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604B1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604B1
KR101246604B1 KR1020060003390A KR20060003390A KR101246604B1 KR 101246604 B1 KR101246604 B1 KR 101246604B1 KR 1020060003390 A KR1020060003390 A KR 1020060003390A KR 20060003390 A KR20060003390 A KR 20060003390A KR 101246604 B1 KR101246604 B1 KR 101246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
electrode
disposed
ground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5070A (ko
Inventor
김원주
옥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604B1/ko
Priority to US11/436,706 priority patent/US7806544B2/en
Priority to CN2006101064932A priority patent/CN1881043B/zh
Publication of KR2007007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070A/ko
Priority to US12/862,243 priority patent/US806639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Abstract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램프들, 수납용기 및 도전 부재를 포함한다. 램프는 램프 몸체,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전극부들은 램프 몸체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수납용기에는 복수 개의 램프들이 배치되며, 제2 전극부들의 인근에 복수 개의 접지부들이 형성된다. 도전 부재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극부와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램프들의 병렬구동을 위한 구성단품의 개수가 감소된다.
램프, 구동, 인버터, 접지, 수납용기, 도전 부재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 램프
11 : 램프 몸체 15 : 제2 전극부
20 : 수납용기 21 : 바닥판
22 : 접지부 23, 25, 27, 29 : 측벽
30 : 도전 부재 41, 43 : 램프홀더
45 : 와이어 50 : 사이드몰드
60 : 광학시트 600 : 표시장치
680 : 표시패널 681, 685 : 기판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의 구동을 위한 구성 단품의 개수를 감소시킨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액정 셀들의 광 투과율을 화상신호정보에 따라 조절하여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액정패널에서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화소단위를 이루는 상기 액정 셀들이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되는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 셀들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상기 액정패널에 대해 빛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인 램프를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배치하여 상기 액정패널로 빛을 조사하는 직하방식과,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도광판이 마련되고 상기 램프가 도광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을 통해 상기 액정패널로 빛을 조사하는 에지(edge)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직하방식은 상기 에지방식에 비해 빛의 균일성 및 내구성은 떨어지나, 복수 개의 상기 램프들을 병렬로 구동하기 때문에 광 이용효율이 우수하여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형 액정표시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램프들을 병렬 구동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대체로 인버터 마스터(Inverter Master), 인버터 슬레이브(Inverter Slave) 및 리턴 와이어(Return Wire)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 마스터는 상기 램프의 핫전극에 램프구동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인버터 슬레이브는 상기 램프의 콜드전극을 접지시키며, 상기 콜드전극으로부터의 출력되는 전류를 상기 인버터 마스터에 피드백시키기 위한 도전패턴을 제공한다. 상기 리턴 와이어는 상기 도전패턴과 상기 인버터 마스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전류를 상기 인버터 마스터에 피드백시킨다. 상기 인버터는 상기 피드백된 전류를 입력신호로 하여 상기 램프들에 입력되는 구동전압의 편차를 균일하게 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 슬레이브는 일종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며, 상기 복수 개의 램프들의 콜드전극들은 상기 인버터 슬레이브에 직접 접지되거나, 수납용기에 접지된 상기 인버터 슬레이브를 통해 상기 수납용기에 접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경우, 복수 개의 램프들의 콜드전극들이 각각이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인버터 슬레이브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의 단계가 증가하고, 리턴와이어에 대한 처리 및 사이드 몰드와 수납용기 등의 다른 부품들과의 조립관계가 불편하여 조립 공정의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램프들을 병렬 구동하기 위한 구성 단품의 개수가 감소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램프들, 수납용기 및 도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는 램프 몸체,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들은 상기 램프 몸체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수납용기에는 상기 복수 개의 램프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부들의 인근에 복수 개의 접지부들이 형성된다. 상기 도전 부재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전극부와 상기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부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부들 사이로 돌출되고,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접지부의 상단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홀더 및 와이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램프홀더는 상기 제2 전극부가 배치된 상기 램프 몸체의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상기 도전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부들 사이에는 4개의 상기 램프들이 배치되고, 상기 접지부를 기준으로 이웃한 4 개의 상기 제2 전극부들은 상기 도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수납용기, 복수 개의 도전 부재들, 전원 공급 유닛, 복수 개의 램프들 및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바닥판 및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에는 복수 개의 접지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판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상기 도전 부재들은 상기 접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납용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 공급 유닛은 상기 바닥판의 배면에 배치되어 램프 구동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램프는 램프 몸체,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몸체는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전극부는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 구동전압을 인가 받는다.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몸체의 타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부들 사 이로 돌출된 상기 접지부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도전 부재에는 상기 접지부를 기준으로 이웃하는 상기 제2 전극부들이 2 개 이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따르면, 램프의 제2 전극부에 대한 간단한 접지구조로 인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의 구성 단품의 개수가 감소되고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5)는 복수 개의 램프(10)들, 수납용기(20) 및 도전 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10)들은 복수 개가 병렬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10)는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이다. 상기 램프(10)는 램프 몸체(11), 제1 전극부(도시되지 않음) 및 제2 전극부(15)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몸체(11)는 아르곤 및 수은 등의 방전 가스가 주입된 직선 형상의 관으로서, 상기 램프 몸체(11)의 내벽에는 형광체가 도포된다. 상기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15)는 상기 램프 몸체(11)의 양 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전극부는 방전전극 및 리드선을 포함한다. 상기 방전전극은 상기 램프 몸체(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리드선은 상기 방전전극으로부터 상기 램프 몸체(11)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전극부(15)도 상기 제1 전극부와 동일하게 방전 전극 및 리드선을 포함한다.
후술될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부에 램프 구동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전극부(15)는 접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15)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부로부터 아크 방전이 발생된다. 상기 방전가스는 상기 아크 방전으로 인해 자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자외선이 상기 형광체를 통과하여 가시광선으로 변환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10)는 고휘도, 저비용 및 저소비전력의 특성을 가지며 하나의 전원 공급 유닛으로 복수 개의 램프들을 구동할 수 있는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용기(20)는 상기 복수 개의 램프(10)들을 수용한다. 상기 수납용기(20)는 바닥판(21) 및 제1 내지 제4 측벽들(23, 25, 27, 29)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2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23, 25, 27, 29)은 상기 바닥판(21)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23, 25)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측벽들(27, 29)은 서로 대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23, 25)을 각각 연결한다. 상기 제3 및 제4 측벽들(27, 29)의 상단에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측벽(23)에 인접한 바닥판(21)에는 상기 제1 측벽(23)을 따라 복수 개의 개구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벽(25)에 인접한 바닥판(21)에는 복수 개의 접지부(22)들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5)는 제1 및 제2 램프홀더들(41, 43) 및 전원 공급 유닛(1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램프홀더(41)는 상기 제1 전극부가 배치된 상기 램프 몸체(11)의 제1 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2 램프홀더(43)는 상기 제2 전극부(15)가 배치된 상기 램프 몸체(11)의 제2 단부를 수용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램프홀더들(41, 43)에는 2 개의 상기 램프(10)들이 결합된다. 상기 제1 램프홀더(41)는 상기 제1 측벽(23) 인근의 바닥판(21)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램프홀더(41)에 연결된 커넥터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바닥판(21)의 배면으로 인출된다.
상기 제1 전극부에 연결된 커넥터는 상기 전원 공급 유닛(18)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 공급 유닛(18)은 상기 제1 전극부에 램프 구동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전원 공급 유닛(1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측벽(23) 인근의 바닥판(21)의 배면에 배치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램프홀더(43)에는 슬릿형상을 갖는 2개의 홀딩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홀딩부들에는 2 개의 상기 램프(10)들의 제2 단부들이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 전극부(15)의 리드선은 상기 제2 램프홀더(43)로부터 노출된다.
한편, 상기 접지부(22)는 상기 바닥판(21)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부(15)들의 사이로 돌출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부(22)는 상기 바닥판(21)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전극부(15)와 비슷한 높이를 갖는다. 상기 접지부(22)를 기준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상기 제2 전극부(15)들이 이웃하게 배치된다.
상기 도전 부재(30)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어, 구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지부(22)의 상단에 스크류(31)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21)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전극부(15)와 도전 부재(30)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 부재(30)는 상기 접지부(22)의 평면적보다 약간 큰 평면적을 갖고, 상기 도전 부재(30)의 에지에는 후술될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한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는 와이어(4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45)는 상기 제2 전극부(15)와 도전 부재(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지부(22)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2 개의 상기 제2 전극부(15)들이 상기 와이어(45)의 일부 가지에 의해 연결되고, 좌측에 배치된 2 개의 상기 제2 전극부(15)들이 상기 와이어(45)의 다른 가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일부 가지 및 다른 가지는 상기 도전 부재(30)에 각각 연결된다. 그 결과, 복수 개의 상기 제2 전극부(15)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도전 부재(30)에 이르는 와이어(45)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45)는 상기 제2 전극부(15)와 도전 부재(30)의 상기 돌기에 각각 도전성 솔더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 어(45)의 단부들에 상기 제2 전극부(15)와 도전 부재(30)에 각각 결합되는 커넥팅 단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극부(15)는 상기 와이어(45) 및 도전 부재(30)를 통하여 상기 수납용기(20)의 바닥판(21)에 접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부(15)는 0 볼트(voltage)의 전위를 갖고, 상기 전원 공급 유닛(18)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부에 상기 램프 구동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램프(10)는 광을 출사한다.
상기 복수 개의 램프(10)들을 병렬구동하는 경우,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가 휘도 균일성이 우수한 광을 출사하기 위하여, 상기 램프(10)들에 균일한 램프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공급 유닛(18)은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1 전극부들에 상기 램프 구동전압이 균일하게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는 사이드몰드(50) 및 광학시트(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몰드(50)는 상기 제1 측벽(23) 및 제2 측벽(25)을 따라 2 개가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몰드(50)들은 상기 제1 램프홀더(41) 및 제2 램프홀더(43)들을 각각 커버한다. 상기 사이드몰드(50)는 상기 바닥판(21)에 접촉되는 2 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들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들은 상기 제1 램프홀더(41) 및 접지부(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면에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상기 광학시트(60)는 상기 램프(10)들이 출사한 광의 광학특성을 향상시켜 출사한다. 상기 광학시트(60)는 반사시트(61), 확산시트(63) 및 집광시트들(65, 67)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시트(61)는 상기 램프(10)들의 아래의 바닥판(21)에 배치된다. 상기 반사시트(61)는 상기 램프(10)들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수납용기(20)의 상부를 향하여 반사시킨다. 반사시트(6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63)는 상기 램프(10)들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집광시트들(65, 67)은 상기 확산시트(63) 위에 배치되어 광의 경로가 보다 상기 광학시트(60)의 법선 방향에 근접하도록 집광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복수 개의 램프(110)들, 수납용기(120), 제1 및 제2 램프홀더들(도시되지 않음, 143), 도전 부재(130), 와이어(145) 및 광학시트(160)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하나의 접지부(122)의 주변에 배치된 상기 램프(110)들의 개수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수납용기(120)의 바닥판(12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접지부(122)들이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122)를 기준으로 상기 램프(110)들의 제2 전극부(115) 8 개가 이웃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접지부(122)를 기준으로 좌측에 4개의 상기 제2 전극부(115)들이 배치되고, 우측에 4 개의 상기 제2 전극부(115)들이 배치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부(122)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램프(110)들의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지부(122)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6 개씩 12 개의 램프(110)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145)는 서로 이웃한 2 개의 상기 제2 전극부(115)들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가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좌측에 위치한 상기 제1 가지와 제2 가지가 다시 연결되어 상기 도전 부재(130)에 도전성 솔더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우측에 위치한 상기 제3 가지와 제4 가지가 다시 연결되어 상기 도전 부재(130)에 도전성 솔더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8 개의 상기 제2 전극부(115)들로부터 상기 도전 부재(130)에 이르는 상기 와이어(145)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복수 개의 램프(210)들, 수납용기(220), 제1 및 제2 램프홀더들(도시되지 않음, 243), 도전 부재(230), 와이어(245) 및 광학시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접지부(226)가 형성되는 위치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5)와 실지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접지부(226)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수납용기(20)에서와 달리, 상기 수납용기(220)의 제2 측벽(225)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지부(226)는 상기 제2 측벽(225)으로부터 상기 제2 측벽(225) 인근에 배치된 상기 제2 전극부(215)들의 사이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상기 접지부(226)는 상기 제2 측벽(225)으로부터 상기 수납용기(22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접지부(226)를 기준으로 4 개의 상기 제2 전극부(215)들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상기 도전 부재(230)는 상기 접지부(226)의 단부에 스크류(231) 체결되며, 상기 와이어(245)는 상기 제2 전극부(215)들과 상기 도전 부재(230)에 각각 솔더링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극부(215)는 상기 수납용기(220)에 접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복수 개의 램프(310)들, 수납용기(320), 램프홀더(341)들, 도전 부재(330) 및 광학시트(36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310)들, 수납용기(320) 및 광학시트(360)는 도 1에 도시된 램프(10)들, 수납용기(20) 및 광학시트(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홀더(341)는 상기 램프 몸체(11)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들 중 제1 전극부가 배치된 상기 제1 단부에만 결합된다. 상기 램프홀더(341)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제1 램프홀더(41)와 동일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상기 도전 부재(330)들은 상기 수납용기(320)의 바닥판(321)에 형성된 접지부(322)들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도전 부재(330)는 상기 접지부(322)에 고정되는 중앙부가 상기 바닥판(321)을 향하여 절곡되고 좌측 및 우측이 상기 제2 측벽(325) 방향으로 연장된다.
4 개의 상기 제2 전극부(315)들은 상기 접지부(322)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각각 2 개씩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 전극부(315)들의 리드선들은 상기 도전 부재(330)에 접촉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전극부(315)들의 리드선들은 상기 도전 부재(330)에 솔더링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400)는 복수 개의 램프(410)들, 수납용기(420), 램프홀더(441)들, 도전 부재(430) 및 광학시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전 부재(430)를 제외하고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도전 부재(430)는 클립부(433)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0에 도시된 도전 부재(3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도전 부재(430)에는 상기 제2 전극부(415)들에 대응하여 좌측 및 우측 각각 2 개씩 4 개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전극부(415)는 상기 클립부(433)에 끼워진다.
표시장치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600)는 수납용기(620), 복수 개의 도전 부재(630)들, 전원 공급 유닛(618), 복수 개의 램프(610)들 및 표시패널(680)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620), 도전 부재(630), 전원 공급 유닛(618) 및 램프(610)들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수납용기(20), 도전 부재(30), 전원 공급 유닛(18) 및 램프(10)들과 동일하다.
상기 램프(610)들은 반사시트(661)가 배치된 상기 수납용기(620)의 바닥판(621)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램프(610)의 제1 단부에는 제1 램프홀더(641)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램프홀더(641)는 상기 바닥판(621)의 배면에 배치된 상기 전원 공급 유닛(6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2 램프홀더(643)는 상기 램프(610)의 제2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된 제2 전극부(615)는 상기 와이어(645)를 통해 상기 도전 부재(6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도전 부재(630)는 상기 바닥판(621)으로부터 돌출된 접지부(622)에 스크류(631)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표시장치(600)는 사이드몰드(650), 와이어(645), 광학시트(660) 및 미들몰드(6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몰드(650)는 상기 제1 램프홀더(641) 및 제2 램프홀더(643)를 커버한다. 확산시트(663) 및 집광시트들(665, 667)은 상기 사이드몰드(650)에 형성된 단턱부 및 제3 및 제4 측벽들(627, 629)에 형성된 단턱부에 배치된다.
상기 미들몰드(650)는 상기 집광시트들(665, 667)의 가장자리를 누르며 상기 수납용기(620)와 결합된다. 상기 미들몰드(650)의 상면에는 패널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680)은 상기 패널가이드홈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시트(660)로부터 출사된 광을 받아 영상 정보가 포함된 화상으로 변경시킨다. 상기 표시패널(680)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681),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681)에 대향하도록 부착된 컬러필터 기판(685) 및 박막트랜지스터 기판(681)과 컬러필터 기판(685) 사이에 주입된 액정(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681)에는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교차하는 데이터 라인들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화소 영역들을 정의한다. 상기 화소 영역에는 화소 전극 및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따라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상기 화소 전극에 스위칭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685)에는 상기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RGB 색화소들이 배치되며, 상기 RGB 색화소들을 덮는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패널(680)은 편광판, 인쇄회로기판(683) 및 패널인쇄회로필름(684)을 더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들은 상기 컬러필터 기판(685)의 전면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681)의 배면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표시패널(680)을 투과하는 빛을 교차편광시킨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83)은 상기 게이트 전압 및 데이터 전압과 같은 패널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패널인쇄회로필름(684)은 일측 에지가 상기 표시패널(6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일측 에지에 대향하는 상기 패널인쇄회로필름(684)의 타측 에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83)에 연결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83)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패널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액정의 배열이 변경되고, 상기 표시패널(680)에 제공되는 광의 투과도가 변경되어 상기 표시패널(680)은 원하는 계조의 상기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장치(600)는 상기 표시패널(680)의 유효표시영역을 노출시키며 상기 수납용기(620)에 체결되는 탑샤시(690)를 더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장치(800)는 전원 공급 유닛(818), 복수 개의 램프(810)들, 수납용기(820), 복수 개의 도전 부재(830)들, 와이어(845), 사이드몰드(850), 광학시트(860), 미들몰드(870), 표시패널(880) 및 탑샤시(89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8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표시장치(600)에서, 제2 램프홀더(643) 및 와이어(645)가 생략되고, 도전 부재(630)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도전 부재(330)로 치환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표시장치(6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램프들을 병렬구동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램프들의 제2 전극부들을 접지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인버터 슬레이브), 상기 제2 전극부들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연결시키는 커넥터 및 상기 제2 전극부들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전원 공급 유닛(인버터 마스터)으로 피드백시키는 리턴 와이어 등의 단품들이 생략된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성 단품의 개수가 감소된다.
또한, 램프의 제2 전극부는 와이어를 통하여 또는 도전 부재에 직접 솔더링되어 수납용기에 접지된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에서 램프의 조립이 보다 간단해 지므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램프 몸체와, 상기 램프 몸체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부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램프들;
    상기 복수 개의 램프들이 배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 또는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공간으로 복수 개의 접지부들이 형성된 수납용기;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전극부와 상기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바닥판 또는 상기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부들 사이로 돌출되고,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접지부의 상단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부가 배치된 상기 램프 몸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램프홀더; 및
    상기 제2 전극부와 상기 도전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솔더링을 통하여 상기 제2 전극부 및 상기 도전 부재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램프 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도전 부재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도전 부재에 솔더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도전 부재에 형성된 클립부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전극부와 상기 도전 부재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들 사이에는 4개의 상기 램프들이 배치되고,
    상기 접지부를 기준으로 이웃한 4 개의 상기 제2 전극부들은 상기 도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들 사이에는 8개의 상기 램프들이 배치되고,
    상기 접지부를 기준으로 이웃한 8 개의 상기 제2 전극부들은 상기 도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부들 사이로 돌출되고,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접지부의 상단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부가 배치된 상기 램프 몸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램프홀더; 및
    상기 제2 전극부와 상기 도전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복수 개의 접지부들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주변부에 배치된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상기 접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납용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도전 부재들;
    상기 바닥판의 배면에 배치되어 램프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 유닛;
    상기 바닥판에 배치되는 램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 구동전압을 인가 받는 제1 전극부와, 상기 몸체의 타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램프들; 및
    상기 램프들로부터 출사된 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부들 사이로 돌출된 상기 접지부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접지부를 기준으로 이웃하는 2 개 이상의 상기 제2 전극부들은 상기 도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가 배치된 상기 일 단부를 수용하는 램프홀더; 및
    솔더링을 통하여 상기 제2 전극부와 상기 도전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제2 전극부는 상기 도전 부재에 솔더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60003390A 2005-05-19 2006-01-12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246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390A KR101246604B1 (ko) 2006-01-12 2006-01-12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11/436,706 US7806544B2 (en) 2005-05-19 2006-05-18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06101064932A CN1881043B (zh) 2005-05-19 2006-05-19 背光组件和具有该背光组件的显示装置
US12/862,243 US8066394B2 (en) 2005-05-19 2010-08-24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390A KR101246604B1 (ko) 2006-01-12 2006-01-12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070A KR20070075070A (ko) 2007-07-18
KR101246604B1 true KR101246604B1 (ko) 2013-03-25

Family

ID=3850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390A KR101246604B1 (ko) 2005-05-19 2006-01-12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6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831A (ko) * 2001-12-19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 이를 갖는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액정표시장치
KR20040057712A (ko) * 2002-12-26 2004-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와 그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831A (ko) * 2001-12-19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 이를 갖는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액정표시장치
KR20040057712A (ko) * 2002-12-26 2004-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와 그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070A (ko)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406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duced noise
US780654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65744B1 (ko) 램프 홀더와, 이를 갖는 램프 어셈블리,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표시 장치
US7789687B2 (en)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92554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US20090196018A1 (en) Backlight assembly having improved heat releas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700232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60131242A (ko) 냉음극 형광램프,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KR101318254B1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70053056A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70115183A (ko)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액정표시장치
EP2149814B1 (en) Light supplying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246604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5239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8001087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094862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774570B1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CN1881043B (zh) 背光组件和具有该背光组件的显示装置
KR2008003228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74168A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6001651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8129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60136042A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6007529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73164A (ko) 액정표시장치 및 백라이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