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2964A - Brake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rake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2964A
KR20070112964A KR1020060046568A KR20060046568A KR20070112964A KR 20070112964 A KR20070112964 A KR 20070112964A KR 1020060046568 A KR1020060046568 A KR 1020060046568A KR 20060046568 A KR20060046568 A KR 20060046568A KR 20070112964 A KR20070112964 A KR 20070112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rake
lever
brake pa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6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2964A/en
Publication of KR20070112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9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4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8Self-amplifying or de-amplifying mechanisms

Abstract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is provided to increase braking friction applying to a brake pad through self-servo mechanism. In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by pressurizing a brake pad installed inside a caliper(500) and braking a vehicle, the brake device comprises: the first cylinder(100) whose one open end is contacted to the brake pad; the second cylinder(200) fitt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first cylinder; and a lever(300) supported to be rotated inside the first cylinder and controlled by the brake pad. In the case of moving of the brake pad, the second cylinder pressurizes the brake pad due to rotation of the lever.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 FOR VEHICLE} Brake System for Vehicles {BRAKE APPARATUS FOR VEHIC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 제동장치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disc brak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브레이크 패드가 결합되는 결합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ke pad is coupled to the vehicle br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를 부분 절개한 절개 사시도. Figure 3a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제1실린더, 제2실린더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3B and 3C are cutaway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irst cylinder and a second cylinder of the brak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3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ver of the brak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마련된 레버의 측면도.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lever provided in the brak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전과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5a and 5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brak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 제1실린더                    110 : 안착부 100: first cylinder 110: seating portion

200 : 제2실린더                    210 : 반구홈 200: second cylinder 210: hemisphere groove

220 : 가이드홈부                   300 : 레버 220: guide groove 300: lever

310 : 받침지지부                   320 : 작동부 310: support portion 320: operating portion

330 : 헤드                         340 : 구속볼 330: head 340: restraint ball

350 : 마찰유닛                     400 : 브레이크 패드 350: Friction unit 400: Brake pad

500 : 캘리퍼                       600 : 디스크 500: Caliper 600: Disc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실린더가 가압하는 브레이크 패드를 자기배력에 의해 제2실린더가 일층 가압하므로 효과적인 제동 마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a second cylinder is pressurized by magnetic force to effectively brake friction.

일반적으로, 제동장치는 주행시 주로 사용되는 주브레이크와 주차시 사용되는 주차브레이크로 분류된다. 주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매개로 제동되는 유압식 브레이크와 큰 제동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사용되는 배력식 브레이크 및 압축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공기브레이크로 분류된다. 유압식 브레이크는 바퀴와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의 양쪽에서 패드를 유압에 의해 눌러 제동하도록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있다. In general, the braking device is classified into a main brake mainly used for driving and a parking brake used for parking. The main brakes are categorized into hydraulic brakes that are braked by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and air brakes that generate the braking force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boosted brake and the compressed air used when a large braking force is required. Hydraulic brakes have disc brakes which allow the pads to be braked by hydraulic pressure on both sides of the disc being rotated with the wheel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 제동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ventional disc brake brak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차량용 제동장치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 제 동장치는 너클에 고정되는 캘리퍼(10)의 내부에 유압으로 작동되는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에 의해 밀려지는 한 쌍의 패드(30)가 내장되고, 상기 한 쌍의 패드(30) 사이로 휠과 동시에 회전되는 디스크(40)가 위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에 발생된 유압에 의해 피스톤(20)이 패드(30)를 디스크(40)에 마찰되도록 밀착시킴으로써 제동력이 발생된다. Referring to FIG. 1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brake device, a conventional disc brake brake device is a pair of hydraulically actuated piston 20 and a piston pushed into the caliper 10 fixed to the knuckle. The pad 30 of the built-in, and the disk 40 is rotate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pair of pads 30 is made of a structure is located, when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by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in the master cylinder ( A braking force is generated by bringing the pad 3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sk 40 to be rubbed.

또한,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 제동장치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강하게 페달을 조작하지 않아도 상기 피스톤(20)에 가해지는 유압의 크기를 증가시켜 충분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스터를 설치되기도 한다. 그런데, 보다  큰 제동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 제동장치에는 피스톤의 개수가 더 설치되거나, 별도의 파워 피스톤이 설치되는 등 제동력을 배가시키는 방법이 고려되기도 한다. In addition, a conventional disc brake brak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booster to increase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piston 20 to generate sufficient braking force even without a strong pedal operation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However, when a larger braking force is required, a method of doubling the braking force may be considered in the conventional disc brake braking device, in which a number of pistons is provided or a separate power piston is installed.

그러나,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 제동장치는 용량의 과도 설계로 인해 효과적인 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제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이 추가됨에 따라 제품 제조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uch a disc brake brake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excessive design of the capacity, which does not produce an effective product, and a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the braking force is add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기배력을 통해 브레이크 패드에 높은 제동 마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high braking friction is achieved on a brake pad through magnetic for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캘리퍼 내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여 차량을 제동시키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개방되는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접촉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내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구속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유동시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실린더가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for braking a vehicle by pressing a brake pad installed inside a caliper, the first cylinder having one open end in contact with the brake pad, and in the first cylinder. A second cylinder coupl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nd a lever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first cylinder and constrained to the brake pad, wherein the second lever is rotated when the brake pad flows. And the cylinder presses the brake pads.

이때, 상기 제1실린더에는 상기 레버가 지지되는 만곡홈이 마련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안착부에 접촉되며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만곡홈에 대응되는 만곡면에 형성되는 받침지지부와, 상기 받침지지부의 양측부에 연장되고, 상기 받침지지부의 회전시 제2실린더를 가압하기 위한 마찰유닛이 마련되는 작동부와, 상기 받침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실린더를 관통하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cylinder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provided with a curved groove for supporting the lever, the lever is in contact with the seating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groove to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It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the ope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friction unit for pressing the second cylinder when the support portion is rotated, and the head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penetrates the second cylinder. .

또한, 상기 제2실린더는 일측부에 반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구홈의 중심부에는 상기 레버의 헤드가 관통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는 상기 레버가 삽입되어 구속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ylinder has a hemispherical groove formed in one side portion, a guide groove portion through which the head of the lever penetrate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emisphere groove, and an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lever is inserted and restrained is formed in the brake pad. Can be.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브레이크 패드가 결합되는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절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 및 도 3c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제1실린더, 제2실린더의 절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coupled to the brake pad for a vehicle br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view showing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brake device, Figure 3b and 3c is a first cylinder of the vehicle brake device ,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ylinder.

도 2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패드(400)에 접촉되는 제1실린더(100)와, 상기 제1실린더(100) 내측에 삽입되는 제2실린더(200)와, 상기 제1실린더(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2실린더(200)의 가압이 가능한 레버(300)를 포함한다. 2 to 3C, the vehicle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ylinder 100 contacting the brake pad 400 and a second cylinder inserted into the first cylinder 100. 200 and a lever 300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first cylinder 100 and capable of pressing the second cylinder 200.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실린더(100)는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으로 캘리퍼(500)에 설치된 브레이크 패드(400)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실린더(100)의 개방되는 일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의 일면에 접촉되고, 내측 타단부는 폐쇄되어 안착부(110)를 형성한다. 상기 안착부(110)에는 레버(300)를 지지하기 위한 만곡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홈(120)은 후술하는 레버(300)의 받침지지부(310)와의 접촉시 이에 대응되는 접촉면을 갖는다. Specifically, the first cylinder 100 is to press the brake pad 400 installed in the caliper 500 by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in the master cylinder, it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hat one side is open. One open end of the first cylinder 100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rake pad 400, and the other inner end thereof is closed to form a seating part 110. A curved groove 120 for supporting the lever 300 is formed in the seating part 110, and the curved groove 120 has a contac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310 of the lev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as

또한, 상기 제1실린더(100)의 개방되는 일단부에는 제2실린더(200)가 삽입되는데, 삽입되는 제2실린더(200)와 상기 제1실린더(100)의 안착부(110) 사이에는 소정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공간은 제2실린더(200)와 상기 제1실린더(100)의 내측 안착부(11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10)에 지지되는 레버(30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a second cylinder 200 is inserted into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100 that is opened, and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cylinder 200 to be inserted and the seating portion 110 of the first cylinder 100. Space is formed. The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ylinder 200 and the inner seating portion 110 of the first cylinder 100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lever 300 supported by the seating portion 110. .

상기 제2실린더(200)는 제1실린더(100)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해당 일측에는 상기 레버(300)의 헤드(330)가 위치되는 오목한 반구홈(210)이 형성되며, 해당 타측에는 상기 레버(300)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지는 가압면(230)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반구홈(210)과 가압면(230)을 관통하는 가이드홈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부(220)에는 상기 소정공간내에 설치되는 레버(30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헤드(330)가 위치되는데, 특히, 상기 레버(300)가 작동되는 경우, 레버(30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작동공간이 제공된다.  The second cylinder 200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ylinder 100, one side of the concave hemisphere groove 210 in which the head 330 of the lever 300 is located Is forme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pressing surface 230 is pressed by the lever 300,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220 penetrating the hemisphere groove 210 and the pressing surface 230 do. The head 330 extending from the lever 300 install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is positioned in the guide groove 220. In particular, when the lever 300 is operated, the operation of the lever 300 is not disturbed. Sufficient operating space is provided.

도 3d 및 도 4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마련된 레버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3D and 4 are perspective views and side views of the lever provided in the vehicle brake device.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300)는 상기 제2실린더(200)를 제1실린더(100)로부터 돌출시킴으로, 브레이크 패드(400)에 강한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레버(300)는 상기 안착부(110)에 접촉되며 소정각도 회전되는 받침지지부(310)와, 상기 받침지지부(310)의 회전시 제2실린더(200)를 가압하는 작동부(320)와, 상기 받침지지부(31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실린더(200)를 관통하는 헤드(3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D, the lever 300 protrudes the second cylinder 200 from the first cylinder 100 so that a strong brak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brake pad 400. For example, the lever 300 is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portion 110 and the support portion 310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operation unit 320 for pressing the second cylinder 200 when the support portion 310 is rotated. ) And a head 330 extending from the base support part 310 and penetrating the second cylinder 200.

상기 받침지지부(31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일면으로 만곡면(360)이 둥굴게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360)에는 상기 안착부(110)의 만곡홈(120)이 접촉되며 상기 받침지지부(310)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받침지지부(310)의 양측부에는 복수개의 작동부(320)가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작동부(320)에는 마찰유닛(350)이 마련되어 상기 받침지지부(310)가 안착부(110)에 지지되며 회전되는 경우, 받침지지부(3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마련된 마찰유닛(350)이 상기 제2실린 더(200)의 가압면(230)을 제1실린더(100)의 삽입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실린더(100)로부터 제2실린더(200)가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지지부(310)의 타면에는 상기 제2실린더(200)의 가이드홈부(220)를 관통하는 헤드(330)가 연장형성되는바, 상기 헤드(330)의 선단에는 구속볼(340)이 마련되어 브레이크 패드(400)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410)에 의해 구속되도록 한다. The support portion 310 has a cylindrical shape, the curved surface 360 is formed rounded on one surface, the curved groove 120 of the seating portion 110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360 and the support portion 310 is rotatably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plurality of operating parts 3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art 310, and a friction unit 350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part 320 so that the support part 310 is supported by the seating part 110. And when it is rotated, the friction unit 350 provid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310 presses the pressing surface 230 of the second cylinder 200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of the first cylinder 100 The second cylinder 200 protrudes from the first cylinder 100. In addition, the head 330 penetrating through the guide groove portion 220 of the second cylinder 20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10, and the restriction ball 340 is formed at the tip of the head 330. It is provided to be restrained by the insertion groove 41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rake pad 400.

이와 같은 구성의 레버(300)는 지렛대 작용을 통해 배력된 힘을 상기 제2실린더(2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330) 선단의 구속볼(340)에 힘(m)이 가해지면,(구속볼(340)에 작용되는 힘(m)은 브레이크 패드(400)로부터 전달된다) 상기 받침지지부(310)를 중심으로 회전모먼트(m×a)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320)의 마찰유닛(350)에서도 상기 구속볼(340)에서의 회전모먼트(m×a)에 대응되는 회전모먼트(w×b)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마찰유닛(350)에서는 상기 구속볼(340)에 작용되는 힘(m)보다 큰 힘(w)이 작용하게 된다. 단, 이때, a의 길이는 b의 길이보다 커야 한다. 이와 같이 증가된 힘(w)은 상기 마찰유닛(350)에 접촉되는 제2실린더(200)를 가압하여 상기 제1실린더(100)로부터 돌출시키므로, 일층 증가된 힘을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에 전달하여 제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실린더(100)를 통해 브레이크 패드(400)에 전달된 힘이 f의 크기를 갖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가 상방향으로 m의 힘이 작용된다고 하면, 상기 레버(300)의 배력작용에 의해 w의 힘이 증가되어 결국,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에 가해지는 힘은 f+w으로 증가되며 그에 따른 제동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lever 300 of such a configuration may transmit the force exerted through the lever action to the second cylinder 200. That is, as shown in Figure 4, when a force (m) is applied to the restraining ball 340 at the tip of the head 330 (the force (m) acting on the restraining ball 340 is the brake pad 400) Rotation moment (m × a) is generated around the support portion 310. At this time, the friction unit 350 of the operating unit 320 also generates a rotation moment (w × b)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moment (m × a) in the restraint ball 340, the friction unit At 350, a force w greater than the force m acting on the restraint ball 340 is acted upon. However, at this time, the length of a must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b. As such, the increased force (w) presses the second cylinder 200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unit 350 to protrude from the first cylinder 100, thus further increasing the force to the brake pad 400. Can increase the braking force. For example, when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brake pad 400 through the first cylinder 100 has a magnitude of f, and the brake pad 400 acts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lever 300 is applied. Due to the back action of the force of w is increased, eventually, the force applied to the brake pad 400 is increased to f + w and thereby the braking force can be improved.

그러나, 상술한 레버(3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지렛대 작용으로 레버(300)가 상기 제2실린더(200)를 가압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의 제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은 모두 포함한다.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lever 300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lever 300 that increases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pad 400 by pressing the second cylinder 200 by a lever action. d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brak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a 및 도 5b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전과 작동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before and after an operation of a vehicle brake device.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에 의해 상기 제1실린더(100)를 밀어주는 힘(f)이 작용하면, 상기 제1실린더(100)에 접촉되어 있는 브레이크 패드(400)에 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는 디스크를 압착하여 제동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First, as illustrated in FIG. 5A, when a force f for pushing the first cylinder 100 by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in the master cylinder is applied, the brake pad 40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ylinder 100. ), The brake pad 400 compresses the disk to generate a braking frictional force.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마찰력이 디스크에 발생되면,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가 디스크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힘(m)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의 상방향 유동은 레버(300)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레버(300)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의 상방향 유동에 의해 헤드(330)의 구속볼(34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실린더(100)의 안착부(110)에 지지되는 받침지지부(310)가 소정각도 회전된다. 상기 받침지지부(310)가 회전되면 상기 작동부(320)의 마찰유닛(350)은 제2실린더(200)의 가압면(230)을 가압하고, 상기 마찰유닛(350)에 의해 상기 제2실린더(200)는 제1실린더(100)에서 돌출되어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를 가압한다. 결국,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에는 초기 상기 제1실린더(100)가 가하는 힘(f)과, 상기 레버(300)의 자기배력 작용을 통해 제2실린더(200)가 가하는 힘(w)이 함께 전달되므로, 상기 브레이크 패드(400)를 통한 확실한 브레이크 제동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5B, when the braking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disk, the brake pad 400 causes the force m to act upwar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isk, and the brake pad 400 moves upward. The flow actuates the lever 300. At this time, the lever 300, the restraint ball 340 of the head 330 is moved upward by the upward flow of the brake pad 400, and at the same time the seating portion (1) of the first cylinder (100) The support portion 310 supported by the 11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supporting support 310 is rotated, the friction unit 350 of the operating unit 320 presses the pressing surface 230 of the second cylinder 200, and the second cylinder is driven by the friction unit 350. 200 protrudes from the first cylinder 100 to press the brake pad 400. As a result, an initial force f applied by the first cylinder 100 and a force w applied by the second cylinder 200 through the self-lifting action of the lever 300 are combined with the brake pad 400. Since it is transmitted, a reliable brake braking through the brake pad 400 is possibl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으로 보다 강한 제동 마찰력을 브레이크 패드에 전달하므로, 효과적인 브레이크 제동을 통한 연비의 향상 등 효율적으로 차량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stronger braking friction force to the brake pads by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in the master cylinder, there is an economical advantage that the vehicle can be efficiently used, such as fuel efficiency improvement through effective brake braking.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레버의 자기배력작용을 통해 브레이크 패드의 제동력을 일층 향상시키므로, 차량의 운행중 확실한 브레이크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pad is further improved by the self-lifting action of the lever using the lever principle, so that the brake braking is perform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us the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또한, 본 발명은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동일한 유압으로 보다 강한 제동 마찰력을 브레이크 패드에 전달하므로, 효과적인 브레이크 제동을 통한 연비의 향상 등으로 차량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stronger braking friction force to the brake pads with the sam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in the master cylinder, there is an economical advantage that an efficient use of the vehicle is possible by improving fuel efficiency through effective brake braking.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높은 브레이크 제동력의 제공이 가능하 므로, 이와 같은 제동력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부품수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igh brake braking force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to obtain such a braking forc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Claims (5)

캘리퍼 내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여 차량을 제동시키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In a vehicle brake apparatus for braking a vehicle by pressing a brake pad installed inside a caliper, 개방되는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접촉되는 제1실린더와, A first cylinder having an open end thereof in contact with the brake pad; 상기 제1실린더내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제2실린더와, A second cylinder coupled to a predetermined space in the first cylinder, 상기 제1실린더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구속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A lever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first cylinder and constrained to the brake pad,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유동시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실린더가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And the second cylinder presses the brake pa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when the brake pad flows.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실린더에는 The first cylinder 상기 레버가 지지되는 만곡홈이 마련된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curved groove that is supported by the lever.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레버는 The lever is 상기 안착부에 접촉되며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만곡홈에 대응되는 만곡면에 형성되는 받침지지부와, A support portion formed o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groove so as to contact the seating portion and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받침지지부의 양측부에 연장되고, 상기 받침지지부의 회전시 제2실린더를 가압하기 위한 마찰유닛이 마련되는 작동부와, An actuating part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part and provided with a friction unit for pressing the second cylinder when the supporting part is rotated; 상기 받침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실린더를 관통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And a head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penetrating the second cylinder. 청구항 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제2실린더는 The second cylinder 일측부에 반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구홈의 중심부에는 상기 레버의 헤드가 관통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Hemispherical groove is formed in one side, the brake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portion through which the head of the lever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emisphere groov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는 The brake pad 상기 레버가 삽입되어 구속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s formed by the lever is restrained.
KR1020060046568A 2006-05-24 2006-05-24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200701129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568A KR20070112964A (en) 2006-05-24 2006-05-24 Brake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568A KR20070112964A (en) 2006-05-24 2006-05-24 Brake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64A true KR20070112964A (en) 2007-11-28

Family

ID=3909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568A KR20070112964A (en) 2006-05-24 2006-05-24 Brake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296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6469B2 (en) Electric brake
KR101885977B1 (en) Brake apparatus
JP2002174275A (en) Disc brake
WO2017090734A1 (en) Brake device
JP4170761B2 (en) Disc brake
KR20070112964A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20100005988A (en) Calliper for disk brake system
KR20100030285A (en) Electro mechanical brake system having ratchet typed electro parking brake device
KR101208370B1 (en) Caliper Disk Brake
JP2002349614A (en) Brake caliper device
KR102265283B1 (en) Brake disc unit for vehicles
KR20100030010A (en) Electro mechanical brake system having electric parking brake function
JP2010025313A (en) Electric brake device
KR20060086615A (en) Structure of caliper type brake
KR100254415B1 (en) Disc brake cylinder structure
KR100534971B1 (en) Noise reducing apparatus of brake
KR101316170B1 (en) a brake pad cover shim for vehicle&#39; disc brakes
KR20070009114A (en) Eletronic button type parking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070062765A (en) Parking brake for vehicle
KR19990030521U (en) Caliper Rollback Device of Vehicle Braking System
JP2006170241A (en) Duo-servo type drum brake device
KR100694014B1 (en) The Pad return springs of Disk Brake for Vehicles
KR100418953B1 (en) Disc brake of automobile
KR0135328Y1 (en) Wheel brake device by ball
KR100405564B1 (en) Parking brake system i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