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126B1 -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126B1
KR100827126B1 KR1020050108813A KR20050108813A KR100827126B1 KR 100827126 B1 KR100827126 B1 KR 100827126B1 KR 1020050108813 A KR1020050108813 A KR 1020050108813A KR 20050108813 A KR20050108813 A KR 20050108813A KR 100827126 B1 KR100827126 B1 KR 100827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rtal content
multimedia portal
server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032A (ko
Inventor
정준호
전영기
장득구
채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594,484 priority Critical patent/US8422485B2/en
Publication of KR20070049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04Recording calls, or communications in printed, perforated or other permanent form
    • H04M15/06Recording class or number of calling, i.e. A-party or called party, i.e. B-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2Calling substations, e.g. by rin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04M3/42357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where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monitoring entity such as a potential calling party or a call processing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04M3/42374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where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monitoring entity such as a potential calling party or a call processing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로 벨 및 링백톤과 같은 멀티미디어 알러팅(alerting)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착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결정 기준에 상응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의 링백톤으로 제공하는 제1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50108813
벨, 링백톤(Ringback Tone),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IMS, 상태 정보, 위치 정보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PORTAL CONTENTS ON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신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이 벨로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재생하고, 발신 단말로 링백톤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신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링백톤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신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링백톤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포탈(portal)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 이하 'IMS'라 칭하기로 한다)은 IP 기반의 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 IMS는 텍스트 기반의 응용계층 제어 프로토콜인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이하 'SIP'라 칭하기로 한다)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SIP는 클라이언트(client)들이 호출을 시작하면 서버가 응답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하나 이상의 참가자들이 함께 세션을 만들고 수정하고 종료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세션들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회의, 전화, 면회, 이벤트 통지, 인스턴트 메시징(IM: Instant Messaging) 등이 포함된다. 상기 SIP는 기존의 텍스트 기반 인터넷 표준들에 따름으로써 고장 수리와 네트웍 디버깅 등이 용이하다.
SIP 기반의 멀티미디어 전화(Multimedia Telephony) 환경에서는 발신측 단말에게 링백톤(Ring-back Tone)을 제공하기 위하여 180 링잉(180 Ringing) 메시지를 이용한다. 상기 180 링잉 메시지를 받은 발신 단말은 로컬 링백톤을 생성하거나 상기 링잉 메시지 내에 실어온 링백톤 데이터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링백톤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SIP 기반의 멀티미디어 전화(multimedia telephony) 환경에서는 착신 단말에게 벨(bell)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바이트(INVITE, 이하 'INVITE'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사용한다. 상기 INVITE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은 이미 저장되어 있던 벨을 생성하거나 혹은 상기 INVITE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링백톤 데이터를 재생하여 단말 사용자에게 벨을 제공한다.
기존의 공중 교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이 호를 요청하면, 상기 발신 단말은 기본 링백톤 또는 발신자/착신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링백톤만을 제공받았고, 착신 단말 또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형태의 벨만을 제공받았다.
즉,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은 자신들의 의도, 선호도, 취향과는 무관하게 벨 또는 링백톤을 제공받았다. 이는 단말의 성능 및 멀티미디어 알러팅(alerting) 제공을 위한 자원이 한정되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통신 시스템은 3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4세대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해 가고 있는 추세로,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단말의 성능 역시 고성능으로 업그레이드(upgrade)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서비스 수준 역시 그만큼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벨 및 링백톤을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형태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로 벨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착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결정 기준에 상응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의 링백톤으로 제공하는 제1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은,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로 벨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착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 및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결정 기준을 이용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의 벨로 제공하는 제1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로 링백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 발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송신하며, 착신 단말이 상기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송신하며, 제1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결정 기준에 상응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의 링백톤으로 제공하고,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공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링백톤으로 재생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로 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이 발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착신 단말이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정보를 송신하며, 제1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 및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결정 기준에 상응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의 벨로 제공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제공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벨로 재생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예컨대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 이하 'IMS'라 칭하기로 한다)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설정된 상태 정보(presence information) 또는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에 상응하게 멀티미디어 포탈(portal) 컨텐츠(contents)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IMS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일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신 단말로부터 호 요청이 있음을 착신 단말에게 알리기 위해 벨(bell)을 제공하는 방안과, 발신 단말이 현재 호를 요청하고 있음을 인지하게 하는 링백톤(Ring-back Tone)을 제공하는 방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백톤이라 함은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로 호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로부터 제공받는 톤, 또는 발신 단말 자체에서 미리 설정한 톤을 의미한다. 이와는 반대로,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로 호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이 발신 단말로부터 제공받는 톤, 또는 착신 단말 자체에서 미리 설정한 톤을 벨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벨 또는 링백톤을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형태로 제공하게 되며,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 퍼스날 IMS 서버(PIP: Personal IMS Portal application server, 이하 'PIP 서버'라 칭하기로 한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설정된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이 상기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 또는 링백톤 형태로 제공받는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단말 사용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 예컨대 다음과 같은 상태 정보들이 존재할 수 있다.
- 통화 가능 상태: 통화 중, 통화 가능 등;
- 용무(activity) 상태: 회의 중, 식사 중, 운전 중, 수면 중, 공연 관람 중 등;
- 감정 상태: 기쁨, 슬픔, 심심함 등;
- 기념일: 생일, 결혼 기념일, 시험 합격일 등;
또한, 상기 위치 정보는 단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로, 예컨대 단말이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하기로 한다)의 수신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각각 제공 가능한 정보가 다를 수 있다.
- GPS의 수신 기능을 가질 경우 : 단말 사용자의 위치 정보;
- GPS의 수신 기능을 가지지 않을 경우 : 기지국의 위치 정보;
즉, 본 발명에서는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이 상기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들에 근거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 또는 링백톤으로 제공하거나 제공받는다. 예컨대, 상기 발신 단말 사용자가 우울함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은 우울한 상태 정보를 대변하는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 또는 링백톤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 단말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지나칠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은 해당 위치를 대변하는, 즉 해당 위치 정보는 나타내는 이미지, 음악, 멜로디 등과 같은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덴츠를 벨 또는 링백톤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진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이 포함하고, 상기 발신 단말(110) 및 착신 단말(120)의 해당 세션(session)을 처리할 수 있는 발신 IMS 서버(130)와 착신 IMS 서버(140)를 포함하며, 상기 발신 단말(110) 및 착신 단말(120)에게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퍼스날 IMS 서버(Personal IMS Portal application server, 이하 'PIP 서버'라 칭하기로 한다)(150)와 컨텐츠 자원을 유지/관리하는 컨텐츠 서버(160)를 포함한다. 한편, 상태(Presence) 서버(170)는 본 발명을 실제 통신 환경에 구현하는 경우 추가될 수 있는 서버로서, 해당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서버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는 위치(Location) 서버(180)는 해당 단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상기 상태 서버(170) 외에 인스턴트 메시징(IM: Instant Messaging) 서버, 데이터 조작 서버(DMS: Data Manipulation Server) 및 위치 기반 서버(LBS: Location Based Server) 등과도 연동 가능하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서버, 즉 위치 기반 서버와의 연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말 및 서버들의 역할과 전제 조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발신 단말(110) 및 착신 단말(120)은 유선, 무선 또는 유무선 통합 단말일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충분한 프로세싱(processing) 전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발신 단말(110) 및 착신 단말(120)은 음성 및 멀티미디어 녹음/녹화 기능과 재생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세션 초기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e Protocol, 이하 'SIP'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의 헤더(header)를 통해 특정 멀티미디어의 송수신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발신 IMS 서버(130) 및 착신 IMS 서버(140)는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간의 호 설정 및 해제를 관할한다. 또한, 해당 단말 사용자의 서비스 프로파일(profile)에 따라서 발신 및 착신 단말로 특정 알러팅(alerting)이 필요한 시점에 PIP 서버(150)와 연동하여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PIP 서버(150)는 발신 단말(110) 및 착신 단말(120)에게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한다. 즉, IMS 서버들(130, 140)의 요구에 의해 발신 단말(110) 및 착신 단말(120)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컨텐츠 서버(160)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이미지(image) 및 메시지외에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플래쉬 에니메이션(flash animation) 등으로 구성되는 멀티 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유지/관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서버(160)는 PIP 서버(150)에 통합되어 구현되어야 한다.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벨 또는 링백톤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따라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형태의 벨을 제공하는 방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신 단말이 호 연결 설정을 요청할 때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받는 경우로, 다음과 같은 세가지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1. 발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 발신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 또는 위치 정보에 따라 직접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여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
- 발신 단말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
- 발신 단말이 호 연결 설정을 요청하기 이전에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미리 획득하고, 획득한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
2. 발신측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 발신측 PIP 서버가 발신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
- 발신측 PIP 서버가 착신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
3. 착신측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 착신측 PIP 서버가 착신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한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
- 착신측 PIP 서버가 발신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한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
전술한 바와 같은, 세 가지 형태의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우선 순위에 따라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결정하여야 한다. 상기 우선 순위는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에 의해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우선 순위의 일예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라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형태의 링백톤을 제공하는 방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신 단말이 호 연결 설정을 요청할 때 착신 단말이 상기 발신 단말에게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링백톤으로 제공하는 경우로, 다음과 같은 세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1.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제공하는 경우.
- 착신 단말은 착신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으로 제공;
-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미리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으로 제공;
2. 착신측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 착신측 PIP 서버는 착신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으로 제공;
- 착신측 PIP 서버는 발신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한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으로 제공;
3. 발신측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 발신측 PIP 서버는 발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으로 제공;
- 발신측 PIP 서버는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으로 제공;
전술한 바와 같이 세 가지 형태의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착신 단말에게 링백톤으로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우선 순위에 따라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결정하여야 한다. 상기 우선 순위는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에 의해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우선 순위 결정 방안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벨로 사용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의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착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 사용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2. 착신측 PIP 서버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3. 발신 단말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4. 발신측 PIP 서버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링백톤으로 사용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의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다.
1. 발신 단말 또는 발신 단말 사용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2. 발신측 PIP 서버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3. 착신 단말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4. 착신측 PIP 서버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신 단말이 설정한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있고, 착신 단말이 설정한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고 벨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는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의 우선 순위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착신 단말에서 재생되는 벨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달리, 즉 벨이 아니라 링백톤으로 사용할 경우, 호 연결 설정을 요청한 발신 단말이 우선 순위를 갖는다. 따라서, 발신 단말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이러한 우선 순위 결정 방안은 본 발명의 일예일 뿐,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2는,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 또는 링백통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200)은 발신측 IMS 서버(210)로 호 연결 요청을 수행하기 이전에 서비스 로직 1(service logic 1)을 수행한다(201단계). 여기서, 상기 서비스 로직 1은, 발신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직접 벨로 설정하거나, 발신 단말(200)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설정하거나, 또는 발신 단말(210)이 호 시도 이전에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발신 단말(200)은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발신 단말(200)은 발신측 IMS 서버(210)로 호 연결 요청을 위한 인바이트(INVITE, 이하 'INVITE'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송신한다(203단계). 만약, 상기 발신 단말(200)이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한 경우 상기 INVITE 메시지에는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일예로, 상기 INVITE 메시지의 헤더 부분에는 "Alert-Info: <http://www.example.com/movie/multimedia.avi>"과 같은 형태의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신측 IMS 서버(210)는 상기 발신 단말(200)로부터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정보가 포함된 INVITE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서비스 트리거링 1(service triggering 1)을 수행한다(205단계). 여기서, 상기 트리거링이란, 발신 단말의 호 설정 요청시 IMS 서버가 발신 단말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지를 판단하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IP 서버(220)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1에 상응하여 상기 발신측 IMS 서버(210)는 상기 INVITE 메시지를 상기 PIP 서버(220)로 송신한다(207단계).
상기 PIP 서버(220)는 INVITE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200)측의 상태 정보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서비스 로직 2를 수행한다(209단계). 만약, 상기 발신 단말(200)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PIP 서버(상기 PIP 서버(220)는 INVITE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200)의 상태 정보에 상응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서비스 로직 2를 수행한다(209단계). 만약, 상기 발신 단말(200)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PIP 서버(220)는 상기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트의 사용은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에 따른 것이다. 상기 서비스 로직 2를 수행한 PIP 서버(220)는 INVITE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IMS 서버(210)로 송신한다(213단계). 한편, 상기 PIP 서버(220)는 각 단말 사용자들의 상태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하는 상태 서버(230)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 사용자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211단계 및 223단계).
그러면, 상기 발신측 IMS 서버(210)는 착신측 IMS 서버(240)로 INVITE 메시지를 송신한다(215단계). 상기 착신측 IMS 서버(240)는 상기 INVITE 메시지 수신에 따라 서비스 트리거링 2를 수행한다(217단계). 그런 다음, 상기 착신측 IMS 서버(240)는 상기 INVITE 메시지의 목적지에 해당하는 착신 단말(250)이 자신의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INVITE 메시지를 상기 PIP 서버(220)로 송신한다(219단계). 그러나, 상기 착신 단말(250)이 아무런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지 않았다면, 상기 215단계의 INVITE 메시지는 착신 단말(250)에게 그대로 송신된다.
다음으로, 상기 PIP 서버(220)는 착신 단말(250)의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서비스 로직 3을 수행한다(221단계). 만약, 상기 발신 단말(200)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상기 PIP 서버(220)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설정 우선 순위에 상응하여 상기 착신 단말(250)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선택하게 된다. 상기 PIP 서버(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INVITE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IMS 서버(240)로 송신한다(225단계). 상기 착신측 IMS 서버(240)는 수신한 INVITE 메시지를 착신 단말(250)에게 송신한다(227단계).
상기 착신 단말(250)은 서비스 로직 4의 동작으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재생하고, 발신 단말(200)에 제공할 링백톤을 결정한다(231단계). 즉, 상기 착신 단말(250)은 상기 INVITE 메시지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벨로 인지하고 이를 재생한다. 상기 착신 단말(25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는 오디오, 정지 영상, 동영상, 플래쉬 에니메이션(flash animation) 등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신 단말(250)은 상기 서비스 로직 4 동작의 일환으로 180 Ringing 메시지 송신 이전에 상기 발신 단말(200)에게 제공할 링백톤을 설정하는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착신 단말(250)은 링백톤을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 착신 단말은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링백톤으로 제공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한다.
- 착신 단말이 발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이미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를 상응하여 링백톤으로 제공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를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 단말(250)은 설정 또는 미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180 Ringing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IMS 서버(240)로 송신한다(233단계).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착신 단말(250)이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링백톤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착신측 IMS 서버(240)는 상기 180 Ringing 메시지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인지하고, 상기 메시지를 PIP 서버(220)로 송신하기 위한 서비스 트리거링 3 동작을 수행한다(235단계). 상기 착신측 IMS 서버(240)는 상기 PIP 서버(220)로 상기 180 Rin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237단계).
다음으로, 상기 PIP 서버(220)는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링백톤으로 제공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서비스 로직 5를 수행한다(239단계). 만약, 상기 착신 단말(250)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PIP 서버(220)는 상기 착신 단말(250)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그대로 사용한다. 상기 PIP 서버(220)는 상기 착신측 IMS 서버(240)로 180 Rin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241단계). 그러면, 상기 착신측 IMS 서버(240)는 발신측 IMS 서버(210)로 180 Rin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243단계). 상기 발신측 IMS 서버(210)는 서비스 트리거링 4를 수행하여 상기 180 Ringing 메시지가 PIP 서버(220)로 송신됨을 인지하고(245단계), 상기 180 Ringing 메시지를 상기 PIP 서버(220)로 송신한다(247단계).
그런 다음, 상기 PIP 서버(220)는 상기 발신 단말(200)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링백톤으로 제공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서비스 로직 6를 수행한다(249단계). 만약, 착신측에서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와 발신측에서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 상기 PIP 서버(220)는 우선 순위에 따라 발신측에서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링백톤으로 상기 발신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상기 PIP 서버(220)는 발신측 IMS 서버(210)로 180 Rin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251단계).
그러면, 상기 발신측 IMS 서버(210)는 상기 180 Ringing 메시지를 발신 단말(200)로 송신한다(253단계). 상기 발신 단말(200)은 수신한 180 Ringing 메시지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재생하는 서비스 로직 7을 수행한다(255단계).
한편, 도 2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세가지가 있다.
1. INVITE 메시지에 바이너리(binary) 형태로 직접 실려오며, 단말이 이를 실행하는 방법.
2. INVITE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포함함으로써 단말이 해당 URL로부터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는 방법.
3. INVITE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실시간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INVITE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이 해당 서버와 실시간 연결 설정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각 단말들 및 서버들은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거나 제공하여야 한다.
1.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 요구 사항
- 단말은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에 따라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 및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단말은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 단말은 벨 또는 링백톤을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실행 및 수신 가능하여야 한다.
2. PIP 서버 요구 사항
- 상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 및 송신하는 기능;
- 사용자/단말/발신측 PIP 서버/착신측 PIP 서버가 모두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할 경우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 및 송신하는 기능;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3은 발신 단말이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302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302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면 304단계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3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4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최상위 우선 순위를 가지는지 판단한다. 상기 304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최상위 우선 순위를 가지지 않는다면 306단계로 진행하고, 최상위 우선 순위이면 3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6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설정 우선 순위 및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착신 단말에게 제공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고 3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8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은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INVITE 메시지를 발신측 IMS 서버로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4는 발신측 PIP 서버가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402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PIP 서버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이거나, 발신 단말이 사용자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의미한다. 상기 402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미리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면 404단계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4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4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PIP 서버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최상위 우선 순위를 가지는지 판단한다. 상기 404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최상위 우선 순위를 가지지 않는다면 406단계로 진행하고, 최상위 우선 순위이면 408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406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PIP 서버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의 설정 우선 순위 및 설정되어 있는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착신 단말에게 제공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고 4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8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PIP 서버는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INVITE 메시지를 착신측 IMS 서버로 송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측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5는 착신측 PIP 서버가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착신 단말에게 벨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502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IP 서버는, 착신측 IMS 서버로부터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고 5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4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IP 서버는 상기 INVITE 메시지에 발신측, 즉 발신측 사용자 또는 발신 단말 또는 발신측 PIP 서버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504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멀티미디어 포탈 컨테트가 존재하면 506단계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5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6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IP 서버는 상기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최상위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경우 510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최상위 우선 순위가 아니라면 508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508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IP 서버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설정 우선 순위 및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고 5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0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IP 서버는 착신측 IMS 서버로 INVITE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이 벨로 제공받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재생하고, 발신 단말로 링백톤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6은 착신 단말이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발신 단말로 링백톤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602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은, 착신측 IMS 서버로부터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고 6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4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메시지에 발신측에서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면 606단계에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와 상기 착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최상위 우선 순위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재생하고 608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발신측에서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606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은 자신 또는 착신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재생하거나, 발신 및 착신측에서 아무런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벨을 재생하고 6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8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은 해당 발신 단말로 링백톤을 제공할 것인지 판단한다. 상기 608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링백톤을 제공하기로 결정한다면 610단계로 진행하고, 제공하지 않음으로 결정하면 6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0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설정을 위한 우선 순위와, 발신 또는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고 6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2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은 착신측 IMS 서버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180 Ringing 메시지 또는 아무런 링백톤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180 Rin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측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7은 착신측 PIP 서버가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702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IP 서버는, 착신 단말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702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면 704단계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7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4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IP 서버는 상기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최상위 우선 순위를 가지는지 판단한다. 상기 704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최상위 우선 순위를 가지면 7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6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IP 서버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설정 우선 순위 및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발신 단말에게 제공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링백톤)를 설정하고 7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8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IP 서버는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180 Ringing 메시지를 발신측 IMS 서버로 송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PIP 서버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8은 발신측 PIP 서버가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링백톤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802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PIP 서버는, 착신 단말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802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면 804단계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8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4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PIP 서버는 상기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최상위 우선 순위를 가지는지 판단한다. 상기 804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최상위 우선 순위를 가지면 8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6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PIP 서버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설정 우선 순위 및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발신 단말에게 제공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링백톤)를 설정하고 8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8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PIP 서버는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180 Ringing 메시지를 발신측 IMS 서버로 송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9는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 또는 링백톤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900)은 발신측 IMS 서버(910)로 호 연결 요청을 수행하기 이전에 서비스 로직 1(service logic 1)을 수행한다(901단계). 상기 서비스 로직 1은 발신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직접 벨로 설정하거나, 발신 단말(900)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설정하거나, 또는 발신 단말(900)이 호 시도 이전에 착신 단말(95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발신 단말(900)은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는 앞서 일예로 설명한 바와 같이 GPS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발신 단말(900)은 발신측 IMS 서버(910)로 호 연결 요청을 위한 INVITE 메시지를 송신한다(903단계). 만약, 상기 발신 단말(900)이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한 경우 상기 INVITE 메시지에는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일예로, 상기 INVITE 메시지의 헤더 부분에는 "Alert-Info: <http://www.example.com/movie/multimedia.avi>"과 같은 형태의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신측 IMS 서버(910)는 상기 발신 단말(900)로부터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정보가 포함된 INVITE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서비스 트리거링 1(service triggering 1)을 수행한다(905단계). 상기 트리거링이란, 발신 단말의 호 설정 요청시 IMS 서버가 발신 단말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지를 판단하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PIP 서버(920)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비스 트리거링 1에 의해 상기 발신측 IMS 서버(910)는 상기 INVITE 메시지를 상기 PIP 서버(920)로 송신한다(907단계).
상기 PIP 서버(920)는 INVITE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90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서비스 로직 2를 수행한다(909단계). 만약, 상기 발신 단말(900)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PIP 서버(920)는 상기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트의 사용은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에 따른 것이다. 상기 서비스 로직 2를 수행한 PIP 서버(920)는 INVITE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IMS 서버(910)로 송신한다(913단계). 한편, 상기 PIP 서버(920)는 각 단말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하는 위치 서버(930)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즉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Location Info. req)를 상기 위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911단계 및 923단계). 여기서, 상기 PIP 서버(920)는 위치 서버(930)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발신 단말(900) 또는 착신 단말(940)은 전술한 상태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상태 서버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발신측 IMS 서버(910)는 착신측 IMS 서버(940)로 INVITE 메시지를 송신한다(915단계). 상기 착신측 IMS 서버(940)는 상기 INVITE 메시지 수신에 따라 서비스 트리거링 2를 수행한다(917단계). 그런 다음, 상기 착신측 IMS 서버(940)는 상기 INVITE 메시지의 목적지에 해당하는 착신 단말(950)이 자신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INVITE 메시지를 상기 PIP 서버(920)로 송신한다(919단계). 그러나, 상기 착신 단말(950)이 아무런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지 않았다면, 상기 915단계의 INVITE 메시지는 착신 단말(950)에게 그대로 송신된다.
다음으로, 상기 PIP 서버(920)는 착신 단말(950)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서비스 로직 3을 수행한다(921단계). 만약, 상기 발신 단말(900)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상기 PIP 서버(920)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설정 우선 순위에 상응하여 상기 착신 단말(950)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선택하게 된다. 상기 PIP 서버(9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INVITE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IMS 서버(940)로 송신한다(925단계). 상기 착신측 IMS 서버(940)는 수신한 INVITE 메시지를 착신 단말(950)에게 송신한다(927단계).
상기 착신 단말(950)은 서비스 로직 4의 동작으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재생하고, 발신 단말(900)에 제공할 링백톤을 결정한다(931단계). 즉, 상기 착신 단말(950)은 상기 INVITE 메시지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벨로 인지하고 이를 재생한다. 상기 착신 단말(95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는 오디오, 정지 영상, 동영상, 플래쉬 에니메이션(flash animation) 등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신 단말(950)은 상기 서비스 로직 4 동작의 일환으로 180 Ringing 메시지 송신 이전에 상기 발신 단말(900)에게 제공할 링백톤을 설정하는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착신 단말(950)은 링백톤을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 착신 단말은 착신 단말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링백톤으로 제공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한다.
- 착신 단말이 발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미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상응하여 링백톤으로 제공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를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 단말(950)은 설정 또는 미설정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180 Ringing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IMS 서버(940)로 송신한다(933단계). 여기서는 상기 착신 단말(950)이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링백톤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착신측 IMS 서버(940)는 상기 180 Ringing 메시지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인지하고, 상기 메시지를 PIP 서버(920)로 송신하기 위한 서비스 트리거링 3 동작을 수행한다(935단계). 상기 착신측 IMS 서버(940)는 상기 PIP 서버(920)로 상기 180 Rin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937단계).
다음으로, 상기 PIP 서버(920)는 착신 단말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링백톤으로 제공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서비스 로직 5를 수행한다(939단계). 만약, 상기 착신 단말(950)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PIP 서버(920)는 상기 착신 단말(950)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그대로 사용한다. 상기 PIP 서버(920)는 상기 착신측 IMS 서버(940)로 180 Rin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941단계). 그러면, 상기 착신측 IMS 서버(940)는 180 Ringing 메시지를 발신측 IMS 서버(910)로 송신한다(943단계). 상기 발신측 IMS 서버(910)는 서비스 트리거링 4를 수행하여 상기 180 Ringing 메시지가 PIP 서버(920)로 송신됨을 인지하고(945단계), 상기 180 Ringing 메시지를 상기 PIP 서버(220)로 송신한다(947단계).
상기 PIP 서버(920)는 상기 발신 단말(900)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링백톤으로 제공할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서비스 로직 6를 수행한다(949단계). 만약, 착신측에서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와 발신측에서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 상기 PIP 서버(920)는 우선 순위에 따라 발신측에서 설정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링백톤으로 상기 발신 단말(900)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상기 PIP 서버(920)는 발신측 IMS 서버(210)로 180 Rin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951단계).
상기 발신측 IMS 서버(910)는 상기 180 Ringing 메시지를 발신 단말(900)로 송신한다(953단계). 상기 발신 단말(900)은 수신한 180 Ringing 메시지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재생하는 서비스 로직 7을 수행한다(955단계).
한편, 도 9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세가지가 있다.
1. INVITE 메시지에 바이너리(binary) 형태로 직접 실려오며, 단말이 이를 실행하는 방법.
2. INVITE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포함함으로써 단말이 해당 URL로부터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는 방법.
3. INVITE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실시간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INVITE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이 해당 서버와 실시간 연결 설정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한편, 도 9에서 설명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각 단말들 및 서버들은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거나 제공하여야 한다.
1.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 요구 사항
- 단말은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에 따라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 및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단말은 상태 서버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 단말은 벨 또는 링백톤을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실행 및 수신 가능하여야 한다.
2. PIP 서버 요구 사항
- 위치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 및 송신하는 기능;
- 사용자/단말/발신측 PIP 서버/착신측 PIP 서버가 모두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설정할 경우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선택 및 송신하는 기능;
여기서, 도 9에서 설명한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벨로 제공하거나 또는 링백톤으로 제공하기 위한 발신 단말, 발신측 PIP 서버, 착신측 PIP 서버, 착신 단말의 각 동작은 앞서 설명한 상태 정보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에게 벨 또는 링백톤으로 제공함으로써 각 단말별로 다양화, 차별화 및 맞춤화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체 또는 운영하는 운영 업체는 광고 수입과 같은 다양한 수익 구조를 창출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Claims (50)

  1.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로 링백톤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착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결정 기준에 상응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의 링백톤으로 제공하는 제1서버를 포함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발신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콘텐츠 정보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로 상기 발신 정보와 상기 착신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서버는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 또는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공된 발신 정보 또는 상기 제공된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링벡톤으로 제공될 제3멀티미디어 포탈 콘텐츠 정보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 사용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 사용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는 퍼스날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포탈(PIP: Personal IP Multimedia Subsystem(IMS) Portal)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과 상기 제1서버의 중간 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설정 및 해제를 관할하는 제2서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는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및 제3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는 인터넷 웹 페이지, 정지 영상 및 동영상,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의 헤더 및 메시지 바디에 상기 제공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결정 기준은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보다 우선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결정 기준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보다 우선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시스템.
  13.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로 링백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 발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착신 단말이 상기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제1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서버가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결정 기준에 상응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의 링백톤으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공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링백톤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발신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정보 서버가 상기 제1서버로 상기 발신 정보와 상기 착신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 또는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공된 발신 정보 또는 상기 제공된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링백톤으로 제공될 제3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 사용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 사용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는 퍼스날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포탈(PIP: Personal IP Multimedia Subsystem(IMS) Portal)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과 상기 제1서버의 중간 경로에 위치하는 제2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설정 및 해제를 관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는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및 제3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는 인터넷 웹 페이지, 정지 영상 및 동영상,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의 헤더 및 메시지 바디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결정 기준은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보다 우선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결정 기준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보다 우선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제공 방법.
  25.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로 벨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착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결정 기준에 상응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의 벨로 제공하는 제1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착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발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로 상기 발신 정보와 상기 착신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서버는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 또는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공된 발신 정보 또는 상기 제공된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벨로 제공될 제3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 사용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 사용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31. 제25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는 퍼스날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포탈(PIP: Personal IP Multimedia Subsystem(IMS) Portal)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과 상기 제1서버의 중간 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설정 및 해제를 관할하는 제2서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는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및 제3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는 인터넷 웹 페이지, 정지 영상 및 동영상,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의 헤더 및 메시지 바디에 상기 제공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3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결정 기준은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보다 우선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3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결정 기준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가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보다 우선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시스템.
  38.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로 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이 발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이 착신 단말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설정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제1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호 연결 설정 관련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서버가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기준에 상응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의 벨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제공된 특정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벨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벨 제공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착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발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발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정보 서버가 상기 제1서버로 상기 발신 정보와 상기 착신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제1서버는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 또는 상기 제2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공된 발신 정보 또는 상기 제공된 착신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벨로 제공될 제3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방법.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과 상기 제1서버의 중간 경로에 위치하는 제2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설정 및 해제를 관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는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방법.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및 제3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는 인터넷 웹 페이지, 정지 영상 및 동영상,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방법.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는 퍼스날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포탈(PIP: Personal IP Multimedia Subsystem(IMS) Portal) 서버이며, 상기 PIP 서버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의 헤더 및 메시지 바디에 상기 제공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를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방법.
  4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 사용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방법.
  47. 제38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 사용자 또는 상기 착신 단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방법.
  48.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결정 기준은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보다 우선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방법.
  4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결정 기준은 상기 제2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가 상기 제1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정보보다 우선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 제공 방법.
  50. 삭제
KR1020050108813A 2005-11-07 2005-11-14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827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94,484 US8422485B2 (en) 2005-11-07 2006-11-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portal contents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177 2005-11-07
KR20050106177 2005-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032A KR20070049032A (ko) 2007-05-10
KR100827126B1 true KR100827126B1 (ko) 2008-05-06

Family

ID=3827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813A KR100827126B1 (ko) 2005-11-07 2005-11-14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22485B2 (ko)
KR (1) KR100827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0676A1 (en) * 2000-01-19 2007-10-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echnique for deliver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 in ip-based communication sessions
US9781257B2 (en) * 2000-01-19 2017-10-03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Technique for obtain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 in IP-based communication sessions
US20070237320A1 (en) * 2000-01-19 2007-10-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ya Vattentornet Technique for provid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in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s
KR100802655B1 (ko) * 2006-05-29 2008-02-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80288574A1 (en) * 2007-05-15 2008-11-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Data Objects to a Communication Device
CN101312474B (zh) 2007-05-23 2010-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Ip多媒体子系统网络中回铃音播放的方法、系统和服务器
US20080310612A1 (en) * 2007-06-15 2008-12-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delivery of device-specific data objects
KR20090022374A (ko) * 2007-08-30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즌스 서비스를 이용한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장치와 프레즌스 서비스를 이용한 컨텐트 상태 정보 생성방법 및 그 장치
CN101621755B (zh) * 2008-07-03 2012-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多媒体呼叫方法、装置和系统
CN101662738A (zh) * 2008-08-25 2010-03-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媒体彩铃播放方法、装置及其系统
CN101404787A (zh) * 2008-11-07 2009-04-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ims域实现图片彩铃业务的方法及系统
US20110238785A1 (en) * 2008-12-18 2011-09-29 Kazunori Ozawa Multimedia providing service
US9497758B2 (en) * 2009-06-18 2016-11-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Late Abis activation
CN101938722A (zh) * 2009-06-30 2011-0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彩铃业务中对多媒体资源做偏好处理的系统、方法和装置
KR101771437B1 (ko) * 2009-11-04 2017-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속성을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할 기기를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US8982735B2 (en) * 2010-02-25 2015-03-17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Proxy media service for digital telephony
CN102457772B (zh) * 2010-10-29 2014-04-02 华为终端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及设备
US9380080B2 (en) * 2012-11-08 2016-06-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ssion initiation for multimedia services
US9497132B2 (en) 2013-04-23 2016-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of implementing conversation-sensitive collection for a link aggregation group
US9497074B2 (en) 2013-04-23 2016-11-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acket data unit (PDU) structure for supporting distributed relay control protocol (DRCP)
US9553798B2 (en) 2013-04-23 2017-01-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of updating conversation allocation in link aggregation
US9654418B2 (en) 2013-11-05 2017-05-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of supporting operator commands in link aggregation group
US9813290B2 (en) 2014-08-29 2017-11-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distributed relay control protocol (DRCP) operations upon misconfiguration
WO2022000161A1 (en) * 2020-06-29 2022-01-06 Orange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for handling a phone ca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838A (ko) * 2003-04-28 2004-11-16 (주)옴니텔 지능망을 이용한 가입자 기반의 상용 링백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31477A (ko) * 2003-09-29 2005-04-06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을 이용한 링백톤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50182A (ko) * 2003-11-25 2005-05-31 이노에이스(주) 광대역코드분할 다중접근방식 화상 전화망에서 멀티미디어링백톤을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93518A (ko) * 2004-03-19 2005-09-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7523A1 (en) * 2001-08-16 2007-03-01 Roam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l-setup triggered push content
US20040233892A1 (en) * 2001-05-16 2004-11-25 Roberts Linda Ann Priority caller alert
US7164435B2 (en) * 2003-02-10 2007-01-16 D-Link Systems, Inc. Videoconferencing system
US8867724B2 (en) * 2004-08-31 2014-10-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stinctive ring tones prompted by call urgency and context
KR101075750B1 (ko) 2004-10-04 2011-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링백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4348270B2 (ja) * 2004-10-05 2009-10-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Sipサーバ
KR100871237B1 (ko) 2005-01-31 2008-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얼라팅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838A (ko) * 2003-04-28 2004-11-16 (주)옴니텔 지능망을 이용한 가입자 기반의 상용 링백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31477A (ko) * 2003-09-29 2005-04-06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을 이용한 링백톤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50182A (ko) * 2003-11-25 2005-05-31 이노에이스(주) 광대역코드분할 다중접근방식 화상 전화망에서 멀티미디어링백톤을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93518A (ko) * 2004-03-19 2005-09-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27655A1 (en) 2007-06-07
KR20070049032A (ko) 2007-05-10
US8422485B2 (en)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12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US8379824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a network-based caller identification service in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EP16774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back services to user devices in IMS networks.
KR10087123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얼라팅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A2606773C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making a call-setup
US86444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d filtering customized ringing signals
KR10096421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1025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80062253A1 (en) Fallback mobile communication
US201001040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media customized rbt and multimedia customized rt services
US20080037740A1 (en) Intelligent ring-back indicator
JP504017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接続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00323676A1 (en) Method, systems, and device for implementing color ring back tone service
US20070287453A1 (en) Method for delivering customized multimedia greeting to calling party in communication network
EP17861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during a call setup phase
US20080160963A1 (en) Method of modifying ring tone
KR101177601B1 (ko) 패킷 교환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04828B1 (ko) 발신정보표시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EP2890097B1 (en) A system for and a method of presenting media data to communication clients in the course of a communication data exchange
US20070165814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ringback information
KR20070092485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벨 및 링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91205A (ko) 전화와 연계된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