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569A -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569A
KR20070114569A KR20060048314A KR20060048314A KR20070114569A KR 20070114569 A KR20070114569 A KR 20070114569A KR 20060048314 A KR20060048314 A KR 20060048314A KR 20060048314 A KR20060048314 A KR 20060048314A KR 20070114569 A KR20070114569 A KR 20070114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quest message
call request
multimedia
url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4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2655B1 (ko
Inventor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65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4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65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 사용자가 MRBT 서버에 기 등록한 링백톤 및 벨 서비스 URL 주소를 사용하여, 단말간의 통화 시도 시 각각의 단말에 멀티미디어 링백톤 또는 벨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CALL CONNECTION SERVICE OF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도 1은 일반적인 IMS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를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통화 연결 서비스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IP 단말 200 : CSCF
300 : HSS 400 : MRBT 서버
500 : 웹 서버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 IP Multimedia Subsystem, 이하 'IMS' 라 칭함)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기반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브 시스템을 의미한다. IMS는 3세대 네트워크(3Generation Network)의 서브 시스템으로 표준화되었다. 3GPP/ETSI가 표준을 만들었고, 3GPP2가 이 표준안을 수용하였다.
IMS는 비단 3세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만 적용되는 기술이 아니다. 즉, IMS는 유선 통신망과 디지털 방송망과 같이 유선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에도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IMS는 멀티미디어 연결 설정을 위한 신호 프로토콜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채택하였다. SIP는 인터넷 표준화기구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만든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SIP는 VoIP(Voice over IP) 서비스를 구현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러나 SIP는 음성 전화만을 위한 프로토콜이 아니며, 문자 메시지, 동영상, 인스턴트 메시지 등을 지원한다. SIP가 제어하는 세션은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세션을 의미하기 때문에 SIP는 멀티미디어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IMS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의 RAN(Radio Access Network)은 IP 단말(이하 '단말'로 칭함)이 연결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블록을 의미한다. 단말(10)은 전송 블록의 Node B,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WLAN 등을 통하여 접속되며, 각 신호는 RNC(Radio Network Control), BSC(Base Station Controller) 등을 통하여 전송 블록(Transport Plane)으로 연결된다.
전송 블록은 IMS 망 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역할을 하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송 블록은 네트워크 기지국, 스위치 및 전송을 담당하는 장비로 구성되어 있다. 단말이 전송한 신호는 SGSN(Serving GPRN Support Node), MGW(Media Gate Way)와 같은 스위칭 장비를 통하여 적절하게 라우팅되어 제어 블록(Control Plane)으로 전송된다.
제어 블록(Control Plane)은 좁은 의미의 IMS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 블록은 어떠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들어온 데이터인지 상관하지 않고, 단말과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CSCF(Call Session Call Function)(70), HSS(Home Subscriber Server)(8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블록(Service Plane)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블록이다. 상기 서비스 블록은 어플리케이션 서버(AS : Application Server)(30)와 SCIM(Smart Common Input Method platfor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가장 핵심적인 구성 요소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 CSCF(70), HSS(80)이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0)는 IMS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서버(30)는 각각 다른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에서는 VoIP 어플리케이션 서버(31), PTT 어플리케이션 서버(32), IM 어플리케이션 서버(33) 등이 존재하며, 각각 VoIP 서비스, PTT 서비스, IM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CSCF(70)는 호 세션 제어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IMS 관련 시그널링, 등록, IMS 세션 등의 절차를 위하여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 설정 등을 담당한다. 이러한 CSCF(70)는 P-CSCF(71), I-CSCF(72), S-CSCF(7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P-CSCF(Proxy CSCF)(71)는 IMS 내에서 단말(10)의 첫 번째 접속점으로 동작을 한다. S-CSCF(Serving CSCF)(73)는 상기 IMS 네트워크 내에서 세션 상태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I-CSCF(Interrogating CSCF)(72)는 네트워크 운영자의 가입자 또는 지정된 서비스 영역 내의 로밍 가입자로 향하는 모든 IMS 연결들을 위하여 상기 운영자의 네트워크 내 접속점으로 동작을 하게 된다.
HSS(80)는 가입자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하며, 호/세션 제어를 위한 가입자 식별자, 가입자의 보안 정보 등의 가입자 정보들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하나의 동일한 망에 가입자의 수와 네트워크의 구성 능력에 따라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IMS은 송수신단말(10) 간 통화 시도 시, 송수신단말(10) 각각에 링백톤 또는 벨 소리가 제공되도록 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으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및 벨을 제공하는 서비스는 아직까 지 구현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프로토콜 단말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은,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제 2 단말별 다수개의 제 1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다수개의 제 1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링백톤 URL 주소와 벨 URL 주소를 저장하며, 수신되는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정보와 수신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발신정보에 상응하는 링백톤 URL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수신정보에 상응하는 벨 URL 정보 상기 제 2 단말에 송신하는 MRBT 서버(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er); 사용자로부터 호 요청을 입력받으면,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MRBT 서버에 송신하여 링백톤 URL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링백톤 URL 주소에 상응하는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제 1 단말; 상기 벨 URL 주소가 포함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의 호 요청 메시지가 상기 MRBT 서버로부 터 수신되면, 상기 벨 URL 주소에 상응하는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제 2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링백톤 URL 주소 획득을 위한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 2 단말로의 상기 벨 URL 주소 제공을 위한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를 구분하여 각각을 상기 MRBT 서버에 송신한다.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 각각의 헤더에 서로 다른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MRBT 서버의 식별 태그를 상기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 헤더에 포함시킨다.
상기 MRBT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단말별 상기 제 1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링백톤 URL 주소를 상기 제 1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단말별 상기 제 1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벨 URL 주소를 상기 제 2 단말에 송신한다.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2 차 호 요청메시지를 상기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동시에 송신하거나,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 송신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MRBT 서버로부터 상기 링백톤 URL 주소가 제공된 후 송신한다.
그리고,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단말로의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이 멀티미디어 통 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가입된 경우 상기 수신된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MRBT 서버에 송신하는 CSCF(Call Session Call Function); 상기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 각각에 상응하는 링백톤 멀티미디어 및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각의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은, 상기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함에 있어서, 통화 연결 및 거절 버튼 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 1 단말은,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단말이고,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호를 설정하는 수신단말이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은, MRBT 서버가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각 제 2 단말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2 단말별 다수개의 제 1 단말 정보와, 상기 다수개의 제 1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링백톤 URL 주소와 벨 URL 주소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2 단말로의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MRBT 서버가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별 상기 제 1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 각각을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 각각에 제공하 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이 상기 MRBT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 각각에 상응하는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어터 및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링백톤 URL 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 2 단말로의 상기 벨 URL 주소 제공을 위한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를 각각 구별하여 송신한다.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각각의 호 요청 메시지를 구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 각각의 헤더에 서로 다른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각각의 호 요청 메시지를 구별하는 단계는, MRBT 서버 식별 태그를 상기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 헤더에 포함시킨다.
상기 MRBT 서버가 상기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MRBT 서버가 상기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면, 상기 제 2 단말별 상기 제 1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링백톤 URL 주소를 상기 제 1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MRBT 서버가 상기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단말별 상기 제 1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벨 URL 주소를 상기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제 2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은, CSCF가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단말로의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파악하고, 가입된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MRBT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이 상기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이 상기 각각의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로의 웹 접속을 웹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상기 각각의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에 상응하는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 각각이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 각각을 표시화면에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를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이하 'IMS' 라 칭함)은 IP 단말(이하 '단말'로 칭함)(100), CSCF(Call Session Call Function)(200), HSS(Home Subscriber Server)(300),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버(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er: 이하 'MRBT 서버'라 칭함)(400) 및 웹 서버(WEB Server)(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인터넷 접속 가능한 컴퓨터, PDA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100)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자고 하는 복수개의 다른 단말(100)의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한 복수개의 다른 단말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다른 단말(100)에 제공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URL 주소와,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받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벨 URL 주소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100)이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등록한 복수개의 다른 단말(100)(이하, '제 1 단말'로 칭함) 중 하나의 단말(100)이,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100)(이하, '제 2 단말'로 침함)과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링백톤 URL 주소의 획득을 위한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제 2 단말(100)로의 벨 URL 주소 제공을 위한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를 구별하여 각각을 MRBT 서버(4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는 송수신 단말인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단말(100)은 송신한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MRBT 서버(400)로부터 링백톤 URL 주소를 제공받아 웹 서버(500)로부터 해당 URL 주소에 상응하는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제 2 단말(100)은 제 1 단말(100)이 송신한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MRBT 서버(400)로부터 벨 URL 주소를 제공받아 웹 서버(500)로부터 해당 URL 주소에 상응하는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CSCF(200)는 호 세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제 1 단말(100)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 2 단말(100)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가입 여부를 연결된 HSS(300)를 통해 판단하고, 가입된 경우 수신된 호 요청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MRBT 서버(400)에 전달한다.
HSS(300)는 단말(100)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가입 여부를 입력받아 각 단말(100)별 해당 서비스 가입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MRBT 서버(400)는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가입 단말(100)별 링백톤 및 벨 서비스 URL 주소 정보가 저장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테이블를 포함한다.
그리고, MRBT 서버(400)는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임의의 제 2 단말(100)로부터 임의의 제 1 단말(100)로의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테이블을 통해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 2 단말별 저장된 제 1 단말(10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존재하는 경우 제 1 단말(100)에 대응하는 링백톤 및 벨 URL 주소를 검출하여, 검출된 링백톤 URL 주소는 제 1 단말(100)로, 벨 URL 주소는 제 2 단말(100)로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테이블은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각 단말(100) 정보별로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제공 단 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테이블은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가입 단말 즉, 제 2 단말 정보별로 등록된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제공 단말 즉, 제 1 단말 정보 각각에 대응한 각각의 링백톤 URL 주소와 벨 UR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웹 서버(500)는 실시간으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Streaming)하는 장치로, 단말(100)로부터 링백톤 URL 주소 또는 벨 URL 주소로의 웹 접속이 요청되면, 해당 URL 주소에 상응하는 웹 화면과 링백톤 또는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해당 단말(100)에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100)은 수신되는 웹 서버(500)로부터 제공되는 링백톤 또는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화면에 출력함에 있어서, 웹 접속을 요청한 링백톤 또는 벨 URL 주소에 상응하는 링백톤 또는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 영상과 함께 통화 연결 및 거절 버튼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IMS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통화 연결 서비스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1 단말(100a)은 제 2 단말(100b) 사용자와 통화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제 2 단말(100b)로의 호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S101), 제 2 단말(100b)로의 호 요청 메시지인 제 1 차 INVITE 메시지 를 생성하여 제 1 CSCF(200a)로 송신한다(S102).
제 1 차 INVITE 메시지는 제 1 단말(100a) 및 제 2 단말(100b)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단말 사용자 번호 등의 단말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다.
제 1 CSCF(200a)는 제 1 단말(100a)로부터 제 1 차 INVITE 메시지가 수신되면, 연결된 HSS(300)에 접속하여 제 2 단말(100b)과 연동된 제 2 CSCF(200b)를 파악하고, 제 1 단말(100a)로부터 수신된 제 1 차 INVITE 메시지를 파악된 제 2 CSCF(200b)로 송신한다(S103).
제 2 CSCF(200b)는 제 1 CSCF(200a)로부터 제 1 차 INVITE 메시지가 수신되면, 연결된 HSS(300)를 통해 수신단말인 제 2 단말(100b)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등록 여부를 파악하고, 등록된 경우 제 1 CSCF(200a)로부터 수신된 제 1 차 INVITE 메시지를 MRBT 서버(400)에 송신한다(S104).
하지만, 제 2 CSCF(200b)는 HSS(300)로부터 제 2 단말(100b)이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음이 파악되면, 제 1 CSCF(200a)로부터 수신된 제 1 차 INVITE 메시지를 제 2 단말에 송신하여,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없이 단말 자체의 링백톤과 벨로서 통화가 시도되도록 한다.
MRBT 서버(400)는 제 2 CSCF(200b)로부터 제 1 차 INVITE 메시지가 수신되면 하나의 채널을 할당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테이블로부터 제 2 단말(100b) 사용자가 기 등록한 링백톤 URL 주소를 검출한다(S105).
즉, MRBT 서버(400)는 수신된 제 1 차 INVITE 메시지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단말(100b) 정보를 파악하여,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테이블로부터 제 2 단말(100b) 별 저장된 제 1 단말(100a)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제 1 단말에 대응된 멀티미디어 링백톤 URL 주소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MRBT 서버(400)는 검출된 링백톤 URL 주소가 포함된 302 Moved 메시지를 생성하여 할당한 채널을 통해 제 2 CSCF(200b)로 송신한다(S106).
여기서, MRBT 서버(400)는 검출된 URL 주소를 302 Moved 메시지에 포함시킴에 있어서, 일예로 검출된 링백톤 URL 주소를 302 Moved 메시지의 'alert info' 필드에 표기할 수 있다.
MRBT 서버(400)는 302 Moved 메시지를 제 2 CSCF(200b)로 송신하면, 사용한 채널을 해제한다.
하지만, MRBT 서버(400)는 제 2 단말(100b)별 저장된 제 1 단말(100a)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된 제 1 차 INVITE 메시지가 제 2 CSCF(200b)를 통해 제 2 단말(100b)로 송신되도록 하고, 제 1 단말(100a)과 제 2 단말(100b)에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없이 단말 자체의 링백톤과 벨로서 통화가 시도되도록 한다.
제 2 CSCF(200b)는 MRBT 서버(400)로부터 302 Moved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를 제 1 CSCF(200a)로 송신하여(S107), 해당 메시지가 제 1 단말(100a)에 수신되도록 한다(S108).
제 1 단말(100a)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302 Moved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링백톤 URL 주소로의 웹 접속을 웹 서버(500)에 요청하고, 웹 서버(500)는 이에 응답하여 접속이 요청된 링백톤 URL 주소에 상응하는 웹 화면 과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 1 단말(100a)에 제공한다(S109).
따라서, 제 1 단말(100a)은 웹 서버(500)로부터 제공되는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여 해당 링백톤 멀티미디어의 영상이 음원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말(100a)은 링백톤 멀티미디어의 영상을 음원과 함께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통화 연결 및 거절 버튼 영상을 함께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 1 단말(100a)은 링백톤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면, 제 2 단말(100b)로의 호 요청에 따른 제 2 차 INVITE 메시지를 제 1 CSCF(200a)로 송신한다(S110).
제 1 단말(100a)은 사용자로부터 링백톤 멀티미디어의 영상에 구성된 통화 연결 및 거절 버튼이나, 단말 자체에 구성된 통화 연결 및 거절 버튼을 통해 통화 연결 여부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또는 멀티미디어 링백톤이 디스플레이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제 2 차 INVITE 메시지를 제 1 CSCF(200a)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a)은 MRBT 서버 식별 태그인 'service=mrbt' 태그를 제 2 차 INVITE 메시지 헤더에 포함시킴으로써, 제 1 차 INVITE 메시지와 제 2 차 INVITE 메시지가 구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 1 단말(100a) 및 제 2 단말(100b) 정보가 제 2 차 INVITE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CSCF(200a)는 제 1 단말(100a)로부터 제 2 차 INVITE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 2 차 INVITE 메시지를 제 2 CSCF(200b)로 송신하여(S111), 해당 메 시지가 MRBT 서버(400)에 수신되도록 한다(S112).
MRBT 서버(400)는 제 2 차 INVITE 메시지가 수신되면 하나의 채널을 할당한 후, 데이터베이스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테이블로부터 제 2 단말(100b) 사용자가 기 등록한 벨 URL 주소를 검출하고(S113), 제 2 CSCF(200b)로부터 수신된 제 2 차 INVITE 메시지에 검출된 벨 URL 주소를 포함시킨다.
즉, MRBT 서버(400)는 수신된 제 2 차 INVITE 메시지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단말(100b)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제 2 단말(100b)의 사용자가 기 등록한 멀티미디어 벨 URL 주소 중, 제 1 단말(100a) 정보에 대응하는 벨 URL 주소를 검출하여, 제 2 차 INVITE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MRBT 서버(400)는 벨 URL 주소가 포함된 제 2 차 INVITE 메시지를 제 2 CSCF(200b)로 송신하여(S114), 해당 제 2 차 INVITE 메시지가 제 2 단말(100b)에 수신되도록 한다(S115). 여기서, MRBT 서버(400)는 제 2 CSCF(200b)로 제 2 차 INVITE 메시지를 송신함에 있어서, 일예로 검출된 벨 서비스 URL 주소를 제 2 차 INVITE 메시지의 'alert info' 필드에 표기할 수 있다.
제 2 단말(100b)은 제 2 CSCF(200b)로부터 제 2 차 INVITE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벨 URL 주소로의 웹 접속을 웹 서버(500)에 요청하여, 웹 서버(500)로부터 해당 벨 URL 주소에 상응하는 웹 화면과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S116).
즉, 제 2 단말(100b)은,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음원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단말(100b)은,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통화 연결 및 거절 버튼 영상을 함께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2 단말(100b)은 웹 서버(500)로부터 제공되는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수신된 제 2 차 INVITE 메시지에 포함된 제 1 단말(100a)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단말(100b)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된 벨 멀티미디어의 영상에 구성된 통화 연결 및 거절 버튼이나, 단말에 자체에 구성된 통화 연결 및 거절 버튼을 통해 통화 연결 여부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으면(S117), 수신된 제 2 차 INVITE 메시지에 대응된 호 응답 메시지인 200 OK 메시지를 제 2 CSCF(200b)로 송신한다(S118).
그리고, 제 2 단말(100b)은 웹 서버(500)와의 접속을 끊어 멀티미디어 벨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한다(S119).
제 2 CSCF(200b)는 제 2 단말(100b)로부터 송신한 제 2 INVITE 메시지에 대응된 200 OK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를 MRBT 서버(400)에 송신하여(S120), 이를 수신한 MRBT 서버(400)가 사용한 채널을 해제하도록 한다.
MRBT 서버(400)는 사용한 채널을 해제하면, 수신한 200 OK 메시지를 다시 제 2 CSCF(200b)로 송신하여, 해당 200 OK 메시지가 제 1 CSCF(200a)를 통해 제 1 단말(100a)에 수신되도록 한다(S121, S122).
제 1 단말(100a)은 호 응답에 따른 200 OK 메시지가 수신되면, 웹 서버(500) 와의 접속을 끊어 멀티미디어 링백톤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S123), 단말 사용자가 제 2 단말(100b) 사용자와의 통화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S124).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IMS은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 사용자가 MRBT 서버(400)에 기 등록한 링백톤 및 벨 서비스 URL 주소를 사용하여, 단말간의 통화 시도 시 각각의 단말에 멀티미디어 링백톤 또는 벨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4는 각 장치로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응한 ACK 메시지 흐름 및 호 설정에 따른 일반적인 메시지 흐름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IMS은, 다른 실시예로 제 1 단말이 송신하는 INVITE 메시지에 포함하는 'service=mrbt' 태그를 사용하지 않고, 기 설정된 서로 다른 메시지 구별 정보를 각각 제 1 차 INVITE 메시지와 제 2 차 INVITE 메시지 헤더에 포함시킴으로 제 1 차 INVITE 메시지와 제 2 차 INVITE 메시지를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IMS은, 다른 실시예로 제 1 단말이 제 1 차 INVITE 메시지와 제 2 차 INVITE 메시지를 동시에 송신하거나, 제 1 차 INVITE가 송신된 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제 2 차 INVITE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IMS은,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수신단말 사용자가 MRBT 서버에 기 등록한 링백톤 및 벨 서비스 URL 주소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송신단말 사용자가 기 등록한 링백톤 및 벨 서비스 URL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IMS은 송신단말 및 수신단말 사용자 각각이 기 등록한 링백톤 및 벨 서비스 URL 주소를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조합하여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IMS은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및 벨이 단말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함과 더불어 종래와 같이 링백톤 및 벨 소리가 단말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 사용자가 MRBT 서버에 기 등록한 링백톤 및 벨 서비스 URL 주소를 사용하여, 단말간의 통화 시도 시 각각의 단말에 멀티미디어 링백톤 또는 벨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음원과 영상이 결합된 보다 향상된 통화 연결 서비스를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laims (16)

  1.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제 2 단말별 다수개의 제 1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다수개의 제 1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링백톤 URL 주소와 벨 URL 주소를 저장하며, 수신되는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정보와 수신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발신정보에 상응하는 링백톤 URL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수신정보에 상응하는 벨 URL 정보 상기 제 2 단말에 송신하는 MRBT 서버(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er);
    사용자로부터 호 요청을 입력받으면,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MRBT 서버에 송신하여 링백톤 URL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링백톤 URL 주소에 상응하는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제 1 단말; 및
    상기 벨 URL 주소가 포함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의 호 요청 메시지가 상기 MRBT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벨 URL 주소에 상응하는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제 2 단말을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링백톤 URL 주소 획득을 위한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 2 단말로의 상기 벨 URL 주소 제공을 위한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를 구분하여 각각을 상기 MRBT 서버에 송신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 각각의 헤더에 서로 다른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MRBT 서버의 식별 태그를 상기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 헤더에 포함시키는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RBT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단말별 상기 제 1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링백톤 URL 주소를 상기 제 1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단말별 상기 제 1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벨 URL 주소를 상기 제 2 단말에 송신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2 차 호 요청메시지를 상기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동시에 송신하거나,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 송신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MRBT 서버로부터 상기 링백톤 URL 주소가 제공된 후 송신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단말로의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이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가입된 경우 상기 수신된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MRBT 서버에 송신하는 CSCF(Call Session Call Function); 와
    상기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 각각에 상응하는 링백톤 멀티미디어 및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각의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은,
    상기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함에 있어서, 통화 연결 및 거절 버튼 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출력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팀미디어 서브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단말이고,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호를 설정하는 수신단말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10.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MRBT 서버가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각 제 2 단말 사용자로 부터 상기 제 2 단말별 다수개의 제 1 단말 정보와, 상기 다수개의 제 1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링백톤 URL 주소와 벨 URL 주소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2 단말로의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MRBT 서버가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별 상기 제 1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 각각을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이 상기 MRBT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 각각에 상응하는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어터 및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링백톤 URL 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 2 단말로의 상기 벨 URL 주소 제공을 위한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를 각각 구별하여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각각의 호 요청 메시지를 구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와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 각각의 헤더에 서로 다른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는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각각의 호 요청 메시지를 구별하는 단계는,
    MRBT 서버 식별 태그를 상기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 헤더에 포함시키는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RBT 서버가 상기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MRBT 서버가 상기 제 1 차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단말별 상기 제 1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링백톤 URL 주소를 상기 제 1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와
    상기 MRBT 서버가 상기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단말별 상기 제 1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벨 URL 주소를 상기 제 2 차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제 2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CSCF가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단말로의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파악하고, 가입된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MRBT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이 상기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이 상기 각각의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로의 웹 접속을 웹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상기 각각의 링백톤 URL 주소 및 벨 URL 주소에 상응하는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 각각이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벨 멀티미디어 데이터 각각을 표시화면에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KR1020060048314A 2006-05-29 2006-05-29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02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314A KR100802655B1 (ko) 2006-05-29 2006-05-29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314A KR100802655B1 (ko) 2006-05-29 2006-05-29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569A true KR20070114569A (ko) 2007-12-04
KR100802655B1 KR100802655B1 (ko) 2008-02-14

Family

ID=3914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314A KR100802655B1 (ko) 2006-05-29 2006-05-29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090A (ko) * 2011-03-15 2012-09-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메일 기반 VoIP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761B1 (ko) * 2001-09-27 2004-01-24 조영구 무선단말기간에 음성에 의한 전화통화 연결 직전에상대방의 화상이미지를 제공받게 해주는 기능을 가진웹브라우저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4271A (ko) * 2003-05-02 2004-11-09 주식회사 사이넷 통화 연결 대기시의 화상 데이터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50036355A (ko) * 2003-10-16 2005-04-20 남궁휘문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전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632007B1 (ko) * 2003-11-04 2006-10-04 와이더댄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KR100827126B1 (ko) * 2005-11-07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899756B1 (ko) * 2005-11-07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090A (ko) * 2011-03-15 2012-09-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메일 기반 VoIP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655B1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0090B9 (en) Method for controlling parties in real-time data group communication using acknowledgement packets
US8111712B2 (en) Apparatus,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communication
US20060229093A1 (en) Push to talk over cellular (half-duplex) to full-duplex voice conferencing
US11108838B2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application server for adding media stream of multimedia session
US20050259675A1 (en) Method of communication
US20060034195A1 (en) SIP message extension for push to watch service
US20050259803A1 (en) Managing a conference session
KR20080068768A (ko)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세션의 활성화
US20060056440A1 (en) Managing conference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650159B2 (en) Communication system
US87379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a multi-media call setup request
US9246955B2 (en) Capability query handl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3172880B1 (en) Method of and communications handl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ssion establishment in a multimedia communications network.
US9307417B2 (en) Dynamic scrolling-ticker for initiat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s
US201201665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conversation
KR20070051237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8502252A (ja) 通信システム
KR100802655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8606243B2 (en) Mobile network system and guidance message providing method
KR20180135756A (ko) 회의 통화 호 처리 서버 및 그 방법
KR20180077720A (ko) Id 기반의 통화와 전화번호 기반의 통화를 연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114557A (ko) 피티티 서비스 네트워크에서의 가입자 정보 제공 장치 및방법
KR100963010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sip 기반 영상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4931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기반 음성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100757535B1 (ko) 어플리케이션 구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