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126A -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126A
KR20070106126A KR20060038637A KR20060038637A KR20070106126A KR 20070106126 A KR20070106126 A KR 20070106126A KR 20060038637 A KR20060038637 A KR 20060038637A KR 20060038637 A KR20060038637 A KR 20060038637A KR 20070106126 A KR20070106126 A KR 20070106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arrier
box
purification
activated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3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1422B1 (ko
Inventor
나상철
나현덕
Original Assignee
나상철
나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상철, 나현덕 filed Critical 나상철
Priority to KR2006003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422B1/ko
Publication of KR2007010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Catalys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광촉매를 이용하여 필터 및 활성탄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산화시킴으로써 활성탄 및 필터의 유효수명을 크게 연장시킴은 물론 정화처리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키면서도 활성탄의 교체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보수유지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내부가 중공인 탱크로써, 상면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하측 내부공간이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각기 형성되는 저류조 및 협작물저장조와, 상기 저류조의 상면에 상기 협작물저장조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협작물을 걸러내는 동시에 걸러진 협작물을 굴려 상기 협작물저장조내에 투입하는 협작물 걸음망과, 상기 협작물저장조측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저류조의 저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개폐밸브를 갖고 조류조의 하부에 형성되는 침전물배출구를 구비하고, 협잡물 걸름망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진 초기우수 유출수가 저류조내로 유입되어 초기우수 유출수를 저류시키면서 초기우수 유출수에 함유된 각종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내부가 중공인 투명한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중공에 담체가 충진되고, 하면부에 하나 이상의 관결합구를 갖는 담체함과, 내부가 중공인 박스형상으로서, 상면부에 상기 담체함의 관결합구와 동축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결합구를 갖고 상기 담체함과 하방으로 평행하게 간격져서 고정설치되는 배수함과, 사면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담체함과 배수함 사이에 형성되는 정화통배치부와, 광촉매가 처 리된 활성탄이 충진된 투명한 원통형 관으로서, 상단부는 상기 담체함의 관결합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부는 상기 배수함의 관결합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담체함내의 담체를 통과한 초기우수 유출수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정화통과, 상기 담체함과 배수함을 연통되게 연결하여 상기 정화통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담체함내의 잉여 초기우수 유출수를 배수함내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배수함의 연결되어 배수함내의 처리수를 배수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침전조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정화장치와; 일단부는 상기 정화장치의 담체함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걸름망을 갖고, 상기 침전조의 저류조 상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류조내에서 침전처리된 초기우수 유출수를 상기 담체함내로 유입시키는 입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 활성탄, 광촉매

Description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중 정화통의 제 1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정화통에 충진된 활성탄이 초기우수 유출수가 통과되면서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중 담체함에 수납되어 오염물질을 포획하는 담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중 담체함에 수납되어 오염물질을 포획하는 담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중 정화통의 제 2실시예를 횡방향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정화통을 종방향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지중 정화통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중 정화통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정화처리장치 20: 침전조
21: 유입구 22: 협작물 걸음망
23: 침전물배출구 24: 개폐밸브
30: 정화장치 31: 담체함
32: 관결합구 33: 배수함
34: 관결합구 35: 정화통배치부
40: 정화통 50: 바이패스관
51: 배수관 60: 입수관
70: 활성탄 100: 협작물
110: 슬러지 120: 초기우수 유출수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촉매를 이용하여 필터 및 활성탄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산화시킴으로써 활성탄 및 필터의 유효수명을 크게 연장시킴은 물론 정화처리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키면서도 활성탄의 교체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보수유지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및 도로상에는 차량의 빈번한 주행으로 중금속, 오일류, 타이어 분진 및 협잡물 등으로 극심하게 오염되어 있어 우천시에는 비점오염물질인 초기우수 유출수가 대량 배수로를 통해 하천, 호소, 특히 식수원이나 청정수역은 물론 지하수맥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킨다.
상기와 같은 수질을 오염시키는 초기우수 유출수을 정화처리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도로의 인근 공지에 큰 물웅덩이를 만들고 물웅덩이에 미나리 등과 같이 물을 정화시키는 능력이 우수한 식물을 키워 교량으로 부터 흘러내리는 초기우수 유출수를 상기 물웅덩이에 집수시켜 초기우수 유출수를 정화하거나 또는 공지에 정화조를 설치하여 초기우수 유출수를 상기 정화조로 집수시켜 초기우수 유출수를 정화처리하고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의 정화방법은 매우 큰 공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 정화처리속도가 매우 느려 초기우수 유출수를 효과적으로 정화처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더라도 수시로 발생되는 초기우수 유출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는데 역부족하여 정화되지 않은 다량의 비점오염물질인 초기우수 유출수가 바로 하천, 호소 및 지하수맥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극심하게 오염시키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 및 노력을 하였으며, 그 결과로써, 2005년 5월 28일 및 2005년 8월 4일자로 각기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 제 10-2005-0045304 호(실용신안이중출원 제 20-2005-0015525 호 : 2006년 2월 16일자로 "등록유지결정"됨)(이하, "제 1선출원"이라 칭함) 및 제 10-2005-0071462 호(실용신안이중출원 제 20-2005-0024553 호 : 2006년 2월 23일자로 "등록유지결정"됨) (이하, "제2선출원"이라 칭함)로 특허출원된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를 개발하였다.
상기 선출원들중 제 1선출원은 하단면이 폐쇄된 소정길이를 갖는 통형상으로써, 하단면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배출공과, 다수개의 결합공을 갖고 상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와, 하단부의 외측면을 따라 장착되는 망체결부재를 구비하고, 교량에 설치된 집수구의 하단부가 상단부측 내부공간에 수납되도록 교량의 하면부에 착탈가능하게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하우징과; 다수개의 배수공이 조밀하게 천공된 관으로써, 하단면이 상기 하우징의 배출공의 상면 연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하우칭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상단부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의 상단부 외측면과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일방향밸브와; 소정크기를 갖는 망으로써 연부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외측면을 따라 장착된 망체결부재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협잡물을 걸르는 협잡물걸름망과; 상기 배수관의 외측면과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의 내부공간에 교환가능하게 내장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초기우수 유출수를 정화처리하는 정화처리수단과; 갓 형상으로써 상기 집수구의 하단측에 고정설치되어 집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우수를 상기 일방향밸브를 통하여 배수관의 외측면과 하우징의 내측면 사 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우수안내판과; 상단부가 넓어 상기 우수안내판의 외측에 둘러지고, 하단부가 좁아 상기 배수관의 상단부 내측면에 조립되는 통형상의 망으로써, 상기 우수안내판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집수구에 고정설치되어 집수구을 통하여 유입되는 협잡물들을 걸러 상기 배수관내로 안내하는 협잡물안내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선출원은 내부가 중공인 통형상으로써, 상면에 집수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면에 유입구와 하면에 배수구를 갖는 통형상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게 내장되는 다수개의 집수조와; 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집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각각의 집수조의 유입구 및 배수구와 각기 병렬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집수조내로 초기 우수 유출수를 공급하고, 각각의 집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정화처리된 초기 우수 유출수를 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상기 각각의 집수조에 만수상태일 때 집수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초기 우수 유출수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집수구의 상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교량 배수관으로 부터 배출되는 초기 우수 유출수는 집수구내로 통과시키고, 협잡물은 걸러내는 걸음망과; 상기 각각의 집수조의 내측공간에 저면으로부터 소정높이 교환가능하게 충전되어 상기 각각의 집수조내로 유입되는 초기우수 유출수를 정화처리하는 정화처리수단과; 상기 각각의 집수조의 유입구에 각기 고정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다수개의 일방향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출원들은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를 정화효과가 우수하지만 활성탄의 유효수명이 짧고, 유효수명에 도달한 활성탄을 교체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유지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출원들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광촉매를 이용하여 필터 및 활성탄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산화시킴으로써 활성탄 및 필터의 유효수명을 크게 연장시킴은 물론 정화처리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키면서도 활성탄의 교체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보수유지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가 중공인 탱크로써, 상면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하측 내부공간이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각기 형성되는 저류조 및 협작물저장조와, 상기 저류조의 상면에 상기 협작물저장조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협작물을 걸러내는 동시에 걸러진 협작물을 굴려 상기 협작물저장조내에 투입하는 협작물 걸음망과, 상기 협작물저장조측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저류조의 저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개폐밸브를 갖고 조류조의 하부에 형성되는 침전물배출구를 구비하고, 협잡물 걸름망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진 초기우수 유출수가 저류조내로 유입되어 초기우수 유출수를 저류시키면서 초기우수 유출수에 함유된 각종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내부가 중공인 투명한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중공에 담체가 충진되고, 하면부에 하나 이상의 관결합구를 갖는 담체함과, 내부가 중공인 박스형상으로서, 상면부에 상기 담체함의 관결합구와 동축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결합구를 갖고 상기 담체함과 하방으로 평행하게 간격 져서 고정설치되는 배수함과, 사면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담체함과 배수함 사이에 형성되는 정화통배치부와, 광촉매가 처리된 활성탄이 충진된 투명한 원통형 관으로서, 상단부는 상기 담체함의 관결합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부는 상기 배수함의 관결합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담체함내의 담체를 통과한 초기우수 유출수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정화통과, 상기 담체함과 배수함을 연통되게 연결하여 상기 정화통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담체함내의 잉여 초기우수 유출수를 배수함내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배수함의 연결되어 배수함내의 처리수를 배수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침전조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정화장치와; 일단부는 상기 정화장치의 담체함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걸름망을 갖고, 상기 침전조의 저류조 상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류조내에서 침전처리된 초기우수 유출수를 상기 담체함내로 유입시키는 입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중 정화통의 제 1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정화통에 충진된 활성탄이 초기우수 유출수 가 통과되면서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중 담체함에 수납되어 오염물질을 포획하는 담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중 담체함에 수납되어 오염물질을 포획하는 담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중 정화통의 제 2실시예를 횡방향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정화통을 종방향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지중 정화통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중 정화통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10)는 침전조(20)와 정화장치(30)와 입수관(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침전조(20)는 내부가 중공인 탱크로써, 상면에 형성되는 유입구(21)와, 상기 유입구(21)의 하측 내부공간이 구획벽(28)에 의해 구획되어 각기 형성되는 저류조(25) 및 협작물저장조(26)와, 상기 저류조(25)의 상면에 상기 협작물저장조(26)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협작물(100)을 걸러내는 동시에 걸러진 협작물(100)을 굴려 상기 협작물저장조(26)내에 투입하는 협작물 걸음망(22)과, 상기 협작물저장조(26)측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개폐도어(27)와, 상기 저류조(25)의 저면에 침전된 침전물(110)을 제거하기 위해 개폐밸브(24)를 갖고 조류조(25)의 하부에 형성되는 침전물배출구(23)를 구비하고, 협잡물 걸름망(22)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 진 초기우수 유출수(120)가 저류조(25)내로 유입되어 초기우수 유출수(120)를 저류시키면서 초기우수 유출수(120)에 함유된 각종 슬러지(100)를 침전시킨다.
상기 정화장치(30)는 상기 침전조(2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 유출수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담체함(31)과, 배수함(33)과, 정화통배치부(35)와, 하나 이상의 정화통(40)과, 바이패스관(50)과, 배수관(51)으로 구성되어 상기 침전조(20)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담체함(31)은 내부가 중공인 투명한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중공의 저면에 담체(31a)가 충진되고, 하면부에 하나 이상의 관결합구(32)를 갖는다.
상기 담체(31a)는 표면에 광촉매가 처리된 스테인레스제의 무수한 금속 띠가 쑤세미와 같이 엉켜진 형태이거나 또는 외표면에 광촉매가 코팅된 매우 가는 눈을 갖는 스테인레스제의 망이 적층된 형태로 제작되며, 이러한 담체(31a)는 담체함(31)내로 유입되는 초기우수 유출수내에 함유되어 있는 비교적 크기가 큰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1차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배수함(33)은 내부가 중공인 박스형상으로서, 상면부에 상기 담체함(31)의 관결합구(32)와 동축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결합구(34)를 갖고 상기 담체함(31)과 하방으로 평행하게 간격져서 고정설치된다.
상기 정화통배치부(35)는 사면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담체함(31)과 배수함(3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정화통(40)의 제 1실시예는 광촉매가 처리된 활성탄(70)이 충진된 투명한 원통형 관으로서, 상단부는 상기 담체함(31)의 관결합구(32)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부는 상기 배수함(33)의 관결합구(34)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담체함(31)내의 담체를 통과한 초기우수 유출수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망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구획망(41)이 양단면은 물론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져서 고정설치되어 내측공간을 다수개의 공간(42)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공간(42)에는 광촉매가 처리된 활성탄(70)이 각각의 공간(42)에 여유공간이 있도록 충진된다.
상기 활성탄(70)에 처리되는 광촉매로는 이산화티탄(TiO2)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체함(31)의 담체를 통과하여 1차 여과된 초기우수 유출수가 상기 정화통(40)을 충분한 시간을 갖고 통과하면서 2차 여과가 실시될 수 있도록 유속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각각의 공간(42)에 활성탄(70)과 함께 적당량의 여과사 또는 여과사리을 충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여과사리도 광촉매 처리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정화통(40)를 통과하며 정화되는 초기우수 유출수는 정화통(40)의 상부에서 초기우수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들이 걸러지게됨으로 정화통(40)의 상부측에는 걸러진 유기물들이 광촉매의 빛 반응에 의해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광촉매 반응이 우수한 광촉매 처리된 활성탄이 충진되며, 정화통(70)의 하부측에는 미세입자인 중금속들이 확실하게 흡착할 수 있도록 흡작성이 우수한 활성탄이 충진된다.
상기 정화통(40)의 제 2실시예는 자외선이 조사되는 면적을 최대화시켜 광촉매의 자외선에 대한 반응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로서, 투명한 중앙관(43)과 상기 중앙관(43)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간격져서 고정부착되는 다수개의 투명한 외측관(44)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기 중앙과(43) 및 다수개의 외측관(44)은 망형태의 구획벽(41)에 의해 양단면 및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 공간이 다수개의 공간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공간(43a)(44a)에는 외표면에 광촉매가 코팅된 활성탄(70)이 각각의 공간(42)의 절반을 채우도록 충진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여과사리 또는 여과사를 활성탄(70)과 함께 각각의 공간(42)에 충진함으로써 정화통(40)을 통과하는 초기우수 유출수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정화통(40)의 제 3실시예는 다수개의 단위 정화통(45)을 순차적으로 나사결합시켜 요구되는 용량의 정화통(40)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단위 정화통(45)은 투명한 관으로써, 하단면에 고정설치되는 구획망(41)과, 상단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부(45a)와,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부(45b)를 갖는 다수개의 단위 정화통(4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단위 정화통(45)에는 광촉매 처리된 활성탄(70)을 충진한 후 요구되는 개수만큼의 단위 정화통(45)을 순차적으로 나사결합시켜 정화통(40)을 형성한다.
상기 정화통(40)의 제 4실시예는 구획망(41)의 중앙부에 각기 관통형성되는 관조립공(46)과, 상면이 차단된 관으로써, 외주면 전체에 균일한 공기분출공을 갖고 상기 관조립공(46)에 일축으로 조립되는 공기분출관(47)과, 상기 공기분출 관(47)의 하단면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분출관(47)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48)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40)은 상부측 공간에 광촉매 반응이 우수한 활성탄(70)이 충진되고, 하부측 공간에 흡착성능이 우수한 활성탄이 충진되며; 구획망(41)에 의해 구획형성된 각각의 공간(42)(43a)(44a)(45c)에는 상부에 여유공간이 있도록 광촉매 처리된 활성탄(70)을 충진하며,
상기 바이패스관(50)은 상기 담체함(31)과 배수함(33)을 연통되게 연결하여 상기 정화통(40)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담체함(31)내의 잉여 초기우수 유출수를 배수함(33)내로 바이패스시킨다.
상기 배수관(51)은 상기 배수함(33)의 연결되어 배수함(33)내의 처리수를 배수한다.
또한, 상기 정화장치(30)는 빛이 없거나 또는 부족한 공간에 설치된 설치될 때 담체함(31)내에 수납된 담체(31a) 및 정화통(40)내에 충진된 활성탄(70)에 충분한 자외선이 조사되어 광촉매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상기 담체함(31)내의 담체(31a) 및 정화통(40)내의 광촉매 처리된 활성탄(70)에 자외선이 조사되어 광촉매 반응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담체함(31)의 외측 및 정화통배치부(35)에 각기 자외선램프(60)가 설치된다.
상기 입수관(60)은 상기 침전조(20)에 저장된 초기우수 유출수를 상기 정화장치(30)로 유입시키기 위한 관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정화장치(30)의 담체함(31) 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침전조(20)의 상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침전조(20)내에서 침전처리된 초기우수 유출수를 상기 담체함(31)내로 유입시키는데 입수관(60)의 침전조(20)측 단면에는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걸음망(60a)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10)는 담체함(31)내에 수납되어 초기우수 유출수에 대한 1차여과를 실시하는 담체(31a) 및 정화통(40)의 각각의 공간(42)에 충진되는 활성탄(70)은 광촉매 처리되어 있고, 상기 담체함(31) 및 정화통(40)을 투명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비가 그친 장시간의 맑은 날에 담체함(31) 및 정화통(40)이 햇빛에 노출되면 햇빛속의 자외선과 광촉매 처리된 담체(31a) 및 활성탄(70)이 반응하여 담체(31a) 및 활성탄(70)에 의해 여과 및 흡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함으로써 담체(31a) 및 활성탄(70)의 유효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고, 상기 정화통(40)의 각각의 공간(42)에 여유공간이 있도록 활성탄(70)을 충진하여 초기우수 유출수가 정화통(40)내로 유입되었을 때 활성탄(70)이 부력에 의해 상승한 후 초기우수 유출수가 정화통(40)으로 부터 배수되었을 때 활성탄(70)들의 위치가 바뀌도록 함으로써 활성탄(70)들이 균일한 광촉매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정화통(40)이 착탈가능함으로 정화통(40)의 교체가 매우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체함(31)의 외측 및 정화통배치부(35)에 각각 자외선이 담체(31a) 및 활성탄(70)에 조사될 수 있도록 자외선 램프(60)를 설치함으로써 빛이 없거나 부족한 공간에 설치되었더라도 광촉매 반응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는 광촉매를 이용하여 담체 및 활성탄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산화시킴으로써 활성탄 및 필터의 유효수명을 크게 연장시킴은 물론 정화처리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키면서도 활성탄의 교체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보수유지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내부가 중공인 탱크로써, 상면에 형성되는 유입구(21)와, 상기 유입구(21)의 하측 내부공간이 구획벽(28)에 의해 구획되어 각기 형성되는 저류조(25) 및 협작물저장조(26)와, 상기 저류조(25)의 상면에 상기 협작물저장조(26)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협작물(100)을 걸러내는 동시에 걸러진 협작물(100)을 굴려 상기 협작물저장조(26)내에 투입하는 협작물 걸음망(22)과, 상기 협작물저장조(26)측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개폐도어(27)와, 상기 저류조(25)의 저면에 침전된 침전물(110)을 제거하기 위해 개폐밸브(24)를 갖고 조류조(25)의 하부에 형성되는 침전물배출구(23)를 구비하고, 협잡물 걸름망(22)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진 초기우수 유출수(120)가 저류조(25)내로 유입되어 초기우수 유출수(120)를 저류시키면서 초기우수 유출수(120)에 함유된 각종 슬러지(100)를 침전시키는 침전조(20)와; 내부가 중공인 투명한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중공에 담체(31a)가 충진되고, 하면부에 하나 이상의 관결합구(32)를 갖는 담체함(31)과, 내부가 중공인 박스형상으로서, 상면부에 상기 담체함(31)의 관결합구(32)와 동축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결합구(34)를 갖고 상기 담체함(31)과 하방으로 평행하게 간격져서 고정설치되는 배수함(33)과, 사면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담체함(31)과 배수함(33) 사이에 형성되는 정화통배치부(35)와, 광촉매가 처리된 활성탄(70)이 충진된 투명한 원통형 관으로서, 상단부는 상기 담체함(31)의 관결합구(32)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부는 상기 배수함(33)의 관결합구(34)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담체함(31)내의 담체를 통과 한 초기우수 유출수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정화통(40)과, 상기 담체함(31)과 배수함(33)을 연통되게 연결하여 상기 정화통(40)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담체함(31)내의 잉여 초기우수 유출수를 배수함(33)내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50)과, 상기 배수함(33)의 연결되어 배수함(33)내의 처리수를 배수하는 배수관(51)으로 구성되어 상기 침전조(20)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정화장치(30)와; 일단부는 상기 정화장치(30)의 담체함(31)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걸름망(60a)을 갖고, 상기 침전조(20)의 저류조(25) 상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류조(25)내에서 침전처리된 초기우수 유출수(120)를 상기 담체함(31)내로 유입시키는 입수관(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통(40)은 투명한 관으로써, 망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구획망(41)이 양단면은 물론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져서 고정설치되어 내측공간을 다수개의 공간(42)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통(40)은 투명한 중앙관(43)과 상기 중앙관(43)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간격져서 고정부착되는 다수개의 투명한 외측관(44)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관(43) 및 다수개의 외측관(44)은 구획망(41)에 의해 양단면 및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 공간이 다수개의 공간(43a)(44a)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통(40)은 투명한 관으로써, 하단면에 고정설치되는 구획망(41)과, 상단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부(45a)와,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부(45b)를 갖는 다수개의 단위 정화통(45)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단위 정화통(45)에는 광촉매 처리된 활성탄(70)을 충진한 후 요구되는 개수만큼의 단위 정화통(45)을 순차적으로 나사결합시켜 정화통(4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정화통(40)은 구획망(41)의 중앙부에 각기 관통형성되는 관조립공(46)과, 상면이 차단된 관으로써, 외주면 전체에 균일한 공기분출공을 갖고 상기 관조립공(46)에 일축으로 조립되는 공기분출관(47)과, 상기 공기분출관(47)의 하단면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분출관(47)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통(40)은 상부측 공간에 광촉매 반응이 우수한 활성탄(70)이 충진되고, 하부측 공간에 흡착성능이 우수한 활성탄이 충진되며; 구획망(41)에 의해 구획형성된 각각의 공간(42)(43a)(44a)(45c)에는 상부에 여유공간이 있도록 광촉매 처리된 활성탄(70) 을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장치(30)는 상기 담체함(31)내의 담체(31a) 및 정화통(40)내의 광촉매가 코팅된 활성탄에 자외선이 조사되어 광촉매작용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담체함(31)의 외측 및 정화통배치부(35)에 각기 자외선램프(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31a)는 외표면에 광촉매가 코팅된 스테인레스제의 무수한 금속 띠가 쑤세미와 같이 엉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31a)는 외표면에 광촉매가 코팅된 매우 가는 눈을 갖는 스테인레스제의 망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20060038637A 2006-04-28 2006-04-28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791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8637A KR100791422B1 (ko) 2006-04-28 2006-04-28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8637A KR100791422B1 (ko) 2006-04-28 2006-04-28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636U Division KR200426715Y1 (ko) 2006-05-01 2006-05-01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126A true KR20070106126A (ko) 2007-11-01
KR100791422B1 KR100791422B1 (ko) 2008-01-07

Family

ID=3906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38637A KR100791422B1 (ko) 2006-04-28 2006-04-28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4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042B1 (ko) * 2007-02-14 2008-07-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기 강우 유출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 강우유출수 처리방법
KR100962546B1 (ko) * 2009-12-18 2010-06-14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CN110627276A (zh) * 2019-10-18 2019-12-31 江西科技学院 一种光催化降解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8543B2 (en) 2012-12-10 2017-08-22 Nitto Denko Corporation Disinfecting water device
KR101577939B1 (ko) 2013-07-19 2015-12-16 한민섭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579303B1 (ko) 2013-07-23 2015-12-22 한민섭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631575B1 (ko) * 2016-01-13 2016-06-17 정연태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8689532A (zh) * 2018-05-30 2018-10-23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杂物较多的污水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625B1 (en) * 2003-02-18 2003-10-17 Bluegrenlink Co Ltd Apparatus for purifying runoff
KR200346263Y1 (ko) * 2003-06-13 2004-03-31 (주) 빛과환경 광촉매 살균정수 장치를 이용한 직결형 광촉매 살균 정수기
KR100451113B1 (ko) * 2004-03-30 2004-10-06 (주)대양하이테크 빗물처리 정수시스템
KR20060106520A (ko) * 2005-04-09 2006-10-12 최문규 우수정화필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042B1 (ko) * 2007-02-14 2008-07-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기 강우 유출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 강우유출수 처리방법
KR100962546B1 (ko) * 2009-12-18 2010-06-14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CN110627276A (zh) * 2019-10-18 2019-12-31 江西科技学院 一种光催化降解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422B1 (ko) 2008-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422B1 (ko)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05693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US52562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eatment
KR100891621B1 (ko) 점ㆍ비점오염원처리용 수질정화시스템 및 그 정화방법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20100020867A (ko)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0741409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0393332Y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200426715Y1 (ko)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799513B1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20100122373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806838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249354B1 (ko) 빗물 이용수 처리 시설
KR200343186Y1 (ko) 우수받이 기능을 가진 노면 배수 처리장치
KR100964596B1 (ko) 다층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
KR101213444B1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KR102046136B1 (ko) 비점오염원 처리용 수질정화 시스템
KR101758907B1 (ko) 우수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