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064A -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 Google Patents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064A
KR20070116064A KR1020077022561A KR20077022561A KR20070116064A KR 20070116064 A KR20070116064 A KR 20070116064A KR 1020077022561 A KR1020077022561 A KR 1020077022561A KR 20077022561 A KR20077022561 A KR 20077022561A KR 20070116064 A KR20070116064 A KR 20070116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valve
rod
rotation
manua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852B1 (ko
Inventor
타츠히토 아오야마
타카시 야지마
마사요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2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85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6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mechanically actuated, e.g. by screw-spindle or cam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오동작을 방지하는 한편으로 밸브를 개폐시킬 때의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에는 잠금 기구로서 하우징(71)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평행 핀(75)과 평행 핀(71)에 걸리는 핸들(72)에 설치된 서브 핸들(73)을 가지며, 평행 핀(75) 또는 서브 핸들(73)이 잠금 스프링(77)에 의해 가세되며, 서브 핸들(73)이 평행 핀(75)에 걸리는 핸들(72)의 회전을 금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에서는 잠금 기구로서 하우징(17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스프링 핀(175)과 핸들(172)에 설치된 스프링 핀(175)이 삽입되는 캠 홈(172a)과, 핸들(172)과 일체인 스프링(177)에 의해 가세되는 서브 핸들(173)로 된 것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오동작방지 수동밸브{MANUAL VALVE WHERE MAL FUNCTION IS PREVENTED}
본 발명은, 유체제어용의 수동밸브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오퍼레이터(operator)가 조작할 때 이외에 밸브가 개폐하지 않도록 잠금(lock) 기구 등을 설치하는 한편, 밸브의 개폐를 행하는데 조작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장치 등에는 프로세스 가스를 챔버(chamber)로 공급하는데에 집적 밸브가 사용되며, 그 중에는 수동으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동 밸브도 탑재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은 그러한 집적 밸브를 구성하는 한 개의 수동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로, 일본공개특허 평9-264451호 공보에 게재되어 있다. 도 22는 밸브 폐쇄 상태를 도시하며, 도 23은 밸브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밸브 요소(201)가 코일 스프링(coil spring; 202)에 의해 하방으로 가세되어, 격막(diaphram, 203)이 밸브 좌(valve seat; 211)에 밀착되어서 수동 밸브(200)는 닫힌다. 그 때문에, 입력 포트(251)에서 입력측 유로(252)로 유입된 유체는, 격막(203)에 의해 흐름이 차단되어 있다. 거기서, 오퍼레이터가 핸들(221)을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그 핸들(221)과 일체로 고정된 캠(cam; 205)도 또한 90° 회전한다.
여기서, 도 24는 캠(205)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캠(205)의 A-A 단면도이고, 도 26은 캠(205)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캠(205)은 중심에 중앙 로드(center rod; 204)를 삽입하는 관통구(241)가 천공설치된 원통 형상으로, 그 윗면에는 한 쌍의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 231, 231)이 구르는 파형의 전동면(rolling surface; 235)이 형성되어 있다. 파형의 전동면(235)에는 한 쌍의 레이디얼 베어링(231, 231)이 빠져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높은 위치의 상부 오목부(upper recess; 233, 233)와 낮은 위치의 하부 오목부(lower recess; 234, 2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2에서 도시한 밸브 폐쇄 상태의 수동밸브(200)는, 오퍼레이터가 핸들(221)을 돌리면, 핸들(221)에 따라서 캠(205)이 회전하며, 레이디얼 베어링(231)은 하부 오목부(234)에서 벗어나서 전동면(235)을 구르게 된다. 이때, 레이디얼 베어링(231)은 전동면(235)의 경사면을 오르기 위해 굴려서 상부 오목부(233)로 빠지면, 그 결과 하부 오목부(234)에서 상부 오목부(233)까지의 높이만큼 평행 핀(206)에 의해 중앙 로드(204)가 들어 올려진다. 이때, 중앙 로드(204)는 평행 핀(207)에 의해 회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축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회전하지 않는다.
중앙 로드(204) 하단의 밸브 요소(201)가 상승하면, 그때까지 밸브 요소(201)에 의해 눌려 있던 격막(203)이 해방되어 밸브 좌(211)에서 떨어진다. 이렇게 해서 밸브가 열리면, 입력 포트(251)에서 유입된 유체가 밸브 좌(211)의 밸브 공(valve opening)에서 밸브실(valve chamber; 253)로 유입되며, 다시 출력측 유 로(254)를 통하여 출력 포트(255)에서 유출된다.
한편, 도 23에서 도시한 밸브 개방 상태의 수동밸브(200)는, 오퍼레이터가 핸들(221)을 90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205)이 회전하여 레이디얼 베어링(231)이 상부 오목부(233)에서 벗어나 하부 오목부(234)로 빠진다. 이때 밸브 요소(201)가 코일 스프링(202)의 가세력에 의해 중앙 로드(204)와 함께 아래로 눌리고, 격막(203)이 밸브 좌(211)를 눌러서 도 22에서 도시한 밸브 폐쇄 상태로 회복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평9-264451호 공보(4~5 페이지, 도 1 ~ 5)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0-97368호 공보(3~5 페이지, 도 4, 도 5)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2002-323167호 공보(3~4 페이지, 도 1, 도 2, 도 8)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특허문헌 1로서 언급한 상기 종래 예의 수동밸브(200)가 집적 밸브의 하나로서 탑재된 경우, 집적 밸브는 밸브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다른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려고 할 때 등, 손이 핸들(221)에 닿는 경우가 자주 있다. 그리고 이러한 때, 그 여파로 핸들(221)이 회전해버리고, 잘못하여 밸브의 개폐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동밸브(200)를 탑재한 집적 밸브가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 사용되면, 오작동하여 열린 수동밸브에서 불필요한 프로세스 가스가 챔버로 이송되어, 제조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동밸브의 오동작을 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때, 종래부터 수동밸브에 잠금 기구(lock machanism)를 설치한 것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2000-97368호 공보에는 도 27에서 도시한 것처럼, 내부에 밸브 좌가 형성된 본체(303)에 L자 형상의 잠금 부재(L-shaped lock member; 301)가 고정된 것이 게재되어 있다. 잠금 부재(301)에는 밸브 요소와 연결된 핸들(302)의 하부 외주를 둘러싼 암이 형성되어 있고, 잠금 볼트(lock bolt; 304)를 조이는 것에 의해 핸들(302)을 본체(303)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하고 있다. 또한, 본원 출원인이 이전에 제안한 일본공개특허 2002-323167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은, 패드락(padlock)을 설치하여 밸브의 개폐를 금지하는 수동 밸브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물쇠(lock)를 부착한 수동밸브라면 확실하게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지만, 그 한편으로 자물쇠(lock)의 분리가 곤란해서 상당히 조작이 번거로워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해야 하고, 오동작을 방지하는 한편 밸브를 개폐시킬 때의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서는,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하우징 측에 나설되어(threaded) 핸들의 회전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rod)와, 상기 핸들에서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전달하여 나진(螺進)하는(to move threadedly) 로드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power transmitting mechanism)와, 상기 로드의 상하운동에 따라 밸브 요소(valve element)가 밸브 좌(valve seat)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도록 한 밸브 부분(valve section)과,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lock mechanism)를 가지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malfunction prevention manual valve)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회전정지 부재(rotation stopper member)와, 상기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係合; 걸어맞춤)하는 상기 핸들에 설치된 계합 부재(engagement member)를 가지고, 상기 회전정지 부재 또는 상기 계합 부재가 가세 부재(urging member)에 의해 가세되며,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서 기재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지름 방향으로 걸쳐(extending across) 고정된 평행 핀(parallel pin)이며, 상기 계합 부재는, 상방의 상기 핸들에 대하여 상기 평행 핀을 걸치도록 하여 상기 핸들의 하방에 고정된 서브 핸들(sub-handle)이고, 상기 핸들 및 상기 서브 핸들은 가세 부재에 의하여 상방으로 가세되며, 상기 서브 핸들의 윗면에 형성된 잠금 홈(lock groove)에 상기 평행 핀이 결합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서는,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하우징 측에 나설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핸들에서 상기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전달하여 나진하는 로드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하 운동에 의해 밸브 요소가 밸브 좌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는 밸브 부분과,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가지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회전정지 부재와, 상기 핸들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정지 부재가 삽입되는 캠 홈(cam groove)과, 상기 핸들와 일체이고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는 상기 동력전달기구로 된 상기 잠금 기구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3에서 기재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지름방향으로 쌍을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평행 핀이며, 상기 캠 홈은 아래로 개구하는 거의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로드와 상하 방향에 있어서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3에서 기재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제1 로드와 제2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는 축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에서는,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핸들에서 상기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상하방향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밸브 요소가 밸브 좌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도록 한 밸브 부분과,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가지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회전정지 부재와, 그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하는 상기 핸들에 설치된 계합 부재를 가지며, 상기 회전정지 부재 또는 상기 계합 부재가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며, 계합 부재가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하여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6에 기재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가세 부재에 의해 상기 핸들의 하단면에 맞닿는 잠금 플레이트(lock plate)이고,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핸들의 아랫면에서 돌출한 잠금 핀(lock pin)이며, 상기 잠금 플레이트에 형성된 잠금공(lock hole)에 잠금 핀이 삽입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6에 기재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상기 핸들의 아래에서 하우징에 고정된 잠금 플레이트이며,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핸들을 상하로 관통하고 상기 가세 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가세된 잠금 핀이고, 상기 가세된 잠금 핀이 상기 잠금 플레이트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9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그 핸들의 회전축 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핸들에서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상하방향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해 밸브 요소가 밸브 좌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도록 한 밸브 부분을 가지는 수동밸브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단면에서 돌출한 상기 로드에 대해, 지름방향으로 관통한 핀에 의해 판 형상의 핸들이 넘어질 수 있게 축지(軸支)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9에서 기재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는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하우징 측에 나설되어 핸들의 회전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핸들에서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전달하여 나진하는 로드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동력전달 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해 밸브 요소가 밸브 좌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도록 하는 밸브 부분과,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가지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회전정지 부재와, 그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하는 상기 핸들에 설치된 계합 부재를 가지며, 상기 회전정지 부재 또는 계합 부재가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고, 상기 계합 부재가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하여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잘못하여 밸브가 개폐해 버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밸브를 개폐시킬 때의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천천히 개폐밸브의 동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게다가,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 안을 지름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된 평행 핀이며, 상기 계합 부재는 상방의 상기 핸들에 대하여 상기 평행 핀을 걸치도록 하여 그 하방에서 고정된 서브 핸들이고, 상기 핸들 및 상기 서브 핸들은 가세 부재에 의하여 상방으로 가세되며, 상기 서브 핸들의 윗면에 형성된 잠금 홈에 상기 평행 핀이 결합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잘못하여 밸브가 개폐해 버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밸브를 개폐시킬 때의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게다가, 천천히 개폐밸브의 동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하우징 측에 나설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핸들에서 상기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전달하여 나진하는 로드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하 운동에 의해 밸브 요소가 밸브 좌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는 밸브 부분과,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가지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회전정지 부재와, 상기 핸들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정지 부재가 삽입되는 캠 홈과, 상기 핸들과 일체이고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는 상기 동력전달기구로 된 상기 잠금 기구를 가지기 때문에, 잘못하여 밸브가 개폐해 버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밸브를 개폐시킬 때의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게다가, 천천히 개폐밸브의 동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더욱이,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지름방향으로 쌍을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평행 핀이며, 상기 캠 홈은 하방으로 개구하는 거의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로드와 상하방향에 있어서는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잘못하여 밸브가 개폐해 버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밸브를 개폐시킬 때의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고, 게다가 확실한 밸브의 개폐 상태를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천천히 개폐밸브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더욱이, 상기 로드는 제1 로드와 제2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는 축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밸브 좌에는 스프링의 가세력만 가해져서 밸브 좌가 파손할 염려가 없게 되었다.
본 발명은,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그 핸들의 회전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핸들에서 상기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상하방향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해 밸브 요소가 밸브 좌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도록 한 밸브 부분과,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가지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회전정지 부재와, 그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하는 상기 핸들에 설치된 계합 부재를 가지며, 그 회전정지 부재 또는 계합 부재가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며, 계합 부재가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하여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잘못하여 밸브가 개폐해 버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밸브를 개폐시킬 때의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게다가,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가세 부재에 의해 상기 핸들의 하단면에 맞닿는 잠금 플레이트이고,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핸들의 아랫면에서 돌출한 잠금 핀이며, 상기 잠금 플레이트에 형성된 잠금공에 잠금 핀이 삽입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잘못해서 밸브가 개폐하여 버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밸브를 개폐시킬 때의 동작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게다가,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상기 핸들의 아래에서 하우징에 고정된 잠금 플레이트이며,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핸들을 상하로 관통하고 상기 가세 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가세된 잠금 핀이고, 가세된 잠금 핀이 상기 잠금 플레이트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잘못해서 밸브가 개폐해 버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밸브를 개폐시킬 때의 동작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그 핸들의 회전축 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핸들에서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상하방향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해 밸브 요소가 밸브 좌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도록 한 밸브 부분을 가지는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서 돌출한 상기 로드에 대해, 지름방향으로 관통한 핀에 의해 판 형상의 핸들이 넘어질 수 있게 축지된 것이기 때문에, 잘못하여 밸브가 개폐해 버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밸브를 개폐시킬 때의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게다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는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잘못하여 밸브가 개폐해 버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밸브를 개폐시킬 때의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구성하는 서브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특히 밸브 개방시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특히 밸브 개방시의 잠금 해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특히 밸브 폐쇄시의 잠금 해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특히 밸브 폐쇄시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의 상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의 상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잠금 기구의 개요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핸들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특히 밸브 개방시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특히 밸브 개방시의 잠금 해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특히 밸브 폐쇄시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특히 밸브 폐쇄시의 잠금 해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3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의 핸들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의 핸들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5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0은 제5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1은 제5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2는 집적 밸브를 구성하는 종래의 수동밸브를 도시한 밸브 폐쇄시의 단 면도이다.
도 23은 집적 밸브를 구성하는 종래의 수동밸브를 도시한 밸브 개방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수동밸브의 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5는 수동밸브의 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수동밸브의 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27은 종래의 잠금 기구 부착의 수동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5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50, 150 밸브 바디
51, 151 입력측 유로
52, 152 출력측 유로
53, 153 격막 밸브 요소
55, 155 밸브 좌
61, 161 스템(stem)
64, 164 로드
71, 171 하우징
72, 172 핸들
73, 173 서브 핸들
66 회전전달 핀
75 평행 핀
158 베이스(base)
162 로드 가이드(rod guide)
166 핸들 로드
175 스프링 핀(spring pin)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관하여, 그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또한, 용어로서 「상방」은 핸들 쪽, 「하방」은 밸브 바디 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를 도시한 도면이며, 오른쪽 절반은 잠금 상태이고, 왼쪽 절반은 잠금 해제 상태이다.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는 입력측 유로(51) 및 출력측 유로(52)가 형성된 밸브 바디(50)가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 블록 등의 위에 탑재되며, 상단의 핸들(72)의 회전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행해진다.
밸브 바디(50)는 베이스 블록 등의 위에 탑재가능한 블록체로서, 각 그 하면에서 포트를 여는 입력측 유로(51) 및 출력측 유로(52)가 천공설치되어 있다. 밸브 바디(50)의 상부에 개설된 오목부에는, 그 저부에 격막(53)이 장착되고, 입력측 유로(51) 및 출력측 유로(52)가 연통하는 밸브실(54)을 포함하고 있다. 입력측 유로(51)는 밸브실(54)의 중앙에 설치된 밸브 좌(55)의 안쪽의 밸브공(valve opening; 56)에 접속하고 있고, 출력측 유로(52)는 그 밸브 좌(15)의 바깥쪽의 밸브실(54)에 직접 접속하고 있다.
밸브 바디(50)에는 상방으로부터 오목부 안으로 어댑터(adaptor; 58)가 삽입 및 나설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이때 격막(53)은 그 주변 가장자리 부분이 밸브 바디(50)와 홀더(holder; 59)에 사이에 끼워 넣어져, 나설된 어댑터(58)가 상방에서 누르고 있다. 따라서, 이 격막(53)에 의해 입력측 유로(51)에서 출력측 유로(52)로 흐르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는 기밀한 공간의 밸브실(54) 안이 만들어지고 있다.
홀더(59)의 가운데에는 스템(61)이 상하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장착되어 있다. 스템(61)이 위에서 눌리지 않는 경우에는 격막(53)이 그 탄성력에 의해 밸브 좌(55)에서 떨어지고, 그 스템(61)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어댑터(58)에는 바깥쪽에서 가이드 리테이너(guide retainer; 62)가 나합되고, 그것에 의해 내부에서 로드 가이드(63)가 위치 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63)에는 로드(64)가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삽입되며, 로드(64)에 형성된 수나사(external thread)와 어댑터(58)에 형성된 암나사(internal thread)가 나설되어 있다.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는 로드(64)에 회전이 주어지면 그 수나사가 암나사에 따라 나진하고, 이것에 의해 로드(64)가 축 방향으로 상하이동하는 것에 의해 스템(61)이 눌리고 또는 해방되어 밸브의 개폐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리테이너(62)에는 하우징(71)이 고정되며, 하우징 상부에는 핸들(7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핸들(72)의 회전이 로드(64)에까지 전달될 수 있다. 하우징(71)에는 회전축과 교차하도록 평행 핀(75)이 고정되어 있고, 핸들(72)은 그 평행 핀(75)의 아래쪽에 배치된 서브 핸들(73)과 볼트(7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는 서브 핸들(73)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서브 핸들(73)은 그 상면에 십자의 잠금 홈(cross-shaped lock groove; 81)이 형성되며, 그 잠금 홈(81)에 평행 핀(75)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서브 핸들(73)의 회전범위는 90도이며, 그 범위에서 볼트(72)가 평행 핀(75)과 간섭하지 않도록 2개의 볼트(76)가 도시한 볼트구(bolt hole; 82, 82)의 위치에서 삽입되어, 핸들(72)과 서브 핸들(73)을 연결하고 있다.
서브 핸들(73)에는 플랜지(flange; 83)가 형성되며,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잠금 스프링(lock spring; 77)에 의해 상방으로 가세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는 통상 잠금 스프링(77)에 의해 서브 핸들(73)이 들어 올려져 있고, 그 잠금 홈(81)에 평행 핀(75)이 삽입되어,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로드(64)의 상부에는 고정 링(fixed ring; 65)이 설치되며, 링에는 2개의 회전전달 핀(rotation transmitting pin; 66, 66)이 축 방향으로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 핸들(73)에는 그 회전전달 핀(66, 66)에 대응한 회전전달구(rotation transmitting holes; 84, 8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회전전 달구(84, 84)에 회전전달 핀(66, 66)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핸들(72)의 회전이 로드(64)까지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밸브가 열리든 닫히든 관계없이, 도 1의 오른쪽 절반에 도시한 것처럼,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는 잠금 스프링(77)에 의해 서브 핸들(73)이 밀어 올려지고, 그 잠금 홈(81)에 평행 핀(75)이 끼워져서 서브 핸들(73)의 회전이 금지되고 있다. 그 때문에, 서브 핸들(73)에 볼트(76)에 의해 연결된 핸들(72)도 마찬가지로 회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핸들(72)에 회전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밸브의 개폐가 행해지지 않는다. 즉, 통상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는 잠금 스프링(77)에 의해 이러한 잠금 상태에서 개폐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인접한 수동밸브를 조작할 때, 잘못하여 핸들(72)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전환되지 않는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의 개폐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도 1의 왼쪽 절반에서 도시한 것처럼 핸들(72)을 잠금 스프링(77)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누른다. 이것에 의해 서브 핸들(73)의 잠금 홈(81)에서 평행 핀(75)이 빗나가서, 핸들(72)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브 핸들(73)의 하강에 의해 회전전달구(84)에 회전전달 핀(66)이 끼워지고, 핸들(72)의 회전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눌린 상태에서 핸들(72)이 90도 회전되면, 그 회전이 볼트(76)를 통해 서브 핸들(73)로, 그리고 회전전달 구(84)에 삽입한 회전전달 핀(66)을 통해 로드(64)로도 전달된다.
로드(64)에 회전이 주어지면, 로드(64)는 어댑터(58)와의 사이에서 나합하고, 그 나사부(thread)에 의해 축 방향으로 상하로 움직인다. 로드(64)와 서브 핸들(73)은 회전전달구(84) 및 회전전달 핀(66)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64)는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상하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하강한 경우에는 스템(61)에 의해 격막(53)이 밸브 좌(55)를 눌러서 밸브가 닫히고, 상승한 경우에는 스템(61)이 로드(64)에서 해방되기 때문에, 격막(53)의 탄성에 의해 스템(61)을 들어올려서 격막(53)이 밸브 좌(55)에서 떨어져 밸브가 열린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에 의하면, 잠금 스프링(77)으로 가세된 서브 핸들(73)의 잠금 홈(81)에 평행 핀(75)을 끼워넣은 구성의 잠금 기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잠금 해제 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오동작에 의해 개폐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를 집적 밸브의 일부로서 탑재한 경우, 다른 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때에 잘못하여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를 개폐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1)는 오퍼레이터가 핸들(72)을 누르는 것만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개폐 위치에서는 손을 떨어뜨리는 것만으로 잠금 스프링(77)에 의해 잠금 상태로 된다. 따라서 특별한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게다가 한 손으로 가능한 상당히 양호한 조작성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로드(64)를 어댑터(58)와의 사이에서 나합시키는 것에 의해, 천천히 밸브의 개폐 동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중 도 3 및 도 4는 밸브 개방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다시 도 3은 잠금 상태를 도시하며, 도 4는 잠금 해제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밸브 폐쇄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잠금 해제상태를 도시하며, 도 6은 잠금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는 입력측 유로(151) 및 출력측 유로(152)를 형성한 밸브 바디(150)가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블록 등의 위에 탑재되며, 상단의 핸들(172)의 회전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행해지는 것이다.
밸브 바디(150)는, 베이스 블록 등의 위에 탑재가능한 블록체로서, 각 그 하면에서 포트를 여는 입력측 유로(151) 및 출력측 유로(152)가 천공설치되어 있다. 밸브 바디(150)의 상부에 개설된 오목부에는, 그 저부에 격막 밸브 요소(153)가 장착되며, 입력측 유로(151) 및 출력측 유로(152)가 연통하는 밸브실(154)이 형성되어 있다. 입력측 유로(151)는 밸브실(152)의 중앙에 설치된 밸브 좌(155)의 안쪽의 밸브공(156)에 접속해 있고, 출력측 유로(152)는 그 밸브 좌(155)의 바깥쪽의 밸브실(154)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밸브 바디(150)에는 상방으로부터 오목부 내로 베이스(158)가 삽입 및 나설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이때 격막 밸브 요소(153)는 그 주변 가장자리 부분이 밸브 바디(150)와 홀더(159) 사이에 끼워 넣어져, 나설된 베이스(158)가 상방에서 누 르고 있다. 따라서, 이 격막 밸브 요소(153)에 의해, 입력측 유로(151)에서 출력측 유로(152)로 흐르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는 기밀한 공간의 밸브실(154) 안이 만들어지고 있다.
홀더(159)의 가운데에는 스템(161)이 상하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스템(161)이 위에서 눌리지 않는 경우에는 격막 밸브 요소(153)가 그 탄성력에 의해 밸브 좌(155)에서 떨어지고, 그 스템(161)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베이스(158)에는 안쪽에서 로드 가이드(162)가 나합되며, 그것에 의해 내부에 로드 가이드(162)가 위치 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162)에는 부시(bush; 194)에 의해 로드(164)가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로드(164)의 상방에는 로드(164)와 결합하는 핸들 로드(166)가 설치되어 있다. 로드(164)와 핸들 로드(166)는 결합하지만, 축 방향으로 틈(clearance)이 존재하고, 그 틈 부분 로드(164)와 핸들 로드(166)는 축 방향으로 떨어질 수 있다. 핸들 로드(166)에 형성된 수나사와 로드 가이드(162)에 형성된 암나사는 나설되어 있다.
로드(164)의 하방에는 스프링 서포트(spring support; 191)가 있고, 로드 가이드(162)와 스프링 서포트(191)의 사이에는 스프링(192)이 배설되어 있으며, 스프링(192)의 가세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스프링 서포트(191)는 로드(164) 안에 삽입된 평행 핀(193)으로 지지된다.
즉,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는 핸들 로드(166)에 회전이 주어지면 그 수 나사가 암나사에 따라 나진하고, 이것에 의해 핸들 로드(166) 및 로드(164)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스템(161)이 눌리고 또는 해방되어 밸브의 개폐가 행해진다.
로드 가이드(162)의 상방에는 핸들(172)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71)에는 지름 방향으로 스프링 핀(175)이 고정되어 있고, 스프링 핀(175)은 핸들(172)의 캠 홈(172a)에 삽입되어 있다. 핸들(172)은 그 내부의 서브 핸들(173)과 볼트(17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도 9는 핸들(172), 서브 핸들(173), 핸들 로드(166)에 의해 형성되는 잠금 기구의 개요도를 도시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는 밸브 개방상태 또는 밸브 폐쇄상태든 관계없이, 도 3 또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스프링(177)에 의해 서브 핸들(173)을 통해 핸들(172)이 밀려 올려지고,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핸들(172)의 캠 홈(172a)의 잠금 부분(172b)에 하우징(171)에 고정된 스프링 핀(175)이 위치하여, 핸들(172)의 회전이 금지된다. 그 때문에, 이 상태에서 핸들(172)에 회전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밸브의 개폐가 행해지지 않는다. 즉, 통상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는 스프링(177)에 의해 이러한 잠금 상태에서 개폐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인접의 수동밸브를 조작할 때, 잘못하여 핸들(172)이 회전하여도 밸브의 개폐가 전환되지 않는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의 개폐를 조작하는 경우에 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핸들(172)을 스프링(177)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누른다. 이것에 의해 핸들(172)의 캠 홈(172a)의 잠금 부분(172b)에서 잠금 해제 부분(172c)으로 하우징(171)에 고정된 스프링 핀(175)이 위치하게 되고, 핸들(172)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서브 핸들(173)과 핸들 로드(166)는 축 방향의 움직임에는 서로 간섭하지 않지만, 둘레 방향의 움직임에서는 동일한 회전 위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눌린 상태에서 핸들(172)이 회전하면, 그 회전이 서브 핸들(173)을 통해 핸들 로드(166)로도 전달된다.
핸들 로드(166)에 회전이 주어지면, 핸들 로드(166)는 로드 가이드(162)와의 사이에서 나합하며, 그 나사부에 의해 축 방향으로 상하이동한다. 그러면, 핸들 로드(166)에 끼워 넣어진 로드(164)도 축 방향으로 상하이동한다.
도 3의 밸브 폐쇄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누른 상태로 핸들(172)을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핸들 로드(166)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핸들 로드(166)에 끼워진 로드(164)는 핸들 로드(166)와 분리된다. 핸들 로드(166)와 분리된 로드(164)는 스프링 서포트(191)를 통해 전달되는 스프링(192)의 가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로드(164)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스템(161)에 의해 격막 밸브 요소(153)가 밸브 좌(155)를 눌러서 밸브가 닫힌다. 이 상태에서 핸들(172)에서 손을 떨어뜨리면, 서브 핸들(173)을 통한 스프링(177)의 가세력에 의해, 핸들(172)은 상방으로 이동하며, 도 6의 상태로 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한 핸들(172)의 캠 홈(172a)의 잠금 해제 부분(172c)은 실제로 밸브개폐 상태로 되는 위치보다도 여유를 두고 그 길이를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핸들(172)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핸들(172)을 누르는 것을 해제하면, 스프링 핀(175)이 잠금 부분(172b)에 위치하게 되지만, 이때 밸브 부분은 확실하게 도 3 또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밸브개폐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도 6의 밸브 폐쇄 상태에서 도 5처럼 눌린 상태로 핸들을 왼쪽으로 회전시켜서 핸들 로드(166)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핸들 로드(166)와 분리되어 있는 로드(164)는 핸들 로드(166)에 끼워진다. 핸들 로드(166)에 끼워진 로드(164)는 스프링 서포트(191)를 통해 전달된 스프링(192)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로드(164)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도 4처럼 스템(161)이 로드(164)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격막 밸브 요소(153)의 탄성에 의해 스템(161)을 들어올리며, 격막 밸브 요소(153)가 밸브 좌(155)에서 떨어져 밸브를 연다. 이 상태에서 핸들(172)에서 손을 떼면, 서브 핸들(173)을 이용한 스프링(177)의 가세력에 의해, 핸들(172)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도 3의 상태로 된다.
또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에는 핸들(172)에 시정공(locking hole; 195)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정공(195)에 패드락을 부착하는 것의 의해, 핸들 로드(166)와 패드락이 간섭하여, 핸들(172)을 누를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밸브 부분의 밸브 개방상태 또는 밸브 폐쇄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에 의하면,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172)과, 하우징(171) 쪽에 나설되어 상기 핸들(172) 의 회전축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핸들 로드(166) 및 로드(164)와, 핸들(172)에서 로드(164)에 걸쳐서 회전을 전달하며 나진하는 핸들 로드(166)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서브 핸들(173)과, 로드(164)의 상하 운동에 의해 격막 밸브 요소(153)가 밸브 좌(155)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는 밸브 부분과, 핸들(172)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가지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하우징(17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스프링 핀(175)과, 핸들(172)에 설치된 스프링 핀(175)이 삽입되는 캠 홈(172a)과, 핸들(172)과 일체이고 스프링(177)에 의해 가세되는 서브 핸들(173)로 되는 잠금 기구를 가지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잠금 해제 동작을 행하지 않은 동안에는 개폐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를 집적 밸브의 일부로서 탑재한 경우, 다른 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때에 잘못하여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를 개폐시킬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는 오퍼레이터가 핸들(172)을 누르는 것만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개폐 위치에서는 손을 떨어뜨리는 것만으로 스프링(177)에 의해 잠금 상태로 된다. 따라서 특별한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게다가 한 손으로 가능한 상당히 양호한 조작성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핸들(172)의 캠 홈(172a)의 잠금 해제 부분(172c)은 실제로 밸브개폐 상태로 되는 위치보다도 여유를 두고 그 길이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핸들(172)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핸들(172)을 눌러 내리는 것을 해제하면, 밸브 부분은 확실하게 개폐밸브 상태로 되게 된다. 그 밸브개폐상태는 시정공(195)에 예를 들면 패드락을 설치한 것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게다가, 핸들 로드(166)를 나진시키는 것에 의해, 천천히 밸브의 개폐 동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에 의하면, 게다가 스프링 핀(175)은 하우징(171)의 지름방향에서 쌍을 이루고 하우징(171)에 고정된 평행 핀이며, 캠 홈(172a)은 하방으로 개구하는 거의 U자형으로 형성되며, 서브 핸들(173)은 핸들 로드(166)와 상하방향에 있어서는 분리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잠금 해제 동작을 행하지 않는 동안 개폐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를 집적 밸브의 일부로서 탑재한 경우, 다른 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때에 잘못하여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를 개폐시키지 못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는 오퍼레이터가 핸들(172)을 누르는 것만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개폐 위치에서는 손을 떨어뜨리는 것만으로 스프링(177)에 의해 잠금 상태로 된다. 따라서 특별한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게다가 한 손으로 가능한 상당히 양호한 조작성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핸들(172)의 캠 홈(172a)의 잠금 해제 부분(172c)은 실제로 밸브개폐 상태로 되는 위치보다도 여유를 두고 그 길이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핸들(172)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핸들(172)을 누르는 것을 해제하면, 밸브 부분은 확실하게 밸브개폐 상태로 되게 된다. 그 밸브개폐상태는 시정공(195)에 예를 들면 패드락을 설치한 것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게다가, 핸들 로드(166)를 나진시키는 것에 의해, 천천히 밸브의 개폐 동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에 의하면, 더욱이 핸들 로드(166)와 로드(164)는 상하방향으로 접촉하고 분리되기 때문에, 밸브 좌(155)에는 스프링(177)의 가세력만이 가해져서 밸브 좌(155)가 파손될 우려가 없다.
[실시예 3]
도 11 내지 도 14는 제3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중 도 11 및 도 12는 밸브 개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다시 도 11은 잠금 상태를 도시하며, 도 12는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는 밸브 폐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다시 도 13은 잠금 상태를 도시하고, 도 14는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는, 입력측 유로(11) 및 출력측 유로(12)가 형성된 밸브 바디(10)에서 밸브 부분이 형성되며, 핸들(31)을 회전시켜서 중앙 로드(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밸브의 개폐를 조작한다.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는 집적 밸브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그 밸브 바디(10)는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 블록 위에 탑재가능한 블록체로서, 각 그 하면에서 포트를 여는 입력측 유로(11) 및 출력측 유로(12)가 천공설치되어 있다. 밸브 바디(10)의 상방에 개설된 오목부에는 그 저부에 격막(13)이 들어가 있고, 그 격막(13) 아래의 공간은 입력측 유로(11)와 출력측 유로(12)가 연통하는 밸브실(14)이 형성되어 있다. 입력측 유로(11)는 밸브실(14)의 중앙에 설치된 밸브 좌(15)의 안쪽의 밸브공(16)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측 유로(12)는 밸브 좌(15)의 바깥쪽의 밸브실(14)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 밸브 바디(10)에는 상방으로부터 통 형상의 하우징(22)이 삽입되며, 홀더 너트(holder nut; 23)의 체결에 의해 그 하우징(22)이 일체로 되어 있다. 이때, 격막(13)은 하우징(22)에 의해 주변 가장자리 부분이 눌리고, 밸브실(14)은 유체가 중앙 로드(21) 쪽으로 누출하지 않도록 기밀한 상태로 된다. 중앙 로드(21)는 이 하우징(22)을 상방에서 관통하고, 축심(central axis)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앙 로드(21)는 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거기에는 하우징(22) 안에 장착된 스프링(24)이 접해 있다. 따라서 중앙 로드(21)는 스프링(24)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가세되며, 그 구면 형상의 하단면에서 격막(13)이 밸브 좌(15)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22)에는 스프링 홀더(spring holder; 32)가 나사로 고정되며, 그 상방에서 스프링 홀더(32)의 오목부에 잠금 플레이트(33)의 볼록부가 삽입된다. 잠금 플레이트(33)는 하우징(22)의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미끄러질 수 있고, 특히 스프링 홀더(32)에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 회전정지 핀(34)에 의해 그 회전이 제한되는 한편, 상하방향의 이동이 안내되고 있다. 또한, 잠금 플레이트(33)와 스프링 홀더(32)의 사이에 스프링(35)이 설치되어서, 잠금 플레이트(33)는 항상 상방으로 가세된다. 그 때문에, 잠금 플레이트(33)의 상단은 상방에 배치된 핸들(31)의 하단면에 맞닿아 있다. 그 핸들(31)에는 하단면에서 돌출하고 잠금 플레이트(33)의 잠금공(37)에 삽입될 수 있는 잠금 핀(36)이 제공된다.
핸들(31) 내에서는 캠(25)이 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그 상방에는 한 쌍의 레이디얼 베어링(26, 26)이, 하방에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27)이 배치 되어 있다. 캠(25)은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한 캠(205)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중심에 중앙 로드(21)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그 윗면에는 한 쌍의 레이디얼 베어링(26, 26)이 구르는 파형의 전동면(2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형의 전동면(235)에는 한 쌍의 레이디얼 베어링(26, 26)이 빠져 위치결정되는, 높은 위치의 상부 오목부(233, 233)과 낮은 위치의 하부 오목부(234, 23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레이디얼 베어링(26, 26)은 중앙 로드(21)를 관통한 평행 핀(28)의 양단에 설치되며,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180도 떨어진 위치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핸들(31)의 조작에 의해 캠(25)이 회전하는 반면, 레이디얼 베어링(26, 26)은 회전하지 않은 중앙 로드(21)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서 전동(rolling motion)하도록 되어 있다. 즉, 스러스트 베어링(27)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평행 핀(29)이 중앙 로드(21)에 고정되며, 평행 핀(29)은 하우징(22)에서 돌출한 부분에 형성된 홈(groove; 30) 안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캠(25)의 회전은 평행 핀(29)에 의해 정지되어 중앙 로드(21)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는 밸브 개방상태 또는 밸브 폐쇄상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통상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잠금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잠금 스프링(35)으로 가세된 잠금 플레이트(33)는 핸들(31)에 맞닿아 있고, 그 핸들(31)의 회전이 금지되어 오동작방지 상태로 되어 있다. 결국, 잠금 플레이트(33)에는 부동의 가이드 핀(34)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금지되며, 다시 그 회전이 금지된 잠금 플레이트(33)의 잠금공(37)에 삽입된 잠금 핀(36)이 핸들(31)에 고정 되어 있기 때문에, 그 핸들(31)의 회전도 금지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그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의 개폐를 조작하는 이외는, 잠금 스프링(35)에 의해 항상 그 상태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한 수동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때에 잘못해서 핸들(31)이 돌지 않아, 밸브의 개폐가 전환하지 않는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의 개폐를 조작할 경우에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것처럼 잠금 스프링(35)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잠금 플레이트(33)를 누른다. 여기서, 도 15, 도 16은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의 상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잠금 상태를 도시하고, 도 16은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는 도 15에 도시한 상태의 핸들을 손으로 덮도록 하여 쥐고, 손가락으로 잠금 플레이트(33)를 하방으로 누른다. 그러면 도 16에 도시한 것처럼 잠금 플레이트(33)가 하강하여 핸들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잠금 핀(36)이 잠금 플레이트(33)의 잠금공(37)에서 빠져나온다. 이것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잠금 플레이트(33)를 누른 채 핸들(31)을 90도 회전시킨다.
핸들(31)을 90도 회전한 잠금 핀(36)의 위치에는 잠금 플레이트(33)에 다른 잠금공(37)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잠금 플레이트(33)의 누름 상태(holding-down)를 해제하면, 잠금 스프링(35)으로 밀어 올려진 잠금 플레이트(33)는 그 잠금공(37)으로 잠금 핀(36)이 삽입되어 다시 잠금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에서는 핸들(31)을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밸브 의 개폐가 조작될 수 있지만, 그 개폐 중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잠금 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의 밸브 개폐는 다음과 같은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먼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상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는 레이디얼 베어링(26, 26)이 캠(25)의 상부 오목부(233, 233)(캠(25)에 관해서, 적절하게, 도 24 내지 도 26에 기재된 동일한 구성의 캠(205)을 참조)에 있기 때문에, 중앙 로드(21)가 스프링(24)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들어 올려진다. 그 때문에, 격막(13)은 도시한 것처럼 상방으로 휘어서 밸브 좌(15)에서 떨어지며,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는 밸브 개방 상태로 된다.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잠금을 해제하고 핸들(31)을 회전시키면 캠(25)도 동시에 회전하고, 상부 오목부(233, 233)에서 빠져 나온 레이디얼 베어링(26, 26)이 전동면(235)을 구른다.
그리고, 레이디얼 베어링(26, 26)은 하부 오목부(234, 234)로 빠져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것처럼 낮은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중앙 로드(21)가 스프링(24)에 의해 하방으로 가세되고, 그 가세력에 의해 격막(13)이 밸브 좌(15)를 누른다. 이렇게 하여 밸브공(16)이 격막(13)에 의해 차단되고,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는 밸브 폐쇄 상태로 된다. 또한, 그 상태에서 역으로 핸들(31)이 회전하면, 스프링(24)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중앙 로드(21)가 상승하고, 다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격막(13)이 분리되어 상방으로 휘고,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는 밸브 개방 상태로 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에서는, 통상, 잠금 스프링(35) 의 가세력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잠금 플레이트(33)로 잠금 핀(36)을 삽입하여 잠금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오동작에 의해 밸브가 개폐하지 않는다. 따라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를 집적밸브의 일부로서 탑재한 경우에, 다른 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때, 잘못하여 밸브를 개폐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3)는 오퍼레이터가 핸들(31)을 쥔 손의 손가락으로 잠금 플레이트(33)를 누르는 것만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개폐위치에서는 잠금 스프링(35)에 의해 잠금 플레이트(33)가 밀어 올려져서 잠금 상태로 된다. 따라서, 특별한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게다가 한 손으로 상당히 양호한 조작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 4]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4)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오동작방지 수동밸브(4)는, 잠금 기구를 제외하고 밸브 구조 등은 상기 제3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오동작방지 수동밸브(4)의 잠금 기구는, 먼저, 잠금 플레이트(41)가 하우징(22)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잠금 플레이트(41)에는 잠금공(42)이 천공설치되며, 여기에 핸들(43)이 삽입된 잠금 핀(44)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잠금 핀(44)은 핸들(43)을 관통하고, 그 핸들(43) 내에 장착된 잠금 스프링(45)에 의해 하방으로 가세되어 있다. 따라서, 잠금 핀(44)은 핸들(43)의 하단면 에서 돌출하고, 잠금 플레이트(41)의 잠금공(42) 안으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43)은, 통상, 회전이 금지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4)의 경우, 밸브를 개폐시키는데에는 잠금 핀(44)을 끌어올려 잠금 플레이트(41)의 잠금공(42)에서 뺀다. 이것에 의해 핸들(43)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그 때문에, 전술한 것처럼 핸들(43)을 회전시키면, 캠(25)에 의해 레이디얼 베어링(26, 26)의 위치가 상하이동함에 따라 중앙 로드(21)가 상하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격막(13)이 밸브 좌(15)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져 밸브의 개폐가 행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4)에 의하면, 잠금 플레이트(41)의 잠금공(42)에 잠금 핀(44)을 삽입하는 구성의 잠금 기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여, 오퍼레이터가 잠금 해제 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오동작에 의해 개폐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4)를 집적 밸브의 일부로서 탑재한 경우에, 잘못하여 이 밸브를 개폐시킬 수 없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4)는 오퍼레이터가 핸들(43)을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잠금 핀(44)을 쥐고 끌어올려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개폐위치에서는 잠금 스프링(45)에 의해 잠금 플레이트(33)가 위로 밀려서 잠금 상태로 된다. 따라서 특별한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게다가 한 손으로 가능한 상당히 양호한 조작성을 가지게 되었다.
[실시예 5]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한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 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8에서 도 21은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5)를 도시한 외관도이고, 개폐조작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5)는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와 동일하게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구비하는 것은 아니다.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5)는 그 개폐기구가 상기 제5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방으로 돌출한 서브 로드(sub-rod; 91)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이 중앙에 나설된 로드에도 전달된다. 그리고, 그 로드가 상하이동하는 것에 의해 스템을 통해 격막을 압박 또는 해방시키는 것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행해진다.
서브 로드(91)에는 지름방향으로 가로지른 핀(92)에 의해, 도 19에 도시한 것같은 반원형상의 핸들(93)이 핀-결합(pin-connected)하며, 그 핸들(93)은 도 19, 도 20에 도시한 것처럼 기립한 상태와, 도 18, 도 21에 도시한 것처럼 넘어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핸들(93)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넘어지는 방향으로 가세력이 작용해서, 밸브의 개폐조작시 이외에는 핸들(93)이 넘어진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95)에는 그 상단면에 핸들(93)의 회전을 금지하는 돌기부(95a)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95a)는 서브 로드(91)를 중심으로 한 90도의 각도의 범위에서 설치된다. 하우징(95)의 상단면에서의 핸들(93)의 회전영역은 90도로 되어 있다. 결국, 오동작방지 수동밸브(4)는 핸들(93)을 서브 로드(91)를 중심으로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행해진다.
여기서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5)를 집적 밸브의 일부로서 탑재한 경우, 통상, 핸들(93)은 도 18에 도시한 것처럼 넘어진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때에 잘못하여 핸들(93)이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오동작방지 수동밸브(4)를 밸브 개방 상태에서 밸브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한 것처럼 넘어진 상태의 핸들(93)을 도 19에 도시한 것처럼 세운다. 그리고, 그 핸들(93)을 쥐고 도 20에 도시한 것처럼 90도 회전시킨다. 이때 핸들(93)은 돌기부(95a)에 의해 그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서브 로드(91)가 회전하면, 그 회전이 하우징(95) 내의 로드에 전달되어 밸브가 닫힌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핸들(93)에서 손을 떼면, 도 21에 도시한 것처럼, 핸들(93)이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넘어지고, 다른 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때에 잘못해서 핸들(93)을 돌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5)에 의하면, 넘어질 수 있는 핸들(93)에 의해 서브 로드(91)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5)를 집적 밸브의 일부로서 탑재한 경우에, 다른 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때에도 잘못하여 이 오동작방지 수동밸브(2)를 개폐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5)는 오퍼레이터가 선 핸들(93)을 쥐고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때문에, 특별한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게다가 한 손으로 가능한 상당히 양호한 조작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핸들(93)은 넘어질 수 있고, 통상 넘어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밸브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하여 조밀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관해서,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를 도면을 보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0)

  1.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하우징 측에 나설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핸들에서 상기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전달하고 나진하는 상기 로드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하 운동에 의해 밸브 요소가 밸브 좌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도록 한 밸브 부분과,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가지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회전정지 부재와, 상기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하는 상기 핸들에 설치된 계합 부재를 가지며,
    상기 회전정지 부재 또는 상기 계합 부재가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며,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지름방향으로 걸쳐 고정된 평행 핀이며, 상기 계합 부재는 상방의 상기 핸들에 대하여 상기 평행 핀을 걸치도록 하여 상기 핸들의 하방에 고정된 서브 핸들이고, 상기 핸들 및 상기 서브 핸들은 상기 가세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가세되며, 상기 서브 핸들의 윗면에 형성된 잠금 홈에 상기 평행 핀이 결합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 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3.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하우징 측에 나설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핸들에서 상기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전달하고 나진하는 상기 로드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하 운동에 의해 밸브 요소가 밸브 좌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도록 한 밸브 부분과,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가지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회전정지 부재와,
    상기 핸들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정지 부재가 삽입되는 캠 홈과,
    상기 핸들과 일체이고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는 상기 동력전달기구로 된 상기 잠금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지름방향으로 쌍을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평행 핀이며, 상기 캠 홈은 아래로 개구하는 거의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로드와 상하 방향에 있어서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제1 로드와 제2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는 축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6.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핸들에서 상기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상하방향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밸브 요소가 밸브 좌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도록 한 밸브 부분과,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기구를 가지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회전정지 부재와, 상기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하는 상기 핸들에 설치된 계합 부재를 가지며, 상기 회전정지 부재 또는 상기 계합 부재가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며,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회전정지 부재에 계합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가세 부재에 의해 상기 핸들의 하단면에 맞닿는 잠금 플레이트이고,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핸들의 아랫면에서 돌출한 잠금 핀이며, 상기 잠금 플레이트에 형성된 잠금공에 상기 잠금 핀이 삽입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지 부재는 상기 핸들의 아래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잠금 플레이트이며,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핸들을 상하로 관통하고 상기 가세 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가세된 잠금 핀이고, 가세된 상기 잠금 핀이 상기 잠금 플레이트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9.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축 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와, 상기 핸들에서 로드에 걸쳐서 회전을 상하방향의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해 밸브 요소가 밸브 좌에 대하여 접하고 떨어지도록 한 밸브 부분을 가지는 수동밸브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단면에서 돌출한 상기 로드에 대해, 지름방향으로 관통한 핀에 의해 판 형상의 핸들이 넘어질 수 있게 축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는 상기 핸들의 회전을 금지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KR1020077022561A 2005-04-13 2005-04-13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KR100914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2561A KR100914852B1 (ko) 2005-04-13 2005-04-13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2561A KR100914852B1 (ko) 2005-04-13 2005-04-13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064A true KR20070116064A (ko) 2007-12-06
KR100914852B1 KR100914852B1 (ko) 2009-09-04

Family

ID=3914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561A KR100914852B1 (ko) 2005-04-13 2005-04-13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8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5427B2 (en) 2014-06-06 2018-02-06 Ckd Corporation Manual opening/closing valve
CN109185490A (zh) * 2018-11-14 2019-01-11 浙江盾安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磁控阀门及其组件
CN109185490B (zh) * 2018-11-14 2024-05-14 浙江迪艾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磁控阀门及其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2164B2 (ja) * 1986-04-18 1995-10-09 山田 満江 流動制御機器
JP2603964Y2 (ja) * 1993-09-13 2000-04-04 株式会社ベンカン ロック機構付ダイヤフラム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5427B2 (en) 2014-06-06 2018-02-06 Ckd Corporation Manual opening/closing valve
CN109185490A (zh) * 2018-11-14 2019-01-11 浙江盾安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磁控阀门及其组件
CN109185490B (zh) * 2018-11-14 2024-05-14 浙江迪艾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磁控阀门及其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852B1 (ko) 200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12011A1 (ja) 誤動作防止手動弁
US20060219479A1 (en) Carabiner with automatic locking
US9518678B2 (en) Electrical feedback device for valves
EP2137443B1 (en) Valve operated by a master key
JP2009222140A (ja) 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
US6585228B1 (en) Electric valve actuator with eddy current clutch
US10054246B2 (en) Valve with locking mechanism, and integrated valve
KR100914852B1 (ko)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JPH0882395A (ja) 開閉弁付きプラグイン接続型管継手装置
JP5046424B2 (ja) ロック機構付き手動弁
US20150114471A1 (en) Valve Lock
US113658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ble balanced and unbalanced stem valve
US10767425B2 (en) Wrench assembly with eccentricity sensing circuit
TWI770198B (zh) 單觸式鎖閥及原料容器
JP4124813B2 (ja) 誤動作防止手動弁
KR102260854B1 (ko) 로크아웃 표지 장치 및 밸브
EP2807408A2 (en) Safety cap
KR102311898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 및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의 작동방법
KR102660773B1 (ko) 밸브 안전 잠금장치
WO2019084869A1 (zh) 可锁定阀门
KR200346105Y1 (ko) 자동가스 차단기용 개폐밸브
CN102803806B (zh) 用于阀联锁装置的转矩支座
RU2225493C2 (ru) Элеватор для насосно-компрессорных и бурильных труб
AU2011226775A1 (en) High tonnage lifting hooks
WO2010124409A1 (en) Manually-locking linearly-actuated hand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