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162A -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162A
KR20070117162A KR1020060051010A KR20060051010A KR20070117162A KR 20070117162 A KR20070117162 A KR 20070117162A KR 1020060051010 A KR1020060051010 A KR 1020060051010A KR 20060051010 A KR20060051010 A KR 20060051010A KR 20070117162 A KR20070117162 A KR 20070117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lay panel
upper substrate
external ligh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일
노정호
임성환
전욱제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7162A/ko
Priority to EP06125406A priority patent/EP1865531A3/en
Priority to CNA2006101645428A priority patent/CN101086944A/zh
Priority to US11/725,450 priority patent/US20070285790A1/en
Publication of KR20070117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2Light reflecting means; Anti-refl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표시에 이용되는 광이 투과되는 상부기판, 그리고, 상부기판에서 투과된 광을 집속시켜 출사시키는 복수의 라이트가이드(light guide)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 필터, 가시광, 근 적외선(Near Infra Red), 전자파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 반사방지(Anti-Reflection:A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 Display panel }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광학필름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채용되는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하부기판 111 : 어드레스 전극
112 : 제1유전체층 113 : 격벽
114 : 형광체층 115 : 방전셀
120 : 상부기판 121a,121b : 유지전극
122a,122b : 버스전극 123 : 제2유전체층
124 : 보호막 125 : 근적외선차단부
126 : 광학부 126a : 라이트가이드
126b : 외광차폐부재 127 : EMI방지부
128 : 반사방지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즈마(plasma)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개선된 구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기적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로 불려지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휘도나 시야각 등의 표시 성능이 우수하여 그 사용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들의 배치구조에 따라, 대향 방전형(facing discharge type) 및 면 방전형(surface discharge type)으로 분류될 수 있다. 대향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유지전극(sustainning electrode)이 각각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에 배치된 구조로써, 방전이 패널의 수직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면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유지전극이 동일 한 기판상에 배치된 구조로써, 전기적 방전이 한 평면상에서 발생한다.
대향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효율(luminous efficacy)은 높지만, 전기적 방전에 의해 형광체가 쉽게 열화되는 단점이 있어, 근래에는 면 방 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면 방전형이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구조를 알기 쉽게 보여주기 위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부기판(20)만을 90°회전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하부기판(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11)이 스트라이프(stripe)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11)은 백색의 제1유전체층(12)에 의해 매립되어 있다. 그리고, 제1유전체층(12)의 상면에는 방전셀(15) 간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 토크(cross-talk)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13)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격벽(13)에 의해 구획된 방전셀(15) 내부는 형광체층(14)으로 도포되고, 플라즈마 방전을 위한 방전가스로 채워진다. 여기서 사용되는 방전가스는 네온(Ne) 및 크세논(Xe) 등의 가스가 혼합된 상태이다.
상부기판(20)은 가시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기판으로써, 주로 유리로 만들어지며, 격벽(13)이 마련된 하부기판(10)에 봉착(seal)된다. 상부기판(20)의 하면에는 어드레스 전극(11)과 직교하는 스트라이프 형태의 유지전극(sustaining electrode)(21a,21b)이 쌍으로 형성되며, 유지전극(21a,21b)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지전극(21a,21b)의 라인 저항을 줄이기 위해, 유지전극(21a,21b)의 하면에 금속재질로 구성된 버스전극(22a,22b)이 유지전극(21a,21b)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지전극(21a,21b)과 버스전극(22a,22b)은 투명한 제2유전체층(23)에 의해 매립되어 있으 며, 제2유전체층(23)의 하면에는 보호막(24)이 형성된다. 보호막(24)은 플라즈마 입자의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한 제2유전체층(23)의 손상을 방지하고, 2차 전자를 방출하여 방전전압과 유지전압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산화마그네슘(MgO)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기판(20)의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패널 내부로 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한 복수의 블랙스트라이프(Black Stripe)(30)가 소정 간격으로 유지전극(21a,21b)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유지전극(21a,21b) 중 어느 하나의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11) 사이에서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함으로써, 벽전하(wall charge)가 형성된 후, 한 쌍의 유지전극(21a,21b)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유지방전이 발생하여, 방전가스로부터 자외선이 발생하게 된다.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층(30)이 여기(excitation)되어 가시광이 발산되며, 이 가시광이 상부기판(20)을 통해 출사되면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외부가 밝은 조건 즉, 명실 조건에서는 외부 광이 패널의 방전셀(15) 내부로 유입되거나 상부기판(20)에서 반사되어, 명실 콘트라스트(bright room contrast)가 저하된다. 또한, 방전셀(15)에서 발생한 가시광은 일정한 방향을 가지지 않는 확산광이므로, 투과특성이 저하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표시 능력이 열악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선명한 화질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전셀에서 발생한 가시광을 집속시켜 출사하고, 외부 광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된 확산광에 대해 고효율의 투과 특성을 유지하고, 외부 광에 대한 반사기능을 최대화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채용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표시에 이용되는 광이 투과되는 상부기판, 및 상기 상부기판에서 투과된 광을 집속시켜 출사시키는 복수의 라이트가이드(light guide)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이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 광을 차단하는 복수의 외광차폐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외광차폐부재는 저 굴절율 매질 및 카본블랙(Carbon Black)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전자파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를 방지하는 EMI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EMI방지부는 메쉬(mesh)방식 및 도전막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부 광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방지부는 AR(Anti Reflective)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기판을 통해 투과된 광에 포함된 근 적외선(Near Infra Red)을 차단하는 근적외선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셀에서 발생한 광이 투과되는 상부기판, 및 상기 상부기판에서 투과된 광을 집속시켜 출사시키는 복수의 라이트가이드(light guide)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 광을 차단하는 복수의 외광차폐부재를 더 포함한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출력을 필터링하는 필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을 집속시켜 출사시키는 복수의 라이트가이드(light guide), 및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 광을 차단하는 복수의 외광차폐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이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외광차폐부재는 저 굴절율 매질 및 카본블랙(Carbon Black)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출력을 필터링하는 필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출력에 대한 전자파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를 방지하는 EMI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EMI방지부는 메쉬(mesh)방식 및 도전막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출력을 필터링하는 필터는 외부 광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방지부는 AR(Anti Reflective)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출력을 필터링하는 필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에 포함된 근 적외선(Near Infra Red)을 차단하는 근적외선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출력을 필터링하는 필터는 강도를 보완하는 유리기판을 더 포함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광을 집속시켜 출사시키는 복수의 라이트가이드(light guide),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 광을 차단하는 복수의 외광차폐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출력에 대한 전자파장애를 방지하는 EMI방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되는 외부 광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기판(120)과 하부기판(110)을 포함한다. 상부기판(120)과 하부기판(110) 사이에는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는 복수의 방전셀(115)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기판(110)은 유리기판으로써, 그 상면에는 어드레스 방전을 위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111)이 서로 나란하게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기판(110)의 상면에는 제1유전체층(112)이 어드레스 전극(111)을 덮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유전체층(112)은 하부기판(110)의 상면에 백색의 유전물질을 소정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전체층(112)의 상면에는 복수의 격벽(113)이 소정 간격을 두고 어드레스 전극(111)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격벽(113)은 하부기판(110)과 상부기판(12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방전셀(115)을 형성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방전셀(115) 간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여 색 순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전셀(115)의 내벽을 이루는 제1유전체층(112)의 상면 및 격벽(113)의 측면에는 각각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형광체층(114)이 소정 두께로 도포된다.
그리고, 방전셀(115) 내부에는 플라즈마 방전을 위한 가스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온(Ne)가스 및 소량의 크세논(Xe)가스가 혼합된 방전가스가 채워진다. 형광체층(114)은 방전가스의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발생된 자외선에 의하여 여기(excitation)되어, 각각의 형광체층(114)에 대응되는 색상의 가시광을 방출하게 된다.
상부기판(120)의 하면에는 유지방전을 위한 방전전극(121a,121b)이 어드레스 전극(1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방전전극(121a,121b)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이 형성되며, 방전셀(115)에서 발생된 가시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주로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그리고, 방전전극(121a,121b)의 하면에는 각각 금속 재질로 구성된 버스전극(122a,122b)이 형성되며, 버스전극(122a,122b) 또한, 방전전극(121a,121b)과 동일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버스전극(122a,122b)은 방전전극(121a,121b)의 라인 저항을 줄이기 위한 전극으로써, 방전전극(121a,121b)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방전전극(121a,121b)과 버스전극(122a,122b)을 덮도록 제2유전체층(123)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유전체층(123)은 상부기판(120)의 하면에 투명한 유전물질을 소정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전체층(123)의 하면에는 플라즈마 입자의 스퍼터링에 의해 제2유전체층(123)과 방전전극(121a,121b)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2차 전자를 방출하여 방전전압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하 는 보호막(124)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막(124)은 제2유전체층(123)의 하면에 산화마그네슘(MgO)을 소정 두게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플라즈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먼저, 한 쌍의 방전전극(121a,121b) 중 어느 하나의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111) 사이에서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나서, 벽전하(wall charge)가 형성된다. 이어서, 한 쌍의 방전전극(121a,121b)에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벽전하가 형성된 방전셀(115) 내부에서 유지방전이 일어나게 되어, 방전가스로부터 자외선이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자외선이 형광체층(114)을 여기시켜 가시광을 발생시킨다.
상부기판(120)의 상면에는 방전셀(115)에서 발생된 광 중에서 가시광에 가장 근접한 근 적외선(Near Infra Red)을 차단하고, 색 순도를 향상시키는 근적외선차단부(125)가 형성된다. 그리고, 근적외선차단부(125)의 상면에는 광학부(126)가 형성되며, 광학부(126)에는 근 적외선이 차단된 가시광을 집속시켜 출사하는 라이트가이드(light guide)(126a), 및 외부 광이 방전셀(11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광차폐부재(126b)가 포함된다.
라이트가이드(126a)는 방전셀(115)에서 발생된 가시광이 입사하는 입사면의 면적이 출사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가시광이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후, 집속되어 출사면으로 출사된다. 이와 같은 라이트가이드(126a)는 그 폭이 수십 μm이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의 화상을 구현하는데 이용되어 패널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외광차폐부재(126b)는 카본블랙(Carbon Black)과 저 굴절율 매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을 흡수함으로써, 외부 광에 의해 콘트라스트(Contrast)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광학부(126)의 상면에는 전자파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를 방지하는 EMI방지부(127)가 메쉬(mesh)방식 혹은 도전막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EMI방지부(127)의 상면에는 외부 광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부(128)가 형성되며, 반사방지부(128)로는 AR(Anti Reflective)필름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기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구성요소(125,126,127,128)에 의해, 방전셀(115)에서 발생한 가시광을 필터링하고 집속시켜 출사하고, 외부 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기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구성요소(125,126,127,128)는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부기판(12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광학필름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광이 소정 각도로 고 굴절율 매질에서 저 굴절율 매질로 입사하는 경우, 광이 입사하는 각도가 소정 임계각 이상이 되면, 두 매질의 계면에서 광이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를 일으키게 된다. 라이트가이드(126a)는 이와 같이 광이 전반사를 일으키는 특징을 이용하여, 방전셀(115)에서 발생한 가시광을 집속하여 출사시킨다.
도 3a를 참조하면, 방전셀(115)에서 발생한 가시광이 소정 입사각(α)으로 라이트가이드(126a)의 계면(F)에 입사할 때, 입사각(α)이 소정 임계각(θ) 이상이 되는 경우, 라이트가이드(126a) 내부에서 전반사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의 임계각(θ)에 대한 공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6039999010-PAT00001
수학식 1에서, Na는 외광차폐부재(126b)의 굴절율, 그리고, Nf는 라이트가이드(126a)의 굴절율이다.
도 3b는 방전셀(115)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의 시야각(β)에 따른 휘도 분포를 나타낸 프로파일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115)에서 발생된 가시광은 사방으로 방사되는 확산광(diffused light)으로, 시야각(β)에 따라, 확산광의 휘도 분포가 달라진다.
다음 표 1에는 도 3b에 나타낸 확산광의 시야각(β)에 따른 휘도 및 입사각(α)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시야각(°) 휘도(%) 입사각(°)
-70 72.7 16.73
-60 84.0 26.73
-50 90.4 36.73
-40 94.4 46.73
-30 96.7 56.73
-20 98.5 66.73
-10 100 76.73
0 100 86.73
10 100 76.73
20 98.5 66.73
30 96.7 56.73
40 94.4 46.73
50 90.4 36.73
60 84.0 26.73
70 72.7 16.7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야각(β)에 따라 확산광의 휘도 및 계면(F)으로의 입사각(α)이 달라진다. 즉, 시야각(β)의 절대값이 커질수록 확산광의 휘도가 작아지고, 입사각(α)이 작아지게 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라이트가이드의 내부 전반사 효율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외광차폐부재(126b)의 굴절율을 1.4로 가정하면, 방전셀(115)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의 임계각(θ)은 수학식 1을 통해 대략 63.8°로 산출된다. 그러므로, 입사각(α)이 63.8°이상이 되는 광이 라이트가이드(126a) 내부에서 전반사되어 출사면(O)으로 출사된다. 즉, 표 1을 참조하면, 시야각(β)이 대략 -23°~ +23°인 확산광이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채용되는 필터(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하부기판(210)의 상면에는 어드레스 전극(211), 제1유전체층(212), 격벽(213), 및 형광체층(2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기판(220)의 하면에는 방전전극(221a,221b), 버스전극(222a,222b), 제2유전체층(223), 및 보호층(224)이 형성된다. 하부기판(210) 및 상부기판(22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는 복수의 방전셀(215)이 형성되고, 방전셀(215) 내부에는 플라즈마 방전을 위해, 네온(Ne)가스 및 소량의 크세논(Xe)가스가 혼합된 방전가스가 채워진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상면에 채용되는 필터(300)는 근적외선차단부(310), 광학부(320), EMI방지부(330), 유리기판(340), 및 반사방지부(350)를 포함한다.
근적외선차단부(310)는 방전셀(215)에서 발생된 광 중에서 가시광에 가장 근접한 근 적외선(Near Infra Red)을 차단하고, 색순도를 증진시킨다.
광학부(320)는 라이트가이드(light guide)(321) 및 외광차폐부재(322)를 포함한다. 라이트가이드(321)는 방전셀(215)에서 발생된 가지광을 집속시켜 출사하며, 가시광이 입사하는 입사면의 면적이 출사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라이트가이드(321)는 그 폭이 수십 μm이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의 화상을 구현하는데 이용되어 패널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외광차폐부재(322)는 외부 광이 방전셀(21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카본블랙(Carbon Black)과 저 굴절률 매질이 혼합되어 형성된다.
EMI방지부(330)는 전자파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를 방지하며, 메쉬(mesh)방식 혹은 도전막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300)에는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유리기판(340)이 포함되며, 여기에 사용되는 유리기판(340)은 강화유리이며, 고온에서 필터(300)의 주름발생을 최소화한다. 반사방지부(350)는 외부 광 반사를 방지하며, 반사방지부(350)로는 AR(Anti Reflective)필름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은 필름(300)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채용하여, 방전셀(215)에서 발생한 가시광을 필터링하고 집속시켜 출사하고, 외부 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기판의 구조를 개선하거나 구조가 개선된 필터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채용함으로써,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켜, 선명한 화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1)

  1. 영상표시에 이용되는 광이 투과되는 상부기판; 및
    상기 상부기판에서 투과된 광을 집속시켜 출사시키는 복수의 라이트가이드(light gu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이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 광을 차단하는 복수의 외광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광차폐부재는 저 굴절율 매질 및 카본블랙(Carbon Black)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전자파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를 방지하는 EMI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MI방지부는 메쉬(mesh)방식 및 도전막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부 광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부는 AR(Anti Reflective)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기판을 통해 투과된 광에 포함된 근 적외선(Near Infra Red)을 차단하는 근적외선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0. 방전셀에서 발생한 광이 투과되는 상부기판; 및
    상기 상부기판에서 투과된 광을 집속시켜 출사시키는 복수의 라이트가이드(light gu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 광을 차단하는 복수의 외광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출력을 필터링하는 필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을 집속시켜 출사시키는 복수의 라이트가이드(light guide); 및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 광을 차단하는 복수의 외광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이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광차폐부재는 저 굴절율 매질 및 카본블랙(Carbon Black)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출력에 대한 전자파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를 방지하는 EMI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EMI방지부는 메쉬(mesh)방식 및 도전막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7. 제12항에 있어서,
    외부 광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부는 AR(Anti Reflective)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에 포함된 근 적외선(Near Infra Red)을 차단하는 근적외선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20. 제12항에 있어서,
    강도를 보완하는 유리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21.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필름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광을 집속시켜 출사시키는 복수의 라이트가이드(light guide);
    상기 복수의 라이트가이드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 광을 차단하는 복수의 외광차폐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출력에 대한 전자파장애를 방지하는 EMI방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되는 외부 광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KR1020060051010A 2006-06-07 2006-06-07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17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010A KR20070117162A (ko) 2006-06-07 2006-06-07 디스플레이 패널
EP06125406A EP1865531A3 (en) 2006-06-07 2006-12-05 Display Panel
CNA2006101645428A CN101086944A (zh) 2006-06-07 2006-12-05 显示面板
US11/725,450 US20070285790A1 (en) 2006-06-07 2007-03-20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010A KR20070117162A (ko) 2006-06-07 2006-06-07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162A true KR20070117162A (ko) 2007-12-12

Family

ID=3852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010A KR20070117162A (ko) 2006-06-07 2006-06-07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85790A1 (ko)
EP (1) EP1865531A3 (ko)
KR (1) KR20070117162A (ko)
CN (1) CN1010869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0407B2 (ja) * 2006-05-18 2012-10-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前面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740227B1 (ko) * 2006-06-15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KR20200114823A (ko) * 2019-03-29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536A (ja) * 2002-10-23 2004-05-20 Mitsui Chemicals Inc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
JP2004295045A (ja) * 2003-03-28 2004-10-21 Daicel Chem Ind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11790B1 (ko) * 2003-04-10 200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면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4552447B2 (ja) * 2004-02-09 2010-09-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前面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050099260A (ko) * 2004-04-09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7968B1 (ko) * 2004-04-27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5026B1 (ko) * 2004-05-17 2007-01-09 삼성코닝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필터,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디스플레이 필터의 제조 방법
KR20060042478A (ko) * 2004-11-09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렌즈배열를 적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전면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5531A2 (en) 2007-12-12
CN101086944A (zh) 2007-12-12
EP1865531A3 (en) 2009-12-23
US20070285790A1 (en)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8043B2 (en) Plasma display panel enhancing a bright room contrast
KR100793964B1 (ko) 디스플레이 패널
EP1745498B1 (en) Plasma display panel
US7166962B2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improved brightness and contrast
KR10074022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17162A (ko)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2261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97409B1 (ko) 명암비 향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JP2008053030A (ja) 入射角制限板及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60104535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8046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0469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73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8053029A (ja) 入射角選択遮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731110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70056401A (ko) 디스플레이 패널
JP200914661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208355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3373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명암비 향상 필름, 이를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