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924A -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924A
KR20070107924A KR1020060040499A KR20060040499A KR20070107924A KR 20070107924 A KR20070107924 A KR 20070107924A KR 1020060040499 A KR1020060040499 A KR 1020060040499A KR 20060040499 A KR20060040499 A KR 20060040499A KR 20070107924 A KR20070107924 A KR 20070107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utton
guide
moving block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4318B1 (ko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박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우 filed Critical 박재우
Priority to KR1020060040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318B1/ko
Publication of KR20070107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18Indication of switch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증진을 위해 비상등이나 안개등 등의 기능별로 차량 내에 다수 설치되는 차량용 IP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가압에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하여 IP 스위치의 동작 및 해제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기능의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IP 스위치의 기능에 맞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트기능을 하는 커넥트부로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커넥트부에는 IP 스위치의 기능별로 형상차이를 갖는 역조립방지수단을 구비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인 길이의 축소로 공간효율성을 가지며, 스위칭에 대한 동작특성을 안정시킴과 더불어 커넥트부에 역조립방지수단을 구비함에 의해 외부 연결단자와의 역조립을 사전 차단 및 방지되게 하므로 스위치의 품질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되며, 스위칭부와 커넥트부를 분리/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하게 구비되는 기능별 IP 스위치와 외부 연결단자와의 조립시 커넥트부의 단자하우징만을 교체 조립하면 되므로 간단하면서도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IP SWITCH FOR VEHICLE}
도 1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IP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무빙블록을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9는 도 7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버튼 120: 무빙블록
130: 푸시로드 140: 가이드케이스
150: 록킹수단 160: 회로기판
161: 택트스위치 170: 단자플레이트
180: 단자하우징 182: 돌출리브
본 발명은 차량의 정보제공용 IP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별로 다양하게 제공되는 정보제공 스위치와 이에 대응되는 외부 연결단자와의 결합시 이들 상호간의 역조립을 방지되게 하며, 동작특성 및 품질특성의 안정화는 물론 공간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IP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IP(Information Provider) 스위치는 차량의 실내에 사용자의 편의증진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상등 스위치, 안개등 스위치, 열선 스위치 등의 각종 버튼스위치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보통 한번 누르면 ON 작동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OFF 작동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기존의 차량용 IP 스위치는 통상 고전류(high current) 타입의 스위치로서, 회로 및 접속단자가 인서트사출에 의해 인서트 된 단자플레이트와 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접속단자를 커버하는 단자하우징에 의한 스위치바디와, 상기 스위치바디의 단자플레이트의 측부로 체결되는 대략"ㄷ"자 형상의 바디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플레이트와 바디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되고 탄성 지지되며 상기 단자플레이트의 회로에 접촉되는 탄성스위치를 갖는 버튼홀더와, 상기 버튼홀더의 상측단부에 체결되는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기존 IP 스위치는 몸체의 길이가 길어 차량에 설치시 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스위치의 ON/OFF 작동시 단순 가이드에 의해 버튼홀더의 상/하 슬라이드 동작이 그다지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접속단자를 내포하는 단자하우징의 커넥트부가 IP 스위치의 기능별 용도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외부 연결단자와의 결합시 각 기능성에 맞는 연결조립이 매칭(matching)될 수 있도록 IP 스위치의 몸체나 IP 스위치의 접속단자에 상대되는 외부 연결단자에 각각 기능별 IP 스위치 구분용 칼라스티커를 부착하여 상호간에 역(易)조립을 방지되게 하고 있으나, 이는 작업자가 차량의 생산조립라인에서 IP 스위치와 이에 상대되는 외부 연결단자에 부착된 칼라스티커를 일일이 확인 후 결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단순한 색상구분에 의존하므로 역조립 현상을 크게 개선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IP 스위치와 외부 연결단자와의 역조립은 기능별로 인가되는 인가전압의 차이에 따라 IP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게 되며, 이는 곧 차량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차량제조회사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나아가, 기존의 구성에 있어서, 기능별로 구비되는 각각의 다양한 IP 스위치에 역조립 방지를 위한 커넥트부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단자플레이트 및 회로를 전체적으로 개발하여야 하므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직까지는 IP 스위치의 접속단자에 외부 연결단자를 결합시 이들 상호간에 역조립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율적인 대처 방안이나 수단이 특별히 대두되지 않고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구조 개선을 통하여 IP 스위치측의 접속단자와 외부 연결단자와의 결합시 자주 발생되던 역조립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사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스위치에 대한 동작특성 및 품질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기존보다 전체적인 길이를 축소시켜 공간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구비되는 기능별 IP 스위치와 외부 연결단자와의 역조립 방지를 위한 간단하면서도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증진을 위해 비상등이나 안개등 등의 기능별로 다수 설치되는 차량용 정보제공 스위치에 있어서, 외부 가압에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하여 IP 스위치의 동작 및 해제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기능의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IP 스위치의 기능에 맞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트기능을 하는 커넥트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트부에는 IP 스위치의 기능별로 형상차이를 갖는 돌출리브에 의한 역조립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용 IP 스위치는 크게 IP 스위치의 동작/해제를 위한 스위칭부와 외부 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트부로 분리 구성하되 스위칭특성과 무관한 커넥트부, 특히 접속단자를 커버하는 단자하우징을 기능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단자하우징에 기능별로 형상차이를 갖는 역조립방지구조의 돌출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이에 매칭되는 경우에만 외부 연결단자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역조립을 사전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저전류 타입의 신호전달방식 적용과 함께 IP 스위치의 안정된 동작특성 구현 및 차량 장착시 공간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무빙블록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100)는 버튼과 무빙블록의 조립체가 상/하 이동하되 동작신호 인가시 잠금되는 푸시 록킹 타입(push locking type)의 구성으로서, IP 스위치의 동작 및 해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버튼(110)과, 상기 버튼(110)의 하측에 위치하여 버튼(110)과 상호 체결됨을 갖고 상/하 직선이동을 하게 되며 차후에 기술되는 록킹수단(150)에 연계되는 록킹구조가 구비되는 무빙블록(120)과, 상기 무빙블록(120)에 탄성 결합되며 스위칭을 위한 매개체의 푸시로드(130)와, 상기 무빙블록(120)의 하 부를 커버하도록 외측에 위치하며 무빙블록(120)의 상/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케이스(140)와, 상기 무빙블록(120)과 가이드케이스(140)에 체결되어 상기 버튼(110)의 누름시에 상기 무빙블록(120) 상에서 위치이동의 잠금/해제기능을 하는 록킹수단(150)과, 상기 가이드케이스(140) 내에 위치하며 상기 푸시로드(130)의 하측단부로 탑재된 택트스위치(161)가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회로기판(160)과, 상기 회로기판(160)의 하측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케이스(140)와도 체결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173)를 갖는 단자플레이트(170)와, 상기 단자플레이트(170)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단자(173)를 커버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역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단자하우징(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110)은 상기 무빙블록(1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1)가 하향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고 그 중심에 결합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무빙블록(120)은 사각통의 몸체(121) 내부에 상기 푸시로드(130)와의 탄성 결합을 위한 결합홈(122)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22)에 스프링(131)을 삽입한 후 푸시로드(130)를 삽입 결합하여 상/하 이동시 탄성작용이 발생되게 한다.
상기 무빙블록(120)에는 몸체(121)의 외면 상측부에 상기 버튼(110)과의 체결을 위하여 버튼의 결합부(11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23)의 사이에 버튼(110)의 결합공(112)에 삽입/걸림되도록 체결단턱(124)이 형성된다.
상기 무빙블록(120)에는 몸체(121)의 외면에 상/하 직선이동을 위한 가이드 홈(125)이 형성되고, 외면의 일측부에 상기 록킹수단(150)과의 결합을 통해 IP 스위치의 잠금/해제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로크핀동작부(12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로크핀동작부(126)는 양측부에 경사면(126a-1)(126b-1)을 갖는 삼각 굽의 형태로 상/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록킹가이드(126a)(126b)가 각각 구비되며 하측 록킹가이드(126b)의 상면에 록킹홈(126b-2)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케이스(140)에는 몸체의 내면에 상기 무빙블록(120)의 가이드홈(125)에 매칭되는 다수의 가이드리브(14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무빙블록(120)의 상/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게 되고, 외면의 일측에 상기 록킹수단(15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42)(143)이 상/하에 형성되며, 하측단부에 상기 단자플레이트(170)와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공(144a)을 갖는 결합부(144)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수단(150)은 로크핀(151), 탄성플레이트인 판스프링(152) 및 고정체(153)의 구성으로서, 판스프링(152)을 가이드케이스(140)의 내측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가이드케이스(140)의 상측 체결공(142) 및 판스프링(152)의 체결공(152a)에 로크핀(151)을 삽입하여 로크핀(151)의 끝단부가 무빙블록(120)의 하측 록킹가이드(126b) 아래에 위치되게 하고, 고정체(153)를 가이드케이스(140)의 하측 체결공(143)에 체결하되 판스프링(152)의 하측단부를 지지하도록 체결 고정시킨다.
상기 회로기판(160)에는 IP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알리기 위한 LED(미 도시됨)가 탑재되며, 상기 LED의 발광 빛을 상측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렌즈가이드(191)와 상기 LED의 발광 빛을 분산시켜 조명하거나 외부로 표시하는 조명렌즈(192) 및 표시렌즈(193)를 더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렌즈가이드(191)는 상기 회로기판(160) 상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조명렌즈(192) 및 표시렌즈(193)는 각각 상기 버튼(110)과 무빙블록(120)에 상/하부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게 한다.
상기 회로기판(160)에는 상기 단자플레이트(170) 및 렌즈가이드부재(19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62)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단자플레이트(170)는 사각플레이트(171)의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160)의 결합공(162)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체결돌기(172)가 구비되고 그 하면에 접속단자(173)가 하측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며, 사각플레이트(171)의 외측 사면에 상기 가이드케이스(140) 및 단자하우징(18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단턱(174)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하우징(180)은 상기 단자플레이트(170)에 구비된 접속단자(173)를 커버하기 위한 사각통의 몸체(181)로서, 몸체(181)의 상단면에 상기 단자플레이트(17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결합공(182a)을 갖는 결합부(18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하우징(180)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101)을 통해 상기 단자플레이트(170)에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체결부(183)를 형성하여 더욱 안정된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단자하우징(180)에는 몸체(181)의 내측에 돌출리브(184)에 의한 역조립방지구조를 형성하여 이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외부 연결단자만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에 상기 돌출리브(18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하우징(180)의 길이방향으로 IP 스위치의 각 기능별로 형상차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으로서 외부 연결단자를 가이드 및 매칭 조립되게 함에 의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역조립방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리브(182) 는 도 5에 도시한 구조 이외에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연결단자와 IP 스위치(100)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베이스회로에 관계없이, 분리 가능하게 한 단자하우징(180)만을 IP 스위치에서 변경 조립하면 되므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부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성에 있어서는 버튼(110)을 비롯한 무빙블록(120)과 푸시로드(130), 가이드케이스(140), 록킹수단(150), 회로기판(160), 조명렌즈(192), 표시렌즈(193) 및 렌즈가이드(192)가 스위칭 기능을 하게 되는 스위칭부를 형성하게 되며; 단자플레이트(170) 및 돌출리브(184)를 갖는 단자하우징(180)이 커넥트 기능을 하게 되는 커넥트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100)는 버튼(110)의 누름시 버튼(110)과 조립된 무빙블록(120)이 가이드케이스(140)에 가이드되어 직선 하강하게 되고, 무빙블록(120)에 탄성 결합된 푸시로드(130)에 탄성스트로크가 작용하여 택트스위치(161)에 터치압을 제공하면서 회로기판(160) 상에 탑재된 LED가 ON되어 IP 스위치(100)의 동작됨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무빙블록(120)의 하강시 하측 록킹가이드(126b)의 아래에 위치한 로크핀(151)이 록킹가이드(126b)의 우측 경사면(126b-1)을 따라 이동하면서 경사면의 끝지점에서 떨어져 록킹홈(126b-2) 내에 걸림됨에 의해 IP 스위치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판스프링(152)은 로크핀(151)의 위치이동에 대한 탄성을 제공하면서 로크핀(151)을 앞으로 밀어주는 푸시기능을 한다.
그리고, 버튼(110)에 다시 한번 누름압력이 형성되면, 무빙블록(120)에 전달 된 가압력에 의해 탄성 결합된 푸시로드(130)가 택트스위치(161)에 다시 한번 터치압을 제공하게 되면서 LED가 OFF되고, 이와 동시에 록킹홈(126b-2) 내에 위치한 로크핀(151)이 록킹홈(126b-2)을 벗어나 상측 록킹가이드(126a)의 좌측 경사면(126a-1)을 타고 이동하면서 IP 스위치의 잠금이 해제되고 로크핀(151)은 다시 하측 록킹가이드(126b)의 아래에 원상복귀되며 무빙블록(120)은 가이드케이스(140)에 가이드되어 탄성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로크핀(151)은 IP 스위치의 동작/해제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200)는 버튼과 버튼가이드 및 무빙블록의 조립체가 상/하 이동하되 자동으로 탄성 복귀되는 푸시 리턴 타입(push return type)의 구성으로서, IP 스위치의 동작 및 해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버튼(210)과, 상기 버튼(2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되며 IP 스위치의 동작표시용 조명(照明)의 누광(漏光)방지기능을 하면서 버튼(210)의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버튼가이드(220)와, 상기 버튼가이드(220)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다음에 기술되는 무빙블록(240)의 상/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며 전체 구성요소간의 체결을 위한 가이드케이스(230)와, 상기 가이드케이스(230) 내에 하측에서 삽입되어 상/하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되 상부가 상기 가이드케이스(23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튼가이드(210)에 체결되며 상기 버튼(210)의 스위칭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무빙블록(240)과, 상기 가이드케이 스(230) 내에 위치하되 상기 무빙블록(240)의 하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무빙블록(240)의 터치에 따른 스위칭기능을 함과 아울러 무빙블록(240)의 탄성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택트스위치(251)를 갖는 회로기판(250)과, 상기 회로기판(250)의 하측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케이스(230)와도 체결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263)를 갖는 단자플레이트(260)와, 상기 단자플레이트(260)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단자(263)를 커버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역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단자하우징(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210)은 상기 버튼가이드(2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11)가 하향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고 그 중심에 결합공(212)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가이드(220)는 조명보강부재로서, 외면에 상기 버튼(210)과의 체결을 위하여 버튼의 결합부(21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21)의 사이에 버튼(210)의 결합공(212)에 삽입/걸림되도록 체결단턱(222)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무빙블록(240)과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공(224)을 갖는 결합부(223)가 형성된다. 이때, 버튼가이드(220)는 내부 관통형구조이되 상부에 비해 협소해진 하측개구를 갖게 된다.
상기 가이드케이스(230)는 사각통의 몸체(231)로서 하부에 비해 협소해진 상측개구(232)를 가지며, 몸체(231)의 내면에 상기 무빙블록(240)의 직선이동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리브(233)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231)의 하측단부에 상기 단자플레이트(260)와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공(234a)을 갖는 결합부(234)가 형성된다.
상기 무빙블록(240)은 사각통의 몸체(241)로서 상기 가이드케이스(230)의 상 측개구(232)를 관통하도록 대응 형성되는 상부(241a)와 상기 상부(241a)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케이스(230) 내에 걸림 배치되는 하부(241b)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241a)의 외측면에 상기 버튼가이드(220)측의 결합공(224)에 삽입/걸림되어 상호 결합을 이루도록 체결단턱(242)이 형성되고, 하부(241b)의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케이스(230)의 가이드리브(233)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2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241b)에는 그 하면 일측에 상기 회로기판에 탑재된 택트스위치로 터치압을 제공함으로써 위치이동과 함께 버튼(210)의 스위칭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스위칭접촉부(24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250)에는 스위칭신호를 위한 택트스위치(251)와 더불어 IP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알리기 위한 LED(미 도시됨)가 탑재되는데, 상기 LED의 발광 빛을 분산시켜 조명하거나 외부로 표시하는 조명렌즈(281) 및 표시렌즈(28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렌즈(281)는 버튼(210)과 버튼가이드(220) 및 무빙블록(230)의 사이에서 결합 고정되고, 상기 표시렌즈(282)는 버튼(210)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250)에는 상기 단자플레이트(26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252)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단자플레이트(260)는 사각플레이트(261)의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250)의 결합공(252)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체결돌기(262)가 구비되고 그 하면에 접속단자(263)가 하측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며, 사각플레이트(261)의 외측 사면에 상기 가이드케이스(230) 및 단자하우징(27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단턱(264)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하우징(270)은 상기 단자플레이트(260)에 구비된 접속단자(263)를 커버하기 위한 사각통의 몸체(271)로서, 몸체(271)의 상단면에 상기 단자플레이트(26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결합공(272a)을 갖는 결합부(27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하우징(270)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201)을 통해 상기 단자플레이트(260)에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체결부(273)를 형성하여 더욱 안정된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도, 상기 단자하우징(270)에는 몸체(271)의 내측에 돌출리브(274)에 의한 역조립방지구조를 형성하여 이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외부 연결단자만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며, 역시 IP 스위치의 각 기능별로 형상차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구성에 있어서는 버튼(210)을 비롯한 버튼가이드(220)와, 가이드케이스(230), 무빙블록(240), 회로기판(250), 조명렌즈(281) 및 표시렌즈(282)가 스위칭 기능을 하게 되는 스위칭부를 형성하게 되며; 단자플레이트(260) 및 돌출리브(274)를 갖는 단자하우징(270)이 커넥트 기능을 하게 되는 커넥트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200)는 버튼(210)의 누름시 이에 조립관계를 갖는 버튼가이드(220)와 무빙블록(240)이 유동하게 되는데, 무빙블록(240)이 가이드레일(243) 및 가이드리브(233)의 매칭에 의해 가이드케이스(230)에 가이드되어 직선 하강하게 되고 무빙블록(240)의 하부(241b)에 구비된 스위칭접촉부(244)가 택트스위치(251)에 터치압을 제공하면서 회로기판(250) 상에 탑재된 LED를 ON시켜 IP 스위치(200)의 동작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무빙블록(240)은 스위칭접촉부(244)가 택트스위치(251)와 접촉됨과 동 시에 택트스위치(251)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바로 상승되어 초기상태로 원상복귀(return)된다.
이어서, 버튼(210)에 다시 한번의 누름이 가해지면, 무빙블록(240)이 하강하게 되고 택트스위치(251)에 다시 한번 터치압을 제공하게 되면서 LED를 OFF시키고, 택트스위치(251)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다시 상승되어 원상복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300)는 버튼과 무빙블록의 조립체가 상/하 이동하되 자동으로 탄성 복귀되는 푸시 리턴 타입(push return type)의 구성으로서, IP 스위치의 동작 및 해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버튼(310)과, 상기 버튼(110)의 하측에 체결되고 다음에 기술되는 가이드케이스(330) 내에서 가이드되어 상/하 직선이동하게 되고 상기 버튼(310)의 스위칭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무빙블록(320)과, 상기 무빙블록(320)의 하부 외측에 배치되어 무빙블록(320)의 상/하 직선이동을 가이드함과 더불어 전체 구성요소간의 체결을 위한 가이드케이스(330)와, 상기 가이드케이스(330) 내에 위치하되 상기 무빙블록(320)의 하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무빙블록(320)의 터치에 따른 스위칭기능을 함과 아울러 무빙블록(320)의 탄성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택트스위치(341)를 갖는 회로기판(340)과, 상기 회로기판(340)의 하측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케이스(330)와도 체결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353)를 갖는 단자플레이트(350)와, 상기 단자플레이트(350)에 체결되어 상기 접 속단자(353)를 커버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역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단자하우징(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310)에는 상기 무빙블록(320)과의 결합을 위하여 하측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결합공(312)을 갖는 결합부(311)가 구비된다.
상기 무빙블록(320)은 사각통의 몸체(321)로서, 상기 몸체(321)의 외면 상측부에 상기 버튼(310)과의 체결을 위하여 버튼의 결합부(31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2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22)의 사이에 버튼(310)의 결합공(312)에 삽입/걸림되도록 체결단턱(323)이 형성되며, 몸체(321)의 외면에 상/하 직선이동을 위한 가이드홈(3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무빙블록(320)에는 몸체(321)의 하면 일측에 스위칭접촉부(325)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위치이동과 함께 상기 회로기판(340)측의 택트스위치(341)에 터치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버튼(310)의 스위칭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케이스(330)는 사각통의 몸체(331)로서, 몸체(331)의 내면에 상기 무빙블록(320)의 가이드홈(324)에 대응하는 가이드리브(332)가 형성되고, 몸체(331)의 하측단부에 상기 단자플레이트(350)와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공(333a)을 갖는 결합부(333)가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340)에는 스위칭신호를 위한 택트스위치(341)와 더불어 IP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알리기 위한 LED(미 도시됨)가 탑재되는데, 상기 LED의 발광 빛을 분산시켜 조명하거나 외부로 표시하는 조명렌즈(371) 및 표시렌즈(372)를 더 구 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자플레이트(35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342)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단자플레이트(350)는 사각플레이트(351)의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340)의 결합공(342)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체결돌기(352)가 구비되고 그 하면에 접속단자(353)가 하측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며, 사각플레이트(351)의 외측 사면에 상기 가이드케이스(330) 및 단자하우징(36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단턱(354)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하우징(360)은 상기 단자플레이트(350)에 구비된 접속단자(353)를 커버하기 위한 사각통의 몸체(361)로서, 몸체(361)의 상단면에 상기 단자플레이트(35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결합공(362a)을 갖는 결합부(36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하우징(360)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301)을 통해 상기 단자플레이트(350)에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체결부(363)를 형성하여 더욱 안정된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도, 상기 단자하우징(360)에는 몸체(361)의 내측에 돌출리브(364)에 의한 역조립방지구조를 형성하여 이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외부 연결단자만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며, 역시 IP 스위치의 각 기능별로 형상차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구성에 있어서는 버튼(310)을 비롯한 무빙블록(320)과, 가이드케이스(330), 회로기판(340), 조명렌즈(371) 및 표시렌즈(372)가 스위칭 기능을 하게 되는 스위칭부를 형성하게 되며; 단자플레이트(350) 및 돌출리브(364)를 갖는 단자하우징(360)이 커넥트 기능을 하게 되는 커넥트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300)는 버튼(310)의 누름시 이에 조립관계를 갖는 무빙블록(320)이 가이드홈(324) 및 가이드리브(332)의 매칭구조에 의해 가이드케이스(330)에 가이드되어 직선 하강하게 되고 무빙블록(320)측의 스위칭접촉부(325)가 택트스위치(341)에 터치압을 제공하면서 회로기판(340) 상에 탑재된 LED를 ON시켜 IP 스위치(300)의 동작을 표시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택트스위치(341)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바로 상승되어 초기상태로 원상복귀(return)된다.
또한, 버튼(310)에 다시 한번의 누름이 가해지면, 상술한 동작의 반복으로 택트스위치(341)에 다시 한번의 터치압이 제공되면서 LED를 OFF시키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400)는 버튼 자체가 상/하 이동하여 스위칭신호를 전달하는 구조의 푸시 리턴 타입(push return type)의 구성으로서, 가이드블록(420)의 상부(421) 외측으로 삽입 배치되되 가이드블록(420) 상에서 상/하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버튼(410)과, 상기 버튼(4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410)의 상/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결합되며 전체 구성요소간의 체결을 위한 가이드블록(420)과, 상기 가이드블록(42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되 스위칭신호의 매개체로서 기능하는 푸시로드(430)와, 상기 버튼(41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버튼(410)의 누름시 상기 푸시로드(430)를 하측방향으로 밀어주는 렌즈부(440)와, 상기 가이드블록(420) 내의 하측에 배치되며 버튼(410)의 이동에 따른 스위칭 동작 및 탄성복귀가 가능하도록 탑재된 택트스위치(451)를 상기 푸시로드(430)의 하측에 위치시킨 회로기판(450)과, 상기 회로기판(450)의 하측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블록(420)과도 체결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463)를 갖는 단자플레이트(460)와, 상기 단자플레이트(460)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단자(463)를 커버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역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단자하우징(4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410)은 블록몸체(411)의 내/외면에 각각 상기 가이드블록(420) 상에서의 상/하 직선이동 및 상/하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리브(미 도시됨) 및 유동공(4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록(420)은 사각통의 몸체로서, 외면에 버튼(410)을 상/하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421a) 및 버튼(410)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421b)을 형성한 상부몸체(421)와, 상기 상부몸체(421)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푸시로드(430)의 배치를 위한 삽입부(422a)를 형성하고 외면에 상기 단자플레이트(460)와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공(422b-1)을 갖는 결합부(422b)를 형성한 하부몸체(422)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부(440)는 상기 회로기판(450) 상에 탑재되는 LED의 발광 빛을 분산시켜 조명하거나 외부로 표시하는 조명렌즈(441) 및 표시렌즈(442)로 구비되며, 상기 버튼(410)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블록(420) 내에 위치된다.
상기 회로기판(450)에는 스위칭신호를 위한 택트스위치(451)와 더불어 IP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알리기 위한 LED(미 도시됨)가 탑재되며, 상기 단자플레이 트(46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452)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단자플레이트(460)는 사각플레이트(461)의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450)의 결합공(452)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체결돌기(462)가 구비되고 그 하면에 접속단자(463)가 하측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며, 사각플레이트(461)의 외측 사면에 상기 가이드블록(420) 및 단자하우징(47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단턱(464)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하우징(470)은 상기 단자플레이트(460)에 구비된 접속단자(463)를 커버하기 위한 사각통의 몸체(471)로서, 몸체(471)의 상단면에 상기 단자플레이트(46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결합공(472a)을 갖는 결합부(47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하우징(470)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401)을 통해 상기 단자플레이트(460)에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체결부(473)를 형성하여 더욱 안정된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도, 상기 단자하우징(470)에는 몸체(471)의 내측에 돌출리브(474)에 의한 역조립방지구조를 형성하여 이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외부 연결단자만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며, 역시 IP 스위치의 각 기능별로 형상차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하 이동하는 버튼(410)을 비롯한 가이드블록(420)과, 푸시로드(430), 렌즈부(440), 및 회로기판(450)이 스위칭 기능을 하게 되는 스위칭부를 형성하게 되며; 단자플레이트(460) 및 돌출리브(474)를 갖는 단자하우징(470)이 커넥트 기능을 하게 되는 커넥트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400)는 버 튼(410)의 누름시 버튼(410)이 가이드블록(420)에 가이드되어 하측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렌즈부(440)가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가이드블록(420) 내에 배치된 푸시로드(430)를 밀어주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부(440)의 조명렌즈(441)가 푸시로드(430)를 하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푸시로드(430)는 회로기판(450) 상에 탑재된 택트스위치(451)에 터치압을 제공하게 되고 LED를 ON시켜 IP 스위치(400)의 동작을 표시하게 되며, 이와 동시동작으로 택트스위치(451)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푸시로드(430)가 바로 리턴되면서 버튼(410)도 함께 리턴 상승되어 초기상태로 원상복귀된다. 이때, 리턴 상승되는 버튼(410)은 일정 상승 후 가이드블록(420)의 걸림턱(421b)에 의해 걸림이 형성된다.
또한, 버튼(410)에 다시 한번의 누름이 가해지면, 상술한 동작의 반복으로 택트스위치(451)에 다시 한번의 터치압이 제공되면서 LED를 OFF시키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용 IP 스위치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트부의 구성을 단자플레이트와 단자하우징이 모두 분리되는 구성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단자플레이트와 단자하우징을 일체형으로 하는 커넥트부가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IP 스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 내용에 유사하게 형성되는 다양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에 의하면, 전반적인 구조개선에 의해 기존보다 전체적인 길이를 2/5가량 축소시킬 수 있어 차량 내 설치시 공간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스위칭에 대한 동작특성을 안정시킴과 더불어 커넥트부에 역조립방지수단을 구비함에 의해 외부 연결단자와의 역조립을 사전 차단 및 방지되게 하므로 스위치의 품질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위칭부와 커넥트부를 분리/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하게 구비되는 기능별 IP 스위치와 외부 연결단자와의 조립시 커넥트부 또는 단자하우징만을 교체 조립하면 되므로 베이스회로 등의 변경없이 간단하면서도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며, 역조립현상을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사용자 편의증진을 위해 비상등이나 안개등 등의 기능별로 다수 설치되는 차량용 IP 스위치에 있어서,
    외부 가압에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하여 IP 스위치의 동작 및 해제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기능의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IP 스위치의 기능에 맞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트기능을 하는 커넥트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부에는 IP 스위치의 기능별로 형상차이를 갖는 역조립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조립방지수단은 돌출리브에 의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4. 사용자 편의증진을 위해 비상등이나 안개등 등의 기능별로 다수 설치되는 차량용 IP 스위치에 있어서,
    외부 가압에 따라 상/하 슬라이드 직선 이동하여 IP 스위치의 동작 및 해제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기능의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IP 스위치의 기능에 맞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외부 연결단자와의 접속시 역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역조립방지수단을 갖는 커넥트기능의 커넥트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IP 스위치의 동작 및 해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되며 상/하 직선이동하게 되고 차후에 기술되는 록킹수단에 연계되는 록킹구조가 구비되는 무빙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에 탄성 결합되며 스위칭을 위한 매개체의 푸시로드와, 상기 무빙블록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외측에 위치하며 무빙블록의 상/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케이스와, 상기 무빙블록과 가이드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버튼의 누름시에 상기 무빙블록 상에서 위치이동의 잠금/해제기능을 하는 록킹수단과, 상기 푸시로드의 하측단부로 탑재된 택트스위치가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트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으로 결합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를 갖는 단자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플레이트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단자를 커버하며 외부 연결단자와의 역조립 방지를 위한 돌출리브를 갖는 단자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하우징의 돌출리브는 IP 스위치의 기능별로 구조형상에 차이가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IP 스위치의 동작 및 해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되며 IP 스위치의 동작표시용 조명의 누광방지기능을 하면서 버튼의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버튼가이드와, 상기 버튼가이드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다음에 기술되는 무빙블록의 상/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며 전체 구성요소간의 체결을 위한 가이드케이스와, 상기 가이드케이스 내에 하측에서 삽입되어 상/하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되 상부가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튼가이드에 체결되며 상기 버튼의 스위칭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무빙블록과, 상기 가이드케이스 내에 위치하되 상기 무빙블록의 하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무빙블록의 터치에 따른 스위칭기능을 함과 아울러 무빙블록의 탄성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택트스위치를 갖는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IP 스위치의 동작 및 해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버튼과, 상기 버튼에 체결되고 다음에 기술되는 가이드케이스 내에서 가이드되어 상/하 직선이동하게 되고 상기 버튼의 스위칭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무빙블록과, 상기 무빙 블록의 하부 외측에 배치되어 무빙블록의 상/하 직선이동을 가이드함과 더불어 전체 구성요소간의 체결을 위한 가이드케이스와, 상기 가이드케이스 내에 위치하되 상기 무빙블록의 하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무빙블록의 터치에 따른 스위칭기능을 함과 아울러 무빙블록의 탄성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택트스위치를 갖는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가이드블록의 상부 외측으로 삽입 배치되되 가이드블록 상에서 상/하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의 상/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결합되며 전체 구성요소간의 체결을 위한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되 스위칭신호의 매개체로서 기능하는 푸시로드와, 상기 버튼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버튼의 누름시 상기 푸시로드를 하측방향으로 밀어주는 렌즈부와, 상기 가이드블록 내의 하측에 배치되며 버튼의 이동에 따른 스위칭 동작 및 탄성복귀가 가능하도록 탑재된 택트스위치를 상기 푸시로드의 하측에 위치시킨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KR1020060040499A 2006-05-04 2006-05-04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KR100814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499A KR100814318B1 (ko) 2006-05-04 2006-05-04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499A KR100814318B1 (ko) 2006-05-04 2006-05-04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924A true KR20070107924A (ko) 2007-11-08
KR100814318B1 KR100814318B1 (ko) 2008-03-18

Family

ID=3906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499A KR100814318B1 (ko) 2006-05-04 2006-05-04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3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49B1 (ko) * 2007-10-18 2009-04-2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조명버튼
KR200446362Y1 (ko) * 2007-11-21 2009-10-2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푸시형 조명버튼
KR101244012B1 (ko) * 2010-11-01 2013-03-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CN110466418A (zh) * 2018-05-11 2019-11-19 株式会社Scd 开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431B1 (ko) 1999-07-27 2002-08-10 주식회사 신창전기 누름 작동형 스위치
KR100569310B1 (ko) * 2003-11-25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삽입 방지용 커넥터 및 퓨즈박스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49B1 (ko) * 2007-10-18 2009-04-2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조명버튼
KR200446362Y1 (ko) * 2007-11-21 2009-10-2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푸시형 조명버튼
KR101244012B1 (ko) * 2010-11-01 2013-03-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CN110466418A (zh) * 2018-05-11 2019-11-19 株式会社Scd 开关装置
KR20190129609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에스 씨디 스위치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차량
CN110466418B (zh) * 2018-05-11 2023-03-03 株式会社Scd 开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318B1 (ko) 2008-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830152C (ru) Клавиш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EP1850358B1 (en) Lighted pushbutton-type switch assembly
US8188398B2 (en) Press switch
US7800006B2 (en) Push switch
US8263885B2 (en) Switch device
US9076608B2 (en) Push switch
KR100814318B1 (ko)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US7564003B2 (en) Detect switch having an improved moveable contact
US5651450A (en) Switches, in particular switches that can be installed into the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witch
US6967296B2 (en) Steering switch device
US20140183015A1 (en) Push switch
US20090032381A1 (en) Switch with electrical member supported in elastic folded contact
KR20080050666A (ko)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CN201323147Y (zh) 独立按压式控制开关
KR200295564Y1 (ko) 푸쉬버튼 스위치
CN101393810A (zh) 独立按压式控制开关
JP3174941U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2011148462A (ja) スイッチ一体型ledランプ装置
CN217822466U (zh) 一种金属按钮开关
JP4295599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319214B1 (ko) 스위치
CN209880444U (zh) 按键开关及车载冰箱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KR100348432B1 (ko) 차량용 누름 작동형 스위치
US6639164B2 (en) Switch having depressible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