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5183A -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5183A
KR20070115183A KR1020060049222A KR20060049222A KR20070115183A KR 20070115183 A KR20070115183 A KR 20070115183A KR 1020060049222 A KR1020060049222 A KR 1020060049222A KR 20060049222 A KR20060049222 A KR 20060049222A KR 20070115183 A KR20070115183 A KR 20070115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power supply
fixing
termin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6718B1 (ko
Inventor
권윤수
강정태
하진호
원주연
양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718B1/ko
Priority to EP07010139A priority patent/EP1860377A1/en
Priority to US11/752,095 priority patent/US7637625B2/en
Priority to JP2007136922A priority patent/JP5275582B2/ja
Priority to CN2007101048671A priority patent/CN101078504B/zh
Publication of KR2007011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183A/ko
Priority to US12/616,090 priority patent/US79508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램프 홀더들과 전원 공급 부재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램프 고정 유닛은 고정 부재 및 램프 홀더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는 고정 몸체 및 고정 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한다. 램프 홀더는 수납부에 수납되고 제1 개구부를 통해 전원 공급 부재가 삽입되도록 제2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삽입부 및 고정 몸체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 고정부를 갖는 홀더 몸체, 및 홀더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 공급 부재와 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소켓을 구비한다. 따라서, 램프 홀더들과 전원 공급 부재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UNIT FOR FIXING LAMP, BACK 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고정 유닛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램프 고정 유닛을 결합하여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램프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전 소켓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전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전 소켓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전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전 소켓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전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나타낸 사시도이 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램프들, 램프 고정 유닛 및 전원 공급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램프 고정 유닛 200 : 고정 부재
210 : 고정 몸체 220 : 수납부
223 : 제1 개구부 300 : 램프 홀더
310 : 홀더 몸체 320 : 기판 삽입부
325 : 제2 개구부 330 : 램프 고정부
340 : 도전 소켓 350 : 제1 접속부
360 : 제2 접속부 400 : 홀더캡
500 : 램프 510 : 전원 리드선
520 : 접지 리드선 600 : 전원 공급 부재
610 : 전원 공급 기판 620 : 전원 인가 단자
7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710 : 수납 용기
800 : 액정표시패널 900 : 탑 샤시
1000 :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은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 홀더들과 전원 공급 부재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 전력과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TV와 같은 대형 표시장치로써 그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액정표시장치가 상기와 같은 대형 표시장치에 사용될 경우, 수납 용기, 수납 용기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단에는 전원 리드선들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접지 리드선들이 형성된 복수의 램프들, 전원 리드선들에 대응한 램프들의 단부를 고정하면서 전원 리드선들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램프 홀더들, 및 램프 홀더들에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기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램프 홀더는 전원 공급 기판과 별도의 전원선에 의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전원선은 램프 홀더와 전원 공급 부재에 각각 솔더링(soldering)된다.
그러나, 이러한 솔더링은 램프 홀더 또는 전원 공급 기판의 불량으로 인한 교체 작업 시, 취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램프 홀더들과 전원 공급 부재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램프 고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램프 고정 유닛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램프 고정 유닛은 고정 부재 및 램프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는 고정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홀더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전원 공급 부재가 삽입되도록 제2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삽입부 및 상기 고정 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 고정부를 갖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부재와 상기 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소켓을 구비한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고정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 소켓은 상기 기판 삽입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부재의 전원 인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램프 고정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의 전원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전원 인가 단자의 상면과 접하는 제1 단자, 상기 전원 인가 단자의 하면과 접하는 제2 단자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2 접속부로 연장된 제3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원 인가 단자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원 인가 단자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탄성력을 갖는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상기 전원 인가 단자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상기 제2 개구부의 근처에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램프 고정 유닛은 상기 램프 고정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접속부를 가압하여 상기 전원 리드선을 고정하는 홀더캡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판 삽입부는 외면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후크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차이로 좁은 넓이를 갖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 용기, 램프들, 램프 고정 유닛 및 전원 공급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들은 상기 수납 용기에 수납되며, 일단에 전원 리드선이 형성된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램프 고정 유닛은 상기 전원 리드선에 대응한 상기 램프들의 단부를 고정한다. 상기 전원 공급 부재는 기 수납 용기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 고정 유닛에 삽입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 고정 유닛은 고정 부재 및 램프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는 고정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홀더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 부재가 삽입되도록 제2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삽입부 및 상기 고정 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 고정부를 갖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부재와 상기 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소켓을 구비한다.
상기 전원 공급 부재는 상기 램프를 구동하는 램프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 기판 및 상기 고정 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전원 공급 기판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램프 구동 전압을 상기 도전 소켓에 인가하는 전원 인가 단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 소켓은 상기 기판 삽입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인가 단자로부터 상기 램프 구동 전압이 인가된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램프 고정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램프에 상기 램프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인가 단자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일대일로 대응하여 연결된다. 또 한, 상기 전원 인가 단자의 단면적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넓이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차이로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램프의 타단에는 상기 수납 용기에 접지되어 상기 램프 구동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접지 리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수납 용기, 상기 수납 용기에 수납되는 복수의 램프들, 상기 램프들의 단부를 고정하는 램프 고정 유닛 및 상기 수납 용기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 고정 유닛과 결합되는 전원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한다. 기 램프 고정 유닛은 고정 부재 및 램프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는 고정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홀더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 부재가 삽입되도록 제2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삽입부 및 상기 고정 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 고정부를 갖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부재와 상기 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소켓을 구비한다.
이러한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에 따르면, 전원 공급 부재의 전원 인가 단자들이 고정 부재의 수납부들에 형성된 제1 개구부들과 램프 홀더들의 기판 삽입부들에 형성된 제2 개구부들을 통해 제1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원 공급 부재가 램프 홀더들에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고정 유닛을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램프 고정 유닛을 결합하여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램프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고정 유닛(100)은 고정 부재(200), 램프 홀더(300)들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200)는 고정 몸체(210) 및 고정 몸체(210)에 수직한 제1 방향(x)으로 돌출되면서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제2 방향(y)으로 개구되어 수납 공간(222)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220)를 포함한다.
수납부(220)는 고정 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 부재(200)는 일 예로, 절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램프 홀더(300)들은 홀더 몸체(310) 및 홀더 몸체(310)에 삽입된 도전 소켓(340)을 포함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램프 홀더(300)는 홀더 몸체(310)에 의해 외형이 결정되며, 대략적으로 사각 기둥 형상을 갖는다.
홀더 몸체(310)는 실질적으로,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도전 소켓(340)은 외부에 배치될 전원 공급 부재로부터 램프(500)의 단부에 형성된 리드선(510)에 램프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홀더 몸체(310)는 도전 소켓(340)을 감싸서 전기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홀더 몸체(310)는 수납부(220)에 수납되는 기판 삽입부(320) 및 고정 몸체(210)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램프(500)를 고정하는 램프 고정부(330)를 포함한다. 즉, 기판 삽입부(320)는 램프 고정부(330)가 홀더 몸체(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기판 삽입부(320)는 홀더 몸체(3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200)는 수납부(220)의 수납 공간(222)에 램프 홀더(300)의 기판 삽입부(320)를 수납시킴으로써, 램프 홀더(300)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정열시키게 된다.
램프 고정부(330)는 원통 형상의 램프(500)를 고정하기 위하여 라운드진 고정홈(332)을 갖는다. 고정홈(332)에는 램프(500)가 매우 약한 유리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완충 작용을 갖는 물질을 도포하여 램프(5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200)는 수납부(220)의 일측에 수납 공간(222)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1 개구부(2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개구부(223)들은 수납부(220)들의 동일한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기판 삽입부(320)는 제1 개구부(223)와 대응되는 측면에 제2 개구부(325)가 형성된다. 이는, 기판 삽입부(320)가 수납부(220)에 수납되면서 형성될 삽입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제2 개구부(325)는 제1 개구부(223)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차이로 좁은 넓이를 갖는다. 이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할 전원 공급 부재의 전원 인가 단자가 바깥쪽에 있는 제1 개구부(223)에 의해 간섭되지 않으면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달리, 제2 개구부(325)는 제품의 크기 및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개구부(223)보다 소정의 차이로 넓은 넓이를 가질 수 있다.
기판 삽입부(320)는 램프 고정부(330)의 하부와 결합된 결합부(322), 결합부(322)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제2 개구부(325)가 형성된 제1 측벽(324), 제1 측벽(324)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면서 결합부(322)와 연결된 제2 측벽(326) 및 제2 측벽(326)에 대향하면서 제1 측벽(324)의 타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3 측벽(327)을 포함한다.
결합부(322)는 일반적으로, 램프 고정부(3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램프 고정부(330)는 결합부(322), 즉 기판 삽입부(32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접착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램프 홀더(300)의 불량 발생 시, 기판 삽입부(320)와 램프 고정부(330) 중 어느 하나만 교체해도 되므로, 램프 홀더(300)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결합부(322)는 램프 고정부(330), 제1, 제2 및 제3 측벽(324, 326, 327)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다. 즉, 결합부(322)의 가장 자리는 램프 고정부(330), 제1, 제2 및 제3 측벽(324, 326, 327)보다 외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한편, 수납부(220)는 내부에 결합부(322)의 돌출된 부분에 대응하여 단차부(224)가 형성된다.
이로써, 기판 삽입부(320)는 수납부(220)에 수납 시, 결합부(322)가 단차 부(224)와 결합함으로써, 수납부(220)의 깊이에 관계없이 램프 홀더(300)가 항상 일정한 깊이로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기판 삽입부(320)는 제1, 제2 및 제3 측벽(324, 326, 327)과 수납부(2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으로 인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 삽입부(320)는 제2 및 제3 측벽(326, 327)의 외면에 후크(328)가 형성된다. 또한, 수납부(220)에는 후크(328)와 결합되는 결합홈(225)이 형성된다. 이로써, 기판 삽입부(320)는 수납부(220)에 삽입 시, 후크(328)가 결합홈(225)에 결합됨으로써, 제2 방향(y)으로 램프 홀더(300)가 빠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즉, 램프 홀더(300)와 고정 부재(2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램프 홀더(300)는 기판 삽입부(320)가 고정 부재(200)의 수납부(220)에 수납될 때, 기판 삽입부(320)의 결합부(322) 및 후크(328)가 수납부(220)의 단차부(224) 및 결합홈(225)에 결합됨으로써, 램프 홀더(300)를 고정 부재(200)에 보다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 홀더(300)는 도전 소켓(340)을 홀더 몸체(310) 내에 삽입한 후, 도전 소켓(340)을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홀더캡(400)을 더 포함한다. 홀더캡(400)은 일반적으로, 홀더 몸체(310)와 후크 결합 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홀더캡(400)은 램프(500)의 리드선(510)과 접속하는 도전 소켓(340)의 제2 접속부(360)를 가압하여 전원 리드선(510)과 제2 접속부(360)를 보다 강한 결합력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전 소켓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전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램프 홀더(300)의 도전 소켓(340)은 기판 삽입부(320) 내에 배치된 제1 접속부(350) 및 램프 고정부(330) 내에 배치된 제2 접속부(360)를 포함한다.
제1 접속부(350)는 전원 공급 부재(600)의 전원 인가 단자(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접속부(350)는 기판 삽입부(320)가 고정 부재(200)의 수납부(220)에 수납됨으로써, 형성된 삽입 공간(329)에 배치된다. 여기서, 삽입 공간(329)은 기판 삽입부(320)가 단지, 결합부(322)에 수직한 제1, 제2 및 제3 측벽(324, 326, 327)만으로 이루어져 전면을 감싸지 못하므로, 수납부(220)의 수납 공간(222)에 수납 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삽입 공간(329)은 수납부(220)에 형성된 수납 공간(22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 공간(329)은 기판 삽입부(320)의 제1 측벽(324)에 형성된 제1 개구부(223)와 수납부(220)에 형성된 제2 개구부(325)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제1 접속부(350)도 외부로 노출된다.
제1 접속부(350)는 삽입 공간(329)의 상측에 배치된 제1 단자(352), 삽입 공간(329)의 하측에 배치된 제2 단자(356) 및 제1 단자(352)와 제2 단자(356)의 일측으로부터 제2 접속부(360)에 연결되는 제3 단자(35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단자(358)는 제1 및 제2 단자(352, 356)의 양측 중 기판 삽입부(320)의 제1 측벽(324)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 단자(352)는 전원 인가 단자(620)의 상면에 접한다. 즉, 제1 단자(352) 는 제3 단자(358)로부터 결합부(322)의 하면(323)을 따라 연장되어 전원 인가 단자(62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단자(356)는 전원 인가 단자(620)의 하면에 접한다. 제2 단자(356)는 전원 인가 단자(620)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탄성력을 갖는다. 즉, 제2 단자(356)는 제3 단자(358)로부터 수납부(220)의 바닥면(226)을 따라 연장된 제1 연장부(353), 제1 연장부(353)의 끝단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연장부(354) 및 제2 연장부(354)의 끝단으로부터 제1 단자(352)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면서 연장된 제3 연장부(35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연장부(355)는 플레이트한 판이 활 모양으로 휜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제3 연장부(355)는 제2 방향(y)으로 탄성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3 연장부(355)는 외부로부터 제1 방향(x)으로 힘이 가해지면, 탄성력에 의해 제2 방향(y)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2 연장부(354)도 제3 연장부(355)보다는 작지만 제3 연장부(355)와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다. 이때, 제1 연장부(353)는 수납부(220)의 바닥면(226)에 밀착되어 제2 연장부(354)와 제3 연장부(355)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3 연장부(355)는 삽입 공간(329)에 삽입될 전원 공급 부재(600)의 전원 인가 단자(620)와 접속 시, 접속력을 강화하고, 전원 인가 단자(620)가 삽입 후, 외부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3 연장부(355)와 제1 단자(352) 사이의 거리(d1)는 전원 인가 단자(620)의 두께(t)보다 가까워야 한다. 이는, 제3 연장부(355)와 제2 단자(356)가 가지고 있는 탄성력이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탄성력은 제3 연장부(355)와 제2 단자(356) 사이의 거리(d1)를 가깝게 할수록 강해지고, 멀리할수록 약해진다. 즉, 사용자는 제3 연장부(355)와 제2 단자(356)의 거리(d1)를 임의로 조절하여 전원 인가 단자(620)를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3 연장부(355)는 전원 인가 단자(6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달리, 제3 연장부(355)는 전원 인가 단자(620)의 삽입후,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연장부(355)는 제품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제2 연장부(354)를 제거하여 제1 연장부(353)의 끝단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단자(352)와 제2 단자(356)는 제품의 특징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접속부(360)는 제1 접속부(350)의 제3 단자(358)로부터 연장되어 램프(500)의 리드선(510)과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제2 접속부(360)는 램프 고정부(330)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램프 고정부(330)는 제1 측(a)으로부터 램프(500)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제2 접속부(360)는 제1 측(a)과 반대인 제2 측(b) 대응하여 형성된다.
한편, 제1 및 제2 개구부(223, 325)는 제1 측(a)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램프(500)와 전원 인가 단자(620)는 램프 홀더(300)의 동일한 제1 측(a)으로부터 삽입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접속부(350)는 제2 단자(356)의 제3 연장부(355)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원 인가 단자(620)들을 고정함으로써, 전원 공급 부재(600)로부터 발생된 램프 구동 전압을 제1 및 제2 단자(352, 356)로부터 제3 단자(358)를 통해 제2 접속부(360) 및 리드선(510)으로 인가하여 램프(500)에서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전 소켓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전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전 소켓(370)의 제1 접속부(375)의 제1 및 제2 단자(376, 377)는 삽입 공간(371)의 중앙, 즉 전원 인가 단자(620)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제1 및 제2 단자(376, 377)는 삽입 공간(371)에서 각각 결합부(372)의 하면(373)과 수납부(230)의 바닥면(23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단자(376)는 결합부(372)의 하면(373)으로부터 수납부(230)의 바닥면(232)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제2 단자(377)는 수납부(230)의 바닥면(232)으로부터 결합부(372)의 하면(373)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즉, 제1 및 제2 단자(376, 377)는 플레이트한 판이 활 모양으로 휜 형상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1 및 제2 단자(376, 377)는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단자(376, 377)는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자(376, 377)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즉, 제1 단자(376)는 제2 방향(y)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2 단자(377)는 제1 방향(x)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다. 이러한 탄성력을 보다 강화시키 기 위하여, 제1 및 제2 단자(376, 377)의 안쪽에는 별도의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단자(376, 377) 사이의 거리(d2)는 제1 및 제2 개구부(234, 375)를 통해 삽입 공간(371)으로 삽입될 전원 인가 단자(620)의 두께(t)보다 가까워야 한다.
또한, 제1 및 제2 단자(376, 377)는 제1 및 제2 방향(x, y)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평면 길이가 늘어남으로써, 제1 및 제2 단자(376, 377)의 끝단과 기판 삽입부(370)의 제1 측벽(374)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단자(376, 377)는 전원 인가 단자(620)에 의해 제1 및 제2 방향(x, y)으로 힘이 가해질 때, 탄성력이 작용하여 전원 인가 단자(620)를 보다 완벽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단자(376, 377)는 전원 인가 단자(620)와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단자(376, 377)는 단순히 플레이트한 판을 휘는 공정을 통해 간단하게 제작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면서 전원 인가 단자(62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단자(376, 377)는 제3 단자(378)와 연결되는 부분이 약하므로, 전원 인가 단자(620)를 반복적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부분이 절단되어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상기 부분을 열처리 또는 용접 처리하거나, 별도의 보강 부재를 덧대어 강도를 보강할 필요성이 있다.
도 8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전 소켓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전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전 소켓(380)의 제1 접속부(382)는 제2 개구부(382)의 근처에서 라운드지게 절곡된 제1 및 제2 단자(383, 386)를 포함한다.
제2 단자는 제3 단자(389)로부터 상기 수납부(240)의 바닥면(242)을 따라 연장된 제1 연장부(387)와 제1 연장부(387)의 끝단으로부터 제2 개구부(382)로 라운드지게 절곡된 제2 연장부(388)를 갖는다.
제2 단자(386)는 플레이트한 판의 끝 부분만 라운드지게 구부려 제1 연장부(387)와 제2 연장부(388)를 형성한다. 이때, 제2 단자(386)는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밴딩기와 같은 공작기계보다는 플라이어(pliers)와 같은 소형 공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88)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인하여 제1 방향(x)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이때, 제1 연장부(387)는 수납부(240)의 바닥면(242)에 밀착되어 제2 연장부(388)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연장부(388)는 길이 및 라운드 정도에 따라 탄성력을 달리할 수 있다.
도전 소켓(380)은 제3 단자(389)로부터 기판 삽입부(390)의 결합부(394)의 하면(395)을 따라 연장된 제3 연장부(384)와 제3 연장부(384)의 끝단으로부터 제2 개구부(382)로 라운드지게 절곡된 제4 연장부(385)를 갖는 제1 단자(383)를 더 포함한다.
제1 단자(383)는 제2 단자(386)와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다. 즉, 제1 단자(383)의 제4 연장부(385)가 제1 방향(x)을 따라 라운드지게 절곡되었다면, 제2 단자(386)는 이와 반대로, 제2 연장부(388)가 제2 방향(y)을 따라 라운드지게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제1 및 제2 단자(383, 386)는 제4 연장부(385)와 제2 연장부(388) 사이에 탄력적인 공간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개구부(244, 392)를 통해 삽입될 전원 인가 단자(62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388)와 제4 연장부(385)는 제2 개구부(382)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원 인가 단자(620)가 삽입되는 깊이가 얕더라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장부(388)와 제4 연장부(385)의 사이 거리(d3)는 전원 인가 단자(620)의 두께(t)보가 가까워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램프 고정 유닛은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700)는 수납 용기(710), 램프(500)들, 램프 고정 유닛(100) 및 전원 공급 부재(600)를 포함한다.
수납 용기(710)는 바닥판(712) 및 바닥판(712)의 가장 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측부(714)들을 포함한다. 바닥판(712)에는 램프 고정 유닛(100)의 램프 홀더(300)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노출구(713)들이 형성된다. 수납 용기(710)는 일 예로, 강도가 우수하고,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램프(500)들은 수납 용기(710)에 서로 평행하게 수납된다. 램프(500)는 일단에 전원 리드선(5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접지 리드선(520)이 형성된다. 전원 리드선(510)에는 전원 공급 부재(600)로부터 발생된 램프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접지 리드선(520)은 램프 구동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수납 용기(710)에 접지된다.
이로써, 램프(500)들은 전원 공급 부재(600)로부터 발생된 램프 구동 전압에 반응하여 광을 발생하게 된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언급한 램프(500)의 리드선(510)은 본 실시예에서 전원 리드선(510)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램프(500)들은 내부에 전극이 형성된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ight; CCFL)이다.
전원 공급 부재(600)는 수납 용기(710)의 배면, 즉 바닥판(712)의 하면에 배치된다. 전원 공급 부재(600)는 복수의 변압기(미도시)들을 포함한다. 이로써, 전원 공급 부재(600)는 외부로 인가되는 전압을 램프(500)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램프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램프 홀더(300) 및 전원 리드선(510)을 통해 램프(500)에 인가한다.
전원 공급 부재(600)는 전원 공급 기판(610) 및 고정 부재와 마주보는 전원 공급 기판(6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램프 홀더(300)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원 인가 단자(620)들을 포함한다.
전원 공급 기판(610)은 일반적으로, 베이스판 상에 램프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변압기, 구동 소자 및 복수의 전기 배선들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전원 공급 부재(600)는 전원 공급 기판(610) 상에 전기 배선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인가 단자(620)들은 램프 홀더(300)들의 개수와 동일하다. 이로써, 전원 인가 단자(620)들은 램프 홀더(300)와 일대일로 대응하여 결합된다. 전원 인가 단자(620)들은 전원 공급 기판(61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노출된 전기 배선(미도시)들을 포함한다. 또한, 전원 인가 단자(620)의 단면적은 제2 개구부(325)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소정의 차이로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 부재(600)는 전원 인가 단자(620)들을 램프 홀더(300)들에 결합시킴으로써, 램프 구동 전압을 램프(500)들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 부재(600)는 램프 홀더(300)들에 결합된 후, 수납 용기(710)의 바닥판(712)과 볼트 결합된다. 이와 달리, 전원 공급 부재(600)는 수납 용기(710)의 바닥판(712)과 리벳팅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백라이트 어셈블리(700)는 램프(500)들과 수납 용기(710) 사이에 배치되어 램프(500)들로부터 하부로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720), 램프(500)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램프(500)들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730) 및 확산판(73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확산판(73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 시트(740)를 더 포함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램프들, 램프 고정 유닛 및 전원 공급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부재(600)는 램프 고정 유닛(100)의 램프 홀더(300)들에 삽입 고정되어 제1 접속부(350)들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 부재(600)는 전원 인가 단자(620)들이 램프 홀더(300)들의 삽입 공간(329)에 삽입되어 제1 접속부(350)의 제1 단자(352) 또는 제2 단자(356)에 접속된다. 이때, 제1 및 제2 개구부(223, 325)는 전원 인가 단자(620)가 삽입 공간(329)에 삽입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전원 인가 단자(620)는 제1 접속부(350)의 제1 단자(352) 또는 제2 단자(356)의 탄성력에 의해 전기적으로 고정된다. 즉, 전원 인가 단자(620)는 마주 보는 양면이 제1 단자(352) 또는 제2 단자(356)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제1 단자(352) 및 제2 단자(356) 중 어느 하나가 삽입 공간(329)의 중앙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므로, 전원 인가 단자(620)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 부재(600)의 전원 인가 단자(620)는 제1 단자(352)와 제2 단자(356)에 의해 전기적으로 가압 고정되어 램프 구동 전압이 제1 접속부(350)의 제3 단자(358)에 공급되고, 제3 단자(358)는 상기의 램프 구동 전압을 제2 접속부(360)를 거쳐 전원 리드선(510)을 통해 램프(500)로 인가함으로써, 램프(500)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 부재(600)는 전원 인가 단자(620)들을 단지, 제1 및 제2 개구부(223, 325)를 통해 삽입 공간(329)으로 넣었다, 뺐다 하는 동작으로 간단하게 도전 소켓의 제2 접속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램프 홀더(300)와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부재(600)는 전원 공급 기판(610)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돌출된 전원 인가 단자(620)를 통해 각각의 삽입 공간(329)들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전원 공급 부재(600)가 전원 인가 단자(620)들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700), 액정표시패널(800) 및 탑 샤시(900)를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800)은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어레이 고정 몸체(810), 어레이 고정 몸체(810)과 서로 대향하며 색을 구현하기 위한 RGB 화소가 박막 형태로 형성된 컬러필터 고정 몸체(820) 및 어레이 고정 몸체(810)과 컬러필터 고정 몸체(820)의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표시패널(800)은 게이트 전압과 데이터 전압과 같은 구동 신호를 인가되는 인쇄회로고정 몸체(830) 및 인쇄회로고정 몸체(830)과 어레이 고정 몸체(810)을 연결하는 패널인쇄회로필름(840)을 더 포함한다.
탑 샤시(900)는 액정표시패널(800)의 가장 자리를 고정하면서 수납 용 기(710)에 결합된다. 탑 샤시(900)는 일 예로, 수납 용기(710)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액정표시장치(1000)는 광학 시트(740)의 가장 자리를 고정하면서 액정표시패널(800)의 가장 자리를 지지하는 미들 몰드(95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에 따르면, 전원 공급 부재의 전원 인가 단자들이 램프 고정 유닛의 고정 부재의 수납부들에 형성된 제1 개구부들과 램프 홀더들의 기판 삽입부들에 형성된 제2 개구부들을 통해 삽입 공간에 삽입된 후, 램프 홀더의 도전 소켓에 포함된 제1 접속부에 접속 및 고정됨으로써, 램프 홀더들과 전원 공급 부재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부재가 전원 공급 기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돌출된 전원 인가 단자를 포함하여 각각의 삽입 공간들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전원 공급 부재가 전원 인가 단자들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지는 추가적인 수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정 자동화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고정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전원 공급 부재가 삽입되도록 제2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삽입부 및 상기 고정 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 고정부를 갖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부재와 상기 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소켓을 구비한 램프 홀더를 포함하는 램프 고정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고정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고정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소켓은
    상기 기판 삽입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부재의 전원 인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램프 고정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의 전원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고정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전원 인가 단자의 상면과 접하는 제1 단자;
    상기 전원 인가 단자의 하면과 접하는 제2 단자;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2 접속부로 연장된 제3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고정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원 인가 단자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원 인가 단자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고정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상기 전원 인가 단자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고정 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상기 제2 개구부의 근처에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고정 유닛.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고정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접속부를 가압하여 상기 전원 리드선을 고정하는 홀더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고정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삽입부는 외면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후크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고정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차이로 좁은 넓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고정 유닛.
  11. 수납 용기;
    상기 수납 용기에 수납되며, 일단에 전원 리드선이 형성된 복수의 램프들;
    상기 전원 리드선에 대응한 상기 램프들의 단부를 고정하는 램프 고정 유닛; 및
    상기 수납 용기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 고정 유닛에 삽입 고정되는 전원 공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 고정 유닛은
    고정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 부재가 삽입되도록 제2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삽입부 및 상기 고정 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 고정부를 갖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부재와 상기 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소켓을 구비한 램프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부재는
    상기 램프를 구동하는 램프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 기판; 및
    상기 고정 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전원 공급 기판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램프 구동 전압을 상기 도전 소켓에 인가하는 전원 인가 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소켓은
    상기 기판 삽입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인가 단자로부터 상기 램프 구동 전압이 인가된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램프 고정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램프에 상기 램프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가 단자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일대일로 대응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가 단자의 단면적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소정의 차이로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타단에는 상기 수납 용기에 접지되어 상기 램프 구동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접지 리드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7. 수납 용기, 상기 수납 용기에 수납되는 복수의 램프들, 상기 램프들의 단부를 고정하는 램프 고정 유닛 및 상기 수납 용기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 고정 유닛과 결합되는 전원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램프 고정 유닛은
    고정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 부재가 삽입되도록 제2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삽입부 및 상기 고정 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 고정부를 갖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부재와 상기 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소켓을 구비한 램프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60049222A 2006-05-23 2006-06-01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20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222A KR101206718B1 (ko) 2006-06-01 2006-06-01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액정표시장치
EP07010139A EP1860377A1 (en) 2006-05-23 2007-05-22 Lamp fix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752,095 US7637625B2 (en) 2006-05-23 2007-05-22 Lamp fix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7136922A JP5275582B2 (ja) 2006-05-23 2007-05-23 ランプ固定ユニット、そ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CN2007101048671A CN101078504B (zh) 2006-05-23 2007-05-23 灯固定单元、具有其的背光组件以及显示装置
US12/616,090 US7950823B2 (en) 2006-05-23 2009-11-10 Lamp fix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222A KR101206718B1 (ko) 2006-06-01 2006-06-01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183A true KR20070115183A (ko) 2007-12-05
KR101206718B1 KR101206718B1 (ko) 2012-12-03

Family

ID=3914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222A KR101206718B1 (ko) 2006-05-23 2006-06-01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7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305B1 (ko) * 2008-03-11 2009-12-22 한솔엘씨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 어셈블리
KR100946272B1 (ko) * 2008-01-16 2010-03-09 주식회사 이랜텍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고정용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1394471B1 (ko) * 2008-03-25 2014-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421216B1 (ko) * 2008-04-29 2014-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532050B1 (ko) * 2014-09-23 2015-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6698A (ja) 1998-08-07 2000-02-25 Sony Corp 表示装置と表示装置における背面型照明具の保持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72B1 (ko) * 2008-01-16 2010-03-09 주식회사 이랜텍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고정용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0933305B1 (ko) * 2008-03-11 2009-12-22 한솔엘씨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 어셈블리
KR101394471B1 (ko) * 2008-03-25 2014-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421216B1 (ko) * 2008-04-29 2014-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532050B1 (ko) * 2014-09-23 2015-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718B1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5582B2 (ja) ランプ固定ユニット、そ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US7789687B2 (en)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1906493B1 (en) Display device having a lamp socket
US20060279957A1 (en) Lamp, lamp holder, power supply modul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power supply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power supply module
KR20070099156A (ko) 램프홀더, 전원공급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JP2008117772A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KR101206718B1 (ko)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액정표시장치
US8279367B2 (en) Backlight assembly,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83044A (ko)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
KR20070053056A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US20100061086A1 (en) Backligh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EP2149814B1 (en) Light supplying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023324A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7011292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81261A (ko) 램프홀더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US2011005103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8736789B2 (en) Slim LCD module and a socket therefor
KR20070078113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27005A (ko) 소자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80076258A (ko) 평면 광원 유닛 및 그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246604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74168A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8003228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5143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90004012A (ko) 램프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