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24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249A
KR20070106249A KR1020060038898A KR20060038898A KR20070106249A KR 20070106249 A KR20070106249 A KR 20070106249A KR 1020060038898 A KR1020060038898 A KR 1020060038898A KR 20060038898 A KR20060038898 A KR 20060038898A KR 20070106249 A KR20070106249 A KR 20070106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team
water tank
opening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희
제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6249A/ko
Publication of KR2007010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에 마련된 디스펜서부와, 디스펜서부로 공급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와; 온수탱크의 상부에 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온수탱크 내부의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구와 증기유입구로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유출구가 형성된 증기안내부와, 증기유입구와 증기유출구 사이에 판형상으로 마련되어 온수탱크 내부의 증기압력에 따라 증기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갖는 증기배출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온수탱크 내부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냉장고, 온수, 증기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증기배출유닛의 부분절취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증기배출유닛의 작동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상부힌지부와 온수배관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힌지부와 냉수배관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저장실
10 : 정수부 11 : 외부연결부
13 : 냉수탱크 30 : 도어
40 : 힌지부 50 : 디스펜서부
70 : 온수탱크 74 : 온수배관
78 : 제2온도센서 80 : 히터
85 : 단속밸브 87 : 펌프
90 : 히터스위치 110 : 증기배출유닛
111 : 증기안내부 112 : 증기유입구
113 : 증기유출구 115 : 개폐부재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탱크 내부의 증기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출시되는 냉장고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기본적인 장치 외에 기능성 및 편의성을 고려한 여러 가지 다양한 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홈바(home bar) 및 디스펜서(dispenser)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다.
디스펜서는 도어를 열지 않고 내부의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디스펜서로 냉수뿐만 아니라 온수도 공급할 수 있는 온수공급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냉장고는 온수를 생성하고 취출하기 위해 히터로 물을 미리 가열하여 온수저장탱크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디스펜서에서 취출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온수저장탱크 내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온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소정 양의 물을 소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를 주기적으로 구동하거나, 온수저장탱크 내부에 마련된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의 구동을 제 어하였다. 그리고, 온수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온수는 고온으로 저장되므로, 온수저장탱크 내부에는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장고에는 온수저장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증기압력으로 인한 온수탱크 내부 또는 온수의 유로에 압력이 높아져 수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탱크 내부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된 디스펜서부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부로 공급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의 상부에 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온수탱크 내부의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구와 상기 증기유입구로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유출구가 형성된 증기안내부와, 상기 증기유입구와 상기 증기유출구 사이에 판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온수탱크 내부의 증기압력에 따라 상기 증기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갖는 증기배출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증기배출유닛은 상기 증기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된 하부지지부와, 상기 증기유출구의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된 상부지지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증기에 의해 개폐부재가 증기안내부의 판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의 판면에 적어도 하나의 증기배출공을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자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방식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적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1)와, 저장실(2)을 개폐하는 도어(30)와, 도어(30)에 마련되는 디스펜서부(50)와, 디스펜서부(50)로 공급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70)와, 온수탱크(70)의 상부에 마련되어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유닛(110)을 포함한다.
본체(1)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이 중간격벽(5)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냉동실(3)과 냉장실(4)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저장실(2)의 전면 개구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30)가 마련되어 있고, 도어(30)의 내측에는 병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 가이드(미도시)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냉동실(3)의 상부 영역에는 제빙을 위한 제빙기(6)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빙기(6)의 하부에는 제빙기(6)에서 제빙된 얼음이 이빙되어 저장되는 얼음저장부(7)가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3)의 하부 영역에는 저장물을 분리 수납할 수 있도록 선 반(미도시) 및 서랍(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있다.
냉장실(4)에는 외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정수하는 정수부(10)와, 정수부(10)에서 정수된 물을 저온 저장하는 냉수탱크(13)와, 저장물을 분리 수납할 수 있도록 선반(미도시) 및 서랍(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있다.
정수부(10)는 냉장실(4)에 마련되어, 외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정수한다. 정수부(10)는 외부연결부(11)를 통하여 고내로 유입된 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정수필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수부(10)는 주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연결부(11)를 통해 고내로 유입된 물이 정수부(10)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후 제빙기(6), 냉수탱크(13) 및 온수탱크(70)로 각각 공급되도록 분기시키는 분기밸브(20)를 포함한다. 분기밸브(20)는 제1분기밸브(21)와 제2분기밸브(26)를 포함한다.
외부연결부(11)는 고외에서 고내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일단은 외부의 수도(12) 또는 정수기(미도시) 등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도(12) 또는 정수기 등 연결되며, 타단은 유입된 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수부(10)와 연결된다.
제1분기밸브(21)는 3구밸브로 마련된다. 제1분기밸브(21)는 정수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2)와, 제빙기(6) 및 온수탱크(70)로 연결되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1유출구(23)와, 냉수탱크(13)로 연결되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2유출구(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유출구(23)를 통과한 물은 제2분기밸브(26)로 유입된다.
제2분기밸브(26)는 3구밸브로 마련되며, 제1분기밸브(21)의 제1유출구(23)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7)와, 제빙기(6)로 연결되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1유출구(28)와, 온수탱크(70)로 연결되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2유출구(2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분기밸브(21)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1유출구(23) 및 제2유출구(24)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하며, 제2분기밸브(26)는 제어부에 의해 제1유출구(28) 및 제2유출구(29)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한다.
도어(30)는 냉동실(3) 및 냉장실(4)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도어(30)는 냉동실(3)의 전면개구를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31)와, 냉장실(4)의 전면개구를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33)를 포함한다. 냉동실 도어(31)의 전면에는 제빙기(6)에서 제빙된 얼음과,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냉장실 도어(33)의 전면에는 홈바(미도시) 또는 TV 또는 인터넷 기능을 구비한 홈패드(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본체(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힌지부(40)를 더 포함한다. 힌지부(40)는 도어(30) 및 본체(1)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힌지부(41)와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힌지부(41a)를 포함한다.
상부힌지부(41)는 본체(1)에 마련된 중공 힌지축(42)과 도어(30)에 마련된 힌지축결합부(45)를 포함한다.
중공 힌지축(42)은 내부에 후술할 온수배관(74) 및 순환배관(83)을 수용하도록 관통된 중공부(43)와, 본체에 결합되는 힌지축지지부(44)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술할 온수배관(74) 및 순환배관(83)은 상부힌지부(41)의 중공 힌지축(42)의 내부 에 배치된다. 또한, 상부힌지부(41)의 중공 힌지축(42)의 내부에는 디스펜서부(5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8)이 배치된다.
힌지축결합부(45)는 중공 힌지축(4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축수용부(47)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30)의 상부면에 스크루 결합된다. 힌지축결합부(45)는 도어(30) 내부의 발포공간에 매설된다.
한편, 힌지축결합부(45)는 도어(30)에 마련되고 중공 힌지축(42)은 본체(1)에 마련된다고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힌지축결합부(45)는 본체(1)에 마련되고 중공 힌지축(42)은 도어(30)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하부힌지부(41a)는 본체(1)에 마련된 중공 힌지축(42a)과 도어(30)에 마련된 힌지축결합부(45a)를 포함한다.
중공 힌지축(43a)은 내부에 후술할 냉수배관(15)을 수용하도록 관통된 중공부(43a)와, 본체(1)에 결합되는 힌지축지지부(44a)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술할 냉수배관(15)은 하부힌지부(41a)의 중공 힌지축(42a)의 내부에 배치된다.
디스펜서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공급을 위한 워터레버(51)와, 얼음의 공급을 위한 아이스레버(52)와, 사용자가 냉온수의 종류, 토출되는 물의 양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부(53)를 포함한다. 디스펜서부(50)는 입력부(53)에서 입력된 정보 및 냉장고의 작동 상태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부(50)는 후술할 히터스위치(90)를 더 포함한다.
워터레버(51)는 냉수탱크(13) 및 온수탱크(70)와 연통된다. 워터레버(51)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형식으로 마 련되어 워터레버(51)를 가압하면 냉수 또는 온수가 공급되며, 워터레버(51)의 압력을 해제하면 냉수 또는 온수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워터레버(51)는 입력부(53)에 마련되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등으로도 마련될 수도 있다.
워터레버(51)는 냉수레버 및 온수레버로 2개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탱크(70) 및 냉수탱크(13)와 연결된 하나의 레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아이스레버(52)는 제빙기(6)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부(7)와 연통된다. 아이스레버(52)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형식으로 마련되어 아이스레버(52)를 가압하면 얼음이 공급되며, 아이스레버(52)의 압력을 해제하면 얼음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아이스레버(52)는 입력부(53)에 마련되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등으로도 마련될 수도 있다.
입력부(53)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얼음과 물, 냉수와 온수, 물의 양 등을 선택하도록 마련된다. 입력부(53)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 버튼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리드스위치 또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표시부(54)는 입력부(53)에서 입력된 정보, 냉수 및 온수의 온도, 냉장고의 작동 상태 등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로 마련된다. 입력부(53)가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표시부(54)가 입력부(53)의 기능을 구비하도록 마련된다.
온수탱크(70)는 전술한 정수부(10)와 디스펜서부(50) 사이에 마련된다. 온수 탱크(70)는 본체(1)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탱크(70)는 정수부(10)에서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온수탱크(70) 외부로 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한다. 온수탱크(70)는 온수배관(74)에 의해 디스펜서부(7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온수탱크(70)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증기배출유닛(110)의 증기유출구(113)와 연통되도록 관통공(79)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온수배관(74)은 온수탱크(70)의 유출구와 디스펜서부(50)를 연결한다. 온수배관(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힌지부(40)의 중공 힌지축(42)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공 힌지축(42)의 내부를 관통한 온수배관(74)은 도어(30)의 발포공간에 매설된다. 이에, 온수탱크(70)가 상부에 배치되더라도 냉동실 도어(31)의 회동에 간섭을 하지 않게 된다.
중공 힌지축(42)의 내부에 수용되는 온수배관(74)의 외주면에는 전선(8)과 이격되도록 보호부재(75)가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재(75)는 온수배관(74)의 절곡되는 부위를 보호하도록 절곡되는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스프링 또는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온수탱크(70)에는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80)와,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센서(76)와,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77)가 마련되어 있다.
히터(80)는 온수탱크(7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온수탱크(70)에 마련된다. 히터(8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80)는 온수탱크의 내부 에 배치될 수도 있고, 온수탱크(70)에 매몰되어 마련될 수도 있으며, 온수탱크(70)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온수탱크(70)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는 공급밸브(81)를 더 포함한다. 공급밸브(81)는 정수부(10)와 온수탱크(70) 사이에 배치된다. 즉, 공급밸브(81)를 단속하여 정수부(10)에서 정수된 물을 온수탱크(70)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공급밸브(8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탱크(70)의 유입구에 연결된 배관에 마련된다. 여기서, 후술할 제2분기밸브(26)가 공급밸브(81)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제2분기밸브(26)의 제2유출구(29)를 개방 및 차단함으로써, 온수탱크(70)로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히터(80)의 전원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히터스위치(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스위치(90)는 히터(80)가 온수탱크(70)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가열 및 가열해제시키는 정상모드와, 히터(80)의 정상모드를 해제하여 히터(80)를 가열해제시키는 정지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마련된다. 히터스위치(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입력부(53)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디스펜서부(50)에 별도의 스위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순환배관(83)은 온수배관(74)으로부터 분기되어 온수탱크(70)와 연결된다. 즉, 온수탱크(70)와 온수배관(74)과 순환배관(83)은 연통되게 형성된다. 순환배관(83)은 디스펜서부(50)와 인접한 온수배관(74)의 일 영역에서 분기된다. 순환배관(83)은 온수배관(74)과 마찬가지로 상부힌지부(41)의 중공 힌지축(42)의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중공 힌지축(42)의 내부를 관통한 순환배관(83)은 냉동실 도어(31)의 발포공간에 매설된다. 이에, 온수탱크(70)가 상부에 배치되더라도 냉동실 도어(31)의 회동에 간섭을 하지 않게 된다.
중공 힌지축(42)의 내부에 수용되는 순환배관(83)의 외주면에는 전선(8) 및 온수배관(74)과 이격되도록 보호부재(75)가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재(75)는 순환배관(83)의 절곡되는 부위를 보호하도록 절곡되는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스프링 또는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단속밸브(85)는 온수배관(74)과 순환배관(83)의 분기영역에 마련된다. 단속밸브(85)는 온수탱크(70)와 단속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및 순환배관(83) 내부에 정체되어 있는 물이 디스펜서부(50)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한다. 단속밸브(85)는 온수배관(74)과 순환배관(83) 사이를 차단하는 동시에 온수탱크(70)와 단속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내부의 물을 디스펜서부(50)로 배출시키는 개방위치와, 온수배관(74)과 순환배관(83) 사이를 연통시키는 동시에 온수탱크(70)와 단속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내부의 물이 디스펜서부(50)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단속밸브(85)는 워터레버(51)와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입력부(53)에서 온수를 선택하고, 워터레버(51)를 가압하면 단속밸브(85)가 개방위치로 이동하여, 단속밸브(85) 상부 및 하부의 온수배관(74)을 연통시킨다. 이에, 온수배관(74) 및 온수탱크(70)에 저장된 온수가 디스펜서부(50)로 토출된다. 그리고, 워터레버(51)의 압력을 해제하면 단속밸브(85)가 폐쇄위치로 이동하여, 온수탱 크(70)와 단속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내부의 물이 디스펜서부(5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단속밸브(85)는 단속밸브(85)와 워터레버(51)의 연동구조를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워터레버(51)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속밸브(85)는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펌프(87)는 순환배관(83)의 일 영역에 배치된다. 펌프(87)는 온수탱크(70)와 단속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및 순환배관(83)에 정체되어 있는 물을 온수탱크(70)로 강제로 순환시킨다. 펌프(87)는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물의 순환방향은 온수탱크(70), 온수배관(74), 순환배관(83)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도 있고, 역방향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단속밸브(85)에 마련되는 제2온도센서(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온도센서(78)는 단속밸브(85)에 정체되어 있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출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히터(8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온도센서(78)는 단속밸브(85)에 마련된다고 전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환배관(83)에 마련되거나, 온수탱크(70)와 단속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에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2온도센서(78)는 단속밸브(85)와, 온수탱크(70)와 단속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및 순환배관(83)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정체되어 있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증기배출유닛(110)은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탱크(70) 내 부의 증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증기안내부(111)와, 증기유입구(11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15)와, 개폐부재(115)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117)와, 개폐부재(115)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부(116)를 포함한다. 증기배출유닛(110)은 온수탱크(7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증기안내부(111)는 온수탱크(70)의 상부에 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구(112)와, 증기유입구(112)로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유출구(113)가 관통 형성되어있다. 증기안내부(111)는 온수탱크(7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마련된다. 증기안내부(111)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사각통 형상 또는 오각통 형상 등 다각통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증기안내부(111)는 온수탱크(70)의 상부면에서 하향 배치될 수도 있고, 온수탱크(70)의 상부면에서 상향 배치될 수도 있다. 증기유입구(112)와 증기유출구(113) 사이에는 소정의 안내공간(114)이 형성되어 있다.
증기유입구(112)는 증기안내부(111)의 하부면의 소정 영역이 관통 형성되며, 증기유출구(113)는 증기안내부(111)의 상부면의 소정 영역이 관통 형성된다. 증기유출구(113)와 증기유입구(112)는 각각 증기안내부(111)의 상하부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증기안내부(111)가 온수탱크(70)의 상부면에서 상향 배치되는 경우에는 증기유출구(113)가 증기안내부(111)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증기유입구(112)와 증기유출구(113)는 하나의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매쉬형상의 복수개의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부재(115)는 증기유입구(112)와 증기유출구(113) 사이에 배치된다. 개폐부재(115)는 온수탱크 내부의 증기압력에 따라 증기유입구(11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B)와, 증기유입구(112)를 폐쇄하는 폐쇄위치(A) 사이를 이동한다. 개폐부재(115)는 판형상으로 마련되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115)는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면, 증기압력에 의해 개방위치(B)로 이동하여 증기유입구(112)를 개방시키다. 이에,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를 증기유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개폐부재(115)는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 후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압력이 낮아지면, 폐쇄위치(A)로 이동하여 증기유입구(112)를 폐쇄한다. 이에, 온수탱크(70)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개폐부재(115)는 증기유입구(112)의 크기에 비하여 더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개폐부재(115)가 폐쇄위치인 경우 증기유입구(112)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개폐부재(115)는 온수탱크(70)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면, 개방위치(B)로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무게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지지부(116)는 개폐부재(115)를 증기안내부(111)의 하부면과 이격시키도록 증기유입구(112)의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된다. 이에, 상부지지부(116)는 증기안내부(111)의 내부를 유동하는 증기가 응결된 물에 의해 개폐부재(115)가 증기안내부(111)의 하부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지지부(116)는 개폐부재(115)가 증기에 의해 증기안내부(1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증기유입구(112)의 둘레에 밀착되어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더라도 표면장력에 의 해 개폐부재(115)가 개방위치로 이동하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증기안내부(111)의 내부를 유동하는 증기가 응결된 물이 온수탱크(70) 내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증기안내부(111)의 하부면에 관통홀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지지부(117)는 증기유출구(113)의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된다. 하부지지부(117)는 수분에 의해 개폐부재(115)가 증기안내부(111)의 상부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지지부(117)는 개폐부재(115)가 증기에 의해 증기안내부(111)의 상부면에 형성된 증기유출구(113)의 둘레에 밀착되어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어 개폐부재(115)가 개방위치(B)로 이동하면서 증기에 의해 증기유출구(113)의 둘레에 밀착되며, 표면장력에 의해 개폐부재(115)가 폐쇄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증기유출구(113)를 폐쇄할 수도 있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지지부(117)의 판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배출공(118)이 형성될 수 있다. 증기배출공(118)은 개폐부재(115)가 상부지지부(116)에 밀착되어 있더라도 증기유입구(112)를 통과한 증기를 증기유출구(113)로 안내한다. 또한, 증기배출공(118)은 개폐부재(115)가 상부지지부(116)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 온수탱크(7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개폐부재(115)가 폐쇄위치(A)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증기배출유닛(110)은 증기유출구(113)에서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외부덕트(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덕트(119)는 온수탱크(70)와 펌프(87) 등의 구성을 커버하도록 커버부재(미도시)가 마련되는 경우, 증기유출구(113)로 토출되는 증기를 커버부재(미도시)의 외부로 안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히터(8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는 히터스위치(90)에서 정상모드 선택시, 온수탱크(70)에 저장된 물을 소정 수위범위 및 소정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공급밸브(81) 및 히터(8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히터스위치(90)에서 정지모드 선택시, 공급밸브(81)를 차단하며, 히터(80)를 가열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사용자는 온수탱크(70)에 저장된 온수를 토출하여도 공급밸브(81)를 개방하지 않으므로, 정지모드가 선택된 기간동안에 온수탱크(70)를 비워서 온수탱크(70)의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히터(8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펌프(87)의 제1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는 펌프(87)를 일정 주기로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펌프(87)를 구동하는 주기는 실험을 통해 산출된 주기로서, 설정온도 및 외부환경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펌프(87)가 구동되는 주기는 사용자가 온수를 취출한 후, 단속밸브(85)에 정체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설정된 구동온도 이하로 하강하는 시간의 평균을 산출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펌프를 일정 시간동안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펌프(87)를 구동하는 시간은 실험을 통해 산출된 시간이다. 여기서, 펌프(87)가 구동되는 시간은 펌프(87)를 구동한 후 단속밸브(85)에 정체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설정된 정지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의 평균을 산출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는 항상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펌프(87)의 제2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는 제2온도센서(78)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펌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제2온도센서(78)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구동온도 이하로 판단되면, 펌프(87)를 구동하여 물을 순환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펌프(87)의 구동 후, 제2온도센서(78)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된 정지온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펌프(87)의 구동을 정지한다. 여기서, 펌프(87)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구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 냉수 및 온수의 공급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펜서부(50)로 얼음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외부연결부(11)를 통해 고내로 유입된 물은 정수부(10)에서 불순물이 제거된다. 정수부(10)에서 정수된 물은 제1분기밸브(21)의 유입구(22)로 유입된다. 제1분기밸브(21)의 제1유출구(23)를 통과한 물은 제2분기밸브(26)의 유입구(27)로 유입되며, 제2분기밸브(26)의 제1유출구(28)를 통과한 물은 제빙기(6)로 이동한다. 제빙기(6)로 공급된 물은 제빙기(6)에서 제빙된다. 제빙기(6)에서 제빙된 얼음은 이빙되어 얼음저장부(7)에 저장된다. 여기서, 얼음저장부(7)에 일정량의 얼음을 유지하기위해 제어부는 제1분기밸브(21) 또는 제2분기밸브(26)를 제어하여 제빙기(6)로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아이스레버(52)를 가압하면, 얼음저장부(7)로부터 디스펜서부(50)로 얼음이 공급된다.
다음, 디스펜서부(50)로 냉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외부연결부(11)를 통해 고내로 유입된 물은 정수부(10)에서 불순물이 제거된다. 정수부(10)에서 정수된 물은 제1분기밸브(21)의 유입구(22)로 유입된다. 제1분기밸브(21)의 제2유출구(24)를 통과한 물은 저장실(2)에 배치된 냉수탱크(13)로 이동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워터레버(51)를 가압하면, 냉수탱크(13)에 저온 저장된 물이 냉수배관(15)을 통해 디스펜서부(50)로 공급된다. 여기서, 냉수배관(15)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힌지부(41a)의 중공 힌지축(42a) 내부에 배치된다. 한편, 냉수배관(15)의 일 영역에는 펌프가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 디스펜서부(50)로 온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외부연결부(11)를 통해 고내로 유입된 물은 정수부(10)에서 불순물이 제거된다. 정수부(10)에서 정수된 물은 제1분기밸브(21)의 유입구(22)로 유입된다. 제1분기밸브(21)의 제1유출구(23)를 통과한 물은 제2분기밸브(26)의 유입구(27)로 유입되며, 제2분기밸브(26)의 제2유출구(29)를 통과한 물은 온수탱크(7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온수탱크(70)에 저장된 물은 히터(80)에 의해 가열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워터레버(51)를 가압하면, 단속밸브(85)가 개방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온수탱크(70)와 단속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에 정체되어 있는 물이 디스펜서부(50)로 공급되며, 이어서 온수탱크(70)에 저장된 물이 디스펜서부(50)로 공급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온수를 공급받은 후, 워터레버(51)의 압력을 해제하면 단속밸브(85)는 폐쇄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온수탱크(70)와 단속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의 물이 디스펜서부(50)로 배출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정수부(10)에서 각각 제빙기(6), 냉수탱크(13) 및 온수탱크(70)로 분기되는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분기밸브(20)를 4구밸브로 마련하여 정수부(10)에서 분기밸브(20)로 유입된 물을 각각 제빙기(6), 냉수탱크(13) 및 온수탱크(70)로 분기시키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증기배출유닛(11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히터히터(80)가 구동되어 온수탱크(70) 내부의 물이 가열되면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면,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압력에 의하여 개폐부재(115)가 개방위치(B)로 이동하여 증기유입구(112)를 개방한다. 증기유입구(112)를 통과한 증기는 안내공간(114)을 통과하여 증기유출구(113)로 이동하며, 외부덕트(119)의 안내를 받아 외부로 배출된다. 증기가 배출되고 난 후, 개폐부재(115)는 자중에 의해 증기유입구(112)를 폐쇄하는 폐쇄위치(A)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온수탱크(70)를 본체(1)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온수탱크(70)와 저장실(2)은 발포제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어 온수탱크(70)의 열이 저장실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저장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온수배관(74) 및 순환배관(83)을 중공 힌지축(42) 내부에 배치함으 로써, 온수탱크(70)가 본체(1)의 상부에 배치되더라도 도어(30)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압력에 따라 온수탱크(70)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배출유닛(110)을 마련함으로써,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탱크 내부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된 디스펜서부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부로 공급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의 상부에 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온수탱크 내부의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구와 상기 증기유입구로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유출구가 형성된 증기안내부와, 상기 증기유입구와 상기 증기유출구 사이에 판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온수탱크 내부의 증기압력에 따라 상기 증기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갖는 증기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유닛은 상기 증기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된 하부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유닛은 상기 증기유출구의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된 상부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의 판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60038898A 2006-04-28 2006-04-28 냉장고 KR20070106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898A KR20070106249A (ko) 2006-04-28 2006-04-2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898A KR20070106249A (ko) 2006-04-28 2006-04-2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249A true KR20070106249A (ko) 2007-11-01

Family

ID=3906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898A KR20070106249A (ko) 2006-04-28 2006-04-2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62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4058B2 (en) 2013-08-27 2016-02-09 General Electric Company 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4058B2 (en) 2013-08-27 2016-02-09 General Electric Company 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5809A (ko) 온수공급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070251261A1 (en) Hot water supplying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16895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hot water dispenser
KR101609438B1 (ko) 냉장고
US9568240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hot water dispenser
KR20070108768A (ko)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8651330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hot water dispenser
CN105910381B (zh) 苏打水制作单元、具有该单元的冰箱及其控制方法
EP2682691B1 (en) Refrigerator
KR101110673B1 (ko) 냉온 정수기
KR20110026602A (ko) 냉장고
AU2007255635B2 (en) Refrigerator
KR2007010625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6158A (ko) 기능수 공급 장치
KR20100002897A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제빙기 및 그 제빙기의 청소방법
KR20070044247A (ko) 냉장고
KR20070105650A (ko) 냉장고
KR20070106249A (ko) 냉장고
KR20070108769A (ko) 냉장고
KR102101729B1 (ko) 냉장고
KR100894475B1 (ko) 온수 공급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101953780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21660B1 (ko) 냉장고
KR2010006203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06437U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