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080A - 환부 치료구 - Google Patents

환부 치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080A
KR20070119080A KR1020077025898A KR20077025898A KR20070119080A KR 20070119080 A KR20070119080 A KR 20070119080A KR 1020077025898 A KR1020077025898 A KR 1020077025898A KR 20077025898 A KR20077025898 A KR 20077025898A KR 20070119080 A KR20070119080 A KR 20070119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affected
needle
current
affecte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유키 도게
도시야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쿠쥬세이 가가쿠겡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쿠쥬세이 가가쿠겡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쿠쥬세이 가가쿠겡큐쇼
Publication of KR20070119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위치료장치 등에 의한 전신 치료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고 환부를 치료할 수 있는 환부 치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위치료장치(5)에 의하여 형성된 전계를 받아 전류를 유도하는 반구면형상의 유도부(2b)와, 유도된 전류를 피치료자(C)의 어깨(C1)에 흘리는 둥근면형상의 방전부(2a)와, 자침(4)를 가지는 환부 치료구(1)를 피치료자(C)의 어깨(C1)에 얹는다. 그렇게 하면 유도부(2b)에 의하여 전계로부터 전류가 유도되고, 이 전류가 방전부(2a), 점착테이프(3) 및 자침(4)을 거쳐 어깨(C1)에 흐른다. 그리고 이 전류가 어깨(C1)를 자극하여 어깨(C1)를 치료한다.

Description

환부 치료구{AFFECTED PART TREATMENT TOOL}
본 발명은 전위치료나 고주파치료 등, 인체의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는 치료에 있어서, 인체의 뜸자리(경혈) 등의 환부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환부 치료구에 관한 것이다.
전위치료장치나 고주파(마이크로파)치료장치 등은, 치료시에 인체의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전위치료장치는, 절연된 인체에 고전압을 주어 인체의 주위에 형성된 전계에 의한 생체자극작용을 이용하여 치료를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위치료장치에는, 전신치료와 환부치료를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것은 치료장치 본체로부터 5,000 V 이상의 교류 고전압을 국소 통전포(전극)로 유도하여, 이 국소 통전포를 인체의 임의의 부위(환부)에 장착한다. 그리고 국소 통전포가 장착된 환부는 체내 유도전류의 밀도가 크고, 근육 등의 근방조직의 혈행과 신진대사의 촉진이 도모되어, 환부치료가 실시된다. 또 국소 통전포의 접촉에 의하여 고전압이 인체에 인가되어 인체 주위에 전계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전계에 의하여 인체 표면의 감각수용기관이 자극되어 자율신경계 및 내분비계가 조정(생체자극작용)되어 전신치료가 실시된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3-325678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전위치료장치에서는, 전신치료와 환부치료를 동시에 행할 수 있으나, 전신치료의 효과가 낮은 경우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전위치료장치에서는, 치료장치 본체로부터 고전압을 유도하여 국소 통전포를 인체의 환부에 장착하고, 이 국소 통전포에 의하여 인체 주위에 전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전계에 의한 전기력선이 약하여 감각수용기관에 대한 자극작용, 나아가서는 전신치료의 효과가 낮다. 또한 환부가 인체의 중심에서 편위한 위치인 경우에는, 전기력선이 치우쳐 언밸런스가 된다. 또 고주파치료장치 등에서도 전신치료와 환부치료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위치료장치나 고주파치료장치 등에 의한 전신치료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고 환부를 치료할 수 있는 환부 치료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전위치료장치나 고주파치료장치 등의 치료장치에 의하여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는 인체의 환부에 탑재되는 환부 치료구로서, 치료장치에 의하여 형성된 전계를 받아 전류를 유도하는 유도부와, 인체의 환부에 접촉하고, 유도부에 의하여 유도된 전류를 인체의 환부에 흘리는 방전부를 가지며, 방전부의 면적이 유도부의 표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환부 치료구에 있어서 일체의 입체형으로서, 바닥면에 의하여 방전부가 구성되고, 전계 중에 노출되는 노출면에 의하여 유도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환부 치료구에 있어서, 방전부에 자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환부 치료구에 있어서, 침봉과, 이 침봉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침봉을 대략 수직으로 지지하는 대좌(臺座)를 구비하고, 이 대좌의 적어도 바닥면이 절연재로 구성되고, 이 대좌의 바닥면과 침봉의 바닥면이 대략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침봉의 바닥면에 의하여 방전부가 구성되며, 전계 중에 노출되는 침봉의 노출면에 의하여 유도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전위치료장치나 고주파치료장치 등의 치료장치에 의하여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는 인체의 환부에 얹어 놓여지는 환부 치료구에 있어서, 치료장치에 의하여 형성된 전계를 받아 전류를 유도하는 유도부와, 인체의 환부에 접촉하고, 유도부에 의하여 유도된 전류를 인체의 환부에 흘리는 방전부를 가지며, 방전부에 자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위치료장치 등에 의한 전신치료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고 환부에 얹어 놓여진 환부 치료구에 의하여 환부치료가 양호하게 행하여진다. 즉, 환부 치료구의 유도부에 의하여 전계로부터 전류가 유도(유기)되고, 그 전류가 방전부로부터 인체의 환부에 흐른다. 이때 방전부의 면적이 유도부의 표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전부로부터의 전류, 즉 인체의 환부에 흐르는 전류의 밀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이 높은 전류밀도의 전류가 환부를 자극하여 국부조직의 혈액순환 등을 개선하여 환부를 치료한다. 한편, 환부에 환부 치료구가 얹어 놓여져도 전위치료장치 등에 의하여 인체의 주위에 형성된 전계가 크게 영향(변화)받는 일은 없기 때문에, 전신치료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환부 치료구를 반구체로 하고, 그 바닥면을 방전부, 노출면(반구면)을 유도부로 함으로써 유도부를 크게 하고, 또한 방전부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유도부에 의하여 유도되는 전류가 증가하여 방전부로부터 환부에 흐르는 전류 및 전류밀도가 높아진다. 이 결과, 환부에 대한 자극이 증가하여 환부에 대한 치료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닥면에 의하여 방전부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넓은 범위에 전류를 흘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뜸자리 등의 환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는 경우이어도 환부를 포함하는 주변에 대하여 전류를 흘릴 수 있어, 환부치료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방전부에 설치된 자침을 인체의 뜸자리 등의 환부에 찌름으로써 침 치료의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자침으로부터 환부 내로 전류가 높은 전류밀도로 흘러, 환부가 효과적으로 자극된다. 이 결과, 환부에 대한 치료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뜸자리 등의 환부를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환부에 대한 치료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환부 치료구의 대좌를 환부의 근방에 얹어 침봉의 방전부(바닥면)를 뜸자리 등의 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침봉의 유도부(노출면)에 의하여 유도된 전류가, 면적이 작은 침봉의 방전부를 거쳐 높은 전류밀도로 환부에 흘러, 환부가 효과적으로 자극받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환부 치료구의 유도부에 의하여 전계로부터 전류가 유도되고, 그 전류가 방전부 및 자침으로부터 인체의 환부로 흐른다. 이 때 환부와 방전부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보다, 환부와 그 환부 내에 찌른 자침과의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의 쪽이 낮기 때문에, 방전부에서 보다 큰 전류가 높은 전류밀도로 자침으로부터 흐른다. 이 결과, 자침이 찔린 부위가 더욱 효과적으로 자극되어 치료효과가 높아진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환부 치료구를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전위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환부 치료구를 피치료자의 어깨에 얹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서의 제 2 환부 치료구를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서 각 형상의 환부 치료구에 의한 유도전류의 실측값 등을 나타내는 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서의 제 3 환부 치료구를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실시형태 2에 관한 환부 치료구의 정면도(일부 단면도),
도 8은 실시형태 3에 관한 환부 치료구의 분해 사시도로서, (a)는 절연성의 점착테이프를 구비한 환부 치료구를 나타내는 도, (b)는 도전성의 점착테이프를 구비한 환부 치료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환부 치료구 2 : 치료구 본체
2a : 방전부(바닥면) 2b : 유도부(노출면)
3 : 점착테이프(도전성) 4 : 자침
4a : 기초부 4b : 침부
5 : 전위치료장치 6 : 치료장치 본체
61 : 의자 61a : 의자등
62 : 머리부 전극 63 : 족부 전극
7 : 고전압 발생유닛 71 : 어스단자
72 : 고전압 출력단자 73 : 승압 트랜스
74 : 고임피던스소자 11 : 환부 치료구
21 : 환부 치료구 22 : 자침
22a : 기초부 22b : 침부
31 : 환부 치료구 32 : 침봉
32a : 방전부 32b : 유도부
33 : 대좌 34 : 점착테이프(절연성)
41 : 환부 치료구 42 : 치료구 본체
42a : 방전부 43 : 자침
43a : 침부 44 : 점착테이프(절연성)
44a : 관통구멍 45 : 환부 치료구
46 : 점착테이프(도전성) C : 피치료자
C1 : 어깨(환부) V : 상용전원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부 치료구(1)를 바닥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환부 치료구(1)는, 치료구 본체(2)와 점착테이프(3)와 자침(4)을 구비하여 어깨 등의 환부에 얹어 놓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치료구 본체(2)는 반구체이고, 도전재(알루미늄 등)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바닥면에 의하여 방전부(2a)가 구성되고, 반구면(노출면)에 의하여 유도부(2b)가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치료구 본체(2)의 방전부(2a)에는 점착테이프(3)가 일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점착테이프(3)는 이른바 양면 테이프로 도전성을 가지고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치료구 본체(2)를 피치료자(C)의 환부에 고착시킴과 동시에, 치료구 본체(2)의 방전부(2a)와 환부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것이다. 즉, 점착테이프(3)를 거쳐 간접적으로 치료구 본체(2)의 방전부(2a)가 피치료자(C)의 환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자침(4)은, 점착테이프(3)의 중앙부에 배치(점착)되고, 스테인리스강제이며, 링형상으로 감긴 기초부(4a)와 선단이 뾰족한 침부(4b)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자침(4)은 침 치료용으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원피침과 동일한 것이면 되고, 침부(4b)는 피부의 표층부(진피)을 찌를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위치료장치(5)와 함께 본 환부 치료구(1)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이 전위치료장치(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료장치 본체(6)와 고전압 발생 유닛(7)을 구비하고 있다. 치료장치 본체(6)는, 피치료자(C)가 앉는 의자(61)와 머리부 전극(62) 및 족부 전극(63)을 구비하고 있다. 머리부 전극(62)은 절연물로 덮힌 구성으로서, 의자(61)의 의자등(61a)의 위쪽에 부착되고, 고전압 발생 유닛(7)의 어스단자(71)에 접속되어 있다. 족부 전극(63)은 절연물로 덮힌 평반형상의 구조물로서 피치료자(C)가 발을 얹는 것으로, 이 족부 전극(63)은 고전압 발생 유닛(7)의 고전압 출력단자(72)에 접속되어 있다. 또 고전압 발생 유닛(7)은, 전압을 6,000∼9,000 V로 승압하는 승압 트랜스(73)(고압 트랜스)와, 고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고전압 출력단자(72) 및 접지된 어스단자(71)와,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고임피던스소자(7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호 V는 상용전원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되는 고전압은 교류전압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환부 치료구(1)와 전위치료장치(5)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피치료자(C)가 의자(61)에 앉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부인 어깨(C1)(경락 위 등)에 환부 치료구(1)를 얹는다(얹어 놓는다). 이때 가장 치료하고 싶은 부위(뜸자리 등)에 자침(4)를 찌르도록 하고, 점착테이프(3)에 의하여 치 료구 본체(2)를 어깨(C1)에 고착시킨다. 다음에 고전압 발생 유닛(7)을 가동시켜, 족부 전극(63)측을 6,000∼9,000 V로 한다. 이에 의하여 머리부 전극(62)과의 사이에서 전계가 생겨 피치료자(C)가 고전위로 됨과 동시에, 전계 내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 전계에 의하여 피치료자(C)의 어깨(C1)에 전류가 흘러, 어깨(C1)가 자극된다. 즉, 환부 치료구(1)의 유도부(2b)에 의하여 전계로부터 전류가 유도(유기)되고, 그 전류가 방전부(2a), 점착테이프(3)를 거쳐 어깨(C1)에 흐른다. 이때,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도부(2b)의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유도부(2b)에 의하여 유도되는 전류가 커지고, 또한 방전부(2a)(점착테이프(3))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방전부(2a)로부터의 전류, 즉 어깨(C1)에 흐르는 전류의 밀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이 높은 전류밀도의 전류가 어깨(C1)를 자극함과 동시에,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자침(4)으로부터 어깨(C1) 내로 큰 전류가 흘러, 어깨(C1)를 효과적으로 자극한다. 이 자극이 국부조직의 혈액순환 등을 개선하여 어깨(C1)를 치료하는 것이다.
한편, 환부 치료구(1)는 어깨(C1) 등의 환부에 얹혀질 정도의 크기이고, 어깨(C1)에 환부 치료구(1)가 얹혀져 있어도 전위치료장치(5)에 의하여 피치료자(C)의 주위에 형성된 전계가 크게 영향(변화)받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전위치료장치(5)에 의한 소정의 전신 치료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인체 표면에 작용하는 전계에 의하여 인체 표면의 감각 수용기관이 자극되어 피치료자(C)의 자율신경계 및 내분비계가 서서히 조정되어 간다. 이와 같이 본 환부 치료구(1)를 어깨(C1)에 얹고 있어도 전위치료장치(5)에 의한 전신 치료의 효과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환부 치료구(1)에 의하면, 전위치료장치(5)에 의한 전신 치료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고 전류에 의한 국부자극에 의하여 어깨(C1)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자침(4)에 의한 침 치료의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자침(4)이 찌른 부위(뜸자리 등)의 내부에 큰 전류가 흐른다. 즉, 어깨(C1)의 피부표면과 점착테이프(3)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보다 어깨(C1)의 피부와 자침(4)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의 쪽이 낮기 때문에, 점착테이프(3)에서 보다 큰 전류가 자침(4)으로부터 흘러, 자침(4)이 찌른 부위가 더욱 효과적으로 자극되어 치료 효과가 높아진다.
또, 방전부(2a)(점착테이프(3))의 전면을 거쳐 어깨(C1)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는 면이 비교적 넓어져, 뜸자리 등의 환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환부를 포함하는 주변에 대하여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이 결과, 치료에 익숙해져 있지 않은 사람이더라도 환부의 대략의 위치에 본 환부 치료구(1)를 얹음으로써 치료 효과가 얻어져, 환부치료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침(4)이 상기와 같은 원피침이고, 피부의 내부에 침부(4b)가 찔리지 않기 때문 통증이 적으며, 또 침부(4b)가 꺾이는 일도 없다. 이 때문에 안전하게 또한 안심하고 환부치료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치료구 본체(2)[본 환부 치료구(1)]가 반구체로서, 그 바닥면을 방전부(2a)로 하고, 반구면을 유도부(2b)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값이 크고, 또한 높은 전류밀도의 전류가 어깨(C1)에 흐른다. 즉, 전계(E) 중에서 표면적(S)의 유도 부(2b)에 의하여 유도되는 전류(I)는, 다음과 같이 된다.
I = εωES
여기서 ε는 유전율, ω는 각속도(= 2πf:f는 교류전압의 주파수)
따라서 유도부(2b)의 표면적(S)이 클 수록 유도되는 전류값이 커지고, 방전부(2a)의 면적이 작을 수록 어깨(C1)에 흐르는 전류밀도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방전부(2a)의 면적을 작게 하고, 유도부(2b)의 표면적을 크게 하는 것, 즉 방전부(2a)의 면적에 대한 유도부(2b)의 표면적의 면적비를 크게 함으로써 전류 및 전류밀도를 높여, 전류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본 환부 치료구(1)의 경우, 즉 치료구 본체(2)가 반구체인 경우, 방전부(2a)에 대한 유도부(2b)의 면적의 면적비가 3배로 높고, 큰 전류가 높은 전류밀도로 어깨(C1)에 흐르게 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바닥원의 반경과 높이가 같은 원추형의 환부 치료구(11)의 경우, 그 면적비가 (1+√2)배가 되고, 바닥원의 반경과 높이가 같은 원주형의 경우, 그 면적비가 4배가 된다. 이와 같이 입체형상을 바꿈으로써 방전부의 면적에 대한 유도부의 표면적의 면적비가 변하기 때문에, 즉 유도되는 전류의 크기 및 전류밀도가 변하기 때문에, 환부 치료구를 얹어 놓는 환부의 장소나 전위치료장치(5)에 의한 전계의 크기 등에 따라, 환부 치료구(1)[치료구 본체(2)]의 형상을 원판, 원주, 삼각뿔, 반구체 등으로 하면 좋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여러가지 형상의 환부 치료구를 어깨(C1)에 얹고, 전위치료장치(5)를 9,000 V로 가동시켜 어깨(C1)(환부 치료구)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또한 모든 환부 치료구에서 그 반경(높 이)은, 2 cm로 하였다. 또 도면에서 「배율」은, 원판형의 환부 치료구를 얹은 경우에 흐르는 전류값에 대한 배율(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결과로부터 환부 치료구를 입체형으로 함으로써 전류값이 높아지고, 또한 계산값에 의한 배율과 실측값의 배율이 대략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깨(C1)를 환부로 하여, 어깨(C1)에 본 환부 치료구(1)를 얹고 있으나, 어깨(C1)에 한정하지 않고, 허리나 무릎 등의 환부에 본 환부 치료구(1)를 얹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전위치료장치(5)[고전압 발생 유닛(7)]를 가동시킴으로써 동일한 치료효과가 얻어진다. 또 전위치료장치(5)에 한정하지 않고, 고주파치료장치 등 치료시에 피치료자(C)의 인체의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는 것에서도 본 환부 치료구(1)를 사용함으로써(환부에 얹는다), 동일한 치료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료구 본체(2)의 방전부(2a)의 일면에, 도전성의 점착테이프(3)를 부착하고 있으나, 일부분에 도전성의 점착테이프를 부착하고, 다른 부분에 절연성의 점착테이프를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자침(4)이 배치되는 부분에만 도전성의 점착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그 부분 및 자침(4)에서의 전류밀도를 높여 자극을 늘릴 수 있다. 즉, 도전성의 점착테이프의 크기, 위치를 바꿈으로써 자극의 크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방전부(2a)에 자침(4)를 직접 배치하고, 그 위에서 방전부(2a)의 일면에 절연성의 점착테이프를 부착하여, 이 점착테이프로부터 자침(4)의 침부(4b)를 돌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유도부(2b)에 의한 전류를 자침(4)의 침부(4b)에 집중시켜 자극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환부의 부위나 본 환부 치료구(1)의 크기 등에 따라서는, 점착테이프(3)를 부착하지 않고 치료구 본체(2)의 방전부(2a)를 피치료자(C)의 환부에 직접 접촉시키도록(직접 얹는다) 하여도 된다. 또한 점착테이프(3)를 부착하지 않고, 점착제를 치료구 본체(2)의 방전부(2a)에 도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원피침을 자침(4)으로서 배치하고 있으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피내침을 자침(22)으로서 배치한 환부 치료구(21)로서 하여도 된다. 즉, 자침(22)의 침부(22b)를 환부의 피부 내부(진피, 피하조직)에 비스듬하게 찔러, 기초부(22a)를 환부의 피부와 점착테이프(3)로 끼우도록 하여 치료구 본체(2)를 환부에 고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유도부(2b)에 의하여 유도된 전류가, 이 자침(22)의 침부(22b)를 거쳐 환부 내부에 흐르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료장치 본체(6)가 의자형의 전위치료장치(5)이나, 치료장치 본체가 베드형의 전위치료장치이어도 되고, 또 전위치료장치(5)에 의한 전압은 상기한 전압값에 한정하지 않고, 700∼1,000 V 또는 30,000 V 등이어도 된다. 또한 치료구 본체를 도전성의 수지로 중공으로 형성(몰드)하여도 된다.
(실시형태 2)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부 치료구(31)를 나타내는 정면도(일부 단면도)이다. 이 환부 치료구(31)는, 침봉(32)과 대좌(33)와 점착테이프(34)를 구비하고, 어깨 등의 환부에 얹어 놓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침봉(32)은 가늘고 긴 원주형상으로, 도전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바닥면에 의하여 방전부(32a)가 구성되고, 바깥 둘레면과 상면(노출면)에 의하여 유도부(33b)가 구성되어 있다. 이 침봉(32)의 바닥부에는 침봉(32)을 대략 수직으로 지지하는 대좌(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대좌(33)는 원반형상이고, 절연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대좌(33)의 바닥면에는 절연성의 점착테이프(34)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착테이프(34)의 바닥면과 침봉(32)의 방전부(32a)(바닥면)가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대좌(33)와 점착테이프(3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방전부(32a)를 점착테이프(34)의 바닥면보다 약간 돌출시킴으로써 방전부(32a)를 환부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환부 치료구(31)를 전위치료 등에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환부치료의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침봉(32)의 방전부(32a)를 어깨(C1)의 뜸자리에 위치시키고, 점착테이프(34)에 의하여 본 환부 치료구(31)를 어깨(C1)에 고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위치료장치(5)[고전압 발생 유닛(7)]를 가동시키면, 침봉(32)의 유도부(32b)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유기)되고, 그 전류가 방전부(32a)로부터 어깨(C1)의 뜸자리로 흐른다. 그리고 이 전류가 뜸자리를 자극하여 어깨(C1)를 치료하는 것이다. 또한 방전부(32a)의 면적은 유도부(32b)의 표면적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어깨(C1)에 흐르는 전류의 밀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방전부(32a)가 어깨(C1)의 뜸자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뜸자리가 효과적으로 자극되어 치료효과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본 환부 치료구(31)에 의하면, 침봉(32)의 방전부(32a)를 뜸자리 등에 위치시킴으로써 그 뜸자리 등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치료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자침을 뜸자리 등에 찌르지 않고, 자침을 찌른 경우와 동등한 자 극을 뜸자리 등에 주어 동등한 치료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뜸자리 등에 자침을 찌르지 않기 때문에 통증이나 자침이 꺾일 염려 등이 없고, 또 본 환부 치료구(31)를 환부에 얹기 전에 환부를 소독할 필요가 없어, 치료경험이 없는 사람이어도 안전하게, 또한 안심하고 손쉽게 환부치료를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좌(33)의 바닥면에 점착테이프(34)를 부착하고, 점착테이프(34)의 바닥면을 간접적으로 대좌(33)의 바닥면으로 하여 점착테이프(34)의 바닥면과 침봉(32)의 방전부(32a)를 동일면상에 위치시키고 있으나, 점착테이프(34)를 부착하지 않고 대좌(33)의 바닥면과 침봉(32)의 방전부(32a)를 동일면상에 위치시켜도 된다. 또 대좌(33)를 도전재로 구성하고, 그 바닥면에 점착테이프(34)를 부착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여 대좌(33)에 의해서도 전류가 유도되어 방전부(32a)로부터의 자극이 높아진다.
(실시형태 3)
도 8(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부 치료구(41)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 환부 치료구(41)는, 얇은 원판형상(시트형상)의 치료구 본체(42)와, 자침(43)과 점착테이프(44)를 구비하고 있다. 치료구 본체(42)는 알루미늄제로, 방전부(42a)와 이 방전부(42a)의 배면에 상당하는 유도부(도시 생략)와의 면적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자침(43)은 실시형태 1에서의 자침(4)과 동등한 원피침이고, 점착테이프(44)는 절연성의 양면 테이프로서, 그 중앙부에 자침(43)의 침부(43a)를 통과시키는 관통구멍(4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치료구 본체(42)의 방전부(42a)의 중앙부에 자침(43)을 배치하고, 그 위에서 방전부(42a)에 점착테이 프(44)를 부착하여 치료구 본체(42)와 점착테이프(44)로 자침(43)을 끼움과 동시에, 침부(43a)를 관통구멍(44a)으로부터 돌출(노출)시켜 환부 치료구(41)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환부 치료구(41)를 환부에 얹고, 자침(43)의 침부(43a)를 찔러 점착테이프(44)로 고착시키면, 치료구 본체(42)의 유도부에 의하여 전계로부터 전류가 유도되고, 그 전류가 침부(43a)로부터 인체의 환부 내로 집중하여 흐른다. 이 때문에 침부(43a)가 찔린 부위가 효과적으로 자극되어 치료효과가 높아지는 것이다.
또,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환부 치료구(45)로 함으로써 침부(43a)가 찔린 부위와 그 주변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이 환부 치료구(45)는 도전성의 점착테이프(46)를 구비하고, 치료구 본체(42)의 방전부(42a)에 점착테이프(46)를 부착하여, 이 점착테이프(46)의 위에 자침(43)을 고착(점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환부 치료구(45)를 환부에 얹고, 자침(43)의 침부(43a)를 찔러 점착테이프(46)로 고착시키면, 치료구 본체(42)의 유도부에 의하여 유도된 전류가 점착테이프(46)(방전부42a) 및 침부(43a)에서 인체의 환부로 흐른다. 이때 환부와 점착테이프(46) 사이의 접촉 임피던스보다, 환부와 그 환부 내로 찌른 침부(43a)사이의 접촉 임피던스의 쪽이 낮기 때문에, 점착테이프(46)에서 보다 큰 전류가 높은 전류밀도로 침부(43a)로부터 흐른다. 이 결과, 침부(43a)가 찔린 부위가 더욱 효과적으로 자극되어 치료효과가 높아짐과 동시에, 점착테이프(46)로부터도 전류가 흘러, 침부(43a)가 찔린 부위의 주변도 자극되어 치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환부 치료구는, 전위치료장치 등에 의한 전신 치료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고 환부를 치료할 수 있고, 또한 치료에 익숙해져 있지 않은 사람이어도 안심하고 치료를 행할 수 있는 치료구로서 아주 유용하다.

Claims (5)

  1. 전위치료장치나 고주파치료장치 등의 치료장치에 의하여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는 인체의 환부에 얹어 놓여지는 환부 치료구에 있어서,
    상기 치료장치에 의하여 형성된 전계를 받아 전류를 유도하는 유도부와, 상기 인체의 환부에 접촉하여 상기 유도부에 의하여 유도된 전류를 상기 인체의 환부에 흘리는 방전부를 가지고, 상기 방전부의 면적이 상기 유도부의 표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치료구.
  2. 제 1항에 있어서,
    일체의 입체형으로서, 바닥면에 의하여 상기 방전부가 구성되고, 상기 전계 중에 노출되는 노출면에 의하여 상기 유도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치료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에 자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치료구.
  4. 제 1항에 있어서,
    침봉과, 상기 침봉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상기 침봉을 대략 수직으로 지지하는 대좌를 구비하고, 상기 대좌의 적어도 바닥면이 절연재로 구성되며, 상기 대좌 의 바닥면과 상기 침봉의 바닥면이 대략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침봉의 바닥면에 의하여 상기 방전부가 구성되며, 상기 전계 중에 노출되는 상기 침봉의 노출면에 의하여 상기 유도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치료구.
  5. 전위치료장치나 고주파치료장치 등의 치료장치에 의하여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는 인체의 환부에 얹어 놓여지는 환부 치료구에 있어서,
    상기 치료장치에 의하여 형성된 전계를 받아 전류를 유도하는 유도부와, 상기 인체의 환부에 접촉하여, 상기 유도부에 의하여 유도된 전류를 상기 인체의 환부에 흘리는 방전부를 가지고, 상기 방전부에 자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치료구.
KR1020077025898A 2005-04-08 2006-04-07 환부 치료구 KR20070119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1472 2005-04-08
JP2005111472A JP4678585B2 (ja) 2005-04-08 2005-04-08 患部治療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080A true KR20070119080A (ko) 2007-12-18

Family

ID=3708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898A KR20070119080A (ko) 2005-04-08 2006-04-07 환부 치료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78585B2 (ko)
KR (1) KR20070119080A (ko)
CN (1) CN101155613A (ko)
TW (1) TW200642710A (ko)
WO (1) WO2006109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4092B1 (ja) * 2009-07-24 2010-06-16 株式会社白寿生科学研究所 電位治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181B2 (ja) * 1991-05-31 1999-05-17 照剛 上野 磁気刺激コイル
JPH05285222A (ja) * 1992-04-13 1993-11-02 Inter Noba Kk 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77402A (ja) * 2000-12-18 2002-06-25 Hakuju Inst For Health Science Co Ltd 電位治療装置および人体部位の最適ドーズ量制御方法
KR200232246Y1 (ko) * 2001-01-20 2001-09-25 유태우 수지용 티봉
JP2003325678A (ja) * 2002-05-13 2003-11-18 Shenpix:Kk 電位治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5613A (zh) 2008-04-02
JP4678585B2 (ja) 2011-04-27
WO2006109720A1 (ja) 2006-10-19
JP2006288566A (ja) 2006-10-26
TW200642710A (en) 200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3718B2 (en) High power time varying magnetic field therapy
US11484727B2 (en)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116230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treatment
CN107582235B (zh) 用于增强粘膜组织复原的美容设备
JP7018313B2 (ja) 生体組織へ刺激を送達するデバイスと方法
US6546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edical therapy
US201802290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body fluid stimulation
US20010031906A1 (en) Magnetic stimulation method and magnetic stimulator with litz wire coil
JP4178762B2 (ja) リッツ線コイルを用いた磁気刺激装置
KR101249387B1 (ko) 코일의 교번자계를 이용한 자화침/뜸에 의한 복합 자극장치
JP2006519680A (ja) 電磁治療器具および方法
US7177696B1 (en) Multiple selectable field/current-voltage pads having individually powered and controlled cells
KR101534525B1 (ko) 휴대형 다기능 치료기
KR100924984B1 (ko) 광대역 저주파 전자기장을 이용한 치료장치
KR20190107955A (ko) 다층 피부 치료 니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치료기
US9550067B1 (en) Shoe-shaped magnetic coil system for the treatment of foot pain
TW561062B (en) Electric potential therapeutic device
KR20070119080A (ko) 환부 치료구
TR2023006946U5 (tr) Manyeti̇k erektör ci̇hazi
US20130172659A1 (en) Electromagnetic Deep Tissue Excitation
KR101509730B1 (ko) 자극발생장치
JP3120775U (ja) 電位治療装置
KR20100009037U (ko) 저주파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