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72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729B1
KR102101729B1 KR1020130015521A KR20130015521A KR102101729B1 KR 102101729 B1 KR102101729 B1 KR 102101729B1 KR 1020130015521 A KR1020130015521 A KR 1020130015521A KR 20130015521 A KR20130015521 A KR 20130015521A KR 102101729 B1 KR102101729 B1 KR 102101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water
storage tank
refrigerator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082A (ko
Inventor
정효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72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93Level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사용자가 냉장고에서 물과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디스펜서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펜서에 공급되는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저장탱크,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액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액체공급유로, 상기 물공급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액체공급유로와 연결되는 분지유로 및 상기 분지유로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액체공급유로에서 상기 디스펜서로 유동시키거나, 상기 액체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액체를 상기 액체공급유로에서 상기 디스펜서로 유동시키는 절환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저장물이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된다. 저장실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저장실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에 음식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저장실을 구비한다. 그리고, 저장실의 전면에는 저장실의 개폐를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도어는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하여 저장실을 개폐한다.
냉장고는 음식물의 저장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저장실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실과 냉동실이 냉장고의 본체 내부에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각각 개폐하기 위하여 냉장실 도어 및 냉동실 도어가 각각 마련된다.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 시원한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설치된다.
다만, 일반적인 디스펜서는 물만 취출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 이외의 음료의 경우에는 냉장고 도어를 열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이로 인한 에너지 낭비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5341호(2005.09.2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509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과, 물 이외의 액체를 디스펜서를 통해 공급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물 이외의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유로를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세척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사용자가 냉장고에서 물과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디스펜서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펜서에 공급되는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저장탱크,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액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액체공급유로, 상기 물공급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액체공급유로와 연결되는 분지유로 및 상기 분지유로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액체공급유로에서 상기 디스펜서로 유동시키거나, 상기 액체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액체를 상기 액체공급유로에서 상기 디스펜서로 유동시키는 절환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체저장탱크에는 상기 액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물과, 물 이외의 액체를 디스펜서를 통해 공급하므로,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여닫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고, 냉장고 도어의 잦은 열림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액체저장탱크가 냉장실에 설치되어서, 액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가 차갑게 보관되므로, 사용자는 언제든지 차가운 액체(음료 등)을 음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침전물 등으로 더러워질 수 있는 액체공급유로를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손쉽고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액체저장탱크가 탈거되는 경우, 액체저장탱크에 새로운 액체가 채워질 확률이 높으므로, 사용자에게 이를 인지시켜서 액체공급유로의 세척을 유도하는 이점이다.
다섯째,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액체저정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잔량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액체의 리필시점을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액체의 잔량을 환인하기 위해 냉장고 도어를 여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를 열었을 때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반적인 작동모습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액체공급유로의 세척 시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의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와, 본체(2)의 내부 마련되는 1저장실과, 2저장실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4)(6)와, 도어(4)(6)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110)를 구비한다.
저장실은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을 포함하고,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은 각각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F)과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R)일 수 있다.
본체(2)에는 냉동실(F) 및 냉장실(R)을 저온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동 사이클 장치가 장착된다.
냉동 사이클 장치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외부 공기로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감압되는 팽창기와, 팽창기에서 팽창된 냉매가 냉동실(F) 또는 냉장실(R)로부터 순환되는 공기의 열을 빼앗아 증발되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저장실(F)(R)의 내부에는 음식재료나 반찬 등의 저장물(이하, 저장물로 칭함)이 올려지는 선반(8)(10)과 상면을 통해 저장물이 출입되고 저장실(F)(R)로 전후 슬라이드되는 드로워(12)(14) 등이 배치된다.
도어(4)(6)는 도어(4)(6)를 닫았을 때 저장실(F)(R)을 향하는 면(즉, 내면)에 생수, 우유, 주스, 주류 등의 음료나 아이스크림 등의 빙과류 등이 보관되는 바스켓(16)(18)이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16)(18)은 도어(4)(6)에 상하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실(F)(R)은 냉동실(F)과 냉장실(R)을 포함하고, 도어(4)(6)는 냉동실(F)을 여닫는 냉동실 도어(4)와, 냉장실(R)을 여닫는 냉장실 도어(6)를 포함하며, 선반(8)(10)은 냉동실(F)에 배치된 냉동실 선반(8)과, 냉장실(R)에 배치된 냉장실 선반(10)을 포함하고, 바스켓(16)(18)은 빙과류 등의 냉동물이 보관되는 냉동실 바스켓(16)과, 우유, 주스, 주류 등의 음료 등의 냉장물이 보관되는 냉장실 바스켓(18)을 포함한다.
디스펜서(110)는 사용자가 냉장고에서 물과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도어의 전면에 설치된다. 디스펜서(110)는 냉동실 도어(4) 또는 냉장실 도어(6)에 설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냉동실 도어(4)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110)는 냉동실 도어(4)의 전면에 설치되고, 급수원(125) 및 액체저장탱크(130)와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디스펜서(110), 액체저장탱크(130), 물공급부, 액체공급유로(133), 분지유로(150) 및 절환밸브(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110)는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4)(6)를 열지 않고, 냉장고에서 물과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도어(4)(6)의 전면에 설치된다.
디스펜서(110)는 물공급부와 연결되는 물 취출부(111)와, 액체공급유로(133)와 연결되는 액체 취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취출부(111)와 액체 취출부(112)는 노즐로 구현될 수 있고,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디스펜서(110)는 냉장고 도어(4)(6)의 전면에 컵이 인입되는 공간을 가진다.
디스펜서(110)는 액체 취출부(112)에 인접하여서 사용자가 액체 취출부(112) 근처에 컵을 접근시키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액체취출 감지센서(114)와, 물 취출부(111)에 인접하여서 사용자가 물 취출부(111) 근처에 컵을 접근시키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물취출 감지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물취출 감지센서(113)와 액체취출 감지센서(114)는 압력센서,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취출 감지센서(113)는 물 취출부(111)의 하단에 배치되고, 액체취출 감지센서(114)는 액체 취출부(112)의 하단에 배치된다.
물공급부는 급수원(125)으로부터 디스펜서(110)에 물을 공급한다.
물공급부는 급수원(125)과 디스펜서(110)를 연결하는 물공급유로(121)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물공급유로(121)의 일단은 급수원(125)과 연결되고, 타단은 디스펜서(110)의 물 취출부(111)와 연결된다.
물공급유로(121)는 금속 또는 수지재질의 관을 포함할 수 있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물공급유로(121)는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다.
급수원(125)에 인접한 물공급유로(121)에는 물공급 조절밸브(122)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또한, 물공급부는 물공급유로(121) 상에 배치되어 물을 정수하는 필터(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유로(121)는 디스펜서(110)로 공급되는 물이 본체(2)의 한기에 의해 냉각되어 공급되도록 도어(4)(6)의 내측에 다수 회 벤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물공급유로(121)를 유동하는 물이 도어(4)(6)에서 오래 머물게 되므로,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내부와 열교환하여서, 별도의 냉각 없이 시원한 상태가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열교환의 효율성을 위해서, 물공급유로(121)는 냉동실 도어(4)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물공급유로(121) 중 도어(4)(6)의 내측에서 다수 회 밴딩되는 구간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서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냉동실 도어(4)는 냉동실(F)의 내면을 이루는 내상(4a)과 외표면을 이루는 외상(4b)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내상과 외상 사이에는 단열구조를 이루도록 발포단열재(4c)가 충진된다. 여기에서 물공급유로(121)의 밴딩되는 구간은 발포단열재(4c)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물공급유로(121)는 냉동실 도어(4)의 내상(4a)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되게 설치되어 물공급유로(121) 내부의 물이 얼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즉, 냉동실(F)의 내부온도는 보통 -16∼ -22℃를 유지하기 때문에 물공급유로(121)가 내상(4a)과 너무 인접되게 설치되면 얼게 되고, 너무 멀게 되면 냉각효과가 떨어지게 되므로, 물공급유로(121) 내의 물의 온도가 3∼5℃로 유지될 수 있는 적정거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저장탱크(130)는 본체(2) 내에 위치하여 디스펜서(110)에 공급되는 액체가 저장된다. 액체저장탱크(130)는 액체공급유로(133)와 연결된다. 여기서, 액체는 물 이외의 사용자가 음용 가능한 음료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탄산수, 주스, 과즙, 야채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저장탱크(130)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액체 취출부(112) 보다 높게 배치된다. 다시 설명하면, 액체저장탱크(130)는 액체 취출부(112) 보다 수직방향(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높게 설치되어서, 다른 기구의 도움 없이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가 그 자중에 의해 액체 취출부(112)로 취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액체저장탱크(130)가 너무 낮은 온도에 노출되는 경우,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가 결빙될 우려가 있으므로, 액체저장탱크(130)는 냉장실(R)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저장탱크(130)가 냉장실(R)에 설치되면,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가 차갑게 보관되므로, 사용자는 언제든지 차가운 액체(음료 등)을 냉장고 도어(4)(6)를 열지 않고,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저장탱크(130)는 냉장실 도어(6) 또는 냉장실(R)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액체저장탱크(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액체를 리필할 수 있도록, 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의 공간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체(2) 내부에서 공간활용성을 고려하면, 대략적인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저장탱크(130)는 내부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믹스팬(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믹스팬(131)은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되는 액체가 침전물이 생기는 액체인 경우, 침전물과 용매를 잘 섞어주는 기능을 한다.
믹스팬(131)은 액체저장탱크(130)의 내부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맥스팬은 모터와 같은 회전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믹스팬(131)은 액체저장탱크(130) 내에서 액체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정도의 부피를 가지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믹스팬(131)은 기설정된 시간마다 작동될 수 있다. 기설정된 기간은 사용자가 액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액체공급유로(133)는 디스펜서(110)와 액체저장탱크(130)를 연결한다. 예를 들면, 액체공급유로(133)의 일단은 액체저장탱크(130)의 하부에 연결되고, 액체공급유로(133)의 타단은 디스펜서(110)의 액체 취출부(112)와 연결된다.
분지유로(150)는 물공급부에서 분지되어 액체공급유로(133)와 연결된다. 즉, 분지유로(150)의 일단은 물공급유로(121)와 연결되고, 타단은 액체공급유로(133)와 연결된다.
분지유로(150) 상에는 분지유로(150)를 개폐하는 개폐밸브(15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개폐밸브(152)는 물공급유로(121)의 물이 액체공급유로(133)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게 된다.
분지유로(150)는 액체공급유로(133)의 세척을 고려하면, 액체저장탱크(130)에 인접한 액체공급유로(133)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환밸브(140)는 분지유로(150)에서 공급된 물을 액체공급유로(133)에서 디스펜서(110)로 유동시키거나, 액체저장탱크(130)에서 공급된 액체를 액체공급유로(133)에서 디스펜서(110)로 유동시킨다. 즉, 절환밸브(140)는 액체공급유로(133)와 액체저장탱크(130)를 연결시키고, 액체공급유로(133)와 분지유로(150)를 폐쇄시키거나, 액체공급유로(133)와 액체저장탱크(130)를 폐쇄시키고, 액체공급유로(133)와 분지유로(150)를 연결시킨다.
액체공급유로(133) 내부로는 물만 공급되는 것이 아니고, 침전물도 같이 공급되므로, 액체공급유로(133)의 내부는 침전물이 쌓이거나, 부패될 수 있다. 따라서, 절환밸브(140)는 평상 시에는 액체저장탱크(130)와 액체공급유로(133)를 연결시켜서, 사용자가 디스펜서(110)의 액체 취출부(112)에서 액체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하지만, 액체공급유로(133)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물공급유로(121)로 유동되는 물을 액체공급유로(133)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절환밸브(140)가 물공급유로(121)를 유동하는 물을 액체공급유로(133)로 유동시키면, 급수원(125)에서 발생된 자연적인 수압에 의해 액체공급유로(133)의 청소가 가능해진다.
실시예는 더러워질 수 있는 액체공급유로(133)를 손쉽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고, 하나의 디스펜서(110)에서 차가운 물과, 다른 액체(음료) 등을 음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액체공급유로(133)의 전체를 청소하기 위해서 절환밸브(140)는 액체저장탱크(130)에 인접한 액체공급유로(133)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액체공급유로(133)에 공급된 물은 액체 취출부(112)를 통해서 취출되므로, 최대한 액체저장탱크(130)에 인접한 액체공급유로(133)에 절환밸브(140)가 배치되고, 분지유로(150)는 절환밸브(140)에 연결된다.
절환밸브(140)는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전면에는 조작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160)는 인체의 온도 또는 인체의 접근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60)는 압력을 감지하는 스위치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절환밸브(140)는 조작부(160)에서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분지유로(150)에서 공급된 물을 액체공급유로(133)에서 디스펜서(110)로 유동시킨다. 즉, 절환밸브(140)는 분지유로(150)와 액체공급유로(133)를 연결시키고, 액체공급유로(133)와 액체저장탱크(130)는 폐쇄시킨다. 물론, 자동으로 절환밸브(140)가 작동될 수 있고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액체공급유로(133) 상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서, 조작부(160)에서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액체 취출부(112)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원(125)의 수압에 의해 공급된 물은 액체공급유로(133)를 통과하여 액체 취출부(112)를 통해 배출되면서, 액체공급유로(133)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또한, 절환밸브(140)는 조작부(160)에서 전기신호가 인가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액체저장탱크(130)에서 공급된 액체를 액체공급유로(133)에서 디스펜서(110)로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절환밸브(140)는 분지유로(150)와 액체공급유로(133)를 폐쇄시키고, 액체공급유로(133)와 액체저장탱크(130)는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액체 취출부(112)를 통해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는 더러워질 수 있는 액체공급유로(133)를 손쉽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고, 하나의 디스펜서(110)에서 차가운 물과, 다른 액체(음료) 등을 음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는 분지유로(150)를 통해 공급된 물을 액체 취출부(112)를 통해 배출하게 함으로써, 물을 유속을 증가시키므로, 더욱 더 효과적인 액체공급유로(133)의 세척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 및 6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수위감지센서(180), 디스플레이(170), 알림기구(161), 착탈감지센서(190) 및 제어부(100)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수위감지센서(180)는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수위감지센서(180)는 압력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180)가 압력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압력센서는 액체저장탱크(130)에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센서는 액체저장탱크(130)의 바닥면 내부에 설치될 경우, 액체저장탱크(130)의 바닥면이 상판과 하판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면 상판과 하판 사이에 압력 센서 설치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감지센서(180)는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의 감지결과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착탈감지센서(190)는 액체저장탱크(130)가 본체(2)에 착탈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착탈감지센서(190)는 압력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감지센서(190)는 액체저장탱크(130)가 냉장고의 본체(2)에서 탈거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조작부(16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액체취출 감지센서(114)는 액체 취출부(112)의 근처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물취출 감지센서(113)는 물 취출부(111)의 근처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제어부(100)는 수위감지센서(18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100)는 수위감지센서(18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량)을 산출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170)에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위감지센서(180)가 압력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압력센서의 압력에 따라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량)을 산출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00)는 착탈감지센서(19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100)는 착탈감지센서(19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액체저장탱크(130)의 탈거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알림부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조작부(16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절환밸브(140)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100)는 조작부(160)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60)를 터치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절환밸브(140)가 분기유로와 액체공급유로(133)를 연결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절환밸브(140)가 분기유로와 액체공급유로(133)를 폐쇄하고, 액체저장탱크(130)와 액체공급유로(133)를 연결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물취출 감지센서(113)에의 감지 결과에 따라 물 취출부(111)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100)는 물취출 감지센서(113)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물취출 감지센서(113)에 물체의 접근을 판단하고, 물체가 접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물 취출부(111)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액체취출 감지센서(114)에의 감지 결과에 따라 액체 취출부(11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100)는 액체취출 감지센서(114)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액체취출 감지센서(114)에 물체의 접근을 판단하고, 물체가 접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액체 취출부(112)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 또는 량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70)에 의해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 액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170)는 제어부(100)가 수위감지센서(180)에의 감지결과에 따라 산출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게 된다.
디스플레이(17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70)는 액체의 수위를 막대 그래프로 표시하는 엘이디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70)는 액체의 수위를 수치로 표현할 수도 있으며, 색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림기구(161)는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어 액체저장탱크(130)가 본체(2)에서 탈거되는 경우 작동된다. 즉, 제어부(100)는 착탈감지센서(190)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산출하고, 알림기구(161)는 제어부(100)에서 액체저장탱크(130)가 본체(2)에서 탈거되었다고 판단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작동하게 된다.
알림기구(161)는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기구(161)는 제어부(100)에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음성메세지, 알람소리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조명점멸 등을 출력하는 엘이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액체저장탱크(130)의 탈거를 인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액체공급유로(133)의 청소를 하도록 유도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의 도어(4)(6)를 열지 않고, 냉장고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량(수위)를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액체저장탱크(130)가 탈거되는 경우, 액체저장탱크(130)에 새로운 액체가 채워질 확률이 높으므로, 사용자에게 이를 인지시켜서 액체공급유로(133)의 세척을 유도하는 이점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반적인 작동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급수원(125)에 연결된 물공급유로(121)를 따라 물이 공급되고, 공급된 물은 냉동실 도어(4)를 따라 흐르면서 냉각되며, 물공급유로(121)의 일단에 연결된 물 취출부(111)로 공급된다. 이때, 분지유로(150) 상에 배치되는 개폐밸브(152)는 폐쇄된다.
물 취출부(111)로 공급된 물은 사용자가 디스펜서(110)를 통해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액체는 냉장실(R)의 한기에 의해 냉각되고, 액체공급유로(133)를 따라 디스펜서(110)의 액체 취출부(112)로 공급된다. 이때, 절환밸브(140)는 분지유로(150)와 액체공급유로(133)는 폐쇄하고, 액체저장탱크(130)와 액체공급유로(133)는 연결시킨다.
액체 취출부(112)로 공급된 액체는 사용자가 디스펜서(110)를 통해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액체공급유로(133)의 세척 시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조작부(160)의 전기신호 또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절환밸브(140)가 분지유로(150)와 액체공급유로(133)는 연결하고, 액체저장탱크(130)와 액체공급유로(133)는 폐쇄하도록 절환된다. 또한, 분지유로(150)에 개폐밸브(152)가 존재하는 경우, 개폐밸브(152)가 개방된다.
물공급유로(121)를 유동하는 물은 분지유로(150)로 분지되고, 분지유로(150)를 유동한 물은 액체공급유로(133)로 유동되면서 액체공급유로(133)의 내부를 수압에 의해 세척하게 된다. 또한, 세척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디스펜서(110)의 액체 취출부(112)를 개방하여서, 액체공급유로(133)를 유동한 물을 배출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7)

  1.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사용자가 냉장고에서 물과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디스펜서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펜서에 공급되는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저장탱크;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액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액체공급유로;
    상기 물공급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액체공급유로와 연결되는 분지유로;
    상기 분지유로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액체공급유로에서 상기 디스펜서로 유동시키거나, 상기 액체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액체를 상기 액체공급유로에서 상기 디스펜서로 유동시키는 절환밸브; 및
    상기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환밸브는 상기 액체저장탱크에 인접한 상기 액체공급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절환밸브는,
    상기 조작부에서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분지유로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액체공급유로에서 상기 디스펜서로 유동시키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물공급부와 연결되는 물 취출부와,
    상기 액체공급유로와 연결되는 액체 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에서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액체 취출부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밸브는,
    상기 조작부에서 전기신호가 인가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액체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액체를 상기 액체공급유로에서 상기 디스펜서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밸브는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급수원과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물공급유로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물공급유로 상에 배치되어 물을 정수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로는,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본체의 한기에 의해 냉각되어 공급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에 다수회 벤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로와 연결되는 상기 분지유로 상에는 상기 분지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탱크는 내부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믹스팬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팬은 기설정된 시간마다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탱크에는 상기 액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압력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액체의 수위를 막대 그래프로 표시하는 엘이디인 냉장고.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탱크는 본체의 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알림기구와,
    상기 액체저장탱크가 본체에 착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착탈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저장탱크가 탈거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알림기구를 작동시키는 냉장고.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탱크는 상기 액체 취출부 보다 높게 배치되는 냉장고.


KR1020130015521A 2013-02-13 2013-02-13 냉장고 KR102101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521A KR102101729B1 (ko) 2013-02-13 2013-02-1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521A KR102101729B1 (ko) 2013-02-13 2013-02-1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082A KR20140102082A (ko) 2014-08-21
KR102101729B1 true KR102101729B1 (ko) 2020-04-20

Family

ID=5174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521A KR102101729B1 (ko) 2013-02-13 2013-02-1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116A1 (ko) * 2019-10-11 2021-04-15 (주)소프트제국 브라우저의 웹스토리지를 이용한 간편인증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456B1 (ko) 2015-02-17 202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4719517B (zh) * 2021-01-04 2023-07-14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361B2 (ja) 1998-12-25 2004-06-1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装置
JP2005299997A (ja) * 2004-04-09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飲料冷却注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1629A (ja) * 1994-11-30 1996-06-21 Sanyo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20050095341A (ko) 2004-03-26 2005-09-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이온수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322777B1 (ko) * 2007-02-16 2013-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39447B1 (ko) 2010-01-19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361B2 (ja) 1998-12-25 2004-06-1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装置
JP2005299997A (ja) * 2004-04-09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飲料冷却注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116A1 (ko) * 2019-10-11 2021-04-15 (주)소프트제국 브라우저의 웹스토리지를 이용한 간편인증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082A (ko)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330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hot water dispenser
US8869550B2 (en) Ice and cold water dispensing assembly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EP2679942B1 (en) Refrigerator
US20100031675A1 (en)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ice making of refrigerator
US20130105513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chilled water dispenser
EP3153802A1 (en) Refrigerator
US20130104586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hot water dispenser and related control system
KR101595360B1 (ko) 온수 취출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US20140157810A1 (en) Refrigerator
KR100737956B1 (ko) 냉장고
JP2018514738A (ja) 冷却器を清潔に保つための逆動作する冷却器ファンモーターを有する製氷機
BRPI0606901B1 (pt) geladeira
KR102101729B1 (ko) 냉장고
US11326825B2 (en) Stand-alone ice and beverage appliance
EP1912032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water dispenser
JP5460664B2 (ja) 冷蔵庫
KR101639447B1 (ko) 냉장고
KR20100002897A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제빙기 및 그 제빙기의 청소방법
KR20070044247A (ko) 냉장고
KR2007010625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754360B1 (ko) 냉장고
US11287176B2 (en) Cooling system for refrigerator appliance with flexible chamber in door
KR20180020844A (ko) 눈꽃 제빙기
CN106225372B (zh) 直冷式冰箱
KR2013004604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