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347A - 강관용 강 - Google Patents

강관용 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347A
KR20070105347A KR1020077019554A KR20077019554A KR20070105347A KR 20070105347 A KR20070105347 A KR 20070105347A KR 1020077019554 A KR1020077019554 A KR 1020077019554A KR 20077019554 A KR20077019554 A KR 20077019554A KR 20070105347 A KR20070105347 A KR 2007010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eel pipe
weight
pipes
comprises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지오프레이 윌리암스
Original Assignee
블루스코프 스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5900795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5900795A0/en
Application filed by 블루스코프 스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블루스코프 스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0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21D8/1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of ferrous all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 스트립 압연(hot strip mill) 장치에서 코일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a) Cr/Mo 카바이드의 침전을 최소화하도록, 또는 (b) 형성된 임의의 Cr/Mo 카바이드가 스트립으로부터 제조되는 코일 플레이트에 대한 후속적인 열처리 공정에서 용해될 정도로 충분히 미세하게 되도록 선택되는 온도에서 열간 압연(hot rolled) 코일 플레이트 스트립을 코일 형태로 만드는 공정을 포함한다.
강관(linepipe steel), 열간 스트립 밀, Cr/Mo 카바이드의 침전, 코일 플레이트 스트립, 침상결정 페라이트(acicular ferrite),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오스텐사이트(austensite)

Description

강관용 강{LINEPIPE STEEL}
본 발명은 강관용 강(linepipe steel), 강관용 강 스트립(strip)을 제조하는 방법, 강관용 강 스트립으로부터 강관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러한 강관용 강으로부터 제조된 본 기술분야에서의 API 5L 등급의 규정된 요건을 충족시키는 강관(linepipe)에 관한 것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전기저항 용접(electronic resistance welding: ERW) 방법은 강관 제조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이다. 전기저항 용접은 열간 스트립 밀(hot strip mill)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강 스트립의 공급을 필요로 한다. 상기 전기저항 용접은 철강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로 강의 측면 모서리를 가열한 다음 그 측면 모서리들을 인접시켜 한데 용접하는 과정을 거친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조되는 강관용 강 제품에서의 망간(Mn)의 수준은 지금까지 0.8 내지 1.5 중량%의 범위이었다. 망간 혼합의 주된 목적은 고용체 강화(solid solution strengthening)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망간의 단점 중의 하나는 연속적으로 캐스트 강 스라브 제품을 열간압연(hot rolling)함으로써 생산되는 스트립의 중심선 부분에서 불규칙적인 미세구조(microstructure)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강한 분리 경향(높은 경도와 낮은 거 칠기를 가짐)을 갖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불규칙적인 미세구조는 특히 강관이 중심 분리형(center split) 스트립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제조될 때 전기저항 용접시의 용접 라인의 기계적 특성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가 있다. 특히, 전기저항 용접에서 스트립의 측면 모서리를 한데로 인접시키는 과정은 스트립의 분리된 측면 모서리에서 망간이 농후한 중심 분리 밴드를 그로 인해 형성된 용접 면으로 전환하도록 된다. 그 결과 용접 라인의 강도(toughness)를 떨어뜨리게 된다.
중심선 분리(centerline segregation) 현상으로부터 기인하는 이러한 불규칙적인 미세구조는 MIAB 용접 및 플래시 버트 용접(flash butt welding)과 같은 혼란스런 용접공정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라인을 구축하는 중에 강관들의 정렬된 끝단들을 함께 용접함으로써 생성되는 용접점 상에 해로운 효과를 또한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들은 정렬된 끝단들의 테두리를 가열하고 그 다음 그 끝단들을 함께 맞댐으로써 자연발생적인 용접점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이러한 MIAB 용접공정은 전통적으로 이용되는 수동식 강관 용접에 비해 경제적 및 작업상의 이점들을 갖는데, 이것은 현재 파이프라인의 구축에 널리 이용되지는 않는다.
중심선 분리 현상의 불리한 효과는 스트립에서 연장된 MnS 함유물의 동시적인 발생에 의해 과장해 언급되고 있다. 열간 압연 공정에서 MnS 함유물의 가소성(plasticity)은 Mn의 레벨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직접적으로 증가한다. 강관용 강의 연성 파쇄 전파 저항(ductile fracture propagation resistance)에 대한 MnS 함유물의 해로운 효과는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함유물들은 강관의 몸체와 용접 라 인 모두의 파쇄 강도에 대하여 영향을 미친다. 용접 라인 강도에 미치는 불리한 효과는 중심 분리(center split) 스트립으로 제조된 강관의 경우에 특히 명백하다.
전통적으로, 상기한 연장된 MnS 함유물 및 중심선 분리 현상의 불리한 효과는 강관의 고유 조건에 따라서 강철에서의 S 농도를 0.005%미만으로(또는 더 아래의 제한치로) 제한함으로써 조절되어 왔다.
부가적으로, 어떤 철강 제조사는 부가적인 대응책으로서 Ca 주입 공정을 사용하여 완전한 황화물(sulphide) 형상 조절을 달성하는 능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 모두와 관련하여 상당한 자본상의 그리고 운영상의 비용이 발생하고, 따라서 그 방법들은 이러한 이유로 그리 매력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부가적인 자본상 그리고 운영상의 비용을 크게 수반하지 않는 강관용 강의 성분을 선택함에 기초하는 선택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그러한 강관용 강은 향상된 품질의 강관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MIAB 또는 플래시 버트 용접공정과 같은 혼란스런 현장의 용접 공정에 특히 적합하다.
그에 대한 해법은, (a) 통상적으로 강관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것보다 훨씬 감소된 농도의 Mn (전형적으로 0.50중량% 이하의, 바람직하게는 0.35중량% 이하의), 그리고 (b) 적은 농도의 Ti (전형적으로 적어도 0.01중량%)를 함유하는 강을 사용하는 것이다.
더욱이, 더 높은 강도의 API 강관 등급을 위해서는 상기 해법은 강에 Cr 첨가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인은 Cr 첨가물을 합금으로 만드는 것은 경도를 증가시키고 MnS 함유물의 가소성을 감소시킴에 있어 또한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 하였다. 일반적으로, 강관용 강의 인성(toughness) 사양 요건은 강도 수준을 증가시킴에 따라 같이 증가한다. 더 높은 강도의 API 강관 등급을 위해서는 Mn 대신에 Cr 첨가물을 사용하면 강도 및 인성 모두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 조합된 효과를 갖게 될 것이다.
낮은 Mn 농도에 의해 중심선 분리 현상의 정도가 감소하며, 따라서 이것은 연속적으로 제조되는 슬라브를 열간 압연함으로써 형성되는 스트립에 형성될지도 모르는 비정상적인 미세구조를 경감시켜준다. 부가적으로, MnS 함유물의 가소성(plasticity)은 낮은 Mn 농도에서 심하게 감소한다. 상기한 함유물은 상대적으로 단단하고 열간 압연 스트립 제품에서는 대부분 소구체(globular) 형태로 유지된다. Ti 첨가물은 MnS 함유물의 경도를 한층더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또한 강철 및 관련된 용접 열 영향하의 구역들에 있어서의 표면 품질과 입자 치밀성의 향상을 달성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의 혼합비(중량%로써)를 갖는 강관용 강이 제공된다:
C: 0.18까지;
Mn: 0.10 내지 0.50;
Ti: 적어도 0.01;
Si: 0.35까지;
Nb: 0.10까지;
Al: 0.05까지;
Ca: 0.005까지;
S: 0.015까지;
P: 0.020까지;
Cr: 1.0까지;
Mo: 0.5까지;
B: 0.002까지;
Ni: 0.35까지;
Cu: 0.35까지;
V: 0.06까지;
Fe: 나머지(balance); 및
기타 부수적인 불순물(incidental impurities)들.
여기서 상기한 "부수적 불순물"이란 용어는 제강 공정과 그 제강 공정에서 사용되는 여러 공급 물질들의 산물인 불순물들이며 상기한 혼합비에 대한 의도적인 첨가물로서가 아니라 상기한 성분 리스트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n은 그러한 불순물 성분의 하나이다.
강관용 강은 상기 성분에 대한 의도적 첨가물로서 Mn 및 Ti를 함유한다.
상기 강관용 강은 또한 상기한 성분에 대한 의도적인 첨가물로서 여러 부가적 성분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첨가물의 예는 Cr, Mo, B, Ni, Cu 및 V 등이다.
의도적 첨가물들은 그러한 철강으로 제조되는 강관을 위해 필요한 기계적 특성에 따라서 요구된다. 예를 들면, 강도의 목적상 상대적으로 높은 Mn 농도에 전통적으로 의존하는, API 5L X65 및 X70과 같은 더 높은 등급의 강관을 위해서는, Cr 및 Mo이 Mn의 낮은 농도에 대한 보상을 위해 첨가되어도 좋다. 더욱이, B가 첨가되어 보호 용질(protected solute) 형태로 존재하여 경화성(hardenability)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B가 첨가될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의 합성물은 그 합성물 내의 모든 N 성분과 결합하기에 충분한 Ti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BN의 형성을 회피하게 한다는 점을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강관용 강의 최종 사용자에 의한 응용과 관련된 특별한 요건들에 따라서 어떤 요소들의 의도적인 첨가가 필요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면, 산부식성 서비스(sour service)에 응용을 위해서는 Ni 및 Cu가 상기 합성물의 구성요소로서 요구될지도 모른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0.10 중량% 미만의 C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적어도 0.02 중량%의 C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합성물은 적어도 0.03 중량%의 C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합성물은 적어도 0.04 중량%의 C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0.35 중량% 미만의 Mn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적어도 0.15 중량%의 Mn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합성물은 적어도 0.20 중량%의 Mn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합성물은 적어도 0.25 중량%의 Mn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0.05 중량% 미만의 Ti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합성물은 0.03 중량% 미만의 Ti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합성물은 0.04 중량% 미만의 Ti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0.25 중량% 미만의 Si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적어도 0.005 중량%의 Si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0.08 중량% 미만의 Nb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적어도 0.001 중량%의 N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합성물은 적어도 0.01 중량%의 Nb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적어도 0.01 중량%의 Al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0.001 중량% 미만의 Ca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0.012 중량% 미만의 S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0.01 중량% 미만의 S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적어도 0.005 중량%의 S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0.020 중량% 미만의 P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0.7 중량% 미만의 Cr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합성물은 0.5 중량% 미만의 Cr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강 합성물은 0.3 중량% 미만의 Mo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강관용 강으로부터 제조된 강관(라인파이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관을 제조하기 위한 공급원료로서 이용되기에 적합한 전술한 강관용 강의 코일형 스트립을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되는데, 그 방법은 하기의 공정과정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전술한 강관용 강의 슬라브를 캐스팅하는 과정;
(b) 상기 슬라브를 열간 압연(hot rolling)하여 필요한 두께, 전형적으로는, 5-10 mm의 두께를 갖는 스트립을 형성하는 과정; 및
(c) 상기 스트립을 코일형태로 만드는 과정.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코일 스트립에 있어서 강관용 강의 미세구조는 주로 미세 입자의 다각형 페라이트(polygonal ferrite)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구조는 API 5L X42 및 X60과 같은 중간 강도의 강관 등급의 경우에 작은 체적 비율의(15%까지의)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구조는 API 5L X65 및 X70과 같은 고강도의 강관 등급의 경우에 침상결정 페라이트(acicular ferrite) 및/또는 마르텐사이트(martensite)/오스텐사이트(austensite)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강관용 강 스트립을 전기저항 용접하여 강관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강관(라인파이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ERW 용접 구역에서의 좁은 이음매 담금질 영역(seam annealed region)을 차치하고는, 상기 강관의 미세구조는 파이프 형성 공정에 의해 본질적으로 변화되지 않으며 전술한 강관용 강 스트립에 있어서의 강관용 강의 그것과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더 충분한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방법으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강관용 강 스트립에 있어서의 중심선 분리현상의 정도를 평가하는 연구작업의 결과를 예시하는 그래프 도면; 그리고
도 2는 C 농도가 0.08 - 0.10% 범위에서 유지되고 S 농도가 0.003 - 0.010% 범위에서 변화하는 다수의 강관 스트립에서의 Mn 농도(중량%)에 대한 -15℃에서의 샤피 V 에너지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본 출원인은, 전기저항 용접으로 처리된 통상적인 고 망간(Mn) 강관용 강 스트립으로 제조된 강관과 전술한 전기저항 용접으로 처리된 본 발명의 강관용 강 스트립에 있어서의 중심선 분리현상의 정도를 평가하는 연구작업을 수행하였다.
도 1은 그 연구작업의 결과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은 두 개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각 그래프는 강 스트립의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진 특정 강 제품에서의 Mn의 농도(전자 프로브 미량분석법(Electron Probe Microanalysis)에 의해 측정됨)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윗 쪽 그래프는 1.1 중량%의 Mn 농도를 갖는 통상적인 고 망간 강관용 강에 대한 결과이다.
그리고, 도 1의 아래쪽 그래프는 0.3 중량%의 낮은 Mn 농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용 강에 대한 결과이다.
이러한 두 그래프들을 비교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강관용 강에 대한 스트립의 중심선 근방에서 Mn 농도가 현저하게 덜 변화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것은 이러한 강관용 강에 있어서 분리현상이 현저하게 덜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 라서 중심 분리 스트립(center split strip)으로 제조된 파이프에 대한 ERW 용접 라인의 인성(toughness)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가 있다.
이러한 인성의 향상은 아래의 표 1에서 요약되어 있는 연구작업의 결과에 의해 예시된다.
표 1은 전통적인 고 망간 강관용 강과 본 발명에 따른 저 망간 강관용 강으로부터 제조된 219 mm x 6.4 mm 파이프로부터 제조된 "갈매기-날개형(gull-winged)" 벽 두께 견본에 대한 용접 라인 샤피 V(Charpy V) 충격 테스트의 결과를 제공한다. 이 테스트들은 그의 눈금(notch) 위치들이 용접 라인들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테스트용 견본품으로써 실시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테스트가 이루어진 고 망간 및 저 망간 강철 파이프들 양자의 화학적 조성이 표 2에 제공되어 있다.
표 1. 용접 라인 샤피 V 충격 테스트
철강 타입 테스트 파이프 번호 0℃에서의 샤피 V 충격 에너지(J) 양 (파이프당 3번의 테스트)
본 발명 (0.08% C - 0.38% Mn) 1 2 3 82 128 104 130 128 132 96 98 88
기존의 고 망간 (0.08% C - 1.07% Mn) 1 2 3 17 22 48 20 22 24 20 12 30
표 2. 용접 라인 샤피 V 테스트에 종속하는 파이프의 화학적 조성(중량 %)
철강 C Mn Si S Al Nb Ti Ca N
저망간(본발명) 0.08 0.38 0.19 0.004 0.029 0.018 0.021 0.0008 0.0043
고망간(기존) 0.08 1.07 0.33 0.003 0.045 0.055 0.013 0.0007 0.0047
표 1의 결과는 연구작업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획득된 전형적인 용접 라인 샤피 테스트 결과이다.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강관용 강은 테스트 된 종래의 고 망간 강관용 강에 대해서보다 일치하게 더 높은 용접 라인 인성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본 연구작업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용 강 스트립의 샤피 V 충격 에너지에 대해 낮은 망간 농도의 효과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그러한 추가 연구 작업의 결과는 도 2에 제공된다.
도 2는 C 농도가 0.08 - 0.10% 범위에서 유지되고 S 농도가 0.003 - 0.010% 범위에서 변화하는 다수의 강관 스트립에서의 Mn 농도(중량%)에 대한 -15℃에서의 샤피 V 에너지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 망간 강철이 주어진 임의의 인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더 높은 농도의 고 망간 강철보다 더 높은 S 농도를 인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낮은 S 농도를 갖는 강철을 만든다는 현실적인 문제의 관점에서 보면 하나의 장점이다. 다른 말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 망간 합금 설계 방식은 샤피 V 충격 에너지에 대한 소정의 규격 요건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당히 더 높은 S 농도가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도 2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정신과 영역을 이탈함이 없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하여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강관용 강, 강관용 강으로 스트립(strip)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러한 강 스트립으로부터 강관(라인파이프)을 제조하는 방법에 이용된다.

Claims (30)

  1. 하기의 성분조성(중량%로써)을 갖는 강관용 강에 있어서,
    C: 0.18까지;
    Mn: 0.10 내지 0.50;
    Ti: 적어도 0.01;
    Si: 0.35까지;
    Nb: 0.10까지;
    Al: 0.05까지;
    Ca: 0.005까지;
    S: 0.015까지;
    P: 0.020까지;
    Cr: 1.0까지;
    Mo: 0.5까지;
    B: 0.002까지;
    Ni: 0.35까지;
    Cu: 0.35까지;
    V: 0.06까지;
    Fe: 나머지 ; 및
    부수적인 불순물,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10 중량% 미만의 C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적어도 0.02 중량%의 C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적어도 0.03 중량%의 C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적어도 0.04 중량%의 C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6.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35 중량% 미만의 Mn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7.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적어도 0.15 중량%의 Mn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적어도 0.20 중량%의 Mn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적어도 0.25 중량%의 Mn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10.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05 중량% 미만의 Ti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03 중량% 미만의 Ti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12.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25 중량% 미만의 Si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13.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적어도 0.005 중량%의 Si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14.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08 중량% 미만의 N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15.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적어도 0.001 중량%의 N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적어도 0.01 중량%의 N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17.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적어도 0.01 중량%의 Al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18.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001 중량% 미만의 Ca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19.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012 중량% 미만의 S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01 중량% 미만의 S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21.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적어도 0.005 중 량%의 S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22.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7 중량% 미만의 Cr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5 중량% 미만의 Cr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24.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강관용 강은 0.3 중량% 미만의 Mo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용 강.
  25. 전기한 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정의된 강관용 강으로부터 제조된 강관.
  26. 강관을 제조하기 위한 공급원료로서 이용되기에 적합한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정의된 강관용 강의 코일형 스트립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한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하나에 정의된 강관용 강의 슬라브를 캐스팅하는 과정;
    (b) 상기 슬라브를 열간 압연(hot rolling)하여 필요한 두께, 전형적으로는, 5-10 mm의 두께를 갖는 스트립을 형성하는 과정; 및
    (c) 상기 스트립을 코일형태로 만드는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코일 스트립에 있어서 강관용 강의 미세구조는 주로 미세 입자의 다각형 페라이트(polygonal ferrite)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구조는 X42 - X60과 같은 중간 강도의 강관 등급의 경우에 작은 체적 비율의(15%까지의)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9.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구조는 X65 및 X70과 같은 고강도의 강관 등급의 경우에 침상결정 페라이트(acicular ferrite) 및/또는 마르텐사이트(martensite)/오스텐사이트(austensite)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0. 제26항 내지 제2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정의된 강관용 강 스트립을 전기저항 용접하여 강관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강관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77019554A 2005-02-21 2006-02-21 강관용 강 KR20070105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5900795 2005-02-21
AU2005900795A AU2005900795A0 (en) 2005-02-21 Linepipe ste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347A true KR20070105347A (ko) 2007-10-30

Family

ID=3691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554A KR20070105347A (ko) 2005-02-21 2006-02-21 강관용 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90104069A1 (ko)
JP (1) JP2008530366A (ko)
KR (1) KR20070105347A (ko)
CN (1) CN101142336A (ko)
WO (1) WO2006086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4069A1 (en) * 2005-02-21 2009-04-23 Bluescope Steel Limited Linepipe steel
WO2008105110A1 (ja) * 2007-02-28 2008-09-04 Jfe Steel Corporation 溶接部靭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向け電縫鋼管
CN101942615A (zh) * 2010-08-26 2011-01-12 姚圣法 一种高强度和超高强度钢管的加工方法
CN101914723B (zh) * 2010-08-30 2012-06-06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轧抗大变形管线钢及其制备方法
CN111790753A (zh) * 2020-05-28 2020-10-20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单机架炉卷轧机宽薄规格x60钢级管线钢及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6951A (en) * 1981-01-29 1982-08-06 Nippon Steel Corp Production of killed steel ingot for hot rolling
JPS58133348A (ja) * 1982-02-01 1983-08-09 Nippon Steel Corp 耐サワ−特性の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鋼
JPS58161722A (ja) * 1982-03-20 1983-09-26 Nippon Steel Corp 管曲げ加工性の優れた電気抵抗溶接管用素材熱延鋼板の製造方法
US4533405A (en) * 1982-10-07 1985-08-06 Amax Inc. Tubular high strength low alloy steel for oil and gas wells
JPS61143555A (ja) * 1984-12-17 1986-07-01 Nippon Kokan Kk <Nkk> 耐水素誘起割れ性の優れた鋼
EP0885978B1 (en) * 1996-12-06 2003-05-02 Kawasaki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for double wound pip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ipe
US5993570A (en) * 1997-06-20 1999-11-30 American Cast Iron Pipe Company Linepipe and structural steel produced by high speed continuous casting
WO1998053110A1 (en) * 1997-05-19 1998-11-26 American Cast Iron Pipe Company Linepipe and structural steel produced by high speed continuous casting
JP4203143B2 (ja) * 1998-02-13 2008-12-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炭酸ガス腐食性に優れた耐食鋼及び耐食油井管
JP2002155341A (ja) * 2000-11-14 2002-05-31 Nippon Steel Corp 耐炭酸ガス腐食性及び溶接部靱性に優れた耐食鋼及びそれを用いた耐食ラインパイプ
KR20030053757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유화물 응력 부식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 강 및그 제조방법
JP4341396B2 (ja) * 2003-03-27 2009-10-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靱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電縫管用熱延鋼帯
US7157672B2 (en) * 2003-05-20 2007-01-02 Gandy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tainless steel pipe for use in piping systems
MXPA05012510A (es) 2003-05-28 2006-02-08 Sumitomo Metal Ind Tubo de acero para pozo petrolifero para empotramiento-expansion.
US20090104069A1 (en) 2005-02-21 2009-04-23 Bluescope Steel Limited Linepipe st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86853A1 (en) 2006-08-24
CN101142336A (zh) 2008-03-12
US20110011834A1 (en) 2011-01-20
US20090104069A1 (en) 2009-04-23
JP2008530366A (ja) 2008-08-07
US9487841B2 (en)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6995B1 (en) High-strength steel pipe with excellent low-temperature toughness for line pipe, high-strength steel plate for line pipe,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se
EP2105513B1 (en) High strength thick welded steel pipe for a line pipe superior in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2832879B1 (en) High-strength steel pipe for line pipe having excellent hydrogen-induced cracking resistance, high-strength steel plate for line pipe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042976B1 (en) Steel sheet for thick-walled high-strength line pipe having exceptional corrosion resistance, crush resistance properties, and low-temperature ductility, and line pipe
EP2264205B1 (en) High-strength steel plate excellent in low-temperature toughness, steel pipe,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of both
JP5748032B1 (ja) ラインパイプ用鋼板及びラインパイプ
JP4977876B2 (ja) 母材および溶接部靱性に優れた超高強度高変形能溶接鋼管の製造方法
KR101601000B1 (ko) 내사워 라인 파이프용 강판의 제조 방법
KR20200039738A (ko) 강관 및 강판
KR20210099627A (ko) 고강도 강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WO2015146173A1 (ja) 高炭素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093302B1 (en) Weld steel pipe with excellent low-temperature toughness for high-strength line pip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80055702A (ko) 내응력제거 어닐링 특성과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EP2980249B1 (en) Steel plate for thick-walled steel pip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hick-walled high-strength steel pipe
KR20070105347A (ko) 강관용 강
EP3199657B1 (en) Steel strip for electric-resistance-welded steel pipe or tube, electric-resistance-welded steel pipe or tube, and process for producing steel strip for electric-resistance-welded steel pipe or tube
EP3492612A1 (en) High strength seamless steel pipe and riser
EP4116453A1 (en) Steel pipe and steel sheet
CN111183238A (zh) 耐酸管线管用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了耐酸管线管用高强度钢板的高强度钢管
RU2136776C1 (ru) Высокопрочная сталь для магистраль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меющая низкий коэффициент текучести и повышенную низкотемпературную вязкость
JP3932821B2 (ja) 強度および靱性に優れる電縫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06214807B2 (en) Linepipe steel
JP2003301236A (ja) 耐hic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材
JP2020111771A (ja) ラインパイプ用鋼板
KR20230094824A (ko)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