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39B1 -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 Google Patents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39B1
KR101577939B1 KR1020130085425A KR20130085425A KR101577939B1 KR 101577939 B1 KR101577939 B1 KR 101577939B1 KR 1020130085425 A KR1020130085425 A KR 1020130085425A KR 20130085425 A KR20130085425 A KR 20130085425A KR 101577939 B1 KR101577939 B1 KR 101577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ylinder
forming
ro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819A (ko
Inventor
한민섭
Original Assignee
한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섭 filed Critical 한민섭
Priority to KR1020130085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93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하단부 톱니기어(11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10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를
Figure 112015100573017-pat00005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 상부에 실린더로드(201)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200)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202)에
실린더로드(310)와 결합된 실린더(3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203)와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2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02)일측에 로울러흰지(300)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203)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202)의 타측에 실린더흰지(301)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302)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3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313)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30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켓(303)와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311)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중간부에 실린더로드흰지(312)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310)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312)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상단부에 로프고정흰지(50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500)에 제1 로프(600)의 일단부(501)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501)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203)을 10~50 바퀴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로프(102)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과정과;
하천바닥을 준설한 후 정리하고 기초콘크리트(120)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일단부 일측에 제1 로울러(211)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수문의 흰지(122)를 구성시킨후 상기 수문의 흰지(122)에 수문판(8000)을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8000)의 상단부에 수압을 버팅겨 주는 수압 대응봉(131)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압대응봉(131)의 상단부에 상기 제2 로프 고정대(15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의 바닥의 중간에 제2 로울러(21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8000)과 상기 제2 로울러(212)의 사이에 10cm~30cm의 넓이로 제2 로프 지지판(31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제2 로프 지지판(310)의 상부에 제3 로울러(2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와 상기 제1로울러(211)와 상기 제2 로울러(212)와 상기 제3 로울러(213)와 상기 제2 로프 고정대(150) 사이를 상기 제2 로프(102)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을 수행 할 때에 상기 수문판(8000)의 하단부에 어도를 겸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저층수 배출통로(130)을 다수개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저층수 배출 통로(130)의 전면부에 어도조절수문(132)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132)의 상부에 상기 어도조절수문(132)을 조절하여주는 제3 로프연결 고리(53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하단부 톱니기어(11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10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를
Figure 112015100573017-pat00006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 상부에 실린더로드(201)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200)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202)에
실린더로드(310)와 결합된 실린더(3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203)와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2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02)일측에 로울러흰지(300)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203)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202)의 타측에 실린더흰지(301)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302)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3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313)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30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켓(303)와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311)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중간부에 실린더로드흰지(312)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310)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312)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상단부에 로프고정흰지(50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500)에 제1 로프(600)의 일단부(501)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501)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203)을 10~50 바퀴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로프(102)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일단부 일측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511)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 바닥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55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511)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252)와 상기 제3 로프연결 고리(533)와 상기 제2 로프(102)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본 발명은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적으로 배출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되, 갈수기에 하천수가 수문의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를 통해 모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 수량을 일정량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산업 사회의 발전으로 인해 하천수를 오염시키는 다양한 물질들이 존재한다.
이들물질들이 아무런 여과장치 없이 그대로 하천으로 유입되다보니 하천수의 오염은 물론 정화되지 않은 하천수들이 그대로 바다로 유입되다보니 바다 또한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에서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정수한 후 정수된 깨끗한 하천수들을 하천으로 흘러보내고자 창안된 기술이다.
또한 물을 저장하여 농사용 또는 공업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하천, 저수지의 여수로(余水路) 또는 관계 용수로에는 수중보 또는 수문이 설치되어 저수측(貯水側)의 수위를 항상 일정 높이로 유지하여 주게 된다.
종래 수중보는 대부분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유입수가 수중보의 상부로 넘쳐흐르는 방식으로 배출되므로 저장된 물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저수측의 하단부에 지속적으로 쌓여 퇴적오니가 누적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퇴적오니로 인해 병원성 세균 또는 해충의 발생이 심각해지는 등 2차 오염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 0821690호와 등록실용신안 제 320510 호 와 공개번호 10-2012-0094877호 와 공개번호 10-2011-0060875호 와 10-2011-0047182호 와 공개번호 10-2011-0116102호와 공개번호 10-2011-0086678호와 공개번호 10-2011-0042275호와 공개번호 10-2012-0090916호와 공개번호 10-2012-0086681호와 10-2011-0060876호와 10-2010-0020019호와 등에서 수문을 개방하지 않고도 사이펀 원리에 의해 저수공간 저부의 퇴적오니를 포함한 저층수를 수문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을 개시한 바 있다.
발명특허 제10-01233804호 ,특허등록 번호10-0891621호 ,등록번호10-1027047호,특허등록번호10-0949325호 ,특허등록번호10-1006170호. 특허공개번호10-2011-0094778호,특허등록번호10-0791422호,특허 등록 번호10-0791422호,실용신안등록번호20-0459753호, 특허등록번호10-1129407호,특허공개번호10-2012-0133855호, 특허등록제 0821690호, 특허 공개번호 10-2011-0086678호 ,특허 공개번호 10-2011-0073414호 ,특허공개번호 10-2006-0126869호, 특허 공개번호 : 10-2005-0080009호,특허 공개번호 : 10-2003-0041915호, 특허 공개번호 10-2009-0049103호, 특허 공개번호 : 10-2003-0063267호 ,특허공개번호 10-2008-0009252호 ,특허공개번호 10-2008-0009253호 특허공개번호 10-2012-0086681호 ,특허공개번호 10-2012-0094877호 ,특허공개번호10-2011-0060875호,특허공개번호 10-2007-0105949호 ,특허공개번호 10-2009-0043689호, 특허공개번호10-2006-0130538호,특허 공개번호 : 10-2006-0121793호,특허공개번호10-2007-0003747호 특허공개번호10-2007-0083441호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공법들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함과 동시에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의 힘을 이용하여 더 효율적으로 정화시켜줌과 동시에 가뭄철에도 저장된 물들이 모두 빠저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에서는 가뭄철에 저장된 하천수들이 자동으로 빠저나가는 현상을 방지 시키고자 가동보 수문의 내부에 구성되는 싸이폰통로의 크기를 하부는 넓게 구성하고 중간에는 약간 꺽이는 형태로 하고 상부는 넓게 구성하여 가뭄철에 저장된 하천수가 모두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하여줌과 동시에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저층수 배출통로를 구성하여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주도록 구성되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제시한다
저수공간의 하층부에 포진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해 줌으로 인해 항상 저수공간의 하층부분에 포진하여 있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층수가 우선 배출됨과 동시에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같이 배출되어 저수공간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 배출되는 과정에서 물질마찰작용, 물질부상작용, 물질새치기작용, 물질폭발작용이 자연적으로 발생되어 물속에 포함된 오염물질들이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소멸 될 수 있어 하천수의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대용량 저수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대용량의 물을 저수하여 놓을 수가 있음은 물론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적은 비용을 들여서 손쉽게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에 의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자연정화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완전무결한 깨끗한 하천수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낼 수가 있고, 염소와 불소와 같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깨끗한 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단부 배출식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하천수를 저장하여 놓게 되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가 비중이 무거운 하천수에 의해 저수공간의 좌,우측으로 밀려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결합작용으로 인해 저수공간의 물을 더욱더 오염시키는 작용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비중이 무거운 하천수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줌으로 인해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작용효과가 발생함과 동시에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자연생태계를 살려내는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즉 다기능 가동보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통로를 통하여 상시 물이 흐르고 있으므로 물고기가 다기능 가동보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류로 이동하거나 상류로 이동할 수 있어 생태계를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무리 많은 물을 가두어 두어도 저장된 물이 썩지 않기 때문에 대용량의 물을 가두어 둘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수를 지속적으로 저장해 놓음으로 인히여 발생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천 인근의 산과 들에는 수분의 함유량이 높은 상태의 토질을 유지하고 있게 되면서 수분을 항상 필요로 하는 식물들과 나무들의 성장을 촉진하여 주는 동시에 수분에 항상 젖어 있는 낙엽들이 담뱃불과 같은 화력에 의해 쉽게 점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산불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가뭄에 따른 토지의 사막화를 막아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산림녹화의 촉진작용을 도와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이 설치되는 하천의 상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이 설치되는 하천의 하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제1과 제3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전도시켰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기립 시켰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 제3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이 다기능 가동보수문을 기립시켰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 제3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에 적용되는 작동용 실린더와 비상실린더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다음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이 설치되는 하천의 상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이 설치되는 하천의 하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3은 본 발명 제1과 제3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의 사시도 이다.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에 있어서
하단부 톱니기어(11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10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를
Figure 112013065341715-pat00001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 상부에 실린더로드(201)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200)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202)에
실린더로드(310)와 결합된 실린더(3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203)와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2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02)일측에 로울러흰지(300)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203)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202)의 타측에 실린더흰지(301)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302)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3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313)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30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켓(303)와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311)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총 100% 길이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10~40% 의 하단부에 실린더로드흰지(312)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310)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312)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상단부에 로프고정흰지(50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500)에 제1 로프(600)의 일단부(501)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501)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203)을 10~50 바퀴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로프(102)의 일단부를 결합하여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을 작동시켜주는 작동 시스템(10000)을 완성 시키는 과정과;
하천바닥을 준설한 후 정리하고 기초콘크리트(120)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일단부 일측에 제1 로울러(211)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수문의 흰지(122)를 구성시킨후 상기 수문의 흰지(122)에 수문판(8000)을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8000)의 상단부에 수압을 버팅겨 주는 수압 대응봉(131)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압대응봉(131)의 상단부에 상기 제2 로프 고정대(15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의 바닥의 중간에 제2 로울러(21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8000)과 상기 제2 로울러(212)의 사이에 10cm~30cm의 넓이로 제2 로프 지지판(31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제2 로프 지지판(310)의 상부에 제3 로울러(2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와 상기 제1로울러(211)와 상기 제2 로울러(212)와 상기 제3 로울러(213)와 상기 제2 로프 고정대(150) 사이를 상기 제2 로프(102)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시 수문판(8000)의 하단부에 어도를 겸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저층수 배출통로(130)을 다수개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저층수 배출 통로(130)의 전면부에 어도조절수문(132)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132)의 상부에 상기 어도조절수문(132)을 조절하여주는 제3 로프연결 고리(53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하단부 톱니기어(11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10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를
Figure 112013065341715-pat00002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 상부에 실린더로드(201)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200)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202)에
실린더로드(310)와 결합된 실린더(3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203)와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2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02)일측에 로울러흰지(300)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203)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202)의 타측에 실린더흰지(301)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302)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3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313)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30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켓(303)와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311)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총길이 100%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10~40% 의 하단부에 실린더로드흰지(312)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310)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312)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상단부에 로프고정흰지(50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500)에 제1 로프(600)의 일단부(501)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501)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203)을 10~50 바퀴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로프(102)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일단부 일측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511)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 바닥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55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511)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252)와 상기 제3 로프연결 고리(533)와 상기 제2 로프(102)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을 제시한다.
다기능 가동보의 좌우측에 구성되는 지수벽과 수문의 측판은 통상적을 구성되는 방식이기에 때에 이에 따른 도면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 하였다.
[실시예2]
다음은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제1과 제2 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도 4는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전도시켰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기립 시켰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하천 바닥을 준설하여 정리한 후 기초콘크리트(120)를 설치하고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기초 프레임(1)을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 프레임(1)에 흰지(2)를 다수개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흰지(2)의 상부에 수문판(8000)을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8000)의 하단부에 어도 통로(25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8000)의 상단부에 수압 대응봉(131)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시 수문판(8000)의 후면부에 이물질 분리판(25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압 대응봉(131)의 상단부에 로프 고정대(115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의 상류부분에 상기 이물질 분리판(250)과 교차하여 로프작동대 프레임(31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의 일측에 이물질 끼임 방지판(311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 의 끝단부에 끝단부 로울러(215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 의 중간부에 중간 로울러(213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의 하단부에 하단부 로울러(212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 고정대(1150) 와 상기 끝단부 로울러(2151)와 상기 중간 로울러(2130)와 상기 끝단부 로울러(2120)의 사이에 제2 로프(102) 를 결합시키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시스템(20000)을 상기 작동 시스템(10000)에 구성되는 상기 로프(120)과 결합하여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제시한다.
다기능 가동보의 좌우측에 구성되는 지수벽과 수문의 측판은 통상적을 구성되는 방식이기에 때에 이에 따른 도면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 하였다.
[실시예3]
다음은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기립시켜주거나 전도시켜주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 제3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이 다기능 가동보를 기립시켰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 제3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에 적용되는 작동용 실린더와 비상실린더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20000)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기계실(미도시)에 기초콘크리트(23)를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23)에 기초좌대(25)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좌대(25)의 일단부에 실린더브라켓(2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실린더로드(22)와 결합되는 실린더(21)를 준비하는 과정과;
상시 실린더(21)의 후면부를 상기 실린더브라켓(20)과 실린더흰지(19)를 이용하여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지렛대 작동봉(28)을 준비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작동봉(28)의 하단부와 상기 실린더로드(22)의 끝단부를 실린더로드흰지(26)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좌대(25)의 타단부에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의 전면부에 상기 지렛대 작동봉(28)를 지지하여주는 지렛대 작동봉브라켓(3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28) 100% 길이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10~40% 의 하단부에 상기 지렛대 작동봉브라켓(30)과 흰지(27)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와 상기 지렛대 작동봉(28)을 흰지(29)로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흰지(29)에 제2 로프(102) 를 결합시켜서 상기 다기능 가동보수문(8000,20000)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의 하단부에 조절용 톱니(32)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의 상단부에 상기 톱니(32)를 걸어 둘수 있도록 톱니 걸침턱(36)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의 상단부에 상기 톱니걸침턱(36)을 상하로 이동시켜주도록 실린더로드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작동용 실린더(33)를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톱니걸침턱(36)의 후면부에 상기 작동용 실린더(33)가 고장 낮을 때에 비상용으로 사용할수 있도도록 실린더로드와 결합된 비상 실린더(35)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21)는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컨트롤 시스템(미도시)와 결합시키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3000)에 구성되는 상기 작동용 실린더(33)를 가동하여 실린더로드를 신장시켜서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가 상기 톱니걸침턱(36)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상승 시켜 놓은 과정과;
상기 다기능 가동보수문(8000,20000)을 기립하여 하천수를 저장시키기 위해서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컨트롤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실린더(21)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로드(22)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21)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로프(102) 가 당겨지면서 서서히 상기 다기능 가동보수문(8000,20000)이 기립하면서 하천을 폐쇄하여 하천수를 저장함과 함께;
홍수가 발생하거나 많은 비가와서 하천수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되면 수위감지기(미도시)가 체크한 신호를 전달받은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컨트롤 시스템(미도시)이 상기 실린더(21)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로드(22)를 서서히 수축시켜서 하천을 폐쇄시켜 놓고 있는 다기능 가동보(8000,20000)를 전도시켜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3000)과 결합되어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제시한다.
다기능 가동보의 좌우측에 구성되는 지수벽과 수문의 측판은 통상적을 구성되는 방식이기에 때에 이에 따른 도면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 하였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로프 제어 장치는 실린더의 압력을 이용하면 매우 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지렛대 작동이론을 응용하여 구성한 로프제어작치들은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로프작동봉을 구성 할 때에 유압실린더와 결합하여 지렛대 이론을 이용하여 로프 작동봉을 구성하게 되면 유압실린더의 작동길이를 매우 단축시킬수가 있음으로 이러한 설계변경 또한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은 하천 바닥에 유압배관라인을 구성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로프 만으로 작동이 되기 때문에 유압배관이 파손될시에 발생되는 환경 오염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주는 작용효과가로 매우 큰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스템이 발명되지 않은 현실을 감안하면 새로운 시장이 형성 될수가 있음으로 산업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이라는 것을 공표한다.
100: 제동장치 101: 상부 톱니 102: 로프 103: 제동장치 케이스

Claims (3)

  1. 저층수 배출통로가 구성되며 실린더와 결합되고 로프지지대와 결합하여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에 있어서
    하단부 톱니기어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 케이스를
    Figure 112015100573017-pat00003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케이스 상부에 실린더로드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에
    실린더로드와 결합된 실린더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와 상기 실린더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 일측에 로울러흰지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의 타측에 실린더흰지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켓와 상기 로프작동대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의 총 100% 길이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10~40% 의 하단부에 실린더로드흰지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의 상단부에 로프고정흰지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에 제1 로프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의 타단부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을 10~50 바퀴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로프의 일단부를 결합하여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작동시켜주는 작동 시스템을 완성 시키는 과정과;
    하천바닥을 준설한 후 정리하고 기초콘크리트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일단부 일측에 제1 로울러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수문의 흰지를 구성시킨후 상기 수문의 흰지에 수문판을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의 상단부에 수압을 버팅겨 주는 수압 대응봉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압대응봉의 상단부에 상기 제2 로프 고정대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바닥의 중간에 제2 로울러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과 상기 제2 로울러의 사이에 10cm~30cm의 넓이로 제2 로프 지지판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제2 로프 지지판의 상부에 제3 로울러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와 상기 제1로울러와 상기 제2 로울러와 상기 제3 로울러와 상기 제2 로프 고정대 사이를 상기 제2 로프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시 수문판의 하단부에 어도를 겸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저층수 배출통로를 다수개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저층수 배출 통로의 전면부에 어도조절수문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의 상부에 상기 어도조절수문을 조절하여주는 제3 로프연결 고리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하단부 톱니기어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케이스를
    Figure 112015100573017-pat00004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 케이스의 상부에 실린더로드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에 실린더로드와 결합된 실린더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와 상기 실린더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의 일측에 로울러흰지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의 타측에 실린더흰지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와 상기 로프작동대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의 총길이 100%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상기 로프작동대의 10~40% 하단부에 실린더로드흰지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의 상단부에 로프고정 흰지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에 제1 로프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의 타단부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을 10~50 바퀴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의 일단부와 상기 제2로프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일단부 일측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 바닥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와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와 상기 제3 로프연결 고리와 상기 제2 로프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하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2. 저층수 배출통로가 구성되며 실린더와 결합되고 로프지지대와 결합하여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에 있어서
    하천 바닥을 준설하여 정리한 후 기초콘크리트(120)를 설치하고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기초 프레임을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 프레임에 흰지를 다수개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흰지의 상부에 수문판을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의 하단부에 어도 통로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의 상단부에 수압 대응봉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시 수문판의 후면부에 이물질 분리판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압 대응봉의 상단부에 로프 고정대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류부분에 상기 이물질 분리판과 교차하여 로프작동대 프레임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의 일측에 이물질 끼임 방지판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의 끝단부에 끝단부 로울러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의 중간부에 중간 로울러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의 하단부에 하단부 로울러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 고정대와 상기 끝단부 로울러와 상기 중간 로울러와 상기 끝단부 로울러의 사이에제2 로프를 결합시키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시스템을 상기 작동 시스템에 구성되는 상기 로프과 결합하여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하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3. 저층수 배출통로가 구성되며 실린더와 결합되고 로프지지대와 결합하여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기계실(미도시)에 기초콘크리트를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기초좌대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좌대의 일단부에 실린더브라켓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실린더로드와 결합되는 실린더를 준비하는 과정과;
    상시 실린더의 후면부를 상기 실린더브라켓과 실린더흰지를 이용하여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지렛대 작동봉을 준비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작동봉의 하단부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끝단부를 실린더로드흰지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좌대의 타단부에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의 전면부에 상기 지렛대 작동봉를 지지하여주는 지렛대 작동봉브라켓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의 총 길이 100%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상기 지렛대 작동봉의 10~40% 하단부에 상기 지렛대 작동봉브라켓과 흰지 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와 상기 지렛대 작동봉을 흰지로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흰지에제2 로프를 결합시켜서 상기 다기능 가동보수문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의 하단부에 조절용 톱니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의 상단부에 상기 톱니를 걸어 둘수 있도록 톱니 걸침턱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의 상단부에 상기 톱니걸침턱을 상하로 이동시켜주도록 실린더로드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작동용 실린더를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톱니걸침턱의 후면부에 구성되는 상기 작동용 실린더의 고장을 대비하여 비상용으로 사용할수 있도도록 실린더로드와 결합된 비상 실린더를 추가적으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비상실린더를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컨트롤 시스템(미도시)와 결합시키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에 구성되는 상기 작동용 실린더를 가동하여 실린더로드를 신장시켜서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가 상기 톱니걸침턱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를 상승 시켜 놓은 과정과;
    상기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기립하여 하천수를 저장시키기 위해서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컨트롤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실린더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로드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의 압력에 의해 상기제2 로프가 당겨지면서 서서히 상기 다기능 가동보 수문이 기립하면서 하천을 폐쇄하여 하천수를 저장함과 함께;
    홍수가 발생하거나 많은 비가와서 하천수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되면 수위감지기(미도시)가 체크한 신호를 전달받은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컨트롤 시스템(미도시)이 상기 실린더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로드를 서서히 수축시켜서 하천을 폐쇄시켜 놓고 있는 다기능 가동보수문을 전도시켜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과 결합하여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하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20130085425A 2013-07-19 2013-07-19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57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25A KR101577939B1 (ko) 2013-07-19 2013-07-19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25A KR101577939B1 (ko) 2013-07-19 2013-07-19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819A KR20130088819A (ko) 2013-08-08
KR101577939B1 true KR101577939B1 (ko) 2015-12-16

Family

ID=4921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425A KR101577939B1 (ko) 2013-07-19 2013-07-19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9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744B1 (ko) * 1999-10-31 2003-10-10 한상관 자동수문
KR20030041915A (ko) 2003-04-11 2003-05-27 한상관 부유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100627032B1 (ko) 2003-06-10 2006-09-26 한상관 부유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 역할에 의해 수문본체를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본체
KR100749718B1 (ko) 2005-07-01 2007-08-21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 선별 처리시스템
KR100791422B1 (ko) 2006-04-28 2008-01-07 나상철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748015B1 (ko) 2006-11-08 2007-08-14 한상관 오염된 하천을 정화시키는 방법
KR100803745B1 (ko) 2006-11-17 2008-02-15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100784777B1 (ko) 2006-12-15 2007-12-14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100835400B1 (ko) 2007-01-12 2008-06-09 한상관 칸막이를 이용하여 오염된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하거나바닷물을 정제하는 방법
KR101363621B1 (ko) 2007-07-27 2014-02-19 한상관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
KR101028991B1 (ko) 2007-10-30 2011-04-15 한상관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사이펀 통로를 갖는 수문을 이용하여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101042852B1 (ko) 2007-11-13 2011-06-24 한상관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100812569B1 (ko) 2007-12-28 2008-03-13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100812595B1 (ko) 2007-12-28 2008-03-13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101016725B1 (ko) * 2008-04-21 2011-02-25 주식회사 우진산업 콤팩트한 유압식 전도수문
KR20090130538A (ko) 2008-06-16 2009-12-2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루오줌 추출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펜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91621B1 (ko) 2008-09-29 2009-04-02 주식회사두합크린텍 점ㆍ비점오염원처리용 수질정화시스템 및 그 정화방법
KR200459753Y1 (ko) 2008-12-10 2012-04-16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49325B1 (ko)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129407B1 (ko) 2009-09-15 2012-03-26 이종명 비점오염원 정화 및 여과장치
KR20110094778A (ko) 2010-02-16 2011-08-24 유성석 비점오염원 빗물처리장치
KR101006170B1 (ko) 2010-03-17 2011-01-07 지유 주식회사 에너지 순환형 하천정화장치
KR20110060875A (ko) 2011-05-03 2011-06-08 한상관 중력의 현상을 분산 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싸이폰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수질정화 시스템
KR101272070B1 (ko) 2011-06-01 2013-06-18 동원엔지니어링(주) 비점오염원 초기우수정화장치
KR20110073414A (ko) 2011-06-13 2011-06-29 한상관 조립식 싸이폰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수질 정화 시스템
KR20110086678A (ko) 2011-07-12 2011-07-29 한상관 다단계로 배출되는 싸이폰 통로를 통하여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 분자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들이 순차적으로 희석되면서 발생 시키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유도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20120094877A (ko) 2012-05-13 2012-08-27 한민섭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면서 가뭄시에 저장된 하천수가 모두 배출되어 버리는 중력의 작용을 차단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수질정화용 저층수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20120086681A (ko) 2012-05-30 2012-08-03 한민섭 싸이폰통로 자동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819A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302B1 (ko) 자동 어도 겸용 퇴적오니 배출통로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권양기 수문
KR101577939B1 (ko)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CN103469885B (zh) 不收固体污染物的污水收集井
KR101579303B1 (ko)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20140005834A (ko)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16407A (ko) 어도 겸용 퇴적오니 배출통로가 구비되는 2중 작동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하천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30129879A (ko) 생태계 복원용 어도를 자연적으로 형성시켜주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1574480B1 (ko)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주는 친환경 수질정화용 가동보 수문 시스템
CN206706890U (zh) 一种海绵城市屋面雨水延时分流回收系统
KR20140016219A (ko) 대용량의 하천수를 다단계로 저수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구성하여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CN206110186U (zh) 一种适用于河道治理工程的双层闸门控制井
KR20140024036A (ko) 수질 정화기 겸용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30067480A (ko)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는 저층수 배출통로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배출함과 동시에 물질분자별로 자동 분리되는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로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 배출시키는 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친환경 수질정화 시스템
KR101142291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하는 수문 시스템
KR20130091705A (ko)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통로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CN203320674U (zh) 一种阳台雨水污水分离装置
KR20110060875A (ko) 중력의 현상을 분산 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싸이폰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수질정화 시스템
JP2017087148A (ja) 汚水流入防止装置
CN105780732B (zh) 行洪旁通道
KR20140032517A (ko) 하천수를 다단계로 저장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자연생태계를 살려내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KR20140025566A (ko) 다단계로 구성되는 자동어도와 하천생태계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CN211228816U (zh) 一种城市新区初期雨水控制装置
KR20100033390A (ko) 하천의 전단면 전폭을 한개의 수문으로 구성하여 상류에서 흘러내려 오는 하천수의 양만큼 많을 배출 하도록 구성되는 수질정화용 첨단 수문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KR20150054730A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발생 되는 빗물에 함유된 각종 쓰레기들과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처리하여 깨끗하게 정수하여 주면서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 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전기를 생산 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KR20140006752A (ko)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 기능을 발휘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