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514A -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아암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아암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514A
KR20070119514A KR1020070057240A KR20070057240A KR20070119514A KR 20070119514 A KR20070119514 A KR 20070119514A KR 1020070057240 A KR1020070057240 A KR 1020070057240A KR 20070057240 A KR20070057240 A KR 20070057240A KR 20070119514 A KR20070119514 A KR 2007011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dapter
connector
locking element
attach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실비에 바큐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ublication of KR2007011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60S1/401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60S2001/4012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bearing surfaces on its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Brushe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100)를 아암(200)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1)로서, 블레이드(10)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커넥터(10)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아암(200)에 결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동식으로 커넥터(10)에 결합되며, 활성 위치와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하나 이상의 로킹 요소(41, 42)를 구비하는 어댑터(40)를 포함하는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는 커넥터(10)는 어댑터(40)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활성 위치에 각각의 로킹 요소(41, 42)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커넥터(10)는 어댑터(40)가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킹 요소(41, 42)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각각의 로킹 요소(41, 42)를 위한 언더컷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Description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아암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DEVICE FOR ATTACHING A WINDSCREEN-WIPER BLADE TO AN ARM}
도 1은 작동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착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조립 위치에 있는 부착 장치를 보여주는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부착 장치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부착 장치에 장착된 어댑터의 상세도.
도 5는 작동 위치에 있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부착 장치에 의해 후크형 블레이드 홀딩 아암의 단부에 결합된, 플랫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보여주는 종방향 단면도.
도 6은 부착 장치가 조립 위치에 있는, 도 5와 유사한 도면.
도 7은 후크 아암 및 부착 장치가 예조립 위치에 있는, 도 5와 유사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착 장치의 커넥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착 장치의 커넥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착 장치
100 : 블레이드
200 : 블레이드 홀딩 아암
10, 20, 30 : 커넥터
11, 12, 21, 22, 31, 32 : 언더컷
40 : 어댑터
41, 42 : 로킹 요소
본 발명은 임의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윈드스크린 와이퍼 아암의 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분야에서 특히 유리하지만, 이 분야로만 용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와는 달리, 플랫 블레이드는 스프레더(spreader)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새로운 종류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도 여전히 가요성 와이핑 스트립을 구비하지만, 이 가요성 와이핑 스트립을 지지하는 외부 구조는 상기 스트립과 직접 일체로 형성되는 가요성 구조체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플랫 블레이드의 특정 구성은, 표준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딩 아암, 특히 후크형 아암에 결합시키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립 원리에 부적합하다는 결점을 갖는다. 사실상, 플랫 블레이드의 극심한 소형화뿐만 아니라 구조체 를 관통하는 개구의 부재로 인해서, 상기 블레이드와 이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아암 사이의 어떠한 현저한 상대 이동도 허용되지 않는다. 이것은 특히,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의 후킹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플랫 윈드스크린 와이어 블레이드를 아암, 특히 후크형 아암의 단부에 장착할 수 있게 하는 특별한 해결책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블레이드 구조체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커넥터와, 한편으로는 이동식 링크에 의해 커넥터에 결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블레이드 본체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아암과 결합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부착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아암이 특히 그 단부에 의해 적소에 로킹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어댑터 상에 로킹 수단이 마련되고, 이에 따라 아암과 플랫 블레이드간의 결합이 완성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아암의 단부에 그 힘을 직접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 변형 가능한 로킹 요소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암에 대한 블레이드의 작동 중에 임의의 해제의 위험을 회피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로킹 수단은 일반적으로 이동식이나 제거 가능식으로 장착되는 지지 요소도 포함하는데, 이 지지 요소는 일단 적소에 위치하면 각각의 로킹 요소의 바람직하지 않은 임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요소는 통상 플랩, 커버 또는 설부(舌部) 형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에 플랫 블레이드의 부착 장치는 종래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대응 부착 장치보다 많은 부품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조 립과 활용이 더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비용이 현저히 증가한다. 조립의 복잡성과 제거 가능한 요소의 존재는 부착 장치의 신뢰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딩 아암, 예컨대 후크형 아암의 단부에 장착하는 부착 장치로서, 블레이드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커넥터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소위 부착 방향으로 아암에 결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적어도 2개의 위치, 즉 각각 작동 위치로 알려진 아암 로킹 위치와 장착 위치로 알려진 아암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가동식으로 커넥터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아암을 부착 위치에 로킹하는 활성 위치와 아암을 로킹 해제할 수 있게 하는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하나 이상의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향상된 신뢰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가격이 현저히 저렴해짐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방지하는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이 갖는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어댑터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킹 요소가 활성 위치와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탄성 변형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언더컷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수반한다.
보완적인 방식에서, 어댑터는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커넥터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피봇하고, 장착 위치에 있을 때는 작동 위치의 각도와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각도로 커넥터에 대해 피봇하도록 피봇팅 링크에 의해 커넥터에 결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위치에 대한 개념은 가장 광범위한 용어의 의미를 취하고, 이는 다시 말해서 상기 위치에 대한 개념이 정확한 각도값을 나타내기보다는 명확하게 규정된 중간값을 중심으로 한정된 범위를 갖는 각도 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특징의 주 목적은 부착 장치의 올바른 작동을 위해 필수적인, 불가결한 오일 클리어런스 값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이러한 조립체를 사용하는 경우 아암과 블레이드 사이의 각도 변위가 불가결하게 변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커넥터는 어댑터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 로킹 요소를 활성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플랫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홀딩 아암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도, 임의의 추가적인 부품을 요하는 일없이, 어댑터에 대한 아암의 인터로크를 로킹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로킹은 어댑터가 작동 위치로 틸팅될 때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한편, 로킹 해제는 상기 어댑터가 장착 위치를 향해 반대 방향으로 피봇하자마자 마찬가지로 자동적으로 분명히 발생한다.
구조 및 기능 양자에 있어서의 이러한 단순성은 확실히 경제적으로 유리한 동시에, 여전히 신뢰성도 확실하게 보장한다.
전체 부착 장치는 조립 위치라고도 부르는 장착 위치와 작동 위치가 사시도에서 봤을 때 서로 명백히 다르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로, 본 발명은 임의의 타입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 특히 종래의 직선형 블레이드뿐만 아니라 신규의 플랫 블레이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도 또한 알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이한 크기의 아암, 특히 후크형 아암에 완벽하게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드러나고,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행 가능한 조합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특징들에 관한 것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이 설명은 본 발명이 구성하는 바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서, 같은 참조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만을 실축척이 아닌 개략적인 방식으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는 후크형 블레이드 홀딩 아암(200)의 단부에 플랫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장착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 부착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이 부착 장치(1)는 기본적으로 2개의 별도의 요소로 구성되지만, 이들 요소는 서로 영구적으로 결합되어 기능적인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부착 장치는 우선 커넥터(10)를 포함하는데, 이 커넥터는 주로 플랫 블레이드(100)의 구조체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지지 부재이다. 부착 장치(1)의 나머지 부분은 어댑터(40)로 이루어지는데, 이 어댑터는 피봇팅식으로 커넥터(10)에 장착될 수 있는 동시에 소위 블레이드 홀딩 아암(200)의 후크형 부분(210) 내부의 부착 위치에 인 터로킹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타입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우선 어댑터(40)에는, 후크(210)를 부착 위치에 로킹할 수 있는 활성 위치와, 상기 후크(210)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는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탄성 변형할 수 있는 2개의 로킹 요소(41, 42)가 마련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목적에 따르면, 조립체는, 어댑터(40)가 커넥터(10)에 대해 명확하게 규정된 각도를 갖는 소위 작동 위치(아암 로킹 위치)로 피봇할 때 커넥터(10)의 본체가 각각의 로킹 요소(41, 42)를 활성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것도 알 수 있다(도 1).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궁극적으로는 커넥터(10) 본체에 각각의 로킹 요소(41, 42)를 위한 언더컷(11, 12)이 마련되어, 어댑터(40)가 커넥터(10)에 대해 소정 각도- 작동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 각도와는 실질적으로 다름 -를 갖는 소위 장착 위치(아암 로킹 해제 위치)로 피봇할 때, 상기 로킹 요소(41, 42)가 활성 위치와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탄성 변형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위치에서 어댑터(40)와 커넥터(10)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는 실질적으로 0이다.
실제로, 이것은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그러한 위치에서, 도 5에 정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200)이 블레이드(100)의 본체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에 따르면, 조립 위치에서의 어댑터(40)와 커넥터(10)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는 작동 위치에서의 상기 상대적인 각도의 가능한 최대값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즉, 이것은 실제로 그러한 위치에서 아암(200)이 블레이드(100)의 본체에 대하여 작동 위치에서의 가능한 최대의 상대적인 각도보다 실질적으로 큰 각도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절대적인 관점에서, 도 6에 따르면 커넥터(10)에 대한 어댑터(40)의 각도는 조립 위치에서 비교적 작게 되며, 임의의 경우에 수직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언더컷(11, 12)은 하우징, 리세스, 관통 구멍, 절결부 또는 대응하는 로킹 요소(41, 42)와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커넥터(10)의 일부분의 탄성 변형후에 해방되는 공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언더컷(11, 12)은 본래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해야 한다는 명백한 조건하에서 임의의 형상, 치수 및 배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별한 특징에 따르면, 커넥터(10)에는, 후크(210)가 블레이드(100)의 본체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10)와 결합 및 해제되는 것을 허용하는 전방 개구(16)가 마련된다.
이 특징은 부착 장치(1)가 플랫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실상 이러한 특별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통상의 후킹을 실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블레이드(100)와 평행한 축선을 따른 후킹이 최적 해결책으로 간주됨에 틀림없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별한 특징에 따르면, 커넥터(10)에는 또한 내부 공간(17)이 마련되는데, 이 내부 공간은 우선 후크(210)가 어댑터(40)와 완전히 인터로킹되는 부착 위치와, 각각의 로킹 요소(41, 42)에 의해 로킹되지 않고 상기 어댑터(40)에 부분적으로만 인터로킹되는 소위 예조립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내부 공간(17)은 또한 예조립 위치에서 함께 결합되는 어댑터(40)와 아암(200)으로 구성되는 조립체가 조립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단지 예로서 선택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특정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0)의 본체가 U형이며, 커넥터의 측면(13, 14)은, 탄성 변형후 어댑터(40)가 인터로킹할 수 있는 횡방향 피봇축(15)을 지지한다.
이러한 맥락에 있어서, 물론 내부 공간(17)이 커넥터(10)의 2개의 측면(13, 14)을 분리하는 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전방 개구(16)가 'U'형상의 개구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에 따르면 특히 2개의 언더컷(11, 12)은 커넥터(10)에 있는 2개의 측면(13, 14)의 내면에 서로 각각 대향하도록 형성된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홈 형상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2개의 로킹 요소(41, 42)는 기본적으로 휴지(休止)시, 즉 이들 로킹 요소가 어떠한 응력도 받지 않을 때 활성 위치로 연장된다. 이것은 로킹 요소가 비활성 위치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이 로킹 요소에 응력이 인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특징은 어댑터(40)가 작동 위치에서 조립 위치로 틸팅될 때 로킹 해제가 자동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로킹 요소(41, 42)를 비활성 위치로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간단한 조작이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작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구성을 갖는다면, 도시하지 않은 하나의 변형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로킹 요소(41, 42)가 휴지시에 비활성 위치로 매우 양호하게 연장될 수 있는데, 이것은 로킹 요소가 활성 위치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이 로킹 요소에 인가되는 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변형예는, 이 경우 어댑터(40)가 조립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각각 움직여지는 즉시, 로킹 및 로킹 해제가 전적으로 자동적으로 발생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도 4에서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로킹 요소(41, 42)는 가요성 탭(43, 44)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가요성 탭은 블레이드 홀딩 아암(200)의 후크(210)와 어댑터(40)의 인터로킹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가요성 탭의 단부에는 아암(200)의 말단(220)의 맞은 편에서 정지부를 형성하는 돌출부(45, 46)가 마련된다.
특히 유리한 방식에서, 활성 위치에서는, 각각의 로킹 요소(41, 42)의 돌출부(45, 46)는 후크(210)가 부착 위치에 있을 때 아암(200)의 말단(220)과 직접 대향하도록 연장된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비활성 위치에서는, 각각의 로킹 요소(41, 42) 의 돌출부(45, 46)는 후크가 부착 위치와 예조립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실질적으로 후크(210)가 가로지르는 영역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착 장치(1)의 커넥터(20)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커넥터 본체(20)의 내부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40)에 의해 지지되는 로킹 요소(41, 42)가 탄성 변형하게 하는 언더컷(21, 22)의 특징에 의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구별된다.
사실상, 이러한 경우에는 커넥터(20)의 측면(23, 24)이 직접 각각의 로킹 요소(41, 42)를 활성 위치에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으며, 이 역할은 상기 측면(23, 24)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리브(28)가 전담한다. 따라서, 이것은 본 실시예의 경우에 언더컷(21, 22)은 어떠한 리브(28)도 포함하지 않는 해당 내면의 부분에 바로 인접한 내부 공간(27) 영역에 대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더컷(21, 22)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단지 단순한 하우징 이상이며, 오히려 대형 리세스에 더 유사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기술적 등가물을 구성할 뿐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착 장치(1)의 커넥터(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의 구별되는 특징도 또한 언더컷(31, 32)의 특별한 특징에 있다.
사실상, 본 실시예의 경우에 언더컷은 커넥터(30)의 측면(33, 34)을 관통하여 형성된 절결부 형태이며, 역시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40)에 의해 지지되는 로킹 요소(41, 42)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자유 공간부의 경계를 정한다.
소위 후크 단부를 구비하는 블레이드 홀딩 아암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플랫 블레이드에 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타입의 단부를 갖는 블레이드 홀딩 아암 또는 플랫 블레이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부착 장치(1)가 장착된 임의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관한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하나 이상 장착된 임의의 와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과 활용이 간단하여 신뢰성이 증가되고, 가격이 저렴한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아암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8)

  1. 블레이드 홀딩 아암(200)에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100)를 장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1)로서,
    - 블레이드(100)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커넥터(10, 20, 30)와
    - 한편으로는 소위 부착 위치에서 아암(200)에 결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 작동 위치로 알려진 아암 로킹 위치와, 장착 위치로 알려진 아암 로킹 해제 위치의, 2개 이상의 위치에서 가동식으로 커넥터(10, 20, 30)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어댑터(40)
    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40)는 부착 위치에서 아암(200)을 로킹하는 활성 위치와, 아암(200)의 로킹 해제를 허용하는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하나 이상의 로킹 요소(41, 42)를 포함하는 것인 부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 20, 30)는 하나 이상의 언더컷(11, 12, 21, 22, 31, 32)을 포함하고, 이 언더컷은 어댑터(40)가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로킹 요소의 활성 위치와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로킹 요소(41, 42)가 탄성 변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40)는 피봇팅 링크에 의해 커넥터(10, 20, 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40)는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10, 20, 3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피봇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40)는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10, 20, 30)에 대해, 작동 위치에서의 소정 각도와는 실질적으로 다른 소정 각도로 피봇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위치에서, 어댑터(20)와 커넥터(10, 20, 30)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는 실질적으로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위치에서, 어댑터(40)와 커넥터(10, 20, 30)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는, 상기 작동 위치에서의 상대적인 각도의 가능한 최대값보다 실질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언더컷(11, 12, 21, 22, 31, 32)은 하우징, 리세스, 관통 구멍, 절결부 또는 대응하는 로킹 요소(41, 42)와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커넥터(10, 20, 30)의 일부분의 탄성 변형후에 해방되는 공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 20, 30)는 어댑 터(40)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로킹 요소(41, 42)를 활성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 20, 30)는, 아암(200)이 블레이드(100)의 본체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 및 해제되게 하는 전방 개구(16, 26, 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 20, 30)는 한편으로는 아암이 어댑터(40)와 완전히 인터로킹되는 부착 위치와, 아암이 각각의 로킹 요소(41, 42)에 의해 로킹되지 않고 상기 어댑터(40)와 부분적으로 인터로킹되는 소위 예조립 위치 사이에서 아암(200)이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예조립 위치에 있는 아암(200)에 결합된 어댑터(40)가 장착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게 하는 내부 공간(17, 27, 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 20, 30)의 본체는 U형이고, 커넥터의 측면(13, 14, 23, 24, 33, 34)은 어댑터(40)가 탄성 변형 후에 인터로킹할 수 있는 횡방향 축(15, 25, 35)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로킹 요소(41, 42)는 휴지(休止)시에 활성 위치로 연장되고, 이 로킹 요소는 비활성 위치로 진입하기 위해 이 로킹 요소에 인가되는 응력을 필요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로킹 요소(41, 42)는 휴지시에 비활성 위치로 연장되고, 이 로킹 요소는 활성 위치로 진입하기 위해 이 로킹 요소에 인가되는 응력을 필요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로킹 요소(41, 42)는 가요성 탭(43, 44)을 포함하며, 이 가요성 탭은 아암(200)과 어댑터(40)가 인터로킹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단부에 아암(200)의 말단(220)의 맞은 편에서 정지부를 형성하는 돌출부(45, 46)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활성 위치에서, 각각의 상기 로킹 요소(41, 42)의 돌출부(45, 46)는 부착 위치에 있을 때 아암(200)의 말단(220)과 직접 대향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비활성 위치에서, 각각의 상기 로킹 요소(41, 42)의 돌출부(45, 46)는 부착 위치와 예조립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아암(200)이 이동 하는 동안에 아암(200)이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영역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에 따른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100).
  18. 제17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장치.
KR1020070057240A 2006-06-14 2007-06-12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아암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 KR20070119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5327A FR2902394B1 (fr) 2006-06-14 2006-06-14 Dispositif de fixation d'un balai d'essuie-glace sur un bras
FR06-05327 2006-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514A true KR20070119514A (ko) 2007-12-20

Family

ID=3769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240A KR20070119514A (ko) 2006-06-14 2007-06-12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아암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139165B2 (ko)
EP (1) EP2027000B1 (ko)
JP (1) JP2007331748A (ko)
KR (1) KR20070119514A (ko)
CN (1) CN101088815B (ko)
AT (1) ATE518705T1 (ko)
BR (1) BRPI0712348B1 (ko)
ES (1) ES2370057T3 (ko)
FR (1) FR2902394B1 (ko)
PL (1) PL2027000T3 (ko)
TW (1) TWI392605B (ko)
WO (1) WO2007144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41641C (en) 2005-04-04 2014-02-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BRMU8701091U (pt) * 2007-06-25 2008-02-12 Dyna Electromecanica disposição introduzida em suporte central para limpadores de pára-brisa
KR100932745B1 (ko) * 2008-02-04 2009-12-21 주식회사 캐프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장치의 아암 결속용 멀티 커넥터
DE102008000626A1 (de) * 2008-03-12 2009-09-1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WO2011031516A2 (en) 2009-08-27 2011-03-17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assembly
FR2957877B1 (fr) 2010-03-29 2013-04-12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a debattement angulaire limite
US8261403B2 (en) * 2010-05-13 2012-09-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US8397341B2 (en) 2010-05-13 2013-03-19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DE102010056461A1 (de) * 2010-12-30 2012-07-26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2011003838B4 (de) * 2011-01-25 2022-08-1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in Flachbalkenbauweise mit einem Wischarm
US9174609B2 (en) *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FR2981622B1 (fr) * 2011-10-25 2014-09-12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fixation d'essuie-glace a position de securite, connecteur et adaptateur d'un tel dispositif et systeme d'essuyage comprenant ledit dispositif de fixation.
KR101369629B1 (ko) * 2012-04-06 2014-03-04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와이퍼 장치
US9221429B2 (en) 2012-11-15 2015-12-29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ssembly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D702618S1 (en) 2012-11-15 2014-04-15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blade coupler
US9533655B2 (en) 2012-12-04 2017-01-03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9260084B2 (en) 2013-01-03 2016-02-1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9227599B2 (en) 2013-05-02 2016-01-05 Trico Products Corporation Mounting assembly for wiper blade and wiper arm
KR20160013897A (ko) 2013-05-29 2016-02-05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용 연결 장치
FR3008053B1 (fr) * 2013-07-08 2015-08-28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entre un balai d'essuyage et un bras d'entrainement de systeme d'essuyage
CN104554173B (zh) * 2013-10-22 2017-01-11 扬弘实业股份有限公司 刮水器用承接器、刮水器组件以及刮水器系统
JP6602780B2 (ja) * 2013-11-06 2019-11-06 フェデラル−モーグル・モーターパーツ・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後部ウィ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ー装置
US9493140B2 (en) 2013-12-02 2016-11-15 Trico Products Corporation Coupler assembly for wiper assembly
US9434355B2 (en) 2014-04-01 2016-09-0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539987B2 (en) * 2014-04-01 2017-01-1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663071B2 (en) 2014-05-29 2017-05-3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10059310B2 (en) * 2014-07-17 2018-08-28 Valeo Systèmes d'Essuyage Streamlined flat windscreen wiper
FR3046584B1 (fr) 2016-01-13 2018-01-26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relier un balai d'essuie-glace a un bras d'entrainement
FR3051751B1 (fr) * 2016-05-31 2019-05-10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de raccordement de l’extremite libre d’un bras d’essuie-glace, ensemble comportant un tel adaptateur et un bras d’essuie-glace
FR3063951B1 (fr) * 2017-03-17 2019-04-19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connexion d'un balai d'essuie-glace a un bras d'entrainement
WO2018219427A1 (en) * 2017-05-29 2018-12-06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JP1611411S (ko) * 2018-03-16 2018-08-20
CN110001587A (zh) * 2019-03-19 2019-07-12 泰祥汽车配件(深圳)有限公司 刮片和刮水器
JP7274219B2 (ja) * 2020-03-27 2023-05-16 株式会社東海理機 ワイパ装置の連結部材及びワイ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1249A (en) * 1999-01-27 2000-12-19 Rally Manufacturing, Inc. Windshield wiper frame and connector assembly
FR2830823B1 (fr) * 2001-10-15 2004-02-27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fermoir de securite
FR2866298B1 (fr) * 2004-02-13 2007-04-13 Valeo Systemes Dessuyage Element de liaison d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 logement creux ouvert vers le haut
DE102004019541A1 (de) * 2004-04-22 2005-11-1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4318A1 (fr) 2007-12-21
FR2902394B1 (fr) 2009-02-20
BRPI0712348A2 (pt) 2011-08-02
TW200808594A (en) 2008-02-16
EP2027000B1 (fr) 2011-08-03
US20100154159A1 (en) 2010-06-24
US9139165B2 (en) 2015-09-22
ATE518705T1 (de) 2011-08-15
JP2007331748A (ja) 2007-12-27
PL2027000T3 (pl) 2012-03-30
TWI392605B (zh) 2013-04-11
FR2902394A1 (fr) 2007-12-21
BRPI0712348B1 (pt) 2019-04-30
EP2027000A1 (fr) 2009-02-25
ES2370057T3 (es) 2011-12-12
CN101088815B (zh) 2011-04-06
CN101088815A (zh) 200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9514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아암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
EP1859513B1 (e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position assurance device
JP5335133B2 (ja) ワイパアームに固く結合された結合エレメントを枢着式に結合するための接続装置
KR20140145080A (ko) 앞유리 와이퍼 시스템을 위한 암 헤드와 어댑터 조립체, 상응하는 암 어댑터 및 상응하는 암 헤드 그리고 와이퍼 시스템
JP2010519108A (ja) 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を枢着結合するための結合部材
JP2007216735A (ja) ワイパブレード
KR20160048716A (ko)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
KR100296890B1 (ko) 작동케이블용체결장치
JP4473749B2 (ja) ワイパーアーム及びワイパーアーム用ストッパ部材
KR950014783B1 (ko) 윈드스크린와이퍼의 피봇죠인트
EP1973203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ever with protective shroud
CN106335472B (zh) 用于将擦拭器刮片连接到驱动臂的适配器
US20160304060A1 (en) End cap for a wiper
CN108569252B (zh) 帽、用于安装风挡擦拭器的连接装置和风挡擦拭系统
US11124157B2 (en) Undetachable end piece for a wiper blade
JP3445530B2 (ja) 車両用ワイパ
PL227002B1 (pl) Zaczep dowycieraczki, zwłaszcza samochodowej, pióro wycieraczki obejmujace taki zaczep oraz zespół wycieraczki samochodowej
US11035467B2 (en) Gasket for a wiper system, a gasket-bracket assembly for a wiper system comprising such a gasket, a wiper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comprising such a gasket and a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gasket in a wiper system
EP2762369B1 (en) Wiper connection seat
EP3710318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17279806A (zh) 用于擦拭系统的适配器
KR101693977B1 (ko) 와이퍼 장치
US11772610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wiper blade to a driving arm
EP3912870B1 (en) Rocker-type assembly device for wiper
JP7367994B2 (ja) 車両用ワイパの連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