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215A - 착색도장 시스템, 특히 페인트 및 래커의 착색도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색도장 시스템, 특히 페인트 및 래커의 착색도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215A
KR20070113215A KR1020077020143A KR20077020143A KR20070113215A KR 20070113215 A KR20070113215 A KR 20070113215A KR 1020077020143 A KR1020077020143 A KR 1020077020143A KR 20077020143 A KR20077020143 A KR 20077020143A KR 20070113215 A KR20070113215 A KR 20070113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pigment preparation
coating system
prepara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요하임 귀틀러
한스 아힘 브랜드
Original Assignee
에발트 되르켄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500659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5006591A1/de
Application filed by 에발트 되르켄 아.게. filed Critical 에발트 되르켄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11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21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97Dye preparations of special physical nature; Tablets, films, extrusion, microcapsules, sheets, pads, bags with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3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organic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의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1성분으로서 액상(液狀) 바탕칠과, 최소 1개 이상의 고형안료제제(固形顔料製劑)를 함유하는 제2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착색도장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소량의 혼합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료제제를 부분 몫으로 분할하여, 바탕칠 속에 용해시키며, 이때 안료제제의 부분 몫은 그때그때 미리 결정된 액상 바탕칠의 양에 따라 조절하도록 되어있다.
도장, 착색피복, 고형안료제제, 페인트, 래커

Description

착색도장 시스템, 특히 페인트 및 래커의 착색도장 시스템{Chromophore Coating Systems, especially Paints and Lacquers}
본 발명은 착색도장 시스템, 특히 페인트와 래커(lacquer)의 착색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착색할 표면의 도장은 통상 도장면을 개별적으로 도색하게 된다. 공장에서 미리 착색하여 도장(painting)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색상/색조의 선택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색상 선택성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착색도장 시스템은 이하에서 간단히 말해서 “페인트 또는 래커”라고 표시하고, 이 페인트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먼저 공장에서 백색 또는 무색의 초벌칠로서 제조된다. 착색안료의 조제는, 그때그때 원하는 개별적인 색상을 혼합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페이스트(paste) 또는 페이스트 보다 적은 양의 안료함량을 갖는 이른바 조색 페인트를 바탕칠 속에 섞는다. 상기 안료혼합은 조색 페인트를 첨가하면서 수동혼합 뿐만 아니라, 안료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이른바 색조-자동 혼합기 안에서 자동적으로도 이루어진다. 그와 같은 혼합작업은 가공업자, 즉, 전문수공업자 또는 도료공급업자, 건축업계 또는 호비스트(hobbyst)들도 할 수 있다.
착색안료를 직접 현장에서 투입하는 것은 수동혼합이나 자동혼합기에서는 불 가능하다. 안료들은 원료로서 고체 덩어리 형태의 고형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페인트 또는 래커에 직접 혼합될 수 없다. 착색된 페인트 및 래커를 조제함에 있어서, 안료 덩어리들을 먼저 고도의 전단력을 가하는 동시에, 습윤제(濕潤劑)와 분산제(分散劑)를 투입하면서 일차(一次) 잉곳 덩어리(primary ingot agglomerate)들을 분쇄함으로써, 비로소 페인트 또는 래커 내에서 충분한 착색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일차 잉곳 덩어리들은 저장안정성이 없으며, 따라서 공장에서 즉각 페이스트 또는 조색 페인트로 계속 가공된다.
선행기술 인쇄물에서 제CH 630401호는 안료들을 정제(錠劑)로 제조하는 것을 공개하였다. 이때 예를 들어 아조 안료(azo pigment)를 폴리아크릴산(-酸)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과 함께 정제(錠劑)로 압착된다. 안료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정제를 에멀션 페인트(emulsion paint) 속에서 용해시킨다.
그러나 모두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안료들은 근본적으로 덩어리를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기 인쇄물에 기술된 방법으로는 에멀션 페인트 내에서 만족할만한 색상분포를 달성할 수 없게된다. 압착된 안료들의 사용은 실제로 적용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소량의 페인트를 위한 “현장에서”의 개별적인 조색안료의 혼합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그러나 작은 면적을 착색하기 위해서는 소량의 페인트가 필요로 하게된다. 작은 면적의 착색은 페인트와 래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야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개별적인 조색안료를 임의의 원하는 양으로, 특히 적은 양을 깨끗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혼합할 수 있는 착색도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표면의 착색 도장을 위하여 제1성분으로서 액상(液狀)의 바탕칠과,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체 형태의 안료제제(顔料製劑)를 함유하는 제2성분을 포함하는 도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료제제를 분할하여, 이때 분할된 안료 부분 몫은 그때그때 미리 정한 액상 바탕칠의 양에 적합하게 조절하고, 바탕칠 안에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결된다.
놀랍게도, 부분 몫으로 분할된 용해 가능한 안료제제를 바탕칠 속에 용해함으로써, 지금까지와 같이 페이스트 또는 조색 페인트 내에 투입하는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훨씬 정밀한 바탕칠의 착색이 이루어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용해 가능한 고체형태의 안료제제를 미리 정량(定量)하여 분할된 부분 몫의 양을 첨가함으로써 소량의 수동 혼합량에 대해서도 시종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 가용성 안료제제는 고체로서 계량하며, 이때 상기 안료제제의 양은 미리 정한 액상 바탕칠의 양에다가 부분 몫으로 분할한 안료제제가 혼합된 후에 예정된 색조가 나타날 수 있도록 계량하여 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해가능(溶解可能)한”이란 개념은 또한 안료를 바탕칠 속에 투입할 때 일어나는 혼합, 용해, 분산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용해 내지 혼합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혼합기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빈번하게 수동으로 혼합된다는 것을 상정(想定)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도장 시스템은 무엇보다도 수동혼합능력에 적합하게 훌륭히 맞추어져 있다. 상기 고체 형태의 안료제제를 수동 혼합하는 것은 철저한 바탕칠 혼합이 요구되며, 이 공정은 또한 간단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때때로 휴대용 천공기(핸드 드릴) 위에 장착된 교반기가 사용되며, 이때 통상의 에멀션 페인트(5, 10, 또는 20 리터)가 간단히 균일하게 착색된다. 페인트 또는 레커 및 안료를 함께 혼합하는 교반기들을 전문수공업자 또는 공급업자에 의해서도 빈번히 사용된다. 이 교반기들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탕색의 조색을 위하여 고체형태의 안료제제를 투입하여 간단히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바탕칠 속에 용해될 수 있는” 이라는 개념은 액상 바탕칠 속에, 예를 들어 에멀션 페인트 속에서 또는 수중에서 덩어리를 형성을 일으키지 않는 안료제제를 의미한다. 안료를 적절한 제제과정에서 화학적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미세하게 분쇄한 안료를 액상 바탕칠 속에 혼합할 때 덩어리를 짓지 않도록 하여주는 피막(皮膜)을 입히면, 안료들은 쉽게 용해되거나 또는 분산된다. 그러한 안료제제의 대표적인 예를 국제공보 제WO 2004/000 903호 또는 제WO 03/066743호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그러한 내용을 본 발명의 특허출원에 명백히 포함하였다. 안료들은 덩어리로서 원래의 형태로는 혼합할 수 없다는 것과, 덩어리를 지은 안료들은 지금까지 제시된 지식에 따라 일정한 착색력을 발휘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본 발명의 부분 몫으로 분할하는 아이디어(방법)에 배치(背馳)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체로서 액상 바탕칠 속에 쉽게 분산되고, 따라서 균일하게 바탕칠 속에 혼합될 수 있는 유동성(流動性)을 갖는 안료제제가 중요한 것이다. 그와 같은 고체 안료제제들은 통상 유동상태에서 미리 분산시키고, 이어서 다시 예를 들어 분무건조(噴霧乾燥)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그와 같은 안료제제들은 별로 크지 않는 기계적 비용으로 용해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 또한 “스티어-인 안료(Stir-In Pigmente)”라고 부르고 있다.
적절한 안료제제들로서는 예를 들어 BASF회사의 “X-Fast Gran”상표, Lanxess 도이취란드 GmbH회사의 “LEVANYL Gran” 및 “LEVANOX Gran” 상표, Clariant회사의 “Colanyl 400 Reihe”상표와, Rockwood Pigments (Brockhues)회사의 “Granufin”상표의 제제가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안료제제들은 착색된 페인트 또는 래커 속에 공장에서 혼합시키기 위하여 입자(粒子) 형태로 페인트 및 래커 제조업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착색된 페인트 또는 래커는 안료 가공에 있어서, 필요한 장치 면에서뿐만 아니라, 에너지 비용 면에서도 공장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되었다.
고체 형태의 안료제제들은 본 발명에 따라 조색 페인트 및 안료페이스트에 비하여 실용적인 사용 면에 있어서 유리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으로는 혼합 결과의 재현성(再現性)은 예를 들어 조색 페인트를 사용할 때보다는 고체형태의 안료제제를 사용할 때 그 효과가 훨씬 크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적은 양의 조색된 페인트 또는 래커를 사용할 때 특히 중요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가내공업 분야에서 조색된 페인트 또는 래커를 새로이 혼합할 때 소비자들로부터 빈번하게 질의를 받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조색 페인트 또는 안료 페이스트로 조색할 때 정밀도의 부족은 무엇보다도 액상 또는 페이스트 형태의 안료들을 조제하는 종래의 방법은 본 발명에 따라 부분 몫으로 분할된 고체형태의 안료제제들을 투입하는 것 보다 훨씬 부정확하다는 것에 기인되기 때문이다.
또한 고체형태의 안료제제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가내수공업 분야에 있어서 특히 수동혼합을 할 때에도 지금까지는 생각할 수 없었던 혼합페인트의 제조를 가능케 하여준다. 혼합색을 조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조색 페인트 또는 안료 페이스트를 바탕칠 속에 혼합하는 것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 상기 혼합색조는 확실하게 일률적으로 재현할 수 없다. 이때 색조의 차이는 “간단한” 조색을 할 때 보다도 오히려 더 커진다. 그뿐만 아니라 조색 페인트들은 충분히 넓은 조색 스펙트럼을 갖고 있지 않다.
이에 반하여 여러 가지 안료제제들의 혼합물을 바탕칠 속에 혼합하는 것은 특히 유리하다고 판명되었다. 이때 안료제제의 혼합이라는 말은 혼합액 속에 이미 안료제제의 부분 몫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색조의 안료-부분 몫들의 혼합은 ― 지금까지와는 달리 ― 바탕칠을 조색할 때 재현 가능한 혼합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색상과 조색 자료에 관한 광범한 조색판이 간단히 제시될 수 있다. 그때그때 동일한 안료제제의 여러 가지 부분 몫들 또는 상이한 안료제제들의 다수의 부분 몫들을 액상 바탕칠 속에 혼합하는 것을 기초로 하는 컬러 챠트(color chart)를 작성(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제제의 첨가량이 착색될 바탕칠에 비하여 매우 적은 양이기 때문에, 부분 몫으로 분할된 안료제제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실용적 방법으로 다양한 색조-스펙트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로 상이한 안료제제를 하나의 안료-부분 몫에 혼합함으로써, 특정한 용도를 위한 매우 독특한 색조, 예를 들어 “봄의 색(spring colors)”들을 달성할 수 있다.
그밖에 고체형태의 안료제제들은 또한 경제적으로 그리고 환경적으로 훨씬 유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반대로 조색 페인트와 안료 페이스트들은 공급 표준량으로 제공되며, 이 표준량으로부터 규칙적으로 단지 일부분만 사용될 뿐이다. 나머지는 건조시켜, 폐기처리 해야한다. 안료는 바탕칠과 비교하여 비싸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량의 안료만이 사실상 규정대로 혼합되며, 대부분의 안료는 결국 비싼 값을 치르고 폐기처분할 수 밖에 없다. 한 통의 조색 페인트 전체를 소비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도 결코 용기의 내용물을 완전히 깨끗하게 비울 수 없기 때문에 오염된 포장물을 폐기처분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선호되는 고형물(분말 또는 입자)의 실시형태로 액상 바탕칠 속에 한 부분 몫씩 분할된 혼합 가능한 안료제제들을 통상 펠릿(pellets) 또는 정제 형태로 압축한다. 부분 몫으로 분할된 안료제제들을 입상물(粒狀物) 또는 정제물(錠劑物)로 제조하는 것은 오염된 포장물을 남기지 않으며, 그때그때 안료제제의 분량을 확실히 관리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계속적으로 발전 개선된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입상제(粒狀劑)와 정제(錠劑)에다가 필요에 따라 보조제(補助劑)를 첨가하여 상기 입상제와 정제가 바탕칠 또는 용액 속에서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특히 물과 화합하여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물질이 적합하다. 또한 기계적인 작용을 하는 폭약을 첨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적절한 섬유소 형태, 특히 C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적합한 폭약제들이 유럽 특허명세서 제EP1491621 및 EP1004656호에서 공개된 것으로서, 이 폭약제들을 명확히 본 특허출원공고에 함께 인용되었다.
상기 부분 몫으로 분할된 안료제제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안료의 부분 몫을 수용성 외피로 피복하여 형성시키는 것이다. 안료의 부분 몫을 계량하여 액상 바탕칠 속에 첨가할 때, 상기 수용성 피복이 용해되어, 안료가 액상 바탕칠을 착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부분 몫으로 분할된 안료제제를 CMC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외피(-外皮)의 피복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밀한 부분 몫의 분할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으로서 간주된다. 특히 안료 부분 몫의 조제 또는 사용은 특히 깨끗하며, 완벽하고, 잔류물(殘留物)이 남지 않는다. 액체, 특히 물 속에서 용해하기 쉬운 피복을 입힌 안료-부분 몫들은 안료제제를 액상 바탕칠 속에 수동혼합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가공을 위해서도 적합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안료-부분 몫들이 최소 2개 이상의 상이한 부분 몫의 양으로 제공된다. 비교적 큰 량의 안료-부분 몫은 강력한 기초색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그다음 1개 또는 복수의 동일한 색상 또는 상이한 색상의 작은 량의 안료-부분 몫들을 첨가하여 계속 뉘앙스를 주면서 조색(調色)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정밀하게 재현 가능하게, 특히 수동으로 혼합할 수 있는 훨씬 다양한 색조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장 시스템의 가변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안료를, 특히 입상제(粒狀劑)와 정제(錠劑) 형상의 부분 몫들의 분할표시를 달아 줌으로써 예를 들어 안료-부분 몫의 2분의 1 또는 4분의 1 등으로 다시 세분하여 바탕칠 속에 용해시킬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정에 따라 입상제 또는 정제의 상이한 부분 몫 크기의 세분화(細分化)를 달성할 수 있다.
#26) 만약 미리 분산된 안료제제를 액체 속에, 특히 물 속에 넣을 때는 안료-부분 몫들은 바탕칠의 색채 조색을 위하여 특히 효과적으로 투입된다. 착색될 바탕칠에 대하여 안료-부분 몫들을 적은 량의 용액속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용해된 안료를 바탕칠 속에 혼합시키면 혼합작용을 크게 촉진시킨다. 짧은 시간동안 혼합 하자마자 바탕칠이 균일하게 착색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착색될 바탕칠의 양에 대하여 약 2%의 수량(水量) 속에 안료를 용해시키면, 안료를 투입하기 전에 고체 상태의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될 것인지를 체크하여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균일한 분산이 바탕칠의 신속하고, 균일한 착색을 위한 기본적인 전제조건이다. 특히 수동혼합에 있어서 기계적 혼합비용의 절감이 특별한 장점으로서 생각된다.
시중에서 통상 거래되는 에멀션 페인트 또는 래커의 양을 조색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안료제제의 분량은 매우 적은 양이다. 따라서 입상제 또는 정제는 경우에 따라 매우 적은 양이다. 고형안료제제의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혼합공정에서 불리하게 작용을 하지 않는 충전제(充塡劑)를 첨가함으로써, 정제와 입상제를 실제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만들어 주는 것이 실용적이다. 통상적인 충전제는 무기성 또는 유기성 물질, 예를 들어 백악(白堊), 황산바륨, 무수규소(無水硅素), 활석(滑石) 등등이다. 선호하게는 착색될 바탕칠과 친화성이 있고, 특히 바탕칠 속에 예를 들어 첨가제로서 함유되어 있는 물질과 친화성이 있는 충전제이어야 한다. 가능한 한 좋은 용해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 성분의 안료-부분 몫은 70% 이하, 특히 선호하게는 50% 이하인 것이다. 원칙적으로 안료-부분 몫은 그때그때 안료의 색채강도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노란 색조에 있어서는 고도의 안료-부분 몫이 선택되며, 짙은 자색에 있어서는 반대로 고도의 색채강도 때문에 낮은 안료-부분 몫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 부분 몫은 20% 이상이어야 한다.
바탕칠의 균일한 착색을 위하여 지금까지는 항상 조색 페인트와 바탕칠은 동일한 농도를 갖거나 또는 안료 페이스트는 착색될 바탕칠의 고체농도(固體濃度) 보다 높은 농도가 지켜져 왔다. 전문가들은 액체상태의 안료를 혼합함으로써 바탕칠을 희석시키면 바탕칠의 가공성을 변화시킨다고 항상 생각하였다. 게다가 안료를 예를 들어 물 속에서 안정된 분산상태에서 오랫동안 놔두는 것은 대체로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놀랍게도 고체 형태,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안료제제를 적은 양의 액체 속에, 특히 물 속에 미리 분산시키고, 이어서 바탕칠 속게 혼합하면, 바탕칠을 착색할 때 정밀도와 재현성이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것은 고점도(高粘度)의 바탕칠에는 특히 유리하다. 이 방법에 따라 추가적으로 혼합되는 액체의 양은 5% 이내, 바람직하게는 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하로서 이 양은 바탕칠의 통상적인 전성(展性/퍼짐성)에 영향을 주지 않을 만큼 작은 량이다. 상기 양은 바탕칠을 퍼지게 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액체의 양 보다 통상 크지 않다. 상기 안료들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오랫동안 수용액 속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분산 안정성은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8 그램의 “녹색” 페인트 안료제제, 여기서는 BASF사의 X-fast -안료를 8 그램의 CMC와 4 그램의 활석을 통상의 정제설비(錠劑設備)에서 압축하고, 2개의 절단용 음각선(陰刻線)을 형성시켜, 정제의 4등분을 가능하게 하였다. 2개의 정제안료를 150ml의 물 속에 분산시킨다. 그 다음, 물에 분산된 안료를 시중에서 구입한 무색 아크릴 래커 수용액 5l 속에 혼합한다. 그 다음, 적절한 교반기 속에 넣고 수동으로 1 내지 2분 동안 교반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적색” 안료로 이루어진 2개의 정제와, “황색” 안료로 이루어진 4개의 정제 및 “흑색” 안료로 이루어진 1/2개의 정제를 함께 시중에서 구입되는 내벽(內壁) 페인트(백색 에멀션 페인트) 10l 속에 넣고 교반한다. 전동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1분 동안 교반한다. 이때 적색과 황색용으로 또한 BASF사의 X-fast -안료를 넣고, 흑색용으로 Rockwood 안료(Brockhues)회사의 안료로서 Granufin Samt N 64를 투입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은 “오렌지색” 안료로 이루어진 1개의 정제와 “황토색” 안료로 이루어진 3개의 정제를 분산기질(分散基質)의 전면도색 페인트 15l 속에 넣고, 적절한 교반기로 수동으로 1 내지 2분간 혼합한다. 이때 Lanxess 도이취란트 GmbH사의 안료가 사용되었다: 즉, 오렌지색용으로 LEVANYL Gran과 황토색용으로 LEXANOX Gran을 사용하였다.

Claims (15)

  1. 표면의 착색피복을 위하여
    - 하나의 바탕칠로 이루어지는 제1 성분과
    - 최소 1개 이상의 고형 안료제제(固形顔料製劑)를 포함하는 제2 성분으로 구성되는 도장 시스템에 있어서
    - 상기 안료제제는 바탕칠 속에 용해될 수 있으며, 그리고
    - 상기 안료제제는 부분 몫으로 분할 되어있고, 이때 안료제제의 부분 몫의 양은 그때그때 준비된 액상 바탕칠의 양에 맞추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착색도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제제는 스티어-인-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료제제의 혼합은 제2성분으로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시스템.
  4. 선행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제제는 액체 속에서, 특히 수중에서 용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시스템.
  5. 선행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제제는 입상제 또는 정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시스템.
  6. 선행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제제는 액체, 특히 수중에서 용해될 수 있는 피복으로 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시스템.
  7. 선행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제제의 부분 몫들은 절단표시가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시스템.
  8. 선행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장 시스템을 위하여 안료제제의 부분 몫들이 최소 2개 이상의 상이한 크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시스템.
  9. 선행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분산보조제 및/또는 충전제가 함유된 안료제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시스템.
  10. 선행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제2 성분의 안료 부분 몫은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시스템.
  11. 바탕칠을 착색하기 위하여
    - 착색될 바탕칠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량의 고형 안료제제를 액체 속에 용해시키는 단계와,
    - 안료제제와 혼합된 액체를 착색될 바탕칠 속에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바탕칠 착색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안료제제가 용해되어 있는 액체의 양은 착색될 바탕칠의 양의 5%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방법.
  13. 제11 내지 1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수동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방법.
  14. 미리 정해진 바탕칠의 양을 착색하기 위하여 준비되는 착색용 안료-부분 몫, 특히 정제 또는 입상제.
  15. 청구범위 제1 내지 10항 중 한 항에 따른 도장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착색용 안료-부분 몫, 특히 정제 또는 입상제.
KR1020077020143A 2005-02-11 2006-02-13 착색도장 시스템, 특히 페인트 및 래커의 착색도장 시스템 KR20070113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06591A DE102005006591A1 (de) 2005-02-11 2005-02-11 Farbgebende Beschichtungssysteme, insbesondere Farben und Lacke
DE102005006591.0 2005-02-11
DE200520008677 DE202005008677U1 (de) 2005-02-11 2005-06-01 Farbgebende Beschichtungssysteme, insbesondere Farben Lacke
DE202005008677.0 2005-06-01
PCT/EP2006/001300 WO2006084760A1 (de) 2005-02-11 2006-02-13 Farbgebende beschichtungssysteme, insbesondere farben und lac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215A true KR20070113215A (ko) 2007-11-28

Family

ID=3663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143A KR20070113215A (ko) 2005-02-11 2006-02-13 착색도장 시스템, 특히 페인트 및 래커의 착색도장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060553A1 (ko)
EP (1) EP1846521A1 (ko)
JP (1) JP2008530286A (ko)
KR (1) KR20070113215A (ko)
CA (1) CA2595955A1 (ko)
EA (1) EA200701701A1 (ko)
MX (1) MX2007009607A (ko)
WO (1) WO2006084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2245A2 (de) * 2006-07-24 2008-01-31 Basf Se Pigmentzubereitungen in tablettenform
WO2014137226A2 (en) 2013-03-05 2014-09-12 D'arcy Polychrome Limited Dry colour systems and methods
US9120950B1 (en) * 2014-03-05 2015-09-01 D'arcy Polychrome Limited Pigment formula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30401A5 (en) * 1977-08-02 1982-06-15 Lonza Ag Solid tablets containing pigments, for colouring dispersions (emulsions) and lacquers (surface coatings)
US6063182A (en) * 1997-09-08 2000-05-16 Ciba Speciality Chemicals Corporation Stir-in pigment compositions
DE19801759A1 (de) * 1998-01-20 1999-07-22 Bayer Ag Wäßrige Pigmentpräparationen
DE19905269A1 (de) * 1999-02-09 2000-08-10 Bayer Ag Feste Pigmentpräparationen
DE10227657A1 (de) * 2002-06-20 2004-01-08 Basf Ag Feste Pigmentzubereitungen, enthaltend anionische und nichtionische oberflächenaktive Addi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95955A1 (en) 2006-08-17
US20080060553A1 (en) 2008-03-13
EP1846521A1 (de) 2007-10-24
MX2007009607A (es) 2007-09-25
WO2006084760A1 (de) 2006-08-17
EA200701701A1 (ru) 2008-02-28
JP2008530286A (ja)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7395C2 (ru) Колеровоч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красочных продуктов
US4204876A (en) Cement color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S59113073A (ja) マ−キングペン用インキ
US3925096A (en) Method of producing resin-containing pigment preparations
KR20070113215A (ko) 착색도장 시스템, 특히 페인트 및 래커의 착색도장 시스템
CA2188814C (en) Pigments
TWI490288B (zh) 微粒狀乾著色劑
JP2005527454A (ja) 肥料の着色方法
CN101115810A (zh) 配色涂料体系,尤其是染色涂料和漆
CN114207053A (zh) 颗粒和由其生产的涂料
EP0138410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oloured detergent powder
CA2619507C (en) A particulate dry tinter comprising at least two pigments process for its preparing and use in a coating composition
JP3009089B2 (ja) 湿粉状顔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3353973A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inting oil and water base paints
JP2773263B2 (ja) アゾレーキ顔料の表面処理方法
RU2688366C1 (ru) Способ окрашивания сложного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удобрения
ITMI981190A1 (it) Paste pigmentarie universali idrodisperdibili zero v.o.c.
US20050032953A1 (en) Mix free paint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JP2004035655A (ja) 顔料組成物の製造方法、該方法で製造される顔料組成物を用いた顔料分散体、および着色用樹脂組成物
US3444118A (en) Dry tinting composition for water-based or water-thinnabl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tinting with said tinting composition
JPH0585597B2 (ko)
US2722485A (en) Method for producing coloring pigment
CA1124912A (en) Cement color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004083908A (ja) 調色塗料の供給方法
JP2006057045A (ja) 顔料組成物、顔料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平版印刷イン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