엠보싱면(102)을 형성함으로써, 외부공기는 본체(11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요철의 틈새를 통해 유입될 수 있고, 이물질은 요철 부위에 걸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 엠보싱면(112)과 덮개 엠보싱면(102) 사이의 마찰에 의해 덮개 (101)가 본체(1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작은 충격에 의해 덮개(101)가 쉽게 열리지 않게 되며, 본체(110)의 상단부를 취부하고 이송시키는 경우에도 덮개(101)가 열리면서 본체(110)를 떨어뜨리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마찰돌기(114)에 의해 덮개(101)의 측부(101b)가 변형되면서 덮개 엠보싱면(102)이 본체 엠보싱면(112)에 강하게 밀착된다.
또한, 본체(110)와 덮개(101)가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어 멸균 작업시에 가해지는 온도와 압력을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험용기는 결로방지턱에 의해 덮개의 상부 내측면에 맺히는 수분이 본체와 덮개의 접촉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면 사이에서 미생물이 번식하거나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와 본체가 접촉되는 접촉면에 본체 엠보싱면 또는 덮개 엠보싱면을 형성함으로써, 외부공기는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요철의 틈새를 통해 유입될 수 있고, 이물질은 요철 부위에 걸러지게 되므로 제품의 배양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엠보싱면과 덮개 엠보싱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덮개가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음으로써, 부주의로 인해 덮개가 쉽게 열리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배양기능 및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찰돌기에 의해 덮개의 측부가 변형되면서 덮개 엠보싱면이 본체 엠 보싱면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제품의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와 덮개가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어 멸균 작업시에 가해지는 온도와 압력을 견딜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입구가 일측면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를 덮는 상부와 상기 상부의 테두리를 따라 직각을 이루도록 돌출되고 연장된 측부로 이루어진 덮개;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의 입구를 복개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의 상부 내측면에서 발생되는 결로가 상기 본체와 덮개의 접촉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측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결로유입방지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유입방지턱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향하는 일측면이 중심부를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덮개부가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상기 본체와 덮개부의 접촉면에서 마찰이 발생되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틈새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덮개가 접촉되는 접촉면 중 적어도 일측의 접촉면이 엠보싱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면은
    상기 본체의 입구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본체 엠보싱면; 및
    상기 본체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덮개의 측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덮개 엠보싱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의 입구 끝단부가 요입될 수 있도록 테두리부를 따라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까지 상기 덮개 엠보싱면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본체의 입구 외주면에는 상기 덮개의 측부 끝단면과 접촉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측부 끝단면과 상기 걸림돌기가 접촉되는 접촉면까지 상기 본체 엠보싱면 및 덮개 엠보싱면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덮개부가 접촉되는 접촉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덮개는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기.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덮개는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기.
KR1020060054483A 2006-06-16 2006-06-16 실험용기 KR20070119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483A KR20070119920A (ko) 2006-06-16 2006-06-16 실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483A KR20070119920A (ko) 2006-06-16 2006-06-16 실험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920A true KR20070119920A (ko) 2007-12-21

Family

ID=3913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483A KR20070119920A (ko) 2006-06-16 2006-06-16 실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99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366B1 (ko) * 2013-02-26 2014-11-05 박형주 위생 생수통
KR102484669B1 (ko) 2022-06-08 2023-01-06 주식회사 세니젠 실험용 용기
KR20230017661A (ko) * 2021-07-28 2023-02-06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체외 수정용 배양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366B1 (ko) * 2013-02-26 2014-11-05 박형주 위생 생수통
KR20230017661A (ko) * 2021-07-28 2023-02-06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체외 수정용 배양 장치
KR20230128257A (ko) * 2021-07-28 2023-09-04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체외 수정용 배양 장치
KR20230129333A (ko) * 2021-07-28 2023-09-08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동심 구획벽을 포함하는 체외 수정용 배양 장치
KR20230129330A (ko) * 2021-07-28 2023-09-08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체외 수정용 배양 장치
KR20230129331A (ko) * 2021-07-28 2023-09-08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배양액을 공유할 수 있는 체외 수정용 배양 장치
KR20230129329A (ko) * 2021-07-28 2023-09-08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체외 수정용 배양 장치
KR20230129332A (ko) * 2021-07-28 2023-09-08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방사상 구획벽을 포함하는 체외 수정용 배양 장치
KR102484669B1 (ko) 2022-06-08 2023-01-06 주식회사 세니젠 실험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8422B2 (en) Culture plate comprising a lid for lateral ventilation
US9040293B2 (en) Cell culture dish
US7771991B2 (en) Cell cultivating flask
EP0800571B1 (en) Biological analysis device having improved contamination prevention
JP6869185B2 (ja) マルチウェルプレート用の嵌合蓋
EP3368649B1 (en) Culture insert assembly and system for culture, transfer, and analysis
WO2014042162A1 (ja) マイクロウェルプレート
ES2386821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un recipiente para muestras para el alojamiento de pequeñas cantidades de líquido para análisis
JP2014534058A (ja) 改良された蓋付きの試料管
ES2395346A2 (es) Conjunto de recipiente
JP5288171B2 (ja) 培養用容器
RU2005128289A (ru) Система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инкубации и/или хранения и способ
JP2007516726A (ja) 細胞培養フラスコ
JP2004261171A (ja) マルチウェル装置
KR20070119920A (ko) 실험용기
CN205803470U (zh) 一种微生物培养基用培养皿
CN102149470A (zh) 用于将样品从溶液中结晶的反应容器
JP6832954B2 (ja) 培養機器
JPWO2014069244A1 (ja) 容器保持トレー
JP4578845B2 (ja) 培養皿アセンブリ
KR20070119912A (ko) 실험용기
JP2001224355A (ja) 両面シャーレ
JP2003284962A (ja) 逆さにしても使用することができるペトリ皿
KR20070121900A (ko) 실험용기
JPH01262789A (ja) 培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