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768A -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8768A KR20070108768A KR1020060041185A KR20060041185A KR20070108768A KR 20070108768 A KR20070108768 A KR 20070108768A KR 1020060041185 A KR1020060041185 A KR 1020060041185A KR 20060041185 A KR20060041185 A KR 20060041185A KR 20070108768 A KR20070108768 A KR 200701087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cold
- cold water
- rod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7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04 Blow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는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배관과,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배관과, 냉수배관 및 온수배관과 연결된 디스펜서부를 포함하며, 디스펜서부는, 냉수배관을 통하여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구와, 온수배관을 통하여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와, 유입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며, 냉수유입구 또는 온수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냉온수단속부와;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단속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냉수와 온수를 하나의 토출구로 토출할 수 있다.
냉장고, 급수장치, 디스펜서, 온수, 냉수, 레버
Description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를 갖는 냉장고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를 갖는 냉장고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저장실
10 : 정수부 11 : 외부연결부
13 : 냉수탱크 30 : 도어
40 : 힌지부 50 : 디스펜서부
70 : 온수탱크 74 : 온수배관
78 : 제2온도센서 80 : 히터
85 : 온수밸브 87 : 펌프
90 : 히터스위치 110 : 증기배출유닛
200 : 급수장치 210 : 하우징
213 : 온수유입구 215 : 냉수유입구
217 : 토출구 220 : 냉온수단속부
221 : 로드 224 : 온수패킹부
225 : 냉수패킹부 227 : 작동부
230 : 토출구단속부 231 : 로드
235 : 토출구패킹부 237 : 레버(도 4의 51과 동일)
본 발명은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레버를 사용하여 온수와 냉수를 취출할 수 있는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장치는 외부 또는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사용자에 게 공급하는 냉온수기, 정수기 등을 포함한다. 근래에 출시되는 급수장치는 냉수와 온수를 모두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급수장치는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탱크와,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와 연결되어 냉수 또는 온 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디스펜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펜서부는 냉수와 온수를 각각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디스펜서부는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냉수레버와,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온수레버를 포함한다.
한편, 근래에 출시되는 냉장고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기본적인 장치 외에 기능성 및 편의성을 고려한 여러 가지 다양한 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홈바 또는 급수장치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온수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급수장치의 디스펜서부에는 냉수레버와 온수레버가 각각 마련되므로,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급수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레버로 냉수와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배관과,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배관과, 상기 냉수배관 및 상기 온수배관과 연결된 디스펜서부를 갖는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부는, 상기 냉수배관을 통하여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구와, 상기 온수배관을 통하여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와, 상기 유입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며, 상기 냉수유입구 또는 상기 온수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냉온수단속부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단속부를 포함하는 급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냉온수단속부에서 상기 냉수유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토출구단속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면 냉수가 토출되며, 상기 냉온수단속부에서 상기 온수유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토출구단속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면 온수가 토출된다.
상기 냉온수단속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냉수유입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온수유입구를 폐쇄하는 냉수공급위치와, 상기 온수유입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냉수유입구를 폐쇄하는 온수공급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공급위치에서 상기 온수유입구를 폐쇄하는 온수패킹부와; 상기 로드에 마련되어 상기 온수공급위치에서 상기 냉수유입구를 폐쇄하는 냉수패킹부와; 상기 로드가 상기 냉수공급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로드를 작동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온수단속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냉수유입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온수유입구를 폐쇄하는 냉수공급위치와, 상기 온수유입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냉수유입구를 폐쇄하는 온수공급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로드와;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냉수공급위치에서 상기 냉수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온수공급위치에서 상기 온수유입구와 연통 되는 냉온수유로부와; 상기 로드가 상기 냉수공급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로드를 작동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온수유로부의 유로는 상기 로드의 외주에 마련된 그루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온수유로부의 유로는 상기 로드에 마련된 관통부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온수유로부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냉수유로부와 온수유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전술 급수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부는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수배관을 개폐하는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배관을 개폐하는 온수밸브와; 상기 냉수밸브 또는 상기 온수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스위치와; 상기 입력부에서 냉수가 입력된 후 상기 밸브스위치를 작동하면 상기 냉수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온수가 입력된 후 상기 밸브스위치를 작동하면 상기 온수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스위치는 상기 토출구단속부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를 자세히 설명 한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냉수토출시의 단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온수토출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200)는 본체(미도시)와,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배관(15)과,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배관(74)과, 냉수배관(15) 및 온수배관(74)과 연결된 디스펜서부(50)를 포함한다.
디스펜서부(50)는 냉수배관(15)을 통하여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구(215)와, 온수배관(74)을 통하여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213)와, 유입되는 온수 또는 냉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는 토출구(217)가 형성된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디스펜서부(50)는 냉수유입구(215) 또는 온수유입구(21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냉온수단속부(220)와, 토출구(217)를 개폐하는 토출구단속부(23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21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1)의 후방영역은 온수유입구(213)와 연통되어 있으며,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1)의 상부영역은 냉수유입구(215)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1)의 하부영역은 토출구(217)와 연통되어 있다.
냉수유입구(215)에는 냉수배관(15)이 결합되어 있다. 냉수유입구(215)의 크기는 후술할 냉수패킹부(225)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온수유입구(213)에는 온수배관(74)이 결합되어 있다. 온수유입구(213)의 크 기는 후술할 온수패킹부(224)의 크기와 대응되거나, 온수패킹부(224)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토출구(217)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우징(210)의 하부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냉온수단속부(220)는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1)에 전후방향으로 관통 결합된다. 냉온수단속부(220)는 하우징(210)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드(221)와, 로드(221)에 마련되어 온수유입구(213)를 개폐하는 온수패킹부(224)와, 로드(221)에 마련되어 냉수유입구(215)를 개폐하는 냉수패킹부(225)와, 로드(22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26)와, 로드(221)를 작동하는 작동부(227)를 포함한다.
로드(221)는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1)에서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로드(221)는 냉수유입구(215)를 개방하는 동시에 온수유입구(213)를 폐쇄하는 냉수공급위치(A1)와, 온수유입구(213)를 개방하는 동시에 냉수유입구(215)를 폐쇄하는 온수공급위치(A2)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로드(221)의 전방영역에는 작동부(227)가 결합되어 있으며, 로드(221)의 후방영역에는 탄성부재(226)가 결합되어 있다.
온수패킹부(224)는 로드(221)에 마련되어 로드(221)의 왕복 이동에 따라 온수유입구(213)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왕복 이동한다. 온수패킹부(224)는 냉수공급위치(A1)에서 온수유입구(213)를 폐쇄한다. 온수패킹부(224)는 냉수공급위치(A1)에서 온수가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온수패킹 부(224)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냉수공급위치(A1)에서 온수패킹부(224)가 온수유입구(213)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냉수패킹부(225)는 로드(221)에 마련되어 로드(221)의 왕복 이동에 따라 냉수유입구(215)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왕복 이동한다. 냉수패킹부(225)는 온수공급위치(A2)에서 냉수유입구(215)를 폐쇄한다. 냉수패킹부(225)는 온수공급위치(A2)에서 냉수가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수패킹부(225)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온수공급위치(A2)에서 냉수패킹부(225)가 냉수유입구(215)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226)는 로드(221)가 냉수공급위치(A1)를 유지하도록 로드(22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226)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로드(221)에는 탄성부재(226)를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2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로드(221)가 탄성부재(226)의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로드(221)에 걸림돌기(222)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부재(226)는 로드(221)가 냉수공급위치(A1)를 유지하도록 온수패킹부(224)를 직접 가압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210)에는 온수유입구(213)의 후방영역으로 확관되어 연장 형성된 온수배관결합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0)에는 온수배관결합부(218)의 내주를 따라 탄성지지부(219)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탄성지지부(219)의 내경은 로 드(22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하우징(210)이 탄성부재(226)를 지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226)의 탄성력을 로드(221)에 제공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219)의 후방영역에는 실링을 위한 오링(228)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오링(228)의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로드(221)의 후단에는 로드(221)의 외주를 따라 걸림돌기(223)가 돌출될 수 있다.
작동부(227)는 로드(221)를 작동한다. 작동부(227)는 로드(221)의 전단에 마련되며, 로드(221)가 냉수공급위치(A1)와 온수공급위치(A2)를 이동하도록 조작가능하게 마련된다. 작동부(227)는 탄성부재(226)의 탄성력에 의해 냉수공급위치(A1)에 위치한 로드(221)에 탄성부재(226)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버튼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단속부(230)는 로드(231)와, 로드(231)의 일단에 마련되어 토출구(217)를 개폐하는 토출구패킹부(235)와, 로드(231)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레버(237)와, 레버(237)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9)를 포함한다.
로드(231)는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1)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로드(231)는 토출구(217)를 개방하는 개방위치(B2)와, 토출구(217)를 폐쇄하는 폐쇄위치(B1)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로드(231)의 하부영역에는 토출구패킹부(235)가 결합되어 있으며, 로드의 상부영역에는 탄성부재(239)가 결합되어 있다.
토출구패킹부(235)는 로드(231)에 마련되어 로드(231)의 왕복 이동에 따라 토출구(217)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왕복 이동한다. 토출구패킹부(235)는 폐쇄위치(B1)에서 냉수 또는 온수가 하우징(210)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토출구패킹부(235)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폐쇄위치(B1)에서 토출구패킹부(235)가 토출구(217)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레버(237)는 로드(231)가 개방위치(B2)와 폐쇄위치(B1) 사이를 이동하도록 작동한다. 레버(237)는 로드(231)와 힌지결합 되어 있다. 레버(237)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힌지축(233)을 중심으로 레버(237)가 회동하고, 이에 의해 로드(231)가 개방위치(B2)로 이동하여 토출구패킹부(235)가 토출구(217)를 개방하게 된다.
탄성부재(239)는 로드(231)가 폐쇄위치(B1)를 유지하도록 로드(23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239)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로드(231)에는 탄성부재(239)를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2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로드(231)가 탄성부재(239)의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210)의 상부영역에는 탄성부재(239)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216)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탄성지지부(216)의 내경은 로드(23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하우징(210)이 탄성부재(239)를 지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239)의 탄성력을 로드(231)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2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가 냉수를 공급받는 경우를 살펴본다. 사용자가 레버(237)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힌지축(233)을 중심으로 레버(237)가 회전하면서 로드(231)를 상승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는 탄성부재(239)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가압하여야 한다. 로드(231)가 상승함에 따라서 토출구(217)가 개방된다. 이때, 냉온수단속부(220)의 탄성부재(226)가 로드(22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냉수공급위치(A1)를 유지하므로, 냉온수단속부(220)의 조작 없이도 냉수가 토출구(217)로 토출된다.
다음, 사용자가 온수를 공급받는 경우를 살펴본다. 사용자가 냉온수단속부(220)의 작동부(227)를 가압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탄성부재(226)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가압하여야 한다. 작동부(227)를 가압하여 탄성부재(226)의 탄성력이 극복되면, 로드(221)는 온수공급위치(A2)로 이동한다. 즉, 온수패킹부(224)는 온수유입구(213)를 개방하며, 냉수패킹부(225)는 냉수유입구(215)를 폐쇄한다. 다음, 냉수를 공급받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토출구단속부(230)의 레버(237)를 가압하면 온수가 토출구(217)로 토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유입구(215)와, 온수유입구(213) 및 토출구(217)가 각각 연통된 하우징(210)과, 하우징(210)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는 로드(221)와, 냉수공급위치(A1)에서 온수유입구(213)를 폐쇄하는 온수패킹부(224)와, 온수공급위치(A2)에서 냉수유입구(215)를 폐쇄하는 냉수패킹부(225)를 갖는 냉온수단속부(220)를 마련함으로써, 냉수와 온수를 하나의 레버(237)를 사용하여 하나의 토출구(217)로 취출할 수 있다. 이에, 급수장치(200)의 부품수를 줄이고, 제품의 크기 를 줄일 수 있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300)를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냉수토출시의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온수토출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300)는 본체(미도시)와,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배관(15)과,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배관(74)과, 냉수배관(15) 및 온수배관(74)과 연결된 디스펜서부(50)를 포함한다.
디스펜서부(50)는 냉수배관(15)을 통하여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구(315)와, 온수배관(74)을 통하여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313)와, 유입되는 온수 또는 냉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는 토출구(317)가 형성된 하우징(310)과, 냉수유입구(315) 또는 온수유입구(31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냉온수단속부(320)와, 토출구(317)를 개폐하는 토출구단속부(33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31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10)의 내부공간(311)의 상부영역의 일측에는 온수유입구(313)와 연통되어 있으며, 하우징(310)의 내부공간(311)의 상부영역의 타측에는 냉수유입구(315)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10)의 내부공간(311)의 하부영역은 토출구(317)와 연통되어 있다.
냉수유입구(315)에는 냉수배관(15)이 결합되어 있다. 냉수유입구(315)의 크기는 후술할 냉수유로부(324b)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온수유입구(313)에는 온수배관(74)이 결합되어 있다. 온수유입구(313)의 크기는 후술할 온수유로부(324a)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토출구(317)는 ㄱ자 형상의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우징(310)의 하부영역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냉온수단속부(320)는 하우징(310)의 내부공간(311)에 전후방향으로 관통 결합된다. 냉온수단속부(320)는 하우징(310)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드(321)와, 로드(321)에 마련되어 온수유입구(313) 또는 냉수유입구(31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온수유로부(324)와, 로드(32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26)와, 로드(321)를 작동하는 작동부(327)를 포함한다.
로드(321)는 하우징(310)의 내부공간(311)에서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로드(321)는 냉수유입구(315)를 개방하는 동시에 온수유입구(313)를 폐쇄하는 냉수공급위치(C1)와, 온수유입구(313)를 개방하는 동시에 냉수유입구(315)를 폐쇄하는 온수공급위치(C2)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로드(321)의 전방영역에는 작동부(327)가 결합되어 있으며, 로드(321)의 후방영역에는 탄성부재(326)가 결합되어 있다.
냉온수유로부(324)는 토출구(317)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며, 냉수공급위치(C1)에서 냉수유입구(315)와 연통되며, 온수공급위치(C2)에서 온수유입구(313)와 연통된다. 냉온수유로부(324)는 로드(321)에 마련되어 로드(321)의 왕복 이동에 따라 온수공급위치(C2)에서는 온수유입구(313)를 개방하며, 냉수공급위치(C1)에서는 냉수유입구(315)를 개방하도록 형성된다.
냉온수유로부(324)의 유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321)의 외주에 마련된 그루부(324d)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321)에 마련된 관통부(324c)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냉온수유로부(324)의 유로를 관통부(324c)에 의해 형성된 것을 설명한다.
냉온수유로부(324)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냉수유로부(324b)와 온수유로부(324a)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냉온수유로부(324)를 냉수유로부(324b)와 온수유로부(324a)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유로부(324b)와 온수유로부(324a)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냉수유로부(324b)는 로드(321)에 마련되어 로드(321)의 왕복 이동에 따라 냉수유입구(315)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냉수유로부(324b)는 로드(321)의 일영역에 관통 형성된다. 냉수유로부(324b)는 냉수공급위치(C1)에서 냉수유입구(315) 및 토출구(317)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유로부(324a)는 로드(321)에 마련되어 로드(321)의 왕복 이동에 따라 온수유입구(313)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온수유로부(324a)는 로드(321)의 일영역에 관통 형성된다. 온수유로부(324a)는 온수공급위치(C2)에서 온수유입구(313) 및 토출구(317)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수유로부(324b)와 온수유로부(324a)의 이격 거리는 냉수유입구(315)와 온수유입구(313)의 이격 거리보다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냉수공급위치(C1)에서 냉수유로부(324b)는 냉수유입구(315) 및 토출구(317)와 연통되며, 온수 유입구(313)는 로드(321)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온수공급위치(C2)에서 온수유로부(324a)는 온수유입구(313) 및 토출구(317)와 연통되며, 냉수유입구(315)는 로드(321)에 의해 폐쇄된다.
탄성부재(326)는 로드(321)가 냉수공급위치(C1)를 유지하도록 로드(32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26)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성부재(326)가 결합되는 로드(321)의 후방영역은 전방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부재(326)의 반경은 로드(321)의 후방영역의 반경보다는 크고 로드(321)의 전방영역의 반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로드(321)가 탄성부재(326)를 걸림유지 할 수 있어 탄성부재(326)의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326)와 로드(321)의 결합구조 및 설치구조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와 동일하게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작동부(327)는 로드(321)를 작동한다. 작동부(327)는 로드(321)의 전단에 마련되며, 로드(321)가 냉수공급위치(C1)와 온수공급위치(C2)를 이동하도록 조작가능하게 마련된다. 작동부(327)는 탄성부재(326)의 탄성력에 의해 냉수공급위치(C1)에 위치한 로드(321)에 탄성부재(326)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버튼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단속부(330)는 로드(331)와, 로드(331)의 일단에 마련되어 토출구(317)를 개폐하는 토출구패킹부(335)와, 로드(331)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레버(337)와, 레버(337)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39)를 포함한다.
로드(331)는 하우징(310)의 내부공간(311)에서 냉온수단속부(320)의 하부영역에서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로드(331)는 토출구(317)를 개방하는 개방위치(D2)와, 토출구(317)를 폐쇄하는 폐쇄위치(D1)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로드(331)의 전방영역에는 토출구패킹부(335)가 결합되어 있으며, 로드(331)의 후방영역에는 탄성부재(339)가 결합되어 있다.
토출구패킹부(335)는 로드(331)에 마련되어 로드(331)의 왕복 이동에 따라 토출구(317)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왕복 이동한다. 토출구패킹부(335)는 폐쇄위치(D1)에서 냉수 또는 온수가 하우징(310)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토출구패킹부(335)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폐쇄위치(D1)에서 토출구패킹부(335)가 토출구(317)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레버(337)는 로드(331)가 개방위치(D2)와 폐쇄위치(D1) 사이를 이동하도록 작동한다. 레버(337)는 로드(331)와 힌지결합 되어 있다. 레버(337)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가압하면 힌지축(333)을 중심으로 레버(337)가 회동하고, 이에 의해 로드(331)가 개방위치로 이동하여 토출구패킹부(335)가 토출구(317)를 개방하게 된다.
탄성부재(339)는 로드(331)가 폐쇄위치(D1)를 유지하도록 로드(33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39)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로드(331)에는 탄성부재(339)를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3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로드(331)가 탄성부재(339) 의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310)의 후방영역에는 탄성부재(339)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319)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탄성지지부(319)의 내경은 로드(33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하우징(310)이 탄성부재(339)를 지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339)의 탄성력을 로드(331)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토출구(317) 및 토출구단속부(33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토출구(217) 및 토출구단속부(230)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가 냉수를 공급받는 경우를 살펴본다. 사용자가 레버(337)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힌지축(233)을 중심으로 레버(337)가 회전하면서 로드(331)를 후퇴시켜 개방위치(D2)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는 탄성부재(339)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가압하여야 한다. 로드(331)가 후퇴함에 따라서 토출구(317)가 개방된다. 이때, 냉온수단속부(320)의 탄성부재(326)가 로드(32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냉수공급위치(C1)를 유지하므로, 냉온수단속부(320)의 조작없이도 냉수가 토출구(317)로 토출된다.
다음, 사용자가 온수를 공급받는 경우를 살펴본다. 사용자가 냉온수단속부(320)의 작동부(327)를 가압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탄성부재(326)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가압하여야 한다. 작동부(327)를 가압하여 탄성부재(326)의 탄성력이 극복되면, 로드(321)는 온수공급위치(C2)로 이동한다. 즉, 온 수유로부(324a)는 온수유입구(313) 및 토출구(317)와 연통되며, 냉수유입구(315)는 로드(321)에 의해 폐쇄한다. 다음, 냉수를 공급받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토출구단속부(330)의 레버(337)를 가압하면 온수가 토출구(317)로 토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유입구(315)와, 온수유입구(313) 및 토출구(317)가 각각 연통된 하우징(310)과, 하우징(310)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는 로드(321)와, 토출구(317)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며 냉수공급위치(C1)에서 냉수유입구(315)와 연통되며, 온수공급위치(C2)에서 온수유입구(313)와 연통되는 냉온수유로부(324)를 마련함으로써, 하나의 레버(337)를 사용하여 하나의 토출구(317)로 냉수와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급수장치(300)의 부품수를 줄이고,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급수장치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냉장고를 대표로 설명하나 제2실시예가 적용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1a 내지 1c,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1)와, 저장실(2)을 개폐하는 도어(30)와, 디스펜서부(50)를 갖는 급수장치(200)를 포함한다.
본체(1)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이 중간격벽(5)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냉동실(3)과 냉장실(4)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저장실(2)의 전면 개구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30)가 마련되어 있고, 도어(30)의 내측에는 병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 가이드(미도시)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냉동실(3)의 상부 영역에는 제빙을 위한 제빙기(6)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빙기(6)의 하부에는 제빙기(6)에서 제빙된 얼음이 이빙되어 저장되는 얼음저장부(7)가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3)의 하부 영역에는 저장물을 분리 수납할 수 있도록 선반(미도시) 및 서랍(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있다.
냉장실(4)에는 외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정수하는 정수부(10)와, 정수부(10)에서 정수된 물을 저온 저장하는 냉수탱크(13)와, 저장물을 분리 수납할 수 있도록 선반(미도시) 및 서랍(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있다. 냉수탱크(13)과 하우징(도 1a의 210)의 냉수유입구(215) 사이는 냉수배관(15)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냉수배관(15)에는 냉수배관(15)을 개폐하는 냉수밸브(16)가 마련된다. 냉수밸브(16)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정수부(10)는 냉장실(4)에 마련되어, 외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정수한다. 정수부(10)는 외부연결부(11)를 통하여 고내로 유입된 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정수필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수부(10)는 주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외부연결부(11)를 통해 고내로 유입된 물이 정수부(10)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후 제빙기(6), 냉수탱크(13) 및 온수탱크(70)로 각각 공급되도록 분기시키는 분기밸브(20)를 포함한다. 분기밸브(20)는 제1분기밸브(21)와 제2분기밸브(26)를 포함한다.
외부연결부(11)는 고외에서 고내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일단은 외부의 수도(12) 또는 정수기(미도시) 등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도(12) 또는 정수기 등 연결되며, 타단은 유입된 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수부(10)와 연결된다.
제1분기밸브(21)는 3구밸브로 마련된다. 제1분기밸브(21)는 정수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2)와, 제빙기(6) 및 온수탱크(70)로 연결되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1유출구(23)와, 냉수탱크(13)로 연결되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2유출구(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유출구(23)를 통과한 물은 제2분기밸브(26)로 유입된다.
제2분기밸브(26)는 3구밸브로 마련되며, 제1분기밸브(21)의 제1유출구(23)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7)와, 제빙기(6)로 연결되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1유출구(28)와, 온수탱크(70)로 연결되는 배관과 연결되는 제2유출구(2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분기밸브(21)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1유출구(23) 및 제2유출구(24)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하며, 제2분기밸브(26)는 제어부에 의해 제1유출구(28) 및 제2유출구(29)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한다.
도어(30)는 냉동실(3) 및 냉장실(4)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도어(30)는 냉동실(3)의 전면개구를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31)와, 냉장실(4)의 전면개구를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33)를 포함한다. 냉동실 도어(31)의 전면에는 제빙기(6)에서 제빙된 얼음과,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냉장실 도어(33)의 전면에는 홈바(미도시) 또는 TV 또는 인터넷 기능을 구비한 홈패드(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30)가 본체(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마련된 힌지부(40)를 더 포함한다. 힌지부(40)는 도어(30) 및 본체(1)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힌지부와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힌지부를 포함한다.
힌지부(40)는 본체(1)에 마련된 중공 힌지축(미도시)과 도어(30)에 마련된 힌지축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중공 힌지축은 내부에 후술할 온수배관(74) 및 순환배관(83)을 수용하도록 관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부(50)는 도 1a 내지 도1c,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공급을 위한 워터레버(51, 도 1a의 237)와, 얼음의 공급을 위한 아이스레버(52)와, 사용자가 냉온수의 종류, 토출되는 물의 양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부(53)를 포함한다. 디스펜서부(50)는 입력부(53)에서 입력된 정보 및 냉장고의 작동 상태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부(50)는 후술할 히터스위치(90)를 더 포함한다.
아이스레버(52)는 제빙기(6)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부(7)와 연통된다. 아이스레버(52)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형식으로 마련되어 아이스레버(52)를 가압하면 얼음이 공급되며, 아이스레버(52)의 압력을 해제하면 얼음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아이스레버(52)는 입력부(53)에 마련되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등으로도 마련될 수도 있다.
입력부(53)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얼음과 물, 냉수와 온수, 물의 양 등을 선택하도록 마련된다. 입력부(53)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 버튼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리드스위치 또는 터치스 크린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표시부(54)는 입력부(53)에서 입력된 정보, 냉수 및 온수의 온도, 냉장고의 작동 상태 등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로 마련된다. 입력부(53)가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표시부(54)가 입력부(53)의 기능을 구비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50)는 냉수밸브(16)와 온수밸브(85)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밸브스위치(56)를 더 포함한다. 밸브스위치(56)는 토출구단속부(도 1a의 230)의 레버(237)에 연동하도록 워터레버(51)의 후방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스위치(56)는 리드스위치로 마련될 수도 있고, 감지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온수탱크(70)는 전술한 정수부(10)와 디스펜서부(50) 사이에 마련된다. 온수탱크(70)는 본체(1)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탱크(70)는 정수부(10)에서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온수탱크(70) 외부로 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한다. 온수탱크(70)는 온수배관(74)에 의해 디스펜서부(7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온수탱크(70)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증기배출유닛(1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온수배관(74)은 온수탱크(70)의 유출구와 디스펜서부(50)의 온수유입구(도 1a의 213)를 연결한다. 온수배관(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힌지부(40)의 중공 힌지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공 힌지축의 내부를 관통한 온수배관(74)은 도어(30)의 발포공간에 매설된다. 이에, 온수탱크(70)가 상부에 배치되더라도 냉동실 도어(31)의 회동에 간섭을 하지 않게 된다.
온수탱크(70)에는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80)와,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센서(76)와,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77)가 마련되어 있다.
히터(80)는 온수탱크(7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온수탱크(70)에 마련된다. 히터(8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80)는 온수탱크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온수탱크(70)에 매몰되어 마련될 수도 있으며, 온수탱크(70)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온수탱크(70)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는 공급밸브(81)를 더 포함한다. 공급밸브(81)는 정수부(10)와 온수탱크(70) 사이에 배치된다. 즉, 공급밸브(81)를 단속하여 정수부(10)에서 정수된 물을 온수탱크(70)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공급밸브(81)는 온수탱크(70)의 유입구에 연결된 배관에 마련된다. 여기서, 후술할 제2분기밸브(26)가 공급밸브(81)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제2분기밸브(26)의 제2유출구(29)를 개방 및 차단함으로써, 온수탱크(70)로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히터(80)의 전원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히터스위치(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스위치(90)는 히터(80)가 온수탱크(70)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가열 및 가열해제시키는 정상모드와, 히터(80)의 정상모드를 해제하여 히터(80)를 가열해제시키는 정지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마련된다. 히터스위치(90)는 전술한 입력부(53)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으 며, 디스펜서부(50)에 별도의 스위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순환배관(83)은 온수배관(74)으로부터 분기되어 온수탱크(70)와 연결된다. 즉, 온수탱크(70)와 온수배관(74)과 순환배관(83)은 연통되게 형성된다. 순환배관(83)은 디스펜서부(50)와 인접한 온수배관(74)의 일 영역에서 분기된다. 순환배관(83)은 온수배관(74)과 마찬가지로 중공 힌지축의 내부에 배치된다.
온수배관(74)과 순환배관(83)의 분기영역에는 온수밸브(85)가 마련된다. 온수밸브(85)는 온수탱크(70)와 온수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및 순환배관(83) 내부에 정체되어 있는 물이 디스펜서부(50)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한다. 온수밸브(85)는 온수배관(74)과 순환배관(83) 사이를 차단하는 동시에 온수탱크(70)와 온수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내부의 물을 디스펜서부(50)로 배출시키는 개방위치와, 온수배관(74)과 순환배관(83) 사이를 연통시키는 동시에 온수탱크(70)와 온수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내부의 물이 디스펜서부(50)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온수밸브(85)는 레버스위치(56)와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입력부(53)에서 온수를 선택하고, 워터레버(51)를 가압하면 레버스위치(56)는 온수밸브(85)를 개방위치로 이동시켜, 온수밸브(85) 상부 및 하부의 온수배관(74)을 연통시킨다. 이에, 온수배관(74) 및 온수탱크(70)에 저장된 온수가 디스펜서부(50)로 토출된다. 그리고, 워터레버(51)의 압력을 해제하면 레버스위치(56)는 온수밸브(85)를 폐쇄위치로 이동시켜, 온수탱크(70)와 온수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내부의 물이 디스펜서부(5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온수밸브(85)는 온수밸브(85)와 워터레버(51) 및 레버스위치(56)의 연동구조를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워터레버(51)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밸브(85)는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펌프(87)는 순환배관(83)의 일 영역에 배치된다. 펌프(87)는 온수탱크(70)와 온수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및 순환배관(83)에 정체되어 있는 물을 온수탱크(70)로 강제로 순환시킨다. 펌프(87)는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물의 순환방향은 온수탱크(70), 온수배관(74), 순환배관(83)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도 있고, 역방향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온수밸브(85)에 마련되는 제2온도센서(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온도센서(78)는 온수밸브(85)에 정체되어 있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출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히터(8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온도센서(78)는 온수밸브(85)에 마련된다고 전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환배관(83)에 마련되거나, 온수탱크(70)와 온수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에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2온도센서(78)는 온수밸브(85)와, 온수탱크(70)와 온수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 및 순환배관(83)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정체되어 있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히터(8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는 히터스위치(90)에서 정상모드 선택시, 온수탱크(70)에 저장된 물을 소정 수위범위 및 소정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공급밸브(81) 및 히터(8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히터스위치(90)에서 정지모드 선택시, 공급밸브(81)를 차단하며, 히터(80)를 가열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사용자는 온수탱크(70)에 저장된 온수를 토출하여도 공급밸브(81)를 개방하지 않으므로, 정지모드가 선택된 기간동안에 온수탱크(70)를 비워서 온수탱크(70)의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히터(8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펌프(87)의 제1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는 펌프(87)를 일정 주기로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펌프(87)를 구동하는 주기는 실험을 통해 산출된 주기로서, 설정온도 및 외부환경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펌프(87)가 구동되는 주기는 사용자가 온수를 취출한 후, 온수밸브(85)에 정체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설정된 구동온도 이하로 하강하는 시간의 평균을 산출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펌프를 일정 시간동안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펌프(87)를 구동하는 시간은 실험을 통해 산출된 시간이다. 여기서, 펌프(87)가 구동되는 시간은 펌프(87)를 구동한 후 온수밸브(85)에 정체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설정된 정지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의 평균을 산출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는 항상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펌프(87)의 제2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는 제2온도센서(78)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펌프의 구동을 제어 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제2온도센서(78)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구동온도 이하로 판단되면, 펌프(87)를 구동하여 물을 순환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펌프(87)의 구동 후, 제2온도센서(78)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된 정지온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펌프(87)의 구동을 정지한다. 여기서, 펌프(87)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구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 냉수 및 온수의 공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펜서부(50)로 얼음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외부연결부(11)를 통해 고내로 유입된 물은 정수부(10)에서 불순물이 제거된다. 정수부(10)에서 정수된 물은 제1분기밸브(21)의 유입구(22)로 유입된다. 제1분기밸브(21)의 제1유출구(23)를 통과한 물은 제2분기밸브(26)의 유입구(27)로 유입되며, 제2분기밸브(26)의 제1유출구(28)를 통과한 물은 제빙기(6)로 이동한다. 제빙기(6)로 공급된 물은 제빙기(6)에서 제빙된다. 제빙기(6)에서 제빙된 얼음은 이빙되어 얼음저장부(7)에 저장된다. 여기서, 얼음저장부(7)에 일정량의 얼음을 유지하기위해 제어부는 제1분기밸브(21) 또는 제2분기밸브(26)를 제어하여 제빙기(6)로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아이스레버(52)를 가압하면, 얼음저장부(7)로부터 디스펜서부(50)로 얼음이 공급된다.
다음, 디스펜서부(50)로 냉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입력부(53)에서 냉수를 선택한다. 그다음, 워터밸브(51)를 가압한다. 여기서, 밸브스위치(56)는 워터레버(51)의 작동에 연동하여 냉수밸브(16)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밸브스위치(56)가 작동되면 냉수밸브(16)는 개방된다. 그리고, 전술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가 토출된다.
다음, 디스펜서부(50)로 온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도 1c,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외부연결부(11)를 통해 고내로 유입된 물은 정수부(10)에서 불순물이 제거된다. 정수부(10)에서 정수된 물은 제1분기밸브(21)의 유입구(22)로 유입된다. 제1분기밸브(21)의 제1유출구(23)를 통과한 물은 제2분기밸브(26)의 유입구(27)로 유입되며, 제2분기밸브(26)의 제2유출구(29)를 통과한 물은 온수탱크(7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온수탱크(70)에 저장된 물은 히터(80)에 의해 가열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입력부(53)에서 온수를 선택한다. 그다음, 워터밸브(51)를 가압한다. 여기서, 밸브스위치(56)는 워터레버(51)의 작동에 연동하여 온수밸브(85)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밸브스위치(56)가 작동되면 온수밸브(85)는 개방된다. 그리고, 전술하고,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가 토출된다. 그다음, 사용자가 온수를 공급받은 후, 워터레버(51)의 압력을 해제하면 밸브스위치(56)에 연동하여 온수밸브(85)는 폐쇄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온수탱크(70)와 온수밸브(85) 사이의 온수배관(74)의 물이 디스펜서부(5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공급시 제어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는 입력부(53)에서 온수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1). 여기서, 온수 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밸브스위치(56)가 ON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 한편, S1단계에서 온수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를 종료한다.
S3단계에서 밸브스위치(56)가 ON되었다고 판단되면, 온수밸브(85)를 개방한다(S5).
S5단계에서 온수밸브(85)를 개방한 후 밸브스위치(56)가 OFF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 여기서, 밸브스위치(56)가 OFF되었다고 판단되면, 온수밸브(85)를 폐쇄한다(S9). 한편, S7단계에서 밸브스위치(56)가 OFF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5단계로 이동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정수부(10)에서 각각 제빙기(6), 냉수탱크(13) 및 온수탱크(70)로 분기되는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분기밸브(20)를 4구밸브로 마련하여 정수부(10)에서 분기밸브(20)로 유입된 물을 각각 제빙기(6), 냉수탱크(13) 및 온수탱크(70)로 분기시키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온수탱크(70)를 본체(1)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온수탱크(70)와 저장실(2)은 발포제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어 온수탱크(70)의 열이 저장실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저장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온수배관(74) 및 순환배관(83)을 중공 힌지축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온수탱크(70)가 본체(1)의 상부에 배치되더라도 도어(30)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압력에 따라 온수탱크(70)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배출유닛(110)을 마련함으로써, 온수탱크(70) 내부의 증기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와 냉수를 하나의 워터레버(51)를 사용하여 하나의 토출구(도 1c의 217)로 취출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감소시키며, 디스펜서부(50)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온수를 취출하는 경우, 입력부(53)에서 온수가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밸브스위치(56)가 작동하더라도 온수밸브(85)를 개방하지 않음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온수밸브(85)와 냉온수단속부(도 1c의 220)로 온수를 이중으로 단속하므로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레버로 냉수와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배관과,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배관과, 상기 냉수배관 및 상기 온수배관과 연결된 디스펜서부를 갖는 급수장치에 있어서,상기 디스펜서부는,상기 냉수배관을 통하여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구와, 상기 온수배관을 통하여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와, 상기 유입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며, 상기 냉수유입구 또는 상기 온수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냉온수단속부와;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냉온수단속부에서 상기 냉수유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토출구단속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면 냉수가 토출되며, 상기 냉온수단속부에서 상기 온수유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토출구단속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면 온수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냉온수단속부는,상기 하우징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냉수유입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온수유입구를 폐쇄하는 냉수공급위치와, 상기 온수유입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냉수유입구를 폐쇄하는 온수공급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로드와;상기 로드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공급위치에서 상기 온수유입구를 폐쇄하는 온수패킹부와;상기 로드에 마련되어 상기 온수공급위치에서 상기 냉수유입구를 폐쇄하는 냉수패킹부와;상기 로드가 상기 냉수공급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상기 로드를 작동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냉온수단속부는,상기 하우징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냉수유입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온수유입구를 폐쇄하는 냉수공급위치와, 상기 온수유입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냉수유입구를 폐쇄하는 온수공급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로드와;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냉수공급위치에서 상기 냉수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온수공급위치에서 상기 온수유입구와 연통되는 냉온수유로부와;상기 로드가 상기 냉수공급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상기 로드를 작동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냉온수유로부의 유로는 상기 로드의 외주에 마련된 그루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냉온수유로부의 유로는 상기 로드에 마련된 관통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냉온수유로부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냉수유로부와 온수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
-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급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상기 제7항에 따른 급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펜서부는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온수배관을 개폐하는 온수밸브와;상기 온수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스위치와;상기 입력부에서 온수가 입력되고 상기 밸브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온수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온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냉수배관을 개폐하는 냉수밸브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냉수가 입력되고 상기 밸브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냉수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냉수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밸브스위치는 상기 토출구단속부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1185A KR20070108768A (ko) | 2006-05-08 | 2006-05-08 |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US11/716,549 US20070256444A1 (en) | 2006-05-08 | 2007-03-12 | Water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CNA2007101009836A CN101071034A (zh) | 2006-05-08 | 2007-05-08 | 供水装置和具有此供水装置的冰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1185A KR20070108768A (ko) | 2006-05-08 | 2006-05-08 |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8768A true KR20070108768A (ko) | 2007-11-13 |
Family
ID=3865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1185A KR20070108768A (ko) | 2006-05-08 | 2006-05-08 |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256444A1 (ko) |
KR (1) | KR20070108768A (ko) |
CN (1) | CN10107103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63422B2 (en) * | 2008-04-03 | 2014-07-01 | General Electric Compan | Instant hot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
US9903495B2 (en) * | 2010-06-04 | 2018-02-27 | Carrier Commerical Refrigeration, Inc. | Soft-serve confection valve |
CN102133044B (zh) * | 2011-01-27 | 2012-08-22 |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 冷热水分配器及具有该冷热水分配器的冰箱 |
US20130341366A1 (en) * | 2012-06-21 | 2013-12-26 | Jason Craig Campbell | Discharge device |
CN103673442B (zh) * | 2012-08-31 | 2017-11-14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冰箱 |
US9139415B2 (en) | 2013-03-15 | 2015-09-22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Refrigerator appliance with hot water dispenser |
US8967432B2 (en) | 2013-03-15 | 2015-03-03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Refrigerator appliance with hot water dispenser |
CN104180583B (zh) * | 2014-09-10 | 2018-04-06 |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 一种自动循环供水的冰箱水路系统及冰箱 |
CN106419557A (zh) * | 2016-11-18 | 2017-02-22 | 安徽理工大学 | 一种恒温式自动饮水机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85278A (en) * | 1964-01-20 | 1966-11-15 | Standard Screw | R cartridge seal design and arrangement |
US4738393A (en) * | 1986-07-14 | 1988-04-19 | American Standard Inc. | Mixing valve assembly |
US6058718A (en) * | 1996-04-08 | 2000-05-09 | Forsberg; Francis C | Portable, potable water recovery and dispensing apparatus |
KR100436858B1 (ko) * | 2001-07-18 | 2004-06-25 | 제인공업주식회사 |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
-
2006
- 2006-05-08 KR KR1020060041185A patent/KR200701087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
- 2007-03-12 US US11/716,549 patent/US2007025644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5-08 CN CNA2007101009836A patent/CN101071034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70256444A1 (en) | 2007-11-08 |
CN101071034A (zh) | 2007-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70108768A (ko) |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
KR20070105809A (ko) | 온수공급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
US8083104B2 (en) | Variable temperature dispenser system and method | |
US20070251261A1 (en) | Hot water supplying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60005339A (ko) | 온수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가전제품 | |
EP2972023A1 (en) | Refrigerator appliance with hot water dispenser | |
US10690399B2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 |
KR102193441B1 (ko) | 냉장고 | |
KR100853445B1 (ko) |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기 | |
AU2007255635B2 (en) | Refrigerator | |
KR20150016158A (ko) | 기능수 공급 장치 | |
KR20070044247A (ko) | 냉장고 | |
KR102214312B1 (ko) | 냉장고 | |
KR20070106250A (ko) |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
KR20070108769A (ko) | 냉장고 | |
KR20070105650A (ko) | 냉장고 | |
KR20110048882A (ko) | 급수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급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 |
KR20070106249A (ko) | 냉장고 | |
KR20220100549A (ko) | 냉장고 | |
KR20220141687A (ko) | 정수기 | |
KR100894475B1 (ko) | 온수 공급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 |
KR100366497B1 (ko) | 복합냉장고의정수용필터및물탱크의결빙방지장치및그제어방법 | |
KR101659010B1 (ko) | 급수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급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 |
CN221296212U (zh) | 一种厨下冷热一体净水机 | |
KR20100062032A (ko) |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