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199A -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199A
KR20070116199A KR1020070026761A KR20070026761A KR20070116199A KR 20070116199 A KR20070116199 A KR 20070116199A KR 1020070026761 A KR1020070026761 A KR 1020070026761A KR 20070026761 A KR20070026761 A KR 20070026761A KR 20070116199 A KR20070116199 A KR 2007011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mage
vehicle
reverse
anticip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기
강주병
Original Assignee
유승현
(주)유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현, (주)유앤컴 filed Critical 유승현
Priority to KR102007002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6199A/ko
Publication of KR2007011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75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by overlaying a vehicle path based on present steering angle over an image without processing that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06V20/586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of parking sp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merged images, e.g. merging camera image with stored images
    • B60R2300/3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merged images, e.g. merging camera image with stored images merging camera image with line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진시 후진 예상 주차궤적과 후방 카메라 영상을 합성 출력하는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으로서,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각종 차량에서 후방카메라의 위치 및 종류, 차량 구조에 맞게 선택 및 조정(Setting)하여 적용할 수 있고, 이때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통해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 추정이 가능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후진 및 주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차량, 자동차, 후진, 주차궤적, 영상, 궤적 조절, 카메라

Description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Image suppor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back parking of ca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진 주차 보조 시스템의 개요도.
도 2a는 도 1의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의 상세도.
도 2b는 합성 출력 및 제어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후진 주차 보조시스템을 자동차에 설치할 때의 연결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후진 예상 주차궤적 조정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진 예상 주차 궤적 조정 설명도.
도 6a,도 6b,도 6c는 본 발명의 후진 주차 보조시스템을 장착하고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조정한 차량을 후방주차하는 여러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범퍼 12 : 후미등
20 : 후진 예상 주차 궤적 21a, 21b :기준선
22a, 22b, 23a, 23b : 좌우, 상하 설명 지점
30 : 주차선
100 :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 101 : 디코더
102 : 합성부 103 : 엔코더
104 : 메모리 105 : 제어부
110 : 조절수단 111 - 113 : 제1 - 제3스위치
114 : 영상 입력/출력단자 115 : 전원입력단자
120 : 연결 케이블 200 : 후방 카메라
300 :모니터 310 : 조절수단
301 : 시거잭
본 발명은 차량의 후진시 후진 예상 주차궤적과 후방 카메라 영상을 합성 출력하는 시스템으로서,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각종 차량에서 후방카메라의 장착 위치 및 종류, 차량 구조에 맞게 조정(Setting)하여 이용할 수 있고, 이때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 추정이 가능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후진 및 주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전자는 후진 주행 및 주차시 차량에 장착된 사이드 미러(side mirror)와 룸 미러(room mirror)를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 사이드 미러는 반사각 형상이므로 운전자가 인지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많이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룸미러를 통해서는 후방,특히 근거리의 장애물 확인에 제약이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차량의 후방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의 후방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후진 및 주차시 보조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후방영상은 후진 예상 주차궤적이나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후방 카메라를 통한 영상은 후방 장애물과의 실제 거리보다 멀리 보이게 하는 착시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하여 후방카메라 영상에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합성출력하여 화면표시함으로써, 실제 주차선과 비교하고 후방장애물과의 거리를 추정하며 안전하고 편리하게 후진,주차하는 데 보조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 후진 예상 주차궤적 표시기능은 특정 차량구조, 특정 카메라 사양 및 장착위치로 고정되어 있어, 기존 운행중인 각종 차량구조 및 다른 사양의 카메라와 장착위치에서는 적합지 않으며, 조정할 수도 없으므로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후진시 후진 예상 주차궤적과 후방 카메라 영상을 합성 출력하는 시스템으로서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각종 차량에서 후방카메라의 장착 위치 및 종류, 차량 구조에 맞게 조정(Setting)하여 이용할 수 있고, 이때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 추정이 가능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후진 및 주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영상을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후방카메라와;
차량 및 카메라 장착 위치의 특성에 따른 복수의 후진 예상 주차궤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가 선택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주차선 영상에 맞도록 조정하여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셋팅하고, 후방 영상과 상기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합성하여 모니터에 제공하는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와;
합성출력 장치에서 합성출력하는 후방영상과 예상 후진 주차 궤적을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와;
후방 예상 주차 궤적을 선택하여 상기 합성 출력장치에서 카메라 장착위치(높이, 좌우) 및 사양, 각종 차량의 구조에 맞게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후방 영상의 주차선에 맞추고 조정하기 위한 조절수단과;
상기 각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는,
후방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와;
차량 및 카메라 장착 위치의 특성에 따른 복수의 후진 예상 주차궤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저장하여 두는 메모리와;
상기 조절수단의 버튼 입력에 의거하여 버튼의 기능 제어와 함께 버튼을 통 해 선택되는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선택하고, 버튼 기능을 통해 조정되는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조정하여 조정 완료된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후방영상과 합성을 위한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궤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되는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상기 디코더를 통해 입력되는 후방 영상과 겹치도록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부에서 합성된 후방영상과 후진 예상 주차궤적 영상을 엔코딩하여 상기 모니터에 출력하는 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후진 예상 주차궤적 조정 방법은,
후방 카메라로부터 주차선 영상을 획득하여 입력받고, 장치설치자 또는 사용자가 조절수단에 의해 선택하는 조정전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선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선택된 조정 전 후진 예상 주차궤적 영상과 상기 제1단계에서 획득한 후방 영상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합성 출력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기준선을 차량의 뒷범퍼 중심위치와 실제주차선의 중심위치와 일치되도록 좌.우 위치를 맞추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하단을 차량의 뒷범퍼 끝단과 일치되도록 상.하 위치를 맞추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하단 양측을 차량의 뒷범퍼 좌우폭에 맞게 좌.우폭을 맞추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이후에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앞.뒤(상.하) 길이를 후방 영상의 주차선 앞.뒤 길이에 맞게 조정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3,4,5,6단계에서 후방영상의 주차선과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일치시켜 맞춘 후,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저장하는 제7단계와;
후진 주차시 상기 후방 카메라에서 획득한 후방 영상과 상기 제7단계에서 저장된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매칭시켜 합성된 영상으로 모니터에 출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변경 사유가 발생되면, 상기 단계를 거쳐 재조정하고 재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저장하여두고 이후 후진 주차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진 주차 보조 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a는 도 1의 합성 출력 및 제어장치의 상세도이며, 도 2b는 합성 출력 및 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후진 주차 보조시스템을 자동차에 설치할 때의 연결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구조(크기, 높이 및 부착물 등) 및 설치 목적에 따라 차량의 후미에 후방카메라(200)를 설치하고, 운전석 인스트루먼트 패널측에 모니터(300)를 설치하며, 노출되지 않는 위치(뒷트렁크내부)에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를 설치하고, 연결 케이블(120)을 연결하여 장착한다.
상기 후방 카메라(200)는 차량의 후진 주차시 후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 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후진 주차시 주차선 영상을 획득한다. 물론 주차선이 없는 장소에서는 주변의 장애물과 주차영역과의 관계를 알 수 있도록 후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는, 본 발명의 메인 장치로서, 차량 및 카메라 장착 위치의 특성에 따른 복수의 후진 예상 주차궤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가 선택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상기 후방 카메라(200)로부터 획득한 주차선 영상에 맞도록 조정하여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셋팅하고, 후방 영상과 상기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합성하여 모니터(300)에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모니터(300)는, 상기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에서 합성출력하는 후방영상과 예상 후진 주차 궤적을 화면에 표시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부저나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경고음/음성이나 완료음/음성 시작음/음성 또는 후진 주행음/음성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절수단(110)은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선택하여 상기 합성 출력 및 제어장치에서 카메라 장착위치(높이, 좌우) 및 사양, 각종 차량의 구조에 맞게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후방 영상의 주차선과 맞추고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메뉴 기능에 의해 설정되는 각각의 버튼 기능을 이용하여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수단(110)은 상기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에만 설치할 수 도 있으며, 모니터(300)에도 동일한 조절수단(310)을 부착 설치하고 연결 케이블(120)을 통해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에 연결하여, 모니터(300)측에서도 운전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또한,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에도 조절수단(110)을 설치하고, 모니터(300)에도 상기 조절수단(110)과 병렬 연결되는 동일한 조절수단(310)을 함께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는, 후방 카메라(100)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디코딩하는 디코더(101)와, 차량 및 카메라 장착 위치의 특성에 따른 복수의 후진 예상 주차궤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저장하여 두는 메모리(104)와, 상기 조절수단(110)의 버튼 입력에 의거하여 버튼의 기능 제어와 함께 버튼을 통해 선택되는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선택하고, 버튼 기능을 통해 조정되는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조정하여 조정 완료된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메모리(104)에 저장하여 후방영상과 합성을 위한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궤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105)와, 상기 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해 선택되는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상기 디코더(101)를 통해 입력되는 후방 영상과 겹치도록 합성하는 합성부(102)와, 상기 합성부(102)에서 합성된 후방영상과 후진 예상 주차궤적 영상을 엔코딩하여 상기 모니터에 출력하는 엔코더(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b는 합성 출력 및 제어장치의 회로도로서, 콘넥터에는 후방 카메라부터 비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비디오 입력단자, 모니터에 비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단자, 및 전원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영상 입출력단자와 전원입출력단자가 포함된다. 내부 회로의 전원부는 차량의 전원 12V를 입력받아 각 디코더와, 엔코더와, 합성부 및 제어부의 동작 전원(Vcc)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서, 레귤레이터(U1)의 출력을 복수의 콘덴서에서 평활하여 Vcc전원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디코더(101)와, 엔코더(103)는 각각 원칩으로 구성되며, 합성부와 제어부가 하나의 마이컴 원칩으로 구성되며, 조절수단인 스위치(SW1 - SW3)가 상기 합성부 및 제어부인 마이컴 원칩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할 때도 3의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카메라(200)는 차량의 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범퍼(11) 상부의 가니쉬에 장착설치되고, 상기 카메라(200)와 상기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의 전원은 차량의 후미등(12)으로부터 전원을 인출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연결케이블(120)을 이용하여 카메라(200)와 합성 출력 및 제어장치(100)와 모니터(300)사이를 연결설치 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300)는 시거잭(301)을 이용하여 전원을 연결한다. 상기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에는 제1,제2,제3스위치(버튼)(111-113)과, 영상 입력(IN)출력(OUT)단자(114) 및 전원단자(115)가 구비되어 연결케이블(120) 및 전원선이 연결된다.
상기 제1-제3스위치(111 - 113)는 모니터(300)에도 동일한 구성의 조절수단으로 텃치 스크린에 화면으로 버튼이 표시되게 하거나, 별도의 스위치로서 설치되어 모니터측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편의상 제1-제3스위치(111 - 113)로 설명한다.
제1스위치(111)는 한번 누름(텃치)시 제어부(105)의 기능제어에 의해 제어 메뉴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메뉴 기능을 표시하고, 한번 누를 때마다 설정된 메뉴기능을 변경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스위치(112)는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모드를 이전모드/다음모드를 선택하게 하며, 제3스위치는 선택 스위치로서 역할하게 한다.
그리고, 제2스위치(112)는 좌.우폭을 넓게 조정, 상.하길이를 길게 조정, 좌측 이동, 상측 이동, 저장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제3스위치는 좌.우폭을 좁게조정, 상.하길이를 짧게 조정, 우측 이동, 하측 이동 및 취소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스위치의 갯수 및 기능은 얼마든지 변형가능하다. 이러한 스위치의 기능은 화면에 표시하면서 화면으로 제어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후진 예상 주차궤적 조정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카메라로부터 후방 영상을 획득하여 입력받고, 사용자가 조절수단을 통해서 선택하는 조정 전 후진 예상 주차궤적 영상을 선택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선택된 조정 전 후진 예상 주차궤적 영상과 상기 제1단계(S10)에서 획득한 후방 영상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제2단계(S20)에서 합성 출력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기준선을 차량의 뒷범퍼 중심위치와 실제주차선의 중심위치와 일치되도록 좌.우 위치를 맞추는 제3단계(S30)와, 상기 제3단계(S30) 이후에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하단을 차량의 뒷범퍼 끝단과 일치되도록 상.하 위치를 맞추는 제4단계(S40)와, 상기 제4단계(S40) 이후에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하단 양측을 차량의 뒷범퍼 좌우폭에 맞게 좌.우폭을 맞추는 제5단계(S50)와, 상기 제5단계 이후에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앞.뒤(상.하) 길이를 후방 영상의 주차선 앞.뒤 길이에 맞게 조정하는 제6단계(S60)와, 상기 제3,4,5,6단계(S30, S40, S50, S60)에서 후방영상의 주차선과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일치시켜 맞춘 후,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저장하는 제7단계(S70)와, 후 진 주차시 상기 후방 카메라에서 획득한 후방 영상과 상기 제7단계에서 저장된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매칭시켜 합성된 영상으로 모니터에 출력하는 제8단계(S80)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변경 사유가 발생되면, 상기 단계를 거쳐 재조정하고 재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저장하여두고 이후 후진 주차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으로 활용한다.
먼저, 본 발명은 차량에 후방 카메라(200)를 장착하고, 모니터(300) 및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를 설치하여 연결 케이블(120)로 연결한 후, 전원을 연결한 후, 버튼을 눌러서 후진 예상 주차 궤적 조정 모드를 선택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진 예상 주차 궤적 조정 설명도이다.
제1단계(S10)에서 후진 예상 주차 궤적 조정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복수의 후진 예상 주차 궤적 영상중에서 자신의 차량 및 카메라 설치에 따른 화면 특성과 가장 근접 후진 예상 주차 궤적 영상을 선택한다. 그러면 모니터에는 제2단계(S20)에서와 같이 후방영상인 실제 주차선(30) 영상과 선택된 조정전 후진 예상 주차 궤적 영상(20)이 뜨므로 이후 단계에서는 후방영상인 실제 주차선(30) 영상과 선택된 조정전 후진 예상 주차 궤적 영상(20)을 매칭시키도록 한다. 먼저, 제3단계(S30)에서 하측 기준선(21a)을 맞추고 이어서 상측 기준선(21b)을 맞춘다. 기준선은 차량의 뒷 범퍼(11)의 중심위치와 실제 주차선(30)의 중심위치를 감안하여 맞추게 된다. 그리고, 제4단계(S40)에서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20)의 하단을 차량의 뒷범퍼(11) 끝단과 일치되도록 상.하 위치를 맞춘다.
이어서 제5단계(S50)에서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20)의 하단 좌우(22a,22b) 양측을 차량의 뒷범퍼(11) 좌우폭에 맞게 좌.우폭을 조정한다.
그리고 제6단계(S60)단계에서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상.하(앞.뒤)(22a,23a)(22b.23b) 길이를 후방 영상의 주차선(30) 상.하(앞.뒤) 길이에 맞게 조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정 작업의 첫 단계로 카메라 장착높이 및 사양(특히 렌즈 각도),차량 구조에 맞는 후진 주차 궤적 모드를 선택하는 데, 다양한 주차궤적 모드를 실험적으로 생성시켜 미리 저장하여 둔다. 미리 저장되어 제공되는 주차궤적 모드는 후방카메라의 사양(특히 렌즈 각도) 및 장착 높이에 맞는 형태를 갖는다. 주차 궤적 모드는 주차선의 가로폭 2.3m, 주차선의 세로길이 후미에서 거리 5.0m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며, 각 위치별 차량 후미에서의 거리표시(평평한 지면 기준)와 후진 주차궤적 모드의 수직 기준선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 사용자는 후방 카메라(200)의 장착높이와 후방카메라(200)의 사양에 맞는 후진 주차궤적 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해당 카메라의 장착높이와 사양에 맞는 후진 주차궤적 모드가 없을 경우에는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100)내 조절수단(110)의 상기 제1-제3스위치(111 - 113) 조작을 통해 후진 주차궤적모드의 폭과 길이 거리표시 안내선을 이동,변경한다.
즉, 실제 주차선(30)과 후진 예상 주차 궤적(20)과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기준선, 상,하위치, 좌우폭, 상하길이를 맞춰서 일치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조정이 완료되면 메모리(104)에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저장한다.
기준선, 상,하위치, 좌우폭, 상하길이 조정방법의 일예를 기술하면 상기 버튼 설명에서와 같이 제1스위치(112)를 눌러서 메뉴를 후진 예상 주차 궤적 조정 메뉴로 선택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후진 예상 주차 궤적(20)의 영상이 화면에 출력되고, 이를 보고 제2스위치(112)를 눌러서 이전 후진 예상 주차 궤적 또는 다음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불러오고, 화면에 후방 영상과 가장 근접하게 일치되는 영상을 보고서 제3스위치(113)를 눌러서 선택한다.
이어서, 제1스위치(111)를 눌러서 메뉴를 변경하면 기준선 맞춤메뉴가 되고, 제2스위치(112) 및 제3스위치(113)를 눌러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좌.우 이동시키면서 차량의 뒷 범퍼(11)의 중심위치와 실제 주차선(30)의 중심위치를 감안하여 기준선을 맞춘다.
이어서, 제1스위치(111)를 눌러서 상.하위치 맞춤메뉴로 변경한다음 제2스위치(112) 및 제3스위치(113)를 눌러서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2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이의 하단을 차량의 뒷범퍼(11) 끝단과 일치시킨다.
이어서, 제1스위치(111)를 눌러서 좌.우폭 맞춤메뉴로 변경한 다음 제2스위치(112) 및 제3스위치(113)를 눌러서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20)의 하단 좌.우(22a,22b) 양측을 넓히거나 좁혀서 차량의 뒷범퍼(11) 좌우폭에 맞춘다.
이어서, 제1스위치(111)를 눌러서 상.하길이 맞춤메뉴로 변경한 다음 제2스위치(112) 및 제3스위치(113)를 눌러서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20)의 상.하(22a,23a)(22b.23b) 길이를 후방 영상의 주차선(30) 앞.뒤 길이에 맞추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입력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 중에서 차량의 종류 및 크기에 알맞은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임의로 선택하고, 기준선, 상,하위치, 좌우폭, 상하길이를 조정하여 영상궤적의 상,하폭을 실제 주차선의 상,하폭과 일치시키고, 일치된 후에는 이를 셋팅값으로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조정하고, 셋팅이 완료되면, 차량의 후진시 차량의 뒷범퍼(11)의 양측 끝단에 셋팅된 고정된 타입의 후진 예상 주착 궤적(20)이 나타나므로 이 주차 궤적을 실제 주차선(30)과 일치시키면서 주차하면 되는데, 도6a 와 도6b에 도시된 도면은 주차방향이 바르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6c는 주차방향이 옳바름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사용중 후방카메라(200)의 종류 및 장착위치 변경, 장착차량 및 사용방법의 변경으로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과정의 반복으로 재조정하여 최적의 후진 안전 시스템을 유지하며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후진 및 주차시 차량에 구비된 후방카메라 영상과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후진 및 주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각종 차량에서 후방카메라의 장착위치 및 사양,차량 구조에 맞게 조정(Setting),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고,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 추정이 가능하며, 모든 차량, 어떤 후방카메라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후진 예상 주차궤적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적 진보 및 적용범위 확대를 실현하였다.

Claims (5)

  1. 차량의 후방 영상과 모니터에 표시하여 후진 주차를 보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차량의 후진 주차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후방영상을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후방카메라와;
    차량 및 카메라 장착 위치의 특성에 따른 복수의 후진 예상 주차궤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가 선택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주차선 영상에 맞도록 조정하여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셋팅하고, 후방 영상과 상기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합성하여 모니터에 제공하는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와;
    합성출력 장치에서 합성출력하는 후방영상과 예상 후진 주차 궤적을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와;
    후방 예상 주차 궤적을 선택하여 상기 합성 출력장치에서 카메라 장착위치(높이, 좌우) 및 사양, 각종 차량의 구조에 맞게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후방 영상의 주차선 궤적에 맞추고 조정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출력 및 제어장치는,
    후방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와;
    차량 및 카메라 장착 위치의 특성에 따른 복수의 후진 예상 주차궤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저장하여 두는 메모리와;
    상기 조절수단의 버튼 입력에 의거하여 버튼의 기능 제어와 함께 버튼을 통해 선택되는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선택하고, 버튼 기능을 통해 조정되는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조정하여 조정 완료된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후방영상과 합성을 위한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궤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되는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상기 디코더를 통해 입력되는 후방 영상과 겹치도록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부에서 합성된 후방영상과 후진 예상 주차궤적 영상을 엔코딩하여 상기 모니터에 출력하는 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메뉴 기능에 의해 각각의 버튼 기능이 가변되게 하여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모니터와, 상기 합성 출력 및 제어장치에 각각 개별로 또는 동시에 병렬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4. 차량의 후미에 후방 카메라를 설치하고 미리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저장하여 상기 후방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합성하여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하는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후방 카메라로부터 후방 영상을 획득하여 입력받고, 사용자가 조절수단을 통해서 선택하는 조정 전 후진 예상 주차궤적 영상을 선택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선택된 조정 전 후진 예상 주차궤적 영상과 상기 제1단계(S10)에서 획득한 후방 영상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제2단계(S20)에서 합성 출력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기준선을 차량의 뒷범퍼 중심위치와 실제 주차선의 중심위치와 일치되도록 좌.우 위치를 맞추는 제3단계(S30)와;
    상기 제3단계(S30) 이후에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하단을 차량의 뒷범퍼 끝단과 일치되도록 상.하 위치를 맞추는 제4단계(S40)와,
    상기 제4단계(S40) 이후에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하단 양측을 차량의 뒷범퍼 좌우폭에 맞게 좌.우폭을 맞추는 제5단계(S50)와,
    상기 제5단계 이후에 상기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상.하(앞.뒤) 길이를 후방 영상의 주차선 앞.뒤 길이에 맞게 조정하는 제6단계(S60)와;
    상기 제3,4,5,6단계(S30, S40, S50, S60)에서 후방영상의 주차선과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일치시켜 맞춘 후,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저장하는 제7단계(S70)와;
    후진 주차시 상기 후방 카메라에서 획득한 후방 영상과 상기 제7단계에서 저장된 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궤적을 매칭시켜 합성된 영상으로 모니터에 출력하는 제8단계(S80)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의 변경 사유가 발생 되면, 상기 각 단계를 거쳐 재조정하고 재조정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을 저장하여 이후 후진 주차시 후진 예상 주차 궤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70026761A 2007-03-19 2007-03-19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16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761A KR20070116199A (ko) 2007-03-19 2007-03-19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761A KR20070116199A (ko) 2007-03-19 2007-03-19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199A true KR20070116199A (ko) 2007-12-07

Family

ID=3914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761A KR20070116199A (ko) 2007-03-19 2007-03-19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619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18B1 (ko) * 2008-04-16 2009-04-24 주식회사 캔시스템 차량정보 이미지 처리장치
US8405724B2 (en) 2009-06-02 2013-03-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utomobile camera module and method to indicate moving guide line
KR101349408B1 (ko) * 2011-11-18 2014-0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주차 보조 시스템
KR101488404B1 (ko) * 2013-10-07 2015-02-03 장인 리모컨이 구비된 차량 전용 카메라 조절장치
US9381860B2 (en) 2011-04-11 2016-07-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for processing on-screen display and system for reprogramming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CN109532673A (zh) * 2018-12-29 2019-03-29 深圳市车智信科技有限公司 倒车影像控制组件、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9795555A (zh) * 2019-03-04 2019-05-24 宝能汽车有限公司 倒车诱导线的校正方法和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18B1 (ko) * 2008-04-16 2009-04-24 주식회사 캔시스템 차량정보 이미지 처리장치
US8405724B2 (en) 2009-06-02 2013-03-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utomobile camera module and method to indicate moving guide line
US9381860B2 (en) 2011-04-11 2016-07-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for processing on-screen display and system for reprogramming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1349408B1 (ko) * 2011-11-18 2014-0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주차 보조 시스템
KR101488404B1 (ko) * 2013-10-07 2015-02-03 장인 리모컨이 구비된 차량 전용 카메라 조절장치
CN109532673A (zh) * 2018-12-29 2019-03-29 深圳市车智信科技有限公司 倒车影像控制组件、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9795555A (zh) * 2019-03-04 2019-05-24 宝能汽车有限公司 倒车诱导线的校正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6199A (ko) 차량의 후진 주차 영상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70617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045796B2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2225629A (ja) 車両用監視装置
US2012028728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9479123A (zh) 用于在盲点中观察的系统和方法
WO2011058875A1 (ja) 車載照明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2229542A (ja) 車載用映像切換装置
WO2011078183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WO2002089485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presentation d&#39;une image de camera embarquee a bord d&#39;un vehicule
CN101304515A (zh) 全景式倒车引导系统
KR20110080985A (ko) 차량용 다시점 룸미러
JP7128096B2 (ja) 映像表示装置
WO2011132344A1 (ja) カメラユニット取付方法及びカメラユニット
JP2006050246A (ja) 車両周辺視認装置
US1102401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14167552A (ja) 車両用映像表示システム
US11518309B2 (en) System and process for viewing in blind spots
WO2004035352A1 (en) Omnidirectional watching system for vehicle
JP2014168170A (ja) 車両用映像表示システム
JP613011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31431B2 (ja) 車両用映像表示システム
JP3448443B2 (ja) 車両周辺確認システム
KR100913643B1 (ko) 매너 백미러 장치
JP2010030341A (ja) 後退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