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659A -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659A
KR20070113659A KR1020060047194A KR20060047194A KR20070113659A KR 20070113659 A KR20070113659 A KR 20070113659A KR 1020060047194 A KR1020060047194 A KR 1020060047194A KR 20060047194 A KR20060047194 A KR 20060047194A KR 20070113659 A KR20070113659 A KR 20070113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inge
hinge housing
hinge assembl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덕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7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3659A/ko
Priority to US11/802,702 priority patent/US7707691B2/en
Priority to CN2007101092462A priority patent/CN101080153B/zh
Publication of KR2007011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힌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본체부(11)와 연결되는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21)과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하우징(31)과, 상기 힌지하우징(31)과 좌우회전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21), 상기 힌지하우징(31) 및 지지부(51)는 금속재질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는 큰 하중을 갖는 전자제품에 적용될 수 있고, 경사각 및 좌우회전각 조절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힌지어셈블리, 전자제품, 프레스가공

Description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products}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본체부가 회동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본체부 21: 브라켓
23: 제1샤프트 24: 결합공
26: 스프링가이드 27: 탄성부재
29: 요홈 31: 힌지하우징
32: 체결구 33: 제2샤프트
34: 결합공 35: 회전공
38: 스토퍼 42: 가이드단
44: 걸림단 51: 지지부
55: 회전공 58: 스토퍼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의 경사각 및 좌우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제품의 힌지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 1a에 도시된 힌지어셈블리는 합성수지재질을 다이캐스팅가공으로 형성한 것이며, 도 1b에 도시된 힌지어셈블리는 금속재질을 프레스가공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힌지어셈블리(1)는 본체부(2)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어셈블리(1)는 베이스플레이트(4)와 결합하여 지지된다. 상기 본체부(2)는 그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데, 경사각도의 조절은 상기 힌지어셈블리(1)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해서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CRT디스플레이장치에 비해서 크기와 무게가 작은 LCD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에도 그 사이즈가 커지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23인치 이상의 LCD모니터 또는 LCD TV의 경우, 본체부(2)의 하중으로 인해 경사각과 좌우회전각을 모두 조절할 수 있 는 힌지의 구현이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부(2)의 경사각은 힌지어셈블리(1)로 인해 비교적 쉽게 조절할 수 있으나, 좌우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힌지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본체부(2) 전체를 좌우로 움직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힌지어셈블리(1)의 제조에 이용되는 다이캐스팅공정은 프레스공정에 비해 제작비용이 높고 작업능률이 떨어지며, 강도에 있어서도 프레스공정으로 제작된 힌지어셈블리(1)에 비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중량물인 전자제품에서 경사각과 좌우회전각의 조절이 모두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비용이 낮고 강도가 강한 전자제품의 힌지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본체부와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하우징과, 상기 힌지하우징과 좌우회전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 상기 힌지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는 금속재질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와의 연결을 위한 다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배 면부와,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측면부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하우징의 배면부의 하단이 내측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제1바닥부가 상기 힌지하우지의 측면부의 하단이 내측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제2바닥부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브라켓의 측면부와 상기 힌지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서로 대응하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샤프트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힌지하우징의 제1바닥부와 상기 지지부에는 서로 대응하는 회전공이 각각 형성되어 좌우회전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2샤프트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힌지하우징과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경사각과 좌우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샤프트에는 상기 브라켓이 직립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하우징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에 의하면 전자제품의 회동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져 사용상태의 전환이 용이하게 되고, 힌지어셈블리를 프레스공정으로 제조함으로써 제조비용이 낮아지고, 작업속도가 빨라지며, 강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 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화면을 표시하는 본체부(11)의 배면에는 브라켓(21)이 연결된다. 상기 브라켓(21)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판상구조이다. 상기 브라켓(21)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와 나사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1)은 상기 본체부(11)의 배면에 장착되는 배면부(21a)와 상기 배면부(21a)의 양단에 직교하게 형성된 측면부(21b)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부(21b)의 상부는 상기 본체부(11)의 배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홈(13)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1)가 상기 배면부(21a)와 단순히 나사 등 체결구로 체결되는 것에 비해, 본체부(11)의 좌우유동이 더욱 방지될 수 있고, 체결구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더욱 안정된 결합이 발생 될 수 있다.
그리고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는 상기 측면부(21b)의 하부에는 결합공(2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4)은 힌지어셈블리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제1샤프트(23)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브라켓(21)과 후술할 힌지하우징(31)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공(24)에는 후술할 탄성부재(27)가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스프링가이드(26)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26)는 상기 제1샤프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27)는 상기 몸체부(11)의 무게중심이 전방에 집중됨에 따라, 경사각 조절시에 상기 몸체부(11)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힘과 후방으로 기울이는 힘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브라켓(21)을 직립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전·후방으로 기울이는 힘이 같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27)는 일단이 상기 브라켓(21)에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할 힌지하우징(31)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이다.
한편, 상기 브라켓(21)의 측면부(21b)의 일단에는 요홈(29)이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스토퍼(38)가 상기 요홈(29)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21)이 일정 각도 이상 회동하게 되면 스토퍼(38)가 상기 요홈(29)의 걸림단(29')에 걸려 상기 브라켓(21)의 회동이 제한된다. 상기 경사각은 바람직하게는 -5°~ +15°의 범위를 갖는다.
힌지하우징(31)은 금속재질로 형성된 판상구조로서, 상기 브라켓(21)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21)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연결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브라켓(21)이 상기 힌지하우징(31)의 외부를 둘러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하우징(31)의 배면부(31a)에서 직교하게 절곡되어 측면부(31b)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31b)에는 상기 제1샤프트(23)가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21)의 결합공(24)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결합공(3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샤프트(23)에 의해 상기 브라켓(21)이 상기 힌지하우징(31)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말단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제1샤프 트(23)가 너트(40)와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21)과 상기 힌지하우징(31)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본체부(11)의 하중에 의해 상기 브라켓(21)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21)과 상기 힌지하우징(31) 사이는 마찰력을 갖게 된다.
상기 힌지하우징(31)은 배면부(31a)의 하단이 내측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제1바닥부(31c)에 의해 측면부(31b)의 하단이 내측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제2바닥부(31d) 하면이 지지되는 2중바닥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2중구조는 대형 본체부(11)에서 가해지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두 바닥부(31c,31d)는 체결구(32)로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하우징(31)은 상면과 전면이 개방된 박스타입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하우징(3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바닥부(31c)에는 회전공(35)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부(51)에 형성된 회전공(55)과 함께 제2샤프트(33)에 의해 관통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공(35)은 제2샤프트(33)에 의해 상기 본체부(11)의 좌우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힌지하우징(31)의 측면부(31b)의 후단은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스토퍼(38)를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38)는 상기 브라켓(21)의 요홈(29) 내에 위치하여 상기 브라켓(21)이 형성할 수 있는 경사각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힌지하우징(31)의 제2바닥부(31d)는 일측이 대칭으로 요입되어 가이드단(42)과 걸림단(4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단(42)은 아래에서 설명할 스토퍼(58)를 안내하고, 상기 걸림단(44)은 스토퍼(58)가 걸려 멈추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단(42) 및 걸림단(44)은 상기 힌지하우징(31)의 좌우회전각을 제한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우회전각은 -30°~ +30°의 범위를 갖는다.
지지부(51)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판상으로, 상기 힌지하우징(31)의 저면과 접하여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51)의 중심부에는 회전공(55)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공은 상기 힌지하우징(31)의 회전공(35)과 대응되고 제2샤프트(33)에 의해 관통되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51)의 중앙부의 일부분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샤프트(33)의 헤드부(33a)가 상기 요입된 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51)의 일단에는 스토퍼(58)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하우징(31)의 걸림단(44)과 접촉하여 힌지하우징(31)의 좌우회전각을 제한한다.
이때, 지지부(51)는 직접 지면과 닿아 전자제품을 지지할 수도 있으나, 미려한 외관을 위해 별도의 지지판(미도시)에 의해 차폐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샤프트(33)는 상기 회전공(35,55)을 관통하여 힌지하우징(31)의 좌우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샤프트(33)의 말단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60)와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상기 힌지하우징(31)의 바닥부와 상기 지지부(51) 사이에 마찰력을 갖게 하여 상기 힌지하우징(31)이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힌지어셈블리가 본체부(11)의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상기 브라켓(21), 상기 힌지하우징(31) 및 상기 지지부(51)는 금속재질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힌지어셈블리의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본체부(11)가 소정의 각도만큼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가 본체부(11)에 직접 일정 힘을 가하여 본체부(11)의 상부를 후단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로써, 상기 본체부(11) 및 본체부(11)와 연결된 브라켓(21)이 상기 지지부(51)에 대해 지지부(51)의 선단방향에서 볼 때, 후방으로 경사지게 회전한다. 즉, 상기 본체부(11)와 브라켓(21)이 상기 제1샤프트(23)를 중심으로 지지부(51)에 대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7)에 의해 상기 본체부(11)를 전방으로 기울이기 위한 힘과 후방으로 기울이기 위한 힘이 같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1)과 상기 힌지하우징(31)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가한 힘을 제거해도 본체부(11)가 그 상태에서 멈춰서게 된다.
물론, 역으로 상기 본체부(11)에 힘을 가하여 본체부(11)를 전방으로 당겨 상기 지지부(51)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체부(11)가 소정의 각도만큼 좌측 혹은 우측으로 회전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가 본체부(11)에 일정 힘을 가압하여 본체부(11) 의 좌측 혹은 우측을 후방으로 밀어준다. 이로써 상기 본체부(11), 본체부(11)와 연결된 브라켓(21) 및 힌지하우징(31)이 상기 지지부(51)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본체부(11), 브라켓(21) 및 힌지하우징(31)이 상기 제2샤프트(33)를 중심으로 지지부(51)에 대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힌지하우징(31)과 지지부(51)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가한 힘을 제거해도 본체부(11)가 그 상태에서 멈추게 된다. 물론 역으로 본체부(11)의 타측에 힘을 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힌지어셈블리가 금속재질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되고, 두 개의 샤프트가 적용된다. 또한 힌지하우징의 바닥부가 2중구조로 되어있고, 브라켓의 측면부가 본체부의 배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따라서 전자제품의 하중이 큰 경우에도 이를 지지할 수 있으며, 경사각 조절뿐만 아니라 좌우회전각 조절도 힌지에 의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제품이 대형화 되어가고 있는 최근 경향에 맞추어 대형 전자제품에 적용될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한 전자제품의 회동이 용이하므로 다양한 상태로 조절하여 전자제품 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힌지어셈블리 제작에 있어서 다이캐스팅가공이 아닌 프레스가공이 이용되므로, 작업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고 제조비용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전자제품의 본체부와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하우징과; 그리고
    상기 힌지하우징과 좌우회전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여 구성되는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상기 힌지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는 금속재질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와의 연결을 위한 다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배면부와,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측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하우징의 배면부의 하단을 내측으로 직교하게 절곡하여 형성된 제1바닥부가 상기 힌지하우지의 측면부의 하단을 내측으로 직교하게 절곡하여 형성된 제2바닥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측면부와 상기 힌지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서로 대응하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샤프트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하우징의 제1바닥부와 상기 지지부에는 서로 대응하는 회전공이 각각 형성되어 좌우회전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2샤프트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하우징과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경사각과 좌우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에는 상기 브라켓이 직립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하우징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KR1020060047194A 2006-05-25 2006-05-25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KR20070113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194A KR20070113659A (ko) 2006-05-25 2006-05-25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US11/802,702 US7707691B2 (en) 2006-05-25 2007-05-24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 and st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7101092462A CN101080153B (zh) 2006-05-25 2007-05-25 电子产品的铰接装置及其配备铰接装置的机座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194A KR20070113659A (ko) 2006-05-25 2006-05-25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659A true KR20070113659A (ko) 2007-11-29

Family

ID=3890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194A KR20070113659A (ko) 2006-05-25 2006-05-25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113659A (ko)
CN (1) CN1010801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0034B2 (en) * 2015-02-13 2017-03-21 Google Inc. Attaching computing device to mount by magnets
KR102560611B1 (ko) * 2016-08-25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7441624A (zh) * 2016-11-14 2017-12-08 周林 带铰链的频谱治疗仪
CN112909788B (zh) * 2021-03-29 2022-08-26 江西变电设备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的开关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8847A (en) * 1998-07-02 2000-02-01 Lu; Sheng-Nan Hinge axle device for a LCD monitor
KR100488515B1 (ko) * 2000-08-04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장치
TWI270625B (en) * 2002-09-27 2007-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0568181B1 (ko) * 2003-10-17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80153B (zh) 2010-12-01
CN101080153A (zh)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9529B1 (en) Display support system
US7395995B2 (en) Monitor support structure
US6822857B2 (en) Monitor improved in a tilting structure
US6766994B2 (en) Stabilized flat panel touch monitor
US20090101777A1 (en) Wall mount supporting apparatus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0500234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7607620B2 (en) Support for one or more flat panel displays
KR100596583B1 (ko) 모니터장치
US20070001084A1 (en) Swiveling apparatus for a monitor apparatus
KR20050042450A (ko)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지지대
US7707691B2 (en)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 and st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461178B1 (ko) 모니터장치
KR20070113659A (ko) 전자제품용 힌지어셈블리
JP4314295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20040000031A1 (en) Triaxial hinge for display device
KR10049015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탠드구조
JP2008507444A (ja) モニタ用傾き調節装置
JP5519134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JP3135891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アームスタンド
US8094245B2 (en) Display screen support mechanism and television set
JP3067879U (ja) 液晶表示装置用スタンド
JP2002175019A (ja) ディスプレイ用クランプ
KR200253576Y1 (ko) 액정 모니터의 회전 받침대 장치
KR100577234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KR100698122B1 (ko) 영상표시장치의 힌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10

Effective date: 2008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