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988A -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988A
KR20070107988A KR1020060040660A KR20060040660A KR20070107988A KR 20070107988 A KR20070107988 A KR 20070107988A KR 1020060040660 A KR1020060040660 A KR 1020060040660A KR 20060040660 A KR20060040660 A KR 20060040660A KR 20070107988 A KR20070107988 A KR 20070107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presentation
group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195B1 (ko
Inventor
곽재도
양승헌
윤종근
최병호
한성철
김진태
정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문화방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문화방송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195B1/ko
Priority to US11/735,375 priority patent/US20080037683A1/en
Priority to JP2007111582A priority patent/JP2007300614A/ja
Priority to CN2007101013831A priority patent/CN101094416B/zh
Priority to EP07008136.9A priority patent/EP1868307B1/en
Publication of KR2007010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1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표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는 콘텐츠 표출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의 표출에 관련된 콘텐츠표출정보와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메모리부; 상기 콘텐츠 표출 장치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콘텐츠표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가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제어부; 및 상기 콘텐츠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표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광고 등의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
콘텐츠, 이벤트, 전송, 표출, 제어, 광고

Description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표출 방법{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ents, apparatus for outputting contents,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and method for outputting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 장치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콘텐츠 표출 정보 중 부가 정보 필드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Multimedia Object Transfer ; MOT) 프로토콜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10 : 콘텐츠표출정보생성부 120 : 콘텐츠저장부
130 : 데이터변환부 140 : 전송부
202 : 신호(송)수신부 205 : 신호복호부
220 : 메모리부 230 : 콘텐츠제어부
240 : 출력부
본 발명은 콘텐츠 전송 방법, 콘텐츠 표출 방법,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표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수신 단말기가 발달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contents)가 제작되고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영상 등을 처리하여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내용물 또는 정보를 총칭한다.
방송 사업자나 통신 사업자 등의 콘텐츠 전송측이 광고 콘텐츠와 같은 콘텐츠를 유무선의 통신망으로 전송하면, 수신측은 그 콘텐츠를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출한다. 콘텐츠는 콘텐츠 전송측에서 제작할 수도 있고, 별도의 제작자가 있을 수 있다.
광고 콘텐츠를 예로 들면, 별도의 광고 제작사가 광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고, 방송국 등의 전송측이 그 광고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수신측은 그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여 광고를 보거나 들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콘텐츠는 제작, 전송, 표출에 있어서 각기 다른 주체를 갖는 사업모델의 대상이 된다.
콘텐츠를 수신할 경우 텔레비전, 모바일 폰 등의 수신 단말기는 그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출할 수 있다. 수신 단말기가 DVR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콘텐츠를 저장 하였다가 추후에 저장한 콘텐츠를 표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DVR(digital video recorder)은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digital video contents)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플랫폼(hardware/software platform)을 통칭하는 것이다(이하 본 명세서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DVR(digital video recorder)은 셋탑 박스(settop-box), 디지털 텔레비전 셋(digital television set), PVR(personal video recorder)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방송 등의 전송매체에 광고 등의 콘텐츠를 포함시켜 전송할 경우 DVR 기능을 가지는 수신 단말기는 전송한 콘텐츠를 저장한 후 콘텐츠를 선별하여 표출할 수 있다. 이러한 선별적인 표출 방법은 종래의 콘텐츠 비지니스 모델이 무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신 단말기의 DVR 기능은 저장한 방송 중 광고 콘텐츠를 제외하고 표출시킬 수 있는데, 이는 콘텐츠를 표출시킬 목적을 가지는 광고 콘텐츠 제작사나, 광고 콘텐츠 전송자에게는 광고 표출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방송과 함께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가 수신 단말기의 DVR 기능에 의해 제외되고 표출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제작사나 방송 사업자는 종래 비지니스 모델에 의한 광고 효과를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는 그 디지털 장치를 온(on)시킬 경우 부팅시간을, 오프시킬 경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종료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방송망 또는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기가 디지털 방송의 채널을 전환하거나, 무선 인터넷 접속 등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표출할 경우 또는 저장한 어플리케이션을 로딩(loading)할 경우에 수신한 디지털 방송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표출하는데 무시할 수 없는 시간이 소요된다.
이하에서 단말기라 함은 유무선의 방송망 또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수신한 정보를 표출하는 장치를 총칭한다. 또한, 이하에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라 함은 단말기에서 어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코드, 또는 개념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이나 코드에 의해 구현되는 구현 기능 자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위와 같이 단말기가 온/오프되거나, 방송 채널을 전환하거나, 수신한 콘텐츠를 복호하거나, 인터넷 접속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 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표출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이나 이동통신 단말기 같은 통신단말기가 현재 표출하는 채널로부터 다른 채널로 방송 채널을 전환할 경우, 단말기가 방송을 표출하지 못하는 시간은 현재 약 5초 내외로 이 시간에 단말기의 사용자는 방송을 시청할 수 없다.
따라서, 방송을 수신하거나 통신에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의 시청자는 위와 같은 단말기의 이벤트로 인해 단말기 사용에 불쾌감을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이나 통신의 수신 단말기의 채널 변경 등의 단말기 이벤트로 인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콘텐츠 표출 방법,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표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국 등의 콘텐츠 전송측이 콘텐츠 수신 단말기의 콘텐츠 표출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방법, 콘텐츠 표출 방법,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표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광고 등의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콘텐츠 표출 방법,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표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텐츠(contents)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전송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형식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차원(次元)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개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의 표출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콘텐츠 그룹의 일련번호를 정의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여 표출할 수 있는 장치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한 콘텐츠를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생성한 콘텐츠(contents)를 저장하는 콘텐츠저장부; 상기 생성한 콘텐츠의 표출에 관련된 콘텐츠표출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표출정보생성부; 상기 생성된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전송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변환부가 변환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는 콘텐츠 표출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의 표출에 관련된 콘텐츠표출정보와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콘텐츠 표출 장치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콘텐츠표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가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제어부; 및 상기 콘텐츠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표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이 가능한 콘텐츠 표출 장치에 있어서,광고 콘텐츠와 상기 광고 콘텐츠의 콘텐츠표출정보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상기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하는 정보가 설정된 경우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와 상기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콘텐츠 표출 장치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콘텐츠표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하는 제어하는 콘텐츠제어부; 및 상기 콘텐츠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콘텐츠(contents)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전송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형식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단말기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한 콘텐츠를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 장치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송하는 콘텐츠가 방송용 광고 콘텐츠이고, 그 광고 콘텐츠는 다수의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쇼(slide show)일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콘텐츠일 경우에도 동일한 사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방송망이 아닌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를 전송할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 장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함께 전송하는 콘텐츠들이 표출될 수 있는 콘텐츠 표출 정보를 부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방송국 등의 콘텐츠 전송측은 콘텐츠 표출 정보를 전송 신호에 부가함으로써, 수신 단말기에서 다양한 콘텐츠가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의 콘텐츠 표출 정보가 포함되는 데이터 구조의 일 예는, 전송하는 콘텐츠의 데이터의 구조와 관련된 정보가 속하는 제 1 필드, 콘텐츠가 표출될 경우 필요한 부가 정보가 속하는 제 2 필드 및 콘텐츠에 대한 로우 데이터(raw data)가 속하는 제 3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필드는 콘텐츠를 전송할 경우 함께 전송할 수 있는 헤더 필드라고 호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필드는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필드이므로, 일반적으로 데이터 필드 또는 바디(body) 필드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그 명칭에 국한되어 해석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필드를 부가 정보 필드로 호칭한다. 부가 정보 필드는 콘텐츠를 표출할 경우 필요한 콘텐츠 표출 정보로서, 콘텐츠의 종류나 콘텐츠의 표출 방법에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표출 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한 필드 중 어느 필드에도 속할 수 있지만, 콘텐츠가 표출될 경우 필요한 정보가 속하는 부가 정보 필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같이 일반적으로 콘텐츠를 전송할 경우 콘텐츠와 콘텐츠 표출 정보를 함께 전송하지만, 반드시 함께 전송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작사가 별도로 콘텐츠를 제작하여 전송하고, 콘텐츠 표출 정보는 방송국이나 통신 사업자 등 수신 단말기의 콘텐츠 표출을 제어하고자 하는는 측에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는 하나의 콘텐츠가 하나의 파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파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콘텐츠 표출 정보가 다수의 콘텐츠 파일을 표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콘텐츠 표출 정보가 부가 정보 필드에 포함될 경우 부가 정보 필드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필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텐츠 표출 정보는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콘텐츠 표출 여부를 정의하는 제 1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a).
콘텐츠 전송측이 콘텐츠 수신측에 콘텐츠 표출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 1필드에 콘텐츠 표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제 1 필드가 1인 경우 수신 단말기는 이미 수신하여 저장한 콘텐츠를 단말기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표출하도록 정의하였다. 제 1 필드가 0인 경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한 콘텐츠를 표출하지 않도록 정의할 수 있다.
콘텐츠 표출 정보는 콘텐츠가 표출되는 단말기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정의하는 제 2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b).
도 2의 예는 제 2 필드가 1인 경우 방송 채널 전환 이벤트, 2인 경우 수신 단말기의 온/오프 이벤트, 3인 경우 단말기의 통신망 연결 시도 이벤트, 4인 경우 착신 알림 이벤트를 정의한 것이다.
단말기에서는 위에서 열거한 예 이외에 다양한 이벤트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에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수행시키는 이벤트가 있을 수 있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이벤트도 있을 수 있다.
제 2 필드는 이러한 다양한 이벤트를 정의할 수 있고, 단말기는 그 이벤트 발생시 수신하여 콘텐츠 표출 정보에 따라 수신하여 저장한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방송을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방송의 음영 지역에 들어가게 되어 방송 전파의 파워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는 이벤트가 제 2 필드에 설정될 수 잇다. 그러한 경우 단말기는 콘텐츠 표출 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수신하여 저장한 콘텐츠를 표출시키도록 콘텐츠 표출 정보에 정의될 수 있는 이벤트를 콘텐츠 표출 이벤트라고 총칭한다. 수신 단말기는 단말기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이벤트에 따라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예에서는 콘텐츠 이미지가 슬라이드 쇼로 표출되는 경우를 가정했다.
도 2의 예에서 콘텐츠 표출 정보는 이미지 콘텐츠가 표출될 경우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 상의 차원(次元)을 정의하는 제 3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c).
좌우의 눈에 각각 좌우 방향에서 본 것과 동일한 이미지를 제시하여 두 눈에 시차(視差)를 주고, 두 눈에 의한 각 이미지를 합성하면 하나의 3차원 이미지가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2차원 이미지를 적절히 합성하면 양안시차(兩眼視差)를 이용하여 표출한 이미지가 3차원 이미지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오른쪽 눈이 보는 이미지(R)와 왼쪽 눈이 보는 이미지(L)를 합성한 후, 사람의 시각에서 합성된 이미지를 보면 그 이미지 상이 입체적인 이미지로 보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오른쪽 눈이 보는 이미지와 왼쪽 눈이 보는 이미지가 준비되고, 왼쪽 이미지(L)와 오른쪽 이미지(R)를 픽셀 단위로 합성하면 사람의 시각적으로 3차원 이미지가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두 이미지를 합성하는 방법은 주로 보간 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가 3차원으로 연속하여 재생되면, 3차원 이미지를 가지는 동 영상을 가지는 콘텐츠가 표출될 수 있는데, 제 3 필드는 이와 같이 콘텐츠가 3차원으로 표출될 수 있을지 여부를 정의한다. 도 2의 예는 제 3필드가 0인 경우 2차원 콘텐츠가, 1인 경우 3차원 콘텐츠가 표출됨을 보인 것이다.
콘텐츠 표출 정보는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표출되는 콘텐츠의 속성을 정의하는 제 4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d). 도 2의 예에서 콘텐츠의 속성은 수신하여 저장한 콘텐츠의 저장기간(1), 저장한 콘텐츠의 표출 회수(2), 콘텐츠의 표출시간(3),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4), 단말기 제조사(5), 단말기의 위치정보(6),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7)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와 그 콘텐츠가 표출되는 단말기 및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콘텐츠 표출에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저장기간은 저장한 콘텐츠가 저장되어 표출될 수 있는 기간을 설정하는 필드이다. 기간의 단위는 콘텐츠 표출 정보를 설정하여 전송하는 측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저장한 콘텐츠의 표출 회수는 콘텐츠가 정해진 회수로 표출되도록 정의한 것이다. 정해전 회수로 표출된 콘텐츠는 그 콘텐츠가 저장된 단말기의 메모리부에서 소멸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콘텐츠 표출 시간은 콘텐츠 표출 이벤트시 콘텐츠가 표출되는 시간을 정의한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와 단말기 제조사는 각각 콘텐츠 전송측과 단말기 생산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 정보가 각각 설정된다면, 콘텐츠 표출 이벤트시 표 출되는 콘텐츠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나 단말기의 제조사에 의해 달라질 수도 있다.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으로 얻을 수 있다. 콘텐츠 표출 이벤트시 표출되는 콘텐츠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텐츠의 속성 정보는 콘텐츠가 다양하게 표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를 형성하는 콘텐츠 파일은 여러 개의 파일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슬라이드 쇼인 경우 다수의 슬라이드 이미지 파일이 하나의 콘텐츠 그룹을 형성하고, 그 콘텐츠 그룹에 속하는 슬라이드가 슬라이드 쇼로 표출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표출 정보는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 5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e).
도 2의 예에서 제 5필드는 단말기에 이벤트 발생시 표출할 수 있는 콘텐츠 파일의 수를 0부터 99까지의 일련번호로 나타낸다.
콘텐츠 표출 정보는 콘텐츠가 표출될 경우 저장된 콘텐츠 파일이 속하는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 6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f).
도 2의 예에서 제 6필드는 한 그룹 내 콘텐츠의 일련번호를 0부터 99까지 나 타낸 것이다.
또는 콘텐츠 표출 정보는 표출되는 콘텐츠가 3차원 이미지 상일 경우, 3차원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두 개의 이미지에 대한 일련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 의 예에서는 일련번호 중 짝수는 왼쪽 눈에 보이는 이미지(L)의 일련번호를, 홀수는 오른쪽 눈에 보이는 이미지(R)의 일련번호를 각각 나타낸다.
콘텐츠 표출 정보는, 콘텐츠 그룹의 표출 간격을 나타내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 7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g).
제 7필드는 그룹단위로 표출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그룹의 표출 간격 시간을 정의하는데, 도 2의 예에서는 그룹의 표출 간격을 0.1초 단위로 한 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0일 경우 그룹 단위로 표출되지 않을 경우를 나타낸다.
콘텐츠 표출 정보는, 콘텐츠 그룹의 일련번호를 정의하는 제 8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g). 도 2의 예는 그룹의 일련번호가 0부터 999999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 장치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전송 데이터가 담길 수 있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Multimedia Object Transfer ; MOT) 프로토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 장치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를 더욱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개념을 도 3(a) 및 도 3(b)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 및 통신 전송 규약의 하나로서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Multimedia Object Transfer ; MOT) 프로토콜이 있다.
먼저 도 3(a)는 ETSI EN 301 234 V2.1.1의 DAB(multimedia audio broadcasting) MOT 프로토콜의 일부 데이터 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설명한 필드들은 MOT 프로토콜의 미지정(reserved) 영역에 정의할 수 있다. 도 3(a)에서 미지정 영역은 음영으로 표시하였다. 또는 전송 데이터를 지정된 영역이지만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parameter를 가지는 필드에 정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 장치의 확장성을 위해 MOT 프로토콜의 미지정 영역 중 가변 길이(variable)의 데이터 필드에 콘텐츠 표출 정보를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의 예는 가변 길이를 가진 지정영역인 ContentName 필드(a)에 도 2에서 설명한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MOT 프로토콜에서 ContentName 필드의 사용은 선택적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콘텐츠 표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b)는 ContentName을 위한 특성 지시자(indicator)로서, 음영으로 표시한 부분은 ContentName 필드에 아라비아 숫자로 데이터가 채워져 전송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데이터 필드는 아라비아 숫자의 아스키(ASCII)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에서 예시한 데이터 필드와 그 데이터 필드 값을 도 3(a)의 ContentName에 삽입하여 콘텐츠 표출 정보를 전송하면, 그 콘텐츠 표출 정보에 따라 수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이벤트 발생시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위의 전송 데이터는 MOT 프로토콜 이외에 다른 방송 전송 규약 또는 통신 전 송 규약으로도 전송이 가능하며 MOT 프로토콜은 구체적인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콘텐츠 표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예로서, 메인(main) 채널의 데이터 필드 이외에 서브(sub) 방송의 데이터 필드나 데이터 방송 채널을 통해 콘텐츠 표출 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다. 데이터 방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할 경우 BIFS(BInary Format for Scenes)을 이용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외에 유무선의 통신 규약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 표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장치의 일 실시예는 콘텐츠표출정보생성부(110), 콘텐츠저장부(120), 데이터변환부(130) 및 전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장치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텐츠표출정보생성부(110)는 전송할 콘텐츠에 대한 표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표출 정보는 콘텐츠의 표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표출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 콘텐츠가 표출되는 이미지의 차원에 대한 정보, 콘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콘텐츠의 파일 수에 대한 정보,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 내 파일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간 표출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콘텐트 그룹번호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저장부(120)는 전송하려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콘텐츠는 콘텐츠 전송 장치 자체 내에서 생성한 콘텐츠일 수도 있고, 콘텐츠 전송 장치의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콘텐츠일 수도 있다.
데이터변환부(130)는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형식은 전송하는 데이터의 형식이 방송일 경우 방송 신호 전송을 위한 규약에 따른 형식일 수 있다. 그리고, 전송 데이터의 형식이 양방향 무선 통신일 경우 그 통신 규약에 의한 데이터 형식일 수도 있다. 즉, 데이터변환부(130)는 전송하려는 콘텐츠 데이터를 그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송 데이터 형식이 방송 신호인 경우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의 방송 신호를 물리 계층으로 변환시키고, 전송 데이터 형식이 통신 신호일 경우 유무선 통신에 따른 물리 계층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전송부(140)는 유무선의 방송 및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물리 계층으로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를 유무선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텐츠와 그 콘텐츠 표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 콘텐츠 표출 정보의 내용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콘텐츠와 콘텐츠 표출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 규격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S20).
그리고, 전송 규격으로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3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도 6의 일 실시예는 메모리부(220), 콘텐츠제어부(230) 및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출 장치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부(220)는 유무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가 메모리부(220)에 저장될 경우 상기 메모리부(220) 내 각각의 저장영역에 저장될 수 있고, 다른 별개의 메모리부에 각각 저장될 수도 있다.
콘텐츠제어부(230)는 단말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그 이벤트 발생시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콘텐츠제어부(230)의 신호에 따라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시각적으로 콘텐츠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콘텐츠 표출 장치는 신호수신부(202), 신호복호부(20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202)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이동 통신을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신호수신부(202)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이거나, 이동 통신을 위한 이동 통신부일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표출 장치가 듀플렉스(duplex)방식의 통신을 할 경우 상기 202 블럭은 신호송수신부로 호칭할 수도 있다.
신호복호부(205)는 신호수신부(202)가 수신한 콘텐츠를 복호하거나, 메모리부(220)가 저장한 콘텐츠를 복호할 수 있다. 신호복호부(205)는 복호한 콘텐츠를 별도의 임시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거나, 메모리부(220)에 다시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제어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면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저장된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 표출 이벤트는 채널 변환, 장치의 온/오프, 통신망에 연결시도 및 통신 착신시 등의 다양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표출 장치는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표출하기 때문에 콘텐츠 전송측이 전송하는 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전송측은 콘텐츠 표출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표출 장치의 콘텐츠 표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콘텐츠 표출 장치의 동작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콘텐츠 표출 장치가 이동수신 단말기이고, 콘텐츠가 방송용 광고 콘텐츠이고, 사용자가 이동수신 단말기로 방송을 시청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이동수신 단말기가 제 1 방송국이 전송하는 방송을 방송망을 통해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이동수신 단말기는 제 1 방송국의 방송망을 통해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 1 방송국이 전송하는 채널로부터 제 2 방송 국이 전송하는 채널로 채널 변경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바람직하게는 채널 변경 시간 동안 표출할 수 있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오프(off)할 경우 제 1 방송국으로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표출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는 슬라이드 쇼일 수 있고 단말기의 알림음만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DVR 기능을 구비할 경우, 수신한 방송 중 광고 방송을 제외하고 표출할 수 있다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바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전송측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전송측이 광고의 종류, 표출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채널 변경 시간과 같은 콘텐츠 표출 이벤트 시간에 광고 등의 콘텐츠 전송측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화면 변환을 기다리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만약 제 1 방송국에서 제 1 광고 콘텐츠와 제 1 광고의 콘텐츠표출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방송국에서 제 2 광고 콘텐츠와 제 2 광고 콘텐츠의 콘텐츠표출정보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방송국에서 전송한 방송을 수신하여 표출하는 중 단말기의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 1 방송국에서 전송하여 저장한 제 1 광고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2 방송국에서 전송 한 방송을 수신하여 표출하는 도중 단말기의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 2 방송국에서 전송받아 저장한 제 2 광고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 방송국의 채널을 표출하다가, 제 2 방송국의 채널로 변경할 경우 제 1 방송국으로부터 이미 제 1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였기 때문에 저장한 제 1 광고 콘텐츠를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표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 1 방송국에서만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고, 제 2 방송국에서는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방송국의 방송 채널을 표출하는 도중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 1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표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표출 이벤트 중 제 1 방송국의 채널에서 제 2 방송국의 채널로 채널이 변경되면 제 1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광고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 반면 제 2 방송국의 채널로부터 제 1 방송국의 채널로 채널이 변경되면 제 1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표출할 있다. 이 경우 표출되는 광고 콘텐츠는 가장 최근에 저장한 광고 콘텐츠이거나 가장 빈도가 높게 표출되는 광고 콘텐츠일 수 있고, 콘텐츠 전송측이 콘텐츠 전송시 지정한 콘텐츠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신 단말기가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표출하는 콘텐츠는 콘텐츠 전송측에서 설정한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전송측이 전송하는 콘텐츠표출정보는, 수신 단말기가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하는 제어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또는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수신한다(S110).
수신한 콘텐츠표출정보에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하는 정보(도 2의 예의 제 1 필드가 1)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그 판단 결과, 콘텐츠 표출 정보에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하는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S120의 No),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를 표출된다(S125).
혹은 S125단계에서 콘텐츠가 표출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콘텐츠가 만약 방송 신호에 포함된다고 가정할 경우, 콘텐츠가 메인 방송 채널로 전송되면 S125에서는 콘텐츠가 저장되지 않고 표출되지만, 서브 채널로 전송되는 콘텐츠일 경우 저장되지도 않고 표출되지도 않기 때문이다.
만약,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하는 정보가 설정된 경우(도 2의 예에서 제 1 필드가 1로 설정할 경우)가 있을 경우(S120의 Yes)에는 상기 수신한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 표출 정보를 저장한다(S130). 마찬가지로 콘텐츠가 메인 방송 채널로 전송되 것이라면 본 S130단계에서 저장되면서 표출된다.
그리고, 단말기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단말기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S140의 아니오) 상기 저장한 콘텐츠가 표출되지 않지만(S145), 단말기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면(S140 의 예), 상기 저장한 콘텐츠 표출 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S150).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전송측은 전송한 콘텐츠 표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고, 콘텐츠 수신측은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도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있다.
동일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특허명세서로부터 본 발명을 변경하거나 변형하는 것은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기 명확하게 기재되었더라도, 그것을 여러 가지로 변경하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과 관점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관점 내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콘텐츠 표출 장치 및 콘텐츠 표출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콘텐츠 표출 장치 및 콘텐츠 표출 방법에 의하면 방송이나 통신의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말기에 채널 변경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라도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전송 방법에 의하면 방송국 등의 콘텐츠 전송측이 전송하는 콘텐츠를 수신 단말기에서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출 장치 및 콘텐츠 표출 방법에 의하면 수신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광고 등의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콘텐츠 표출 장치 및 콘텐츠 표출 방법에 의하면 DVR 기능을 가진 수신 단말기에서도 전송한 광고 콘텐츠 등의 콘텐츠가 예외없이 표출될 수 있다.

Claims (16)

  1. 콘텐츠(contents)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전송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형식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차원(次元)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개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의 표출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콘텐츠 그룹의 일련번호를 정의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4.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여 표출할 수 있는 장치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한 콘텐츠를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차원(次元)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개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의 표출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콘텐츠 그룹의 일련번호를 정의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방법.
  7. 생성한 콘텐츠(contents)를 저장하는 콘텐츠저장부;
    상기 생성한 콘텐츠의 표출에 관련된 콘텐츠표출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표출정보생성부;
    상기 생성된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전송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변환부가 변환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차원(次元)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개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의 표출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콘텐츠 그룹의 일련번호를 정의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10. 콘텐츠를 표출할 수 있는 콘텐츠 표출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의 표출에 관련된 콘텐츠표출정보와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콘텐츠 표출 장치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콘텐츠표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가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제어부; 및
    상기 콘텐츠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표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차원(次元)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개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의 표출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콘텐츠 그룹의 일련번호를 정의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장치.
  13. 이동통신이 가능한 콘텐츠 표출 장치에 있어서,
    광고 콘텐츠와 상기 광고 콘텐츠의 콘텐츠표출정보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상기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하는 정보가 설정된 경우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와 상기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콘텐츠 표출 장치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콘텐츠표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하는 제어하는 콘텐츠제어부; 및
    상기 콘텐츠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장치.
  14. 콘텐츠(contents)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콘텐츠와 콘텐츠표출정보를 전송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형식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단말기에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콘텐츠 표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콘텐츠표출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한 콘텐츠를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출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표출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차원(次元)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속성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개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파일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 콘텐츠 그룹의 표출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콘텐츠 그룹의 일련번호를 정의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출 방법.
KR1020060040660A 2006-05-04 2006-05-04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KR10119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660A KR101191195B1 (ko) 2006-05-04 2006-05-04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US11/735,375 US20080037683A1 (en) 2006-05-04 2007-04-13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outputting content,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outputting content and a data structure for transmitting content
JP2007111582A JP2007300614A (ja) 2006-05-04 2007-04-20 コンテンツの送信装置、出力装置、送信方法、出力方法、及びコンテンツ送信データ構造
CN2007101013831A CN101094416B (zh) 2006-05-04 2007-04-20 用于传送和输出内容的装置、用于传送和输出内容的方法以及用于传送内容的数据结构
EP07008136.9A EP1868307B1 (en) 2006-05-04 2007-04-20 Transmitting and outputting content triggered by an event at the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660A KR101191195B1 (ko) 2006-05-04 2006-05-04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988A true KR20070107988A (ko) 2007-11-08
KR101191195B1 KR101191195B1 (ko) 2012-10-15

Family

ID=3865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660A KR101191195B1 (ko) 2006-05-04 2006-05-04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37683A1 (ko)
EP (1) EP1868307B1 (ko)
JP (1) JP2007300614A (ko)
KR (1) KR101191195B1 (ko)
CN (1) CN1010944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4590A (ja) * 2007-11-16 2009-06-04 Nec Saitama Ltd 通信端末の表示制御方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FR2930096A1 (fr) * 2008-04-15 2009-10-16 Alcatel Lucent Sas Systeme et procede de selection d'un message apte a etre delivre a un utilisateur de services de tele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25413A1 (en) * 1996-12-04 1998-06-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for high resolution and three-dimensional image recording, optical disc reproducing device, and optical disc recording device
US6278480B1 (en) * 1997-02-07 2001-08-21 Canon Kabushiki Kaisha Compound eye camera system
WO2000074279A1 (fr) * 1999-05-28 2000-1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e de radiodiffusion
US6659948B2 (en) * 2000-01-21 2003-12-09 Medtronic Minimed, Inc. Ambulatory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telemetry system with predefined reception listening periods
CN100592788C (zh) * 2000-04-14 2010-02-24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与广播信息相关的信息取得方法、系统和装置
KR100387620B1 (ko) * 2000-06-07 2003-06-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방송사별 광고표시방법
FI113602B (fi) * 2000-06-30 2004-05-14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vaihtoehtoisen videodatan järjestämiseksi ja lähettämiseksi videolähetysten katkojen aikana
JP2002051020A (ja) * 2000-08-03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積放送システム
EP1182878A1 (fr) * 2000-08-22 2002-02-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ème de communication, émetteur, récepteur, méthode utilisant un descripteur de stockage de données
US7856644B2 (en) * 2000-12-30 2010-12-21 Road Runner Holdco Llc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advertising on a TV channel
JP5041637B2 (ja) * 2001-07-16 2012-10-03 船井電機株式会社 双方向テレビシステムおよび双方向テレビ受信装置
JP2003061053A (ja) * 2001-08-14 2003-02-28 Asahi National Broadcasting Co Ltd Cm再生制御プログラム、cm再生制御方法、放送システム、及び放送データ再生装置
KR100408597B1 (ko) * 2002-02-16 2003-12-03 주식회사 에어크로스 무선통신망에 있어서의 푸시 광고 방법 및 이에 적합한무선통신 단말기
US7136871B2 (en) * 2001-11-21 2006-11-1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vely displaying advertisements
KR100397511B1 (ko) * 2001-11-21 2003-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안식/다시점 3차원 동영상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43833B2 (ja) * 2002-02-27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再生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3906983B2 (ja) * 2002-03-07 2007-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AU2003231508A1 (en) * 2002-04-25 2003-11-10 Sharp Kabushiki Kaisha Multimedia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multimedia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JP2004029750A (ja) * 2002-05-09 2004-01-29 Pioneer Electronic Corp 立体表示装置及び方法
KR20030093372A (ko) * 2002-05-29 2003-12-11 주식회사 아이티라인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광고 방법
JP3973525B2 (ja) * 2002-09-24 2007-09-12 シャープ株式会社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4093833B2 (ja) * 2002-09-25 2008-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568230B1 (ko) * 2003-07-30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tv에서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05041043A1 (ja) * 2003-10-22 2005-05-06 Olympus Corporation ファイル生成方法及びファイル検索方法
EP1657835A4 (en) * 2003-10-30 2008-12-10 Panasonic Corp MOBILEND DEVICE ORIENTED TRANSMISSION PROCESS AND DEVICE
KR100608059B1 (ko) * 2004-06-15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Mot 데이터 복호 방법 및 장치
KR100658222B1 (ko) * 2004-08-09 2006-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JP4662071B2 (ja) * 2006-12-27 2011-03-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4416A (zh) 2007-12-26
KR101191195B1 (ko) 2012-10-15
EP1868307B1 (en) 2014-05-07
EP1868307A3 (en) 2011-03-09
CN101094416B (zh) 2012-02-29
JP2007300614A (ja) 2007-11-15
EP1868307A2 (en) 2007-12-19
US20080037683A1 (en)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8331B2 (en) 3D caption display method and 3D display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US200801509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US201501241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ideo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1177412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신호 송수신방법
CN103024408A (zh) 立体图像转换装置和方法、立体图像输出装置
KR20110113186A (ko)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고 3d 비디오 및 3d 오버레이들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600574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Optional Overlays
US7193635B2 (en) Portable terminal, overlay output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119369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optional overlays
EP1722566A1 (en) Information distributing system and method, information distributing apparatus therefor, receiver terminal, and information relaying apparatus
KR101100212B1 (ko) 방송 신호 전송 방법, 방송 신호 재생 방법, 방송 신호전송 장치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CN102771131A (zh) 立体图像数据发送装置、立体图像数据发送方法、立体图像数据接收装置和立体图像数据接收方法
KR101191195B1 (ko)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CN103053166A (zh) 立体图像数据发送设备、立体图像数据发送方法和立体图像数据接收设备
KR100739372B1 (ko)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KR101265595B1 (ko) 방송 신호 전송 방법, 방송 신호 재생 방법, 방송 신호전송 장치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100739603B1 (ko)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및 cbs 메시지를 이용한디지털방송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100229B1 (ko) 방송 신호 표출 방법 및 장치
KR101155009B1 (ko)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820786B1 (ko) 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콘텐츠 송수신 방법
KR1012955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연동 방법
JP2011146958A (ja) 放送送受信装置、番組メニュー表示・生成方法
CN114640862A (zh) 视频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处理器
KR20090068986A (ko) 리치미디어 서버와 리치미디어 전송 시스템 및 리치미디어제공 방법
JPH1066040A (ja) 補完データ番組送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