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504A -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504A
KR20070113504A KR1020060046454A KR20060046454A KR20070113504A KR 20070113504 A KR20070113504 A KR 20070113504A KR 1020060046454 A KR1020060046454 A KR 1020060046454A KR 20060046454 A KR20060046454 A KR 20060046454A KR 20070113504 A KR20070113504 A KR 20070113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gress bar
search
past search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3134B1 (ko
Inventor
유승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13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DVR 모델의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부로서 사용되는 HDD의 특성을 이용하여 지연 모드에서의 구간 또는 지점 검색시 이 구간 또는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향후 타임 쉬프트에 따라 다시 지연 모드로 절환시 이를 이용하여 화면상에 진행바에 부가하여 별도의 과거 검색 구간 및 지점을 보여주는 추가 진행바를 디스플레이 한다.
텔레비젼 수신기, PVR, 진행바

Description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laying a broadcasting signal on television receiver saved}
도 1 (A) 및 도 1 (B)는 종래 타임 쉬프트시 진행바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 (A) 내지 도 3 (C)는 추가 진행바의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4는 저장부내에 저장된 시스템 프로그램 중 타임 쉬프트 루틴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HDD 내의 상기 과거 검색 맵 할당 영역내에 저장된 과거 검색 정보의 구조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프론트 엔드 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3: VSB 수신기 4: PVR
4a: HDD 4b: PVR 제어부
5: 멀티플렉서 6: 영상처리부
7: 디스플레이 모듈 8: 중앙 처리 장치
9: 저장부 10: 키이 신호 입력부
11: OSD 생성부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중 DVR (Digital Video Recorder) 모델은 HDD(Hard Disc Drive)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HDD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부가 기능을 갖을 수 있다. 특히 상기 HDD의 내용을 재생하거나 타임 쉬프트(Time Shift) 중에는 보여주고 있는 과거 상태의 확인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방식은 상기 HDD에 저장된 방송 신호의 양 및 재생 진행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진행바의 위치 지시자를 드래깅(Dragging) 하여 위치를 이동시키면 그 이동 위치부터 내용물이 재생된다. 여기서, 상기 타임 쉬프트란 사용자가 현재 방송을 시청하는 현재 방송 모드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방송을 재생하여 시청하기 위한 지연 모드(Delay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A) 및 도 1 (B)는 종래 타임 쉬프트시 진행바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먼저, 도 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지연 모드를 선택하면 화면상에는 진행바가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의 시간적 구성으로 재편된다. 따라서,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기 이전 방송 신호를 처음부터 재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부터 시청하기를 원할 경우 상기 진행바 상의 위치 지시자를 드래깅하여 상기 원하는 위치를 수동으로 찾은 후 그 원하는 위치부터 상기 이전 방송 신호를 재생하였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타임 쉬프트를 수행할 때, 즉, 상기 지연 모드에서 상기 현재 방송 모드로 전환하면, 도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진행바는 시스템 프로그램상 그것의 시간적 구성이 상기 현재 방송에 맞도록 리셋되고 상기 진행바 상의 상기 이전 방송 진행에 따른 위치 지시자의 위치에 정보는 없어진다. 즉, 상기 타임 쉬프트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경우, 상기 위치 지시자가 상기 현재 방송 화면의 위치와 상기 지연 모드에 따른 이전 방송 화면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도달할 때는 상기 진행바의 시간적 구성이 현재 방송에 해당하는 시간 구성으로 리셋되기 때문에 상기 이전 방송시 원하는 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검색했던 구간 및 지점등에 대한 정보가 바로 소멸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다시 상기 지연 모드로 타임 쉬프트를 수행할 경우,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의 재생을 시작 위치 보다 늦춰진 위치부터 플레이 시키고자 할 경우, 즉 시청하지 못한 부분부터 다시 재시청하고자 할 때, 상기 재시청하고자 하는 부분을 찾을 수가 없었다.
왜냐하면, 상기 위치 지시자는 상기 진행바 상에서 무조건 현재 방송을 기준 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 재생중 검색 과정을 수행하고 나서 한번이라도 상기 현재 방송 모드로 움직이게 되면 그 동안의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의 검색 시점에 대한 기록이 사라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연 모드 방송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진행바 상에서의 상기 위치 지시자는 무조건 현재 방송의 내용을 기준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지연 모드 상에서 한 번 검색을 수행하고 나서 상기 현재 방송 모드로 되돌아 왔다가 다시 상기 지연 모드로 돌아가 시청하지 못한 부분부터 시청하기를 원할 때 상기 진행바의 시간적 구성이 리셋되어 과거에 검색한 부분을 찾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상기 현재 방송 모드에서 상기 진행바의 상기 위치 지시자가 이동하는 동안 다시 상기 지연 모드의 과거 검색 부분으로 돌아가 원하는 부분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다시 검색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진행바는 현재 수신되는 방송을 기준으로 계속 업데이트 되어 시간적 구성을 재편하기 때문에 상기 과거 시청 지점을 다시 찾는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참고로 상기 진행바의 표시 용량은 내부 회로에 구비된 저장부 (예로서, HDD: Hard Disc Drive)에 저장된 각 방송 신호의 용량과 동일하다. 즉, 상기 저장된 방송 신호가 2 시간의 길이를 갖는다면, 상기 진행바 역시 2 시간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하나의 방송 신호가 일정 시간 (예로서 1 시간) 동안 재생되고 있는 도중 사용자가 현재 방송으로 되돌아 오는 경우 상기 진행바의 시간적 구성은 리셋되어 상기 진행바는 현재 방송 신호의 진행 시간과 연동하여 시작 부분부터 점차적으로 끝 부분을 향하여 진행한다. 상기 사용자가 다시 과거 시 청하지 못한 부분을 시청하고자 지연 재생 모드(Delay Mode)를 선택한 경우, 도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진행바의 상기 지시자는 이미 리셋된 상태이므로 상기 진행바의 종료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전 검색 부분 또는 지점을 찾기 위해서는 다시 원하는 지점 또는 부분을 검색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임 쉬프트시 유져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과거 검색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DVR 모델의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부로서 사용되는 HDD의 특성을 이용하여 지연 모드에서의 구간 또는 지점 검색시 이 구간 또는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향후 타임 쉬프트에 따라 다시 지연 모드로 절환시 이를 이용하여 화면상에 진행바에 부가하여 별도의 과거 검색 구간 및 지점을 보여주는 추가바를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텔레비전 수신기는 현재 방송 모드와 지연 모드 사이의 타임 쉬프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이전 방송을 저장하고 일부 영역에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상에 진행된 검색에 해당하는 과거 검색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방송 모드와 지연 모드시 각각 화면상에 각각 현재 방송 또는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의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진행바를 생성하고, 상기 지연 모드시 상기 과 거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행바와 더불어 과거 검색 상태를 보여주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행바를 생성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부,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방송 또는 저장된 이전 방송과 함께 상기 진행바 및 추가바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은,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지연 모드 중 수행된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과거 검색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스텝, 사용자 선택에 따라 현재 방송을 시청하는 현재 방송 모드에서 상기 지연 모드로 절환시 상기 이전 방송 신호의 재생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진행바와 상기 과거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행바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텝, 그리고 상기 추가 진행바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선택할 때 그 부분부터 상기 이전 방송 신호의 재생을 진행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와 저장된 방송 신호의 과거 검색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과거 검색 정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들의 헤더들내에 1 픽쳐를 구성하는 프레임 단위로 셋트되는 파일 식별 정보와 상기 제 1 저장부내에 패킷 단위로 저장될 때 할당되는 위치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일 식별 정보는 픽쳐 타입 (picture type) 정보, 프레임 식별 (frame identification) 정보, 옵셋 (offset)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픽쳐 타 입 정보는 해당 픽쳐가 I 픽쳐, B 픽쳐, 및 P 픽쳐 중 어느것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프레임 식별 정보는 상기 해당 픽쳐가 상기 방송 신호의 몇 번째 픽쳐인지를 해당 번호로서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옵셋 정보는 상기 해당 픽쳐가 상기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파일의 초기 위치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 영역과, 입력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패킷 단위로 상기 하드 디스크의 소정 위치들에 입력 순서대로 할당하는 파일 할당 테이블(FAT: File Allocation Table)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행바는 상기 지연 모드시 위치 지시자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방송 신호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현재 방송 모드 시에는 상기 현재 방송의 진행 상태를 표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 에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프론트 엔드Front End)(1), 상기 프론트 엔드(1)를 통해 입력하는 아날로그 형태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디지털 전송 스트림 형태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 상기 프론트 엔드(1)를 통해 입력하는 VS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VSB 수신기(3), 방송 신호를 저장하는 PVR (Personal Video Recorder)(4),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 상기 VSB (Vestigial Side Band) 수신기(3), 및 상기 PVR(Personal Video Recorder)(4)의 출력 신호들 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하나를 출력시키는 멀티플렉 서(5), 상기 멀티플렉서(5)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토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6), 상기 영상 처리부(6)로부터 출력하는 영상 신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7), 상기 구성 요소들에 제어 신호들을 기능에 따라 제공하는 중앙 처리 장치(8)로 구성된다. 상기 PVR(4)는 저장부로서의 HDD(Hard Disc Drive)(4a)와 상기 HDD(4a)를 제어하는 PVR 제어부(4b)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9는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타 제어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같은 저장부를 지시한다.
상기 구성 요소들 중에서 본 발명에 주로 관련된 구성 요소들은 상기 PVR(4)과 중앙 처리 장치(8) 및 저장부(9) 등이다. 이하에서, 상기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개념으로서는 상기 진행바 외에 과거 검색 정보를 보여주는 추가 바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또는 제어부)(8)는 현재 방송 모드와 지연 모드 사이의 타임 쉬프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상기 HDD(4a) (또는 제 1 저장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이전 방송을 저장하고 일부 영역에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상에 진행된 검색에 해당하는 과거 검색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부(11)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방송 모드와 지연 모드시 각각 화면상에 각각 현재 방송 또는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의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진행바를 생성하고, 상기 지연 모드시 상기 과거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행바와 더불어 과거 검색 상태를 보여주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행바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방송 또는 저장 된 이전 방송과 함께 상기 진행바 및 추가바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방법으로서는 방송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로서 HDD(4a)를 갖는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지연 모드 중 수행된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과거 검색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HDD(4a)에 저장하는 스텝, 사용자 선택에 따라 현재 방송을 시청하는 현재 방송 모드에서 상기 지연 모드로 절환시 상기 이전 방송 신호의 재생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진행바와 상기 과거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행바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텝, 그리고 상기 추가 진행바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선택할 때 그 부분부터 상기 이전 방송 신호의 재생을 진행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방송 신호를 저장하는 HDD(4a)와 상기 HDD(4a)에 저장된 방송 신호 상에 수행된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검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9)로서 상기 메모리(9)를 갖는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HDD(4a)에 저장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지연 모드 중 수행된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과거 검색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메모리(9)에 저장하는 스텝, 사용자 선택에 따라 현재 방송을 시청하는 현재 방송 모드에서 상기 지연 모드로 절환시 상기 저장된 방송 신호의 재생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진행바와 상기 메모리(9)에 저장된 과거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과거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행바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텝, 그리고 상기 추가 진행바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선택할 때 그 부분부터 상기 저장된 방송 신호의 재생을 진행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상기 진행바는 상기 지연 모드시 위치 지시자를 이용하여 상기 HDD(4a)에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현재 방송 모드 시에는 상기 현재 방송의 진행 상태를 표시한다.
도 3 (A) 내지 도 3 (C)는 상기 추가바의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먼저, 사용자가 지연 모드(Delay Mode)를 선택하면, 상기 PVR(4)에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를 검색한다.한편, 이때 화면상에는 지연 모드에 해당하는 진행바가 디스플레이 되고 이 진행바는 상기 이전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시간적 구성을 갖는다. 즉, 진행바 일측에 지연 모드 (Delayed)란 타이틀과 함께 기존의 진행바와 동일한 진행바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진행바 상의 위치 지시자를 이동 시키는 것에 의해 원하는 지점또는 부분들을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검색된 부분 또는 지점으로 이동하여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를 원하는 지점 또는 부분부터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연 모드를 생방송 모드 (Live Mode)로 전환하면, 상기 중앙 처리 장치 (8)는 상기 HDD(4a)에 저장된 상기 이전 방송 신호의 검색 정보, 즉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검색 부분 및 검색 위치 또는 검색 위치들을 어드레스 할당 정보 같은 상기 HDD(4a)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9)에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상에 수행된 검색 경로(Path)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HDD(4a) 내부에 과거 검색 맵 영역을 할당하여 상기 이전 방송 신호상에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과거 검색 맵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연 모드에서 상기 현재 방송 모드 (Live Mode)로 전환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현재 방송을 시청하는 동안, 다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현재 방송 모드를 상기 지연 모드 (Delayed)로 전환하여 상기 이전 방송의 원한는 부분을 재생 시청하고자 한다면, 상기 진행바의 시간적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현재 진행중인 방송을 기준으로 비뀌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장된 상기 과거 검색 맵를 이용하여 상기 과거 검색 히스토리를 보여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과거 검색했던 부분과 검색하지 않았던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과거 검색 히스토리 (History)를 보여주는 방법으로서는 도 3 (C)와 같이, 상기 진행바 상에 검색 구간별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행바를 이용한다. 즉, 상기 추가바의 수는 현재 방송 모드 (Live)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상에 상기 사용자가 과거에 검색한 횟수와 동일한 수를 갖는다. 왜냐하면 상기 각 과거 검색 구간은 각각 서로 다른 시작점과 종료점을 갖기 때문이다. 도 3 (C)에서는 2회의 과거 검색 구간을 갖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현재 방송 모드 (Live Mode)에서 상기 지연 모드 (delayed Mode)로 다시 돌아온 경우에는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 전 구간을 보여주는 상기 진행바외에도 별도로 상기 저장된 검색 구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과거 검색 구간에 해당하는 추가바 또는 바들이 상기 진행바의 상 또는/및 하측에 디스플레이 됨으로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과거 검색 구간 및 상기 각 검색 구간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생 시작 지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언제라도 쉽게 상기 현재 방송 모드에서 상기 지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부담없이 수행할 수 있다. 도 3 (B)에서, 상기 각 추가바 상의 점들은 각 과거 검색 구간에서 각 재생 시작점들을 지시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저장부(9)내에 저장된 상기 시스템 프로그램 중 타임 쉬프트 루틴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타임 쉬프트 루틴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중앙 처리 장치 (8)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를 재생 또는 검색하는 지연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지연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상기 사용자의 검색 수행 결과를 지속적으로 상기 과거 검색 정보로서 트래킹하여 상기 저장부(9) 또는 상기 HDD(4a) 내에서 파티션(소정 영역)을 할당하여 구조체로서 저장한다.
상기 PVR(Personal Video Recorder)(4)는 저장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4a)를 구비하여,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a)내에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뿐만 아니라 외부 입력 신호 등을 저장 및 재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게 한다. 더욱이 근래에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상기 PVR(4)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a)에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시간 방송에 대한 일시 정지, 역 재생 및 배속 재생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타임 머신 기능이 개발되어 상용화되었다.
한편, 상기 중앙 처리 장치(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의 구성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나, 상기 디지털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기 HDD(4a)에 저장할 시 상기 PVR 제어부(4b)를 제어하여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 림을 구성하는 패킷들의 헤더들내에 1 픽쳐를 구성하는 프레임 단위로 파일 식별 정보를 셋트한다. 상기 파일 식별 정보는 픽쳐 타입 (picture type) 정보, 프레임 식별 (frame identification) 정보, 옵셋 (offset)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픽쳐 타입 정보는 해당 픽쳐가 I 픽쳐, B 픽쳐, 및 P 픽쳐 중 어느것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프레임 식별 정보는 상기 해당 픽쳐가 상기 방송 신호의 몇 번째 픽쳐인지를 해당 번호로서 나타낸 정보이다. 상기 옵셋 정보는 상기 해당 픽쳐가 상기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파일의 초기 위치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정보에 해당한다.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4a)는 파일 할당 테이블(FAT: File Allocation Table)과 하드 디스크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PVR 제어부(4b)를 통해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입력하면 상기 파일 할당 테이블은 상기 패킷 단위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기 하드 디스크 영역의 소정 위치들을 순서대로 할당한다. 이 파일 할당 테이블은 상기 각 패킷의 할당 위치를 기억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8)에 의해 상기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재생할 시 순서대로 상기 각 패킷을 출력시킨다.
한편, 상기 중앙 처리 장치(8)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재생할 시 상기 각 패킷의 헤더내에 기록된 상기 파일 식별 정보와 상기 파일 할당 테이블의 위치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구간 중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8)는 상기 저장부(9)에 상기 과거 검색 구간 및 각 과거 검색 구간에서의 검색 시작 지점 또는 재생 시작 시점 등을 상기 파일 식별 정보 및 위치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HDD(4a)내의 과거 검색 맵 영역 또는 상기 저장부(9)내에 저장한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상기 현재 방송 모드와 상기 지연 모드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여러 번 바뀐다 하더라도 상기 HDD(4a)내에 저장된 상기 과거 검색 맵 또는 상기 저장부(9)에 저장된 상기 과거 검색 정보에 의거 상기 사용자가 쉽게 해당 과거 검색 구간 및 검색 지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행바가 상기 현재 방송을 중심으로 그것의 시간적 구성이 리셋트된 하더라도 상기 과거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생성부(11)를 통해 상기 과거 검색 구간 및 지점들에 해당하는 상기 추가바를 상기 진행바와 함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상기 이전 방송의 원하는 검색 구간 또는 지점을 확인 또는 엑세스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8)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지연 모드가 상기 현재 방송 모드로 전환되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현재 방송 모드로 절환되지 않았으면 상기 이전 방송의 검색 과정을 계속 수행하게 되고 상기 현재 방송 모드로 전환되었으면 상기 HDD(4a) 내의 과거 검색 맵 영역을 상기 과거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시키거나 또는 상기 저장부(9)에 상기 추가된 과거 검색 정보를 상기 파일 식별 정보 및 상기 위치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나서 상기 현재 방송 모드로 절환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현재 방송을 시청하고 상기 OSD 생성부(11)에 의해 상기 진행바는 상기 현재 방송의 진행에 해당하는 시간적 구성을 가지고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이 신호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현재 방송 모드를 상기 지연 모드로 절환시키기 위한 명령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중앙 처리 장치(8)는 상기 HDD(4a)에 저장된 상기 과거 검색 맵 또는 상기 저장부(9)에 저장된 상기 파일 식별 정보 및 위치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과거 검색 정보를 복원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OSD 생성부(11)가 상기 진행바와 함께 상기 각 검색 구간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바를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상기 HDD(4a) 내의 상기 과거 검색 맵 할당 영역내에 저장된 상기 과거 검색 정보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과거 검색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 검색 구간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각 과거 검색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검색 위치 정보로 구성됨을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각 과거 검색 위치 정보는 상기 각 구간의 시작 시점 정보, 종료 지점 정보 및 각 재생 시작 정보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기존의 진행바에 추가하여 지연 모드에서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의 검색 구간 및 원하는 지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추가 진행바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상기 이전 방송 신호의 과거 재생 시작 시점 및 검색 구간을 확인 또는 엑세스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방송 모드에서 어느때라 도 상기 지연 모드로 들어가서 상기 이전 방송 신호의 과거 검색 구간 및 위치를 쉽게 확인가능하고 나아가 원하는 위치부터 재생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PVR을 갖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좀 더 편리하게 유져 인터페이스의 구현이 가능하고 나아가 제품 경잴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8)

  1. 현재 방송 모드와 지연 모드 사이의 타임 쉬프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이전 방송을 저장하고 일부 영역에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상에 진행된 검색에 해당하는 과거 검색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방송 모드와 지연 모드시 각각 화면
    상에 각각 현재 방송 또는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의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진행바를 생성하고, 상기 지연 모드시 상기 과거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
    기 진행바와 더불어 과거 검색 상태를 보여주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행바
    를 생성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부;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방송 또는 저장된 이전 방송과 함께
    상기 진행바 및 추가바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함을 특
    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 대신 상기 과거 검색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검색 정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들의 헤더들내에 1 픽쳐를 구성하는 프레임 단위로 셋트되는 파일 식별 정보와 상기 제 1 저장부내에 패킷 단위로 저장될 때 할당되는 위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식별 정보는 픽쳐 타입 (picture type) 정보, 프레임 식별 (frame identification) 정보, 옵셋 (offset)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픽쳐 타입 정보는 해당 픽쳐가 I 픽쳐, B 픽쳐, 및 P 픽쳐 중 어느것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프레임 식별 정보는 상기 해당 픽쳐가 상기 방송 신호의 몇 번째 픽쳐인지를 해당 번호로서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옵셋 정보는 상기 해당 픽쳐가 상기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파일의 초기 위치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영역과, 입력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패킷 단위로 상기 하드 디스크의 소정 위치들에 입력 순서대로 할당하는 파일 할당 테이블(FAT: File Allocation Table)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검색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 검색 구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과거 검색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검색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과거 검색 위치 정보는 상기 각 구간의 시작 시점 정보, 종료 지점 정보 및 각 재생 시작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7. 방송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갖는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지연 모드 중 수행된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과거 검색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스텝;
    사용자 선택에 따라 현재 방송을 시청하는 현재 방송 모드에서 상기 지연 모드로 절환시 상기 이전 방송 신호의 재생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진행바와 상기 과거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행바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텝; 그리고
    상기 추가 진행바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선택할 때 그 부분부터 상기 이전 방송 신호의 재생을 진행하는 스텝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이전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바는 상기 지연 모드시 위치 지시자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방송 신호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현재 방송 모드 시에는 상기 현재 방송의 진행 상태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바의 위치 지시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행바 상에서 상기 원하는 부분을 선택할 때 그 원하는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진행바의 위치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영역과, 입력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패킷 단위로 상기 하드 디스크의 소정 위치들에 입력 순서대로 할당하는 파일 할당 테이블(FAT: File Allocation Table)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검색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 검색 구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과거 검색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검색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과거 검색 위치 정보는 상기 각 구간의 시작 시점 정보, 종료 지점 정보 및 각 재생 시작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방송 신호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와 저장된 방송 신호 상에 수행된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검색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갖는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 서,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지연 모드 중 수행된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과거 검색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하는 스텝;
    사용자 선택에 따라 현재 방송을 시청하는 현재 방송 모드에서 상기 지연 모드로 절환시 상기 저장된 방송 신호의 재생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진행바와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과거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과거 검색 과정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행바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텝; 그리고
    상기 추가 진행바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선택할 때 그 부분부터 상기 저장된 방송 신호의 재생을 진행하는 스텝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바는 상기 지연 모드시 위치 지시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방송 신호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현재 방송 모드 시에는 상기 현재 방송의 진행 상태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바의 위치 지시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행바 상에서 상기 원하는 부분을 재생 지점으로 선택할 때 그 원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영역과, 입력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패킷 단위로 상기 하드 디스크의 소정 위치들에 입력 순서대로 할당하는 파일 할당 테이블(FAT: File Allocation Table)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검색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 검색 구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과거 검색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검색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과거 검색 위치 정보는 상기 각 구간의 시작 시점 정보, 종료 지점 정보 및 각 재생 시작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검색 정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들의 헤더들내에 1 픽쳐를 구성하는 프레임 단위로 셋트되는 파일 식별 정보와 상기 제 1 저장부내에 패킷 단위로 저장될 때 할당되는 위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식별 정보는 픽쳐 타입 (picture type) 정보, 프레임 식별 (frame identification) 정보, 옵셋 (offset)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픽쳐 타입 정보는 해당 픽쳐가 I 픽쳐, B 픽쳐, 및 P 픽쳐 중 어느것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프레임 식별 정보는 상기 해당 픽쳐가 상기 방송 신호의 몇 번째 픽쳐인지를 해당 번호로서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옵셋 정보는 상기 해당 픽쳐가 상기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파일의 초기 위치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46454A 2006-05-24 2006-05-24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KR100803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454A KR100803134B1 (ko) 2006-05-24 2006-05-24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454A KR100803134B1 (ko) 2006-05-24 2006-05-24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504A true KR20070113504A (ko) 2007-11-29
KR100803134B1 KR100803134B1 (ko) 2008-02-14

Family

ID=3909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454A KR100803134B1 (ko) 2006-05-24 2006-05-24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1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8012B2 (ja) 2000-09-25 2006-10-2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番組記録再生装置
KR100564452B1 (ko) * 2003-04-03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녹화 및 재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134B1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703B1 (ko) 계층적 이미지 인덱싱 방법 및 그 장치
KR100777310B1 (ko) 영상신호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래스 바 표시방법
JP2005278152A (ja) 映像音声再生装置及び映像音声再生方法
US6445876B1 (en)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KR20040033334A (ko) 디지털 a/v 데이터의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341440A (ja) 画像表示装置、同装置に適用される画像切り替え表示方法
JP2007158959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3272271B2 (ja)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記録媒体
JP4237153B2 (ja) 番組録画再生装置及び番組録画再生方法
KR100803134B1 (ko) 텔레비전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저장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JP2007129714A (ja) 移動通信端末機の放送番組保存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移動通信端末機
KR10139550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재생 방법
KR101218921B1 (ko) 방송 수신기의 방송 프로그램 하이라이트 구간 처리 방법
KR10081840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물 재생 방법
JPH1079916A (ja) 映像録画装置
JP2006217163A (ja) 録画再生システム
JP2006268953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4052812B2 (ja) ビデオ装置
KR20070075728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물 탐색 방법 및 그 장치
JP3092529U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997356B2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389703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167521A (ja)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70003843A (ko)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 및 비디오 신호 재생 방법
JP2005303871A (ja) 映像記憶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