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355A -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전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전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355A
KR20050036355A KR20030072009A KR20030072009A KR20050036355A KR 20050036355 A KR20050036355 A KR 20050036355A KR 20030072009 A KR20030072009 A KR 20030072009A KR 20030072009 A KR20030072009 A KR 20030072009A KR 20050036355 A KR20050036355 A KR 20050036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 connection
mobile communication
call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7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휘문
김정호
정영호
Original Assignee
남궁휘문
김정호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휘문, 김정호, 정영호 filed Critical 남궁휘문
Priority to KR2003007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6355A/ko
Publication of KR2005003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355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음악, 뮤직비디오, 동영상, 등) 전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화를 거는 발신자가 사용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화를 받는 착신자가 사용하는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되거나 후술될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에서 지정 및 전송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대기 컨텐츠 (음악, 뮤직비디오, 동영상, 등) 화면을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대기시 나타나게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계하여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가 원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즉 음악, 뮤직비디오, 동영상, 사진, 아바타 등 각종 컨텐츠를 지정하고, 이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저장 및 전송하여 착신자가 전화를 받기 전까지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나타내 주도록 함으로써 발신자 자신의 개성 표출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THE VIDEO AND AUDIO TRANSSMIT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OF SENDOR ON CENTREING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계하는 부가통신장비로서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를 구현하여, 이러한 부가통신장비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가 원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지정하고, 이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전송하여 착신자가 전화를 받기 전까지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나타내 주도록 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이동통신 업체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보다 많은 고객, 특히 주 고객층인 젊은이들의 사용 증가 효과를 노리기 위하여 각종 서비스, 특히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통화대기음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통화대기음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가 착신자와 통화를 위해 착신자 전화번호를 누른 후 착신자가 전화를 받기 전까지 착신자가 지정한 통화연결음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발신자에게 들려지도록 하는 서비스, 즉 자신에게 전화를 건 상대방을 즐겁게 하기 위한 일명 컬러링 서비스로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그리고,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라 하여, 발신자가 전화를 거는 경우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신이 다운로드받아 지정한 통화연결음이 들려지는 서비스가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는 상대방이 전화할 때 들을 수 있는 자기 자신을 위한 서비스로서, 역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이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서비스에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어 욕구 충족을 위한 보다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종래 상기와 같은 컬러링 서비스,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는 음악, 멜로디, 목소리, 노래, 효과음 등 오디오와 관련된, 발신시 들려주는 통화연결음만을 지정 및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뮤직비디오, 동영상, 사진, 아바타 등 다양한 컨텐츠의 지원이 부족하다고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통화연결음을 지정함에 있어서 착신자만이 그 지정에 관여할 수 있으므로 발신자의 경우 자신의 개성 표출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서비스의 욕구 충족을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계하는 부가통신장비로서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를 구현하여, 이러한 부가통신장비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가 원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즉 음악, 뮤직비디오, 동영상, 사진, 아바타 등 각종 컨텐츠를 지정하고, 이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저장 및 전송하여 착신자가 전화를 받기 전까지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나타내 주도록 함으로써 발신자 자신의 개성 표출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는, 전화를 거는 발신자가 사용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화를 받는 착신자가 사용하는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되거나 후술될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에서 지정 및 전송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대기시 나타나게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계하여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방법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를 시도함과 동시에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요청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에 가입한 것이 가입자DB/IP서버로부터 확인되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확인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존재하지 않다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전송되지 않았다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가 컨텐츠DB서버 및/또는 CP서버에서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중 원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지정하도록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전송되었다면, 이 전송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또는 상기 제4단계에서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컨텐츠DB서버에 저장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확인 결과,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존재하면, 이 컨텐츠DB서버에 미리 저장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또는 상기 제5단계에서 저장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컨텐츠DB서버로부터 읽어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전송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대기시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내는 제7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전화를 거는 발신자가 사용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전화를 받는 착신자가 사용하는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전송되거나 후술될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40)에서 지정 및 전송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착신 대기시 나타나게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이동통신 교환기(30)와, 이동통신 교환기(30)와 연계하여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40)는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확인을 위한 가입자DB/IP(DataBase/Internet Protocol)서버(41)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는 각종 다양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저장하고, 이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전송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후술될 CP서버(43)에서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저장하는 컨테츠DB서버(42)와, 인터넷(미도시)에 접속하여 각종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CP(Contents Provider)서버(43)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가입을 확인하고,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컨텐츠DB서버(42) 및/또는 CP서버(43)를 통해 제공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지정하며, 이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또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컨텐츠DB서버(42)에 저장한 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30)를 통해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에 착신 대기시 나타나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관리서버(44)로 구성된다.
상기 컨텐츠DB서버(42)에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화번호에 따라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관리서버(44)에서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요청에 따라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컨텐츠DB서버(42)에서 직접 읽어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도 2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전화를 걸고자 하는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눌러 통화를 시도함과 동시에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업체의 식별번호를 눌러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요청한다(S1).
이때, 상기 단계(S1)의 발신자측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요청신호는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교환기(30)를 통해 이동통신 교환기(30)와 연계하는 부가통신장비인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40)내 제어관리서버(44)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40)내 제어관리서버(44)는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요청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에 가입한 것이 맞는지 가입자DB/IP서버(41)를 통해 확인한다(S2).
상기 단계(S2)의 확인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에 가입한 것이 맞다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전화를 건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3).
즉,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화번호에 따라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가입시 미리 지정하여 컨텐츠DB서버(42)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이 컨텐츠DB서버(42)에 발신자 전화번호에 따른 착신자 전화번호별 해당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S3)의 확인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전화를 건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존재하지 않다면, 제어관리서버(44)에서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자체 저장되어 있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발신자가 직접 제작 구성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
상기 단계(S4)의 판단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자체 저장되어 있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전송되지 않았다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40)내 컨텐츠DB서버(42) 또는 CP서버(43)를 통해 제공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즉 컨텐츠DB서버(42)에서 제공되는 음악, 뮤직비디오, 동영상, 사진, 아바타 등 각종 컨텐츠, 그리고 CP서버(43)를 통해 접속된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중에 원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지정하도록 한다(S5).
이후, 단계(S4)의 판단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자체 저장되어 있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전송되면, 이 전송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또는 상기 단계(S5)에서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컨텐츠DB서버(42)에 저장한다(S6).
이어, 제어관리서버(44)에서는 상기 단계(S3)의 확인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전화를 건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존재하면, 이 컨텐츠DB서버(4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또는 상기 단계(S6)에서 저장된 해당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컨텐츠DB서버(42)로부터 읽어 이동통신 교환기(30)를 통해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S7).
그러면,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에서 전화를 받기전, 즉 착신 대기시 상기 단계(S7)에서 전송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S8).
이후, 착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통해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인식된 발신자와 통화를 진행하게 된다(S9).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자를 중심으로 한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구현함에 따라 전화를 거는 사용자 입장에서 상대방에게 자신의 개성을 자유롭고도 다양하게 표출할 수 있는 자기 자신을 위한 서비스인 동시에 상대방을 위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제공하여 상대방을 즐겁게 해줄 수 있는 서비스인 것이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계하는 부가통신장비로서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를 구현하여, 이러한 부가통신장비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가 원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즉 음악, 뮤직비디오, 동영상, 사진, 아바타 등 각종 컨텐츠를 지정하고, 이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저장 및 전송하여 착신자가 전화를 받기 전까지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나타내 주도록 함으로써 발신자 자신의 개성 표출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
20 :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
30 : 이동통신 교환기
40 :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
41 : 가입자DB/IP서버
42 : CP서버
43 : 컨텐츠DB서버
44 : 제어관리서버

Claims (4)

  1. 전화를 거는 발신자가 사용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화를 받는 착신자가 사용하는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되거나 후술될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에서 지정 및 전송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대기시 나타나게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계하여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가,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확인을 위한 가입자DB/IP서버와,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는 각종 다양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저장하고, 이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후술될 CP서버에서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저장하는 컨테츠DB서버와,
    인터넷에 접속하여 각종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CP서버와,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가입을 확인하고,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DB서버 및/또는 CP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지정하며, 이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또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상기 컨텐츠DB서버에 저장한 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 대기시 나타나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관리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DB서버에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따라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장치.
  4.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를 시도함과 동시에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요청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에 가입한 것이 가입자DB/IP서버로부터 확인되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확인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존재하지 않다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전송되지 않았다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가 컨텐츠DB서버 및/또는 CP서버에서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중 원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지정하도록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전송되었다면, 이 전송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또는 상기 제4단계에서 지정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컨텐츠DB서버에 저장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확인 결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이 존재하면, 이 컨텐츠DB서버에 미리 저장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 또는 상기 제5단계에서 저장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컨텐츠DB서버로부터 읽어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전송된 통화연결음 및/또는 통화연결화면을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대기시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내는 제7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방법.
KR20030072009A 2003-10-16 2003-10-16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전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50036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2009A KR20050036355A (ko) 2003-10-16 2003-10-16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전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2009A KR20050036355A (ko) 2003-10-16 2003-10-16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전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355A true KR20050036355A (ko) 2005-04-20

Family

ID=3723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2009A KR20050036355A (ko) 2003-10-16 2003-10-16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전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635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830A (ko) * 2004-01-17 2005-07-22 (주)디노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762704B1 (ko) * 2006-08-09 2007-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에서 호가 연결되기 전에 착신 단말기에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100802655B1 (ko) * 2006-05-29 2008-02-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14908B1 (ko) * 2006-10-30 2008-03-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이미지콜 서비스 방법
WO2010098523A1 (ko) * 2009-02-26 2010-09-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연결 대기 중 디지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90254B1 (ko) * 2005-08-15 2010-10-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발신측으로의 착신측 표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69530B1 (ko) * 2003-12-30 2011-09-30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통신망에서 착신 통화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530B1 (ko) * 2003-12-30 2011-09-30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통신망에서 착신 통화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75830A (ko) * 2004-01-17 2005-07-22 (주)디노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990254B1 (ko) * 2005-08-15 2010-10-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발신측으로의 착신측 표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7974403B2 (en) 2005-08-15 2011-07-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alled party to provide indication information to calling party
KR100802655B1 (ko) * 2006-05-29 2008-02-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62704B1 (ko) * 2006-08-09 2007-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에서 호가 연결되기 전에 착신 단말기에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WO2008018759A1 (en) * 2006-08-09 2008-02-14 Sk Telecom Co., Ltd. A method for providing a receiver's terminal with multimedia contents before a call is connected
US8229406B2 (en) 2006-08-09 2012-07-24 Sk Telecom Co., Ltd. Method for providing a receiver's terminal with multimedia contents before a call is connected
KR100814908B1 (ko) * 2006-10-30 2008-03-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이미지콜 서비스 방법
WO2010098523A1 (ko) * 2009-02-26 2010-09-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연결 대기 중 디지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8774774B2 (en) 2009-02-26 2014-07-08 Sk Telecom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and system thereof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in call wai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761B1 (ko) 무선단말기간에 음성에 의한 전화통화 연결 직전에상대방의 화상이미지를 제공받게 해주는 기능을 가진웹브라우저 시스템 및 방법
JP4542299B2 (ja) 通信網内で情報を交換する方法と装置
US8712027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providing ring backs
US200701218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Ring Back Tone and Caller Display in Picture/Video Format
US85491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web page to a call member
WO2010003352A1 (zh) 一种彩铃选择方法、系统及相关装置
KR100570517B1 (ko) 통신시스템에서 통화 연결음(링백톤) 서비스 장치
KR2005003635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중심의 통화대기 컨텐츠전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050239514A1 (en) Telecom ring tone settings and properties method
WO2009076881A1 (zh) 设置回铃业务的方法、实现回铃业务的方法、系统及装置
EP1398943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30036307A (ko) 통화연결음이 송출되는 시점에서 발신자가 송출음을 선택할 수 있는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
KR100683169B1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3378564B2 (ja) 留守番電話メッセージ提供システム
KR100478912B1 (ko) 발신 이미지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6338A (ko) 이동 전화의 통화 대기 또는 연결 중에서 착신자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착신자홈페이지 제공 방법
KR20030075930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문형 벨소리 및 링백톤 설정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138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2158611A (zh) 一种彩像业务实现方法及装置
KR100441668B1 (ko) 착신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CN100550940C (zh) 用于设定个性化回铃信息的系统和方法
KR101149785B1 (ko)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US20060148473A1 (en) Method for assigning an representing data to be used by a remote end
KR20110092741A (ko) 대화형 영상 홈페이지를 발신단말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6148198A (ja) 呼び出しメロディーサービス方法、呼び出しメロディー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