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192A - 위상 신호 전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위상 신호 전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192A
KR20070107192A KR1020060039351A KR20060039351A KR20070107192A KR 20070107192 A KR20070107192 A KR 20070107192A KR 1020060039351 A KR1020060039351 A KR 1020060039351A KR 20060039351 A KR20060039351 A KR 20060039351A KR 20070107192 A KR20070107192 A KR 20070107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phase
controll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시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06003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7192A/ko
Publication of KR20070107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1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specially adapted components in the load circuit, e.g. feed-back transformers, piezoelectric transformers; using specially adapted load circuit configu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1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control circuits for the switching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7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specially adapted components in the load circuit, e.g. feed-back transformers, piezoelectric transformers; using specially adapted load circuit configu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control circuits for the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phase control, e.g. using a tri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상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류 출력 전압을 위상 제어하여 신호와 전력으로 사용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교류 전압 출력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해 트라이액 또는 SCR 다이오드, 저항 및 콘덴서를 포함하는 위상제어부와; 상기 위상제어부의 출력 전압은 인덕터를 통과하여 전자파장애 차단을 해주는 EMI필터와; 상기 EMI필터를 통과한 출력 전압의 10~50%는 신호로 받아 안정적 출력을 위한 신호로 수용 처리하는 신호제어부와; 브릿지회로를 지난 출력 전압은 저항분할 적분으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A/D컨버터와; 상기 신호처리부와 상기 A/D컨버터에서의 신호와 전압을 받아 일정 패턴으로 출력을 하는 집적회로(IC)제어부와;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와 전압을 교류로 변경하는 D/A 인버터와; 상기 D/A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전압을 받아들이는 부하와; 상기 부하에서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피드백 제어수단과; 상기 피드백 제어수단에서 보내어진 신호와 전력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상제어, 전력제어, 신호, 집적회로(IC)제어, 피드백, 인버터, 컨버터

Description

위상 신호 전력 제어 장치 {Power control apparatus using signal of a phase shift}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원리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IC)의 동작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열 시간 결정에 따른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파형,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증폭 회로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파형,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위상 제어 회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위상 제어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 50 : EMI필터,
70 : A/D컨버터 90 : 집적회로(IC)전력제어부,
120 : D/A인버터 160 : 피드백 제어수단,
180 : 비교기 200 : 신호제어부
본 발명은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위상 제어 파형 중 일부만 선택하여 신호로 이용하여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공급하여 부하를 구동하는 경우에서의 전력제어로서는, 교류 파형의 각 주기 내에서 스위칭을 행하는 위상제어나, 주기에 관계없이 적절한 온/오프를 하는 제어가 채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제어방법은 교류 전력 파형의 반파장분의 적절한 위상각위치에서 제어하는 것으로 해칭으로 나타내는 기간만큼 교류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며. 위상각을 제어측에서 콘트롤하는 것으로 교류전력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온/오프제어는 주기적인 교류 전력 파형에 대하여 적절한 주기만큼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 그 사이 해칭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류전력을 부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교류 전압을 신호로 이용함으로써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는, 교류 출력 전압을 위상 제어하여 신호와 전력으로 사용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교류 전압 출력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해 트라이액 또는 SCR 다이오드, 저항 및 콘덴서를 포함하는 위상제어부와; 상기 위상제어부의 출력 전압은 인덕터를 통과하여 전자파장애 차단을 해주는 EMI필터와; 상기 EMI필터를 통과한 출력 전압의 10~50%는 신호로 받아 안정적 출력을 위한 신호로 수용 처리하는 신호제어부와; 브릿지회로를 지난 출력 전압은 저항분할 적분으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A/D컨버터와; 상기 신호처리부와 상기 A/D컨버터에서의 신호와 전압을 받아 일정 패턴으로 출력을 하는 집적회로(IC)제어부와;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와 전압을 교류로 변경하는 D/A 인버터와; 상기 D/A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전압을 받아들이는 부하와; 상기 부하에서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피드백 제어수단과; 상기 피드백 제어수단에서 보내어진 신호와 전력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위상제어부는 SCR과 트라이액, 다이오드, 저항, 콘덴서를 포함하여 교류 전력 파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MI필터는 회로 전체의 안정성을 위해 전자파장애를 차단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D컨버터는 전력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신호만 따로 분리하여 신호제어부로 입력을 도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호제어부는 0도에서 90도 (50%)범위와 180도에서 270도 (50%)범위 내의 전압을 신호로 받아들여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고,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는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신호와 전압을 받아 출력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D/A인버터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하는 상기 신호제어부에서 보내 신호와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상기 D/A인버터를 거쳐 교류로 전력공급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드백 제어수단은 부하에 입력되는 전력을 검출하여 이상 전력과 신호가 발생시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로 신호와 전력을 피드백하여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교기는 상기 피드백 제어수단에서 보내 준 신호와 전력을 정상으로 교정 비교하여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를 통하여 정상적인 전력이 공급되도록 출력을 도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원리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 전원이 입력되어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제어부(30)와, 위상제어부(30)를 통과하여 전자파장애 차단을 해주는 EMI필터(50)가 연결되고, EMI필터(50)를 통한 저항분할 적분으로 교류 전압의 일정부분을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제어부(200)가 설치된다. 또한, 저항분할 적분으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A/D컨버터(70)를 포함한다. 신호제어부(200)와 A/D컨버터(70)에서의 신호와 전압을 받아 일정 패턴으로 출력을 하는 집적회로(IC)제어부(90)와, 집적회로(IC)제어부(90)에서 출력된 신호와 전압을 안정된 전원공급을 위한 교류로 변경하는 D/A 인버터(120)와, D/A 인버터(12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전압을 받아들이는 부하를 포함한다. 부하(140)에서 전류를 검출하여 에러 증폭에서 비교하여 출력을 조정하는 피드백 제어수단(160)과, 피드백 제어수단(160)에서 보내어진 신호와 전력을 비교하는 비교기(180)를 포함한다. 이때, 위상제어부(30)는 SCR과 트라이액을 포함하여 교류 전력 파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EMI필터(50)는 회로 전체의 안정성을 위해 전자파장애를 차단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A/D컨버터(70)는 전력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신호만 따로 분리하여 신호제어부(200)로 입력을 도와준다.
여기서, 신호제어부(200)는 0도에서 90도 범위와 180도에서 270도 범위 내의 전압을 신호로 받아들여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고,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다.
또한, 집적회로(IC)제어부(90)는 부하(140)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신호와 전압을 받아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D/A인버터(120)는 부하(1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부하(140)는 상기 신호제어부(200)에서 보내 신호와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90)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상기 D/A인버터(120)를 거쳐 교류로 전력공급이 된다.
또한, 피드백 제어수단(160)은 부하(140)측에 입력되는 전력을 검출하여 이상 전력과 신호가 발생시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140)로 신호와 전력을 피드백하여 교정한다.
또한, 비교기(180)는 피드백 제어수단(160)에서 보내 준 신호와 전력을 정상으로 교정 비교하여 집적회로(IC)제어부(90)를 통하여 정상적인 전력이 공급되도록 출력을 도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IC)의 동작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열 시간 결정에 따른 도면이다.
도 4과 도 5를 참조하면, 이 회로는 형광등 전용의 디밍 콘트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조광기를 이용하여 형광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회로로서 동작은 아래와 같다.
일반 조광기를 통해 위상 제어된 교류 신호가 브리지 다이오드를 통해 반파 정류되어 회로V_AVG(정류된 AC신호를 집적회로(IC)가 받을 수 있도록 전압을 분배 한 후 DC로 만들어주는 일종의 적분회로)에서 평균값을 만들어 준다.
이 평균값은 조광기에서 위상제어 출력된 전력에 비례한다.
이 평균값을 회로LV_CON(V_AVG에서 만들어진 평균값을 현재 사용하고자 하는 램프의 파워에 맞도록 전압을 변환시켜주는 DC AMP)에서 전압 변환 되어진후, 회로FA(FEEDBACK AMP)의 비교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이때 회로LV_CON의 출력 전압은 저항비에 의해 결정되어지는데, 최저 전압은 다이오드의 온도특성을 이용하여 저온에서는 높고, 고온에서는 낮은 특성을 갖도록 하여 최저 조도 시 저온에서 좀 더 많은 전력을 램프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처음 기동 시에는 회로PREHEAT(초기 예열을 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 회로)에서 결정되어진 시간동안 주파수가 최대주파수(Freq.max(Freq.min의 약 2.75배))로부터 최소주파수(Freq.min)로 변하는데 전체 예열시간을 T라고 하면 처음 약 0.2T 는 최대주파수(Freq.max)을 유지하다가 시간이 흐를수록 주파수가 점점 낮아져 최소주파수(Freq.min)까지 스윕(Sweep)한 후 T(전체 예열 시간)가 지나면 예열모드가 해제 되고 회로FA의 출력전압인 디밍(Dimming)전압에 의해 주파수가 제어된다.
이때 스윕(Sweep)시간을 주변 온도에 따라 차별화 함으로써 저온에서도 점등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 것이 이 회로의 특징이다.
예를 들면, 저온에서는 최대주파수로부터 최소주파수로 스윕(Sweep)하는 시간을 길게 하여 필라멘트 및 관을 충분히 예열하면서 점등되도록 하였고, 고온에서는 이미 상당한 여기상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스윕(Sweep)시간을 짧게 가져가도록 하였다.
또한, 전체 예열시간(Preheat time)을 T 라고 하면 0.2T 동안 최대주파수(Fmax)로 있다가 0.2T~0.6T 기간 동안 주파수가 최대주파수(Fmax)에서 최소주파수(Fmin)으로 스윕(Sweep)하고 난 후 0.6T ~T 까지는 최소주파수(Fmin)을 유지하도록 하여 저온동작시 램프를 최대전력에서 좀더 예열하도록 하여 점등이 잘 되도록 하였고, 고온(100deg)에서는 0.2 Sec ~ T기간 동안 스윕(Sweep)을 하게 하여 스윕(Sweep)후 바로 디밍(Dimming)제어 신호에 따라가도록 하였다.
이렇게, 제어된 주파수가 회로TFF를 통해 50% DUTY를 갖는 구형파로 바뀌고, 회로DEAD TIME에서 약 1.3usec(Typ.value)의 회로DEAD TIME을 유지한 후, 회로DRIVE를 거쳐 최종 출력되어 회로LC_TANK를 구동하여 램프를 점등하게 된다.
램프 점등시 부하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회로Rs(전류 sensing 저항)에서 이상 파형을 검출하여 전체 회로를 폐쇄(SHUT DOWN)시키게 되는데, 이때 노이즈에 의한 폐쇄(SHUT DOWN)을 방지하기 위해 회로CPD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폭 이상(약 800nS)의 신호가 발생해야만 회로SHUT DOWN이 동작된다.
램프 오픈시에는 회로RESTART에서 회로SHUT DOWN MODE를 유지 하다가 램프가 삽입되면 회로SHUT DOWN MODE를 해제하고 처음 기동 모드로 전환된다.
출력을 구동하는 전압은 브리지 다이오드 다음 단에 회로PEAK_DET(조광기의 위상 제어된 파형은 일반적으로 안정되어 있지 않고, 파형도 제각각 다르기 때문에 첨두치만을 검출하여 어느 정도 안정된 파형으로 만들어 공급하기 위한 회로)에서 다시 한번 정류된 후 회로LC_TANK를 구동하는데 인가 된다.
초기 기동후 집적회로(IC)의 전원은 회로AUX_VCC(보조 전원 발생회로)에서 공급해 주게 되는데 조광기 출력이 작아질 경우에도 회로AUX_VCC에서 안정된 보조 전원을 공급해 주게 되면 더욱 안정된 디밍(Dimming) 특성을 갖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대한 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파형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증폭 회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파형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위상 제어 회로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위상 제어 회로도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르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는, 교류 전원이 입력되어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제어부를 포함한다.
위상제어부는 조광기에 의해 위상 제어된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기동저항들(R7A ~ R7C)을 통해 집적회로(IC)에 초기 전원을 공급해서 집적회로(IC)가 발진을 개시한다.
초기 발진 주파수는 최저주파수의 2.75배(최대주파수)이며, 단자CPHT에 연결된 캐퍼시터에 의해 결정되지는 시간 동안 최대주파수로부터 최저주파수로 스윕(sweep)하게 된다.
최저주파수는 회로RT와 회로CT에 의해 결정되며, 이들 회로RT와 회로CT값과 최저주파수와는 반비례관계가 있다.
램프는 주파수 스윕(sweep) 기간 중에 점등이 되며, 점등이 된 후에도 예열 시간(Preheat time)이 끝날 때까지는 최저주파수를 유지하다가 예열시간(Preheat time)이 끝나게 되면 디밍모드(dimming mode)로 전환된다.
디밍 콘트롤 신호는 위상 제어된 교류 전원을 저항 분할한 후 적분하는 회로(R12A ~ R12C, R13, C5)가 직류 전압으로 만들어 사용하게 되는데 위상을 50% 이내로 제어할 경우 디밍 콘트롤 전압 범위가 1V밖에 되지않아 디밍 범위가 매우 좁아지게 된다.
이 전압을 집적회로(IC)내부의 직류 앰프를 통해 원하는 범위의 디밍 콘트롤 전압으로 만들어 에러 앰프(Error amp)의 비교 입력 단자에 인가하여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직류 앰프는 집적회로(IC)Pin11 ~ Pin13, 회로R16, 회로R17, 회로R18, 회로R19, 회로C20, 회로C4로 구성되어 진다.
도 7을 참고하면, 회로Vref = 5.2V이고, 이때 회로R17에 걸리는 전압은 2.72V가 된다.
위상 제어된 교류 전압을 적분한 Vdc = 2~3V이므로 이를 직류 앰프를 통해 디밍 콘트롤 전압을 0,7V ~ 3.6V로 변환시켜 디밍 범위를 넓혀준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디밍 콘트롤 전압과 회로R10에 의해 검출된 관전류를 에러 앰프(Error amp) 집적회로(IC) Pin 8 ~ 10에서 비교하여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lamp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회로R10에 직렬 연결되어있는 회로D5B는 저조도시 관전류가 작아 회로R10에 나타나는 전압이 너무 낮아져서 램프의 상태가 불안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주파수 제어된 신호가 출력단의 반파정류회로(half bridge)를 통해 회로L2와 회로C11로 구성된 LC 공진 회로를 거쳐 램프를 구동하게 된다.
LC 공진회로 뒷 단의 회로C12는 직류 차단 캐퍼시터(DC blocking Capacitor)이고 회로R12는 저조도시 램프에 일정량의 offset 전류를 흘려주어 램프의 플리커(flicker) 현상을 방지해주기 위해 있는 회로이다.
필라멘트 예열은 회로L2에 보조로 감긴 회로L2_1, 회로L2_2와 회로C13,C14를 통해 이루어지며, 필라멘트의 전력은 이들 소자를 조정하여 조절할 수 있다.
집적회로(IC)에 공급되는 전원은 초기 기동시는 기동저항을 통해 공급하고, 집적회로(IC)가 발진을 개시하면 회로L2의 보조 권선과 회로C9, 회로DZ2, 회로D3를 통해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핀에 공급되는 주 전원은 회로D6, 회로D7, 회로C17에 의해 이루어 지며, 이 회로는 조광기에 의해 위상제어된 교류 파형을 첨두검출(peak detection)하여 어느 정도 평탄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은,도 8 내지 10에 대한 위상제어를 통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 조광기를 사용하여 AC 전원을 위상 제어할 경우 아래의 그림에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10% ~ 80% 까지 위상 제어하도록 되어 있어 조광기 스위치를 켠 후에도 어느 정도 볼륨을 높여야만 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
또한 램프를 점등한 후 볼륨을 조절하여 디밍을 할 경우 조광기 스위치를 끄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램프가 꺼지게 된다.
따라서, 조광기 스위치를 키면 곧바로 램프를 점등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광기의 볼륨을 조절할 때에도 디밍을 행하며 램프가 꺼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조광기의 위상 제어 회로를 수정해서 최소 전원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적합한 조광기는 위상이 10% ~ 50% 정도까지만 제어되는 조광기가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되며, 일반 조광기의 회로를 일부 변경 적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상 제어를 통해 신호 전압과 전력 전압을 확보해 둠으로써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신호나 전력이 다르더라도, 집적회로(IC)제어부를 통해 안정적인 전력을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 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신호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 전압의 파형 중 10 ~ 50%는 신호로 사용하며, 나머지 50%이상의 전력은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이 공급함으로써, 불안정한 전력공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교류 출력 전압을 위상 제어하여 신호와 전력으로 사용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교류 전압 출력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해 트라이액 또는 SCR 다이오드, 저항 및 콘덴서를 포함하는 위상제어부와;
    상기 위상제어부의 출력 전압은 인덕터를 통과하여 전자파장애 차단을 해주는 EMI필터와;
    상기 EMI필터를 통과한 출력 전압의 10~50%는 신호로 받아 안정적 출력을 위한 신호로 수용 처리하는 신호제어부와;
    브릿지회로를 지난 출력 전압은 저항분할 적분으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A/D컨버터와;
    상기 신호처리부와 상기 A/D컨버터에서의 신호와 전압을 받아 일정 패턴으로 출력을 하는 집적회로(IC)제어부와;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와 전압을 교류로 변경하는 D/A 인버터와;
    상기 D/A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전압을 받아들이는 부하와;
    상기 부하에서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피드백 제어수단과;
    상기 피드백 제어수단에서 보내어진 신호와 전력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제어부는 SCR과 트라이액을 포함하여 교류 전력 파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MI필터는 회로 전체의 안정성을 위해 전자파장애를 차단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D컨버터는 전력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신호만 따로 분리하여 신호제어부로 입력을 도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제어부는 0도에서 90도 범위와 180도에서 270도 범위 내의 전압을 신호로 받아들여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고,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는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신호와 전 압을 받아 출력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A인버터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상기 신호제어부에서 보내 신호와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상기 D/A인버터를 거쳐 교류로 전력공급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신호 전력 제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수단은 부하에 입력되는 전력을 검출하여 이상 전력과 신호가 발생시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로 신호와 전력을 피드백하여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전력 제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피드백 제어수단에서 보내 준 신호와 전력을 정상으로 교정 비교하여 상기 집적회로(IC)제어부를 통하여 정상적인 전력이 공급되도록 출력을 도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전력 제어장치.
KR1020060039351A 2006-05-02 2006-05-02 위상 신호 전력 제어 장치 KR20070107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351A KR20070107192A (ko) 2006-05-02 2006-05-02 위상 신호 전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351A KR20070107192A (ko) 2006-05-02 2006-05-02 위상 신호 전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192A true KR20070107192A (ko) 2007-11-07

Family

ID=3906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351A KR20070107192A (ko) 2006-05-02 2006-05-02 위상 신호 전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71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7931A1 (fr) * 2007-11-28 2009-06-04 Chi Wang Dispositif à source de lumière électrique d'éclairage multisort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7931A1 (fr) * 2007-11-28 2009-06-04 Chi Wang Dispositif à source de lumière électrique d'éclairage multisorti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5937B2 (en) High-pressure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US7990076B2 (en) Lamp driver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a discharge lamp
KR100853869B1 (ko) 디밍 밸러스트 제어 회로
EP0765108A2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US6657401B2 (en) Ballast for discharge lamp
US6359393B1 (en) Dimmer for a gas discharge lamp employing frequency shifting
JPH07245189A (ja) 低圧放電ランプの作動回路装置
CN100592839C (zh) 操作放电灯的设备和方法
US8222834B2 (en) HID lamp ballast with controlled DC step down circuit
US5298836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gas discharge lamps operating at a resonant frequency
TWI452940B (zh) 高強度放電燈控制方法及高強度放電燈供電系統
JP2005504427A (ja) ランプランアップ調整を行う電子的な安定器
KR20070107192A (ko) 위상 신호 전력 제어 장치
US20050088112A1 (en) Fluorescent lamp dimmer control
JP2008027643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790133B2 (ja) 照明制御装置およびランプ点灯装置
KR100872469B1 (ko) 전원의 위상제어를 이용한 디밍 제어용 조광기 회로
JP3814770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984310B1 (ko) 고압방전등 램프 구동회로
JP4140219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640180B1 (ko) 일반 조광기를 이용한 형광등의 디밍 제어 장치
JP2009199876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この放電灯点灯装置を備える照明器具
JP3122146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5404381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2008270094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