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356A -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356A
KR20070117356A KR1020060051529A KR20060051529A KR20070117356A KR 20070117356 A KR20070117356 A KR 20070117356A KR 1020060051529 A KR1020060051529 A KR 1020060051529A KR 20060051529 A KR20060051529 A KR 20060051529A KR 20070117356 A KR20070117356 A KR 20070117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ds
data
gat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324B1 (ko
Inventor
백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32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드로부터 인출되는 라인들을 다수개의 패드에 링크시켜 라인간 저항 편차를 최소화한 액정표시장치 패드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는, 액티브 영역과 패드 영역으로 구분되는 액정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데이터패드들과 메인 게이트패드들;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패드들; 및 상기 메인 게이트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게이트 패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가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게이트패드들 또는 데이터패드들을 각각 다수개의 패드들에 링크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패드들로부터 인출되는 게이트라인들 또는 데이터라인들 간의 저항편차를 줄인 효과가 있다.
액정표시장치, 패드, 링크, 저항, 라인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PAD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의 데이터 패드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라인간의 저항차가 줄어드는 라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 기술의 패드 라인간 저항편차와 본발명의 패드 라인간 저항편차를 비교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액정표시패널 100a: 하부기판
100b: 상부기판 120: 제 1 메인 데이터패드
220: 제 2 메인 데이터패드 130: 제 1 메인 게이트패드
230: 제 2 메인 게이트패드 121,221: 제 1 서브 데이터패드
131, 231: 제 1 서브 게이트패드 122, 222: 제 2 서브 데이터패드
132, 232: 제 2 서브 게이트패드 123, 223: 제 3 서브 데이터패드
133, 233: 제 3 서브 게이트패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드로부터 인출되는 라인들을 다수개의 패드에 링크시켜 라인간 저항 편차를 최소화한 액정표시장치 패드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유전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에는 액정셀들 각각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화소전극들과 공통전극이 마련된다.
상기 화소전극은 하부기판 상에 액정셀 별로 형성되는 반면 공통전극은 상부기판의 전면에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상기 화소전극들 각각은 스위치 소자로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에 접속된다. 화소전극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공통전극과 함께 액정셀을 구동하게 된다. 구동 회로는 액정표시패널의 게이트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와, 데이터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구동 회로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신호들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6)과, 게이트 및 데이터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 : 이하 "PCB"라 함)(26, 16)와, 액정표시패널(6)과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PCB(26, 16)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 및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라 함)(8, 12)와, 게이트 및 데이터 TCP(8, 12)에 실장되는 게이트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 : 이하 "IC"라 함)들(10) 및 데이터 드라이브 IC들(14)과, 게이트 PCB(26)와 데이터 PCB(16)를 접속시키는 제 1 플렉서블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이하 "FPC"라 함, 28)와, 타이밍 제어부(22)와 전원부(24)를 포함하는 메인 PCB(20)와, 메인 PCB(20)와 데이터 PCB(16)를 접속시키는 제 2 FPC(18)를 구비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6)에는 게이트라인들(GL)과 데이터라인들(DL) 사이의 화소 영역에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하부기판과 이와 대응되는 매트릭 형태의 컬러필터가 형성된 상부기판이 합착된 액티브 영역(4)과, 상기 액정표시패널(6)의 하부기판 일측 가장자리에는 게이트 패드와 데이터 패드(미도시)가 형성된 패드 영역(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패드는 게이트 드라이브 IC들(10)로부터의 게이트신호를 게이트라인들(GL)에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패드는 데이터 드라이브 IC들(14)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데이터라인들(DL)에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 액정표시장치는 현재 사용되는 액정 표시패널 규격보다 훨씬 큰 대형 액정표시패널 사이즈에서는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 간에 저항 편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데이터 패드에 연결된 복수개에 데이터라인들중 첫번째 데이터라인과 두번째라인 또는 세번째 데이터라인과 네번째 데이터 라인간의 라인 저항차는 패널 사이즈가 소형이나 중형인 경우에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만, 패널 사이즈가 매우 큰 대형 사이즈인 경우에는 각각의 인접한 라인들 간의 길이차이로 인하여 저항차가 크게 발생된다.
이와 같이, 라인 간의 저항 차가 매우 크게 되면 인접한 라인 간의 저항차가 매우 커지게 되어 각각의 라인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차이가 심해져 화면 불량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형 액정표시패널에서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 간의 저항편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화면 품위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가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게이트패드들 또는 데이터패드들을 각각 다수개의 패드들에 링크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패드들로부터 인출되는 게이트라인들 또는 데이터라인들 간의 저항편차를 줄인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액티브 영역과 패드 영역으로 구분되는 액정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데이터패드들과 메인 게이트패드들;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패드들; 및
상기 메인 게이트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게이트 패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은,
액티브 영역과 패드 영역으로 구분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패드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게이트패드들과 상기 메인게이트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게이트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데이터패드들과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가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게이트패드들 또는 데이터패드들을 각각 다수개의 패드들로 링크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패드들로부터 인출되는 게이트라인들 또는 데이터라인들 간의 저항편차를 줄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패널(100)의 구조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TFT와 화소전극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하부기판(100a)과, 이와 대응되는 액티브 영역에 R, G, B 컬러필터들이 형성된 상부기판(100b)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100a)의 액티브 영역 둘레 일측에는 게이트패드들과 데이터 패드들이 형성된 패드 영역(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패드 영역에는 각각 제 1 메인 데이터패드(120), 제 2 메인 데이터패드(22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메인 데이터패드(120)에 대응되는 제 1 서브 데이터패드(121), 제 2 서브 데이터패드(122), 제 3 서브 데이터패드(123)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메인 데이터패드(220)에 대응되도록 제 1 서브 데이터패드(221), 제 2 서브 데이터패드(222), 제 3 서브 데이터패드(2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패드 영역에는 각각 제 1 메인 게이트패드(130), 제 2 메인 게이트패드(23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메인 게이트패드(130)에 대응되는 제 1 서브 게이트패드(131), 제 2 서브 게이트패드(132), 제 3 서브 게이트패드(133)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서브 게이트패드(230)에 대응되도록 제 1 서브 게이트패드(231), 제 2 서브 게이트패드(232), 제 3 서브 게이트패드(2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데이터패드들과 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패드들로 2분할된 구조이지만, 이것은 일 실시예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3, 4,..과 같이 다수개의 분할 패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인 데이터패드(120)와 제 2 메인 데이터패드(220)들과 같이 메인 데이터패드에 포함된 데이터패드들은 다시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서브 데이터패드들(121, 122, 123, 221, 222, 223)과 제 1 데이터라인(FDL)들로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서브 데이터패드들(121, 122, 123, 221, 222, 223)은 다시 제 2 데이터라인(SDL)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데이터라인(SDL)들은 각각 액티브 영역에 형성되는 데이터라인들과 연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메인 게이트패드(130)와 제 2 메인 게이트패드(230)들과 같이 메인 게이트패드에 포함된 게이트패드들은 다시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서브 게이트패드들(131, 132, 133, 231, 232, 233)과 제 1 게이트라인(FGL)들로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서브 게이트패드들(131, 132, 133, 231, 232, 233)은 다시 제 2 게이트라인(SGL)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게이트라인(SGL)들은 각각 액티브 영역에 형성되는 게이트라인들과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게이트패드(130, 230)들과 서브 게이트패드들(131, 132, 133, 231, 232, 233)을 연결하는 제 1 게이트라인들(FGL)은 라인들의 길이가 매우 비슷하여 라인들 간의 저항편차가 매우 작다.
또한,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120, 220)들과 서브 데이터패드들(121, 122, 123, 221, 222, 223)을 연결하는 제 1 데이터라인들(FDL)은 라인들의 길이가 매우 비슷하여 라인들 간의 저항 편차가 매우 작다.
따라서, 게이트 패드 영역 또는 데이터 패드 영역으로부터 액티브 영역으로 진행하는 구동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라인들 간에 저항 편차로 인한 신호 왜곡이 크게 발생되지 않아 대형 액정표시장치에서의 화면품위를 개선 시킬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데이터 패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기판(100a)의 패드 영역에 형성된 제 1 메인 데이터패드(120)의 패드들은 제 1, 2, 3 서브 데이터패드(121, 122, 123)와 각각 대응되도록 3개의 패드 그룹(120a, 120b, 120c)으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 1 패드 그룹(120a), 제 2 패드 그룹(120b), 제 3 패드 그룹(120c)은 각각 상기 제 1 서브 데이터패드(121), 상기 제 2 서브 데이터패드(122), 상기 제 3 서브 데이터패드(123)와 대응되며 각각 제 1 데이터라인들(FDL)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데이터패드(121), 제 2 서브 데이터패드(122), 제 3 서브 데이터패드(123)들은 각각 제 2 데이터라인들(SDL)이 인출되어 액티브 영역의 데이터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패널에서는 제 1 메인 데이터패드(130)의 제 1 패드 그룹(120a)으로부터 제 1 서브 데이터패드(121)에 연결되는 제 1 데이터라인들(FDL) 간의 라인간 길이 편차는 거의 동일함을 볼 수 있다.
제 1 서브 데이터 패드(121)로부터 액티브 영역에 연결되는 제 2 데이터라인들(SDL)은 액티브 영역의 데이터라인들과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길이 편차가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제 1 메인 데이터패드(130)의 제 2 패드 그룹(120b), 제 3 패드 그룹(120c), 제 2 서브 데이터패드(122) 및 제 3 서브 데이터패드(123)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대형 사이즈 액정표시패널인 경우에도 패드 영역으로부터 액티브 영역으로 링크되는 라인들 간의 길이 편차가 매우 작기 때문에 라인들 간의 저항 편차가 작아 화면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형성된다.
먼저, 글라스 기판 상의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라인들을 형성할 때, 게이트 패드 영역에 메인 게이트 패드들과 상기 메인 게이트 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서브 게이트 패드들을 형성한다.
이때, 메인 게이트 패드에 대응되는 서브 게이트 패드들 뿐 아니라 상기 서브 게이트패드들에 대응되는 또 다른 서브 게이트 패드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게이트 패드들과 서브 게이트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게이트 라인들과 서브 게이트 패드들과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제 2 게이트 라인들도 동시에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라인들 및 게이트 패드들이 형성되면, 상기 액티브 영역에 채널층을 형성하고, 소스/드레인 전극 및 데이터 라인들을 형성하여 TFT를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글라스 기판의 데이터 패드 영역에는 액티브 영역의 데이터 라 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메인 데이터패드와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서브 데이터패드들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패드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에 대잉되는 서브 데이터패드들 뿐 아니라 상기 서브 데이터패드들에 대응되는 또 다른 서브 데이터패드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이트패드들과 데이터 패드들의 분할을 2개,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할 것인가는 액정표시장치의 크기에 의존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 데이터패드들과 서브 데이퍼패드들이 완성되면 상기 액티브 영역에 화소전극들을 형성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하부기판을 완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액정표시패널이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게이트 패드 또는 데이터 패드로부터 인출되는 라인들 간의 길이 편차를 줄이기 위해 중간에 서브 패드들을 형성하여 라인들 간의 길이 편차를 최소화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라인간의 저항차가 줄어드는 라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메인 데이터패드(120)의 제 1 패드 그룹(120a)과 제 1 서브 데이터패드(121)를 경유하는 제 1 데이터라인(L1)과 제 2 데이터라인(L2)의 총길이는 인접한 제 2 패드 그룹(120b)과 제 2 서브 데이터패드(122)를 경유하는 제 1 데이터라인(L3)와 제 2 데이터라인(L4)는 서로 길이 편차가 크게 발생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다단 패드 구조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메 인 데이터패드(120)의 제 1 패드 그룹(120a)으로부터 액티브 영역에 직접 연결하는 데이터라인(L5)과, 제 1 메인 데이터패드(120)의 제 2 패드그룹(120b)으로부터 액티브 영역에 직접 연결하는 데이터라인(L6)의 길이 편차가 크게 발생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 편차는 액정표시패널이 대형화되면 될 수로 더욱 크게 발생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패드 구조로는 라인간 저항 편차를 줄일 수 없다.
본 발명과 같이 다단 패드 구조를 형성할 경우에는 액정표시패널이 대형화되면 될 수로 패드 단을 다단으로 형성하면 길이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라인들 간의 길이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패드 라인간 저항편차와 본발명의 패드 라인간 저항편차를 비교한 그래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패드 영역 또는 데이터 패드 영역에서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패드들에 대응되는 길이 저항을 비교하였다.
가로축은 하나의 메인 패드들의 패드 개수이고, 수직축은 메인 패드들 각각의 패드들에 연결되어 있는 라인들 간의 저항 값이다.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에서는 패널이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라인 간의 길이 편차에 따라 저항이 급격하게 변동하는 것을 볼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단 패드 구조를 형성할 경우에는 라인들 간의 길이 편차가 작아 저항 편차가 매우 작음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드들을 연결하는 게이트 라인들 또는 데이터 라인들의 라인간 길이 차가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저항 편차가 작다. 그래서, 게이트 라인들중 어느 하나의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구동신호는 인접한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와 저항으로 인한 신호 왜곡이 최소화된다.
이와 같은 특성은, 데이터 패드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대형 액정표시장치에서도 소형 액정표시장치에서 구현되는 영상 특성을 그대로 얻을 수 있어 화면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가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게이트패드들 또는 데이터패드들을 각각 다수개의 패드들로 링크되도록 함으로써, 각각 패드들로부터 인출되는 게이트라인들 또는 데이터라인들 간의 저항편차를 줄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액티브 영역과 패드 영역으로 구분되는 액정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데이터패드들과 메인 게이트패드들;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패드들; 및
    상기 메인 게이트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게이트 패드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들과 상기 서브 데이터패드들은 연결하는 제 1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서브 데이터패드들 각각으로부터 액티브 영역으로 인출되는 제 2 데이터라인들을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에 포함된 패드들은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패드들의 수만큼 패드 그룹으로 나뉘고, 각각의 패드 그룹은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들에 의해 각각의 서브 데이터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패드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패드들과 상기 서브 게이트패드들을 연 결하는 제 1 게이트라인들과, 상기 서브 게이트패드들 각각으로부터 액티브 영역으로 인출되는 제 2 게이트라인들을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패드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패드에 포함된 패드들은 대응되는 서브 게이트패드들의 수만큼 패드 그룹으로 나뉘고, 각각의 패드 그룹은 상기 제 1 게이트라인들에 의해 각각의 서브 게이트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패드 구조.
  6. 액티브 영역과 패드 영역으로 구분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패드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게이트패드들과 상기 메인게이트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게이트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데이터패드들과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들과 상기 서브 데이터패드들은 연결하는 제 1 데이터 라인들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데이터패드들 각각으로부터 액티브 영역으로 인출되는 제 2 데이터라인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이터패드에 포함된 패드들은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패드들의 수만큼 패드 그룹으로 나뉘고, 각각의 패드 그룹은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들에 의해 각각의 서브 데이터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패드들과 상기 서브 게이트패드들을 연결하는 제 1 게이트라인들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게이트패드들 각각으로부터 액티브 영역으로 인출되는 제 2 게이트라인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패드에 포함된 패드들은 대응되는 서브 게이트패드들의 수만큼 패드 그룹으로 나뉘고, 각각의 패드 그룹은 상기 제 1 게이트라인들에 의해 각각의 서브 게이트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에 채널층과 소스/드레인 전극으로 구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에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060051529A 2006-06-08 2006-06-08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265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529A KR101265324B1 (ko) 2006-06-08 2006-06-08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529A KR101265324B1 (ko) 2006-06-08 2006-06-08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356A true KR20070117356A (ko) 2007-12-12
KR101265324B1 KR101265324B1 (ko) 2013-05-20

Family

ID=3914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529A KR101265324B1 (ko) 2006-06-08 2006-06-08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3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324B1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3346B2 (en) Horizontal stri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724749B2 (ja) 表示装置
US20070002243A1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1034717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 표시 장치
KR10085581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10081677A (ko)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010066254A (ko) 액정표시장치
US10401698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mon wirings each having an associated connecting portion disposed in a common plane with one another
JP2004361722A (ja) 表示装置
CN101699339B (zh) 有源元件阵列基板
KR101644055B1 (ko) 외곽영역이 최소화된 액정표시장치
KR20110049094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9031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15796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265324B1 (ko)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966438B1 (ko) 스토리지 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킨 액정표시패널
KR10102174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12156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52998B1 (ko) 액정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KR20070058826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29663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050859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부
KR20050094014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22459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인쇄 회로 기판
KR20050068162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