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963A -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충전/정산 센터 - Google Patents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충전/정산 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963A
KR20070104963A KR1020060036623A KR20060036623A KR20070104963A KR 20070104963 A KR20070104963 A KR 20070104963A KR 1020060036623 A KR1020060036623 A KR 1020060036623A KR 20060036623 A KR20060036623 A KR 20060036623A KR 20070104963 A KR20070104963 A KR 20070104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harge
charging
prepai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833B1 (ko
Inventor
박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Priority to KR102006003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83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 충전/정산 센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불 요금 충전기는 충전용 전자 지갑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전자지갑 모듈의 충전액을 가감하고, 충전/정산 센터는, 미리 설정된 충전 한도액 중 요청 충전액을 기초로 한 충전한도를 상기 선불요금 충전기에 전송하고 충전 내역을 수집하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로부터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 내역 또는 해당 비용 청구를 전송받은 때, 상기 서비스사에 대해 해당 금액을 지급한다.
따라서, 비효율적인 선불제 서비스 이용요금 징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 충전/정산 센터{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SERVICE FEES, TERMINAL FOR THAT SERVICE AND CHARGING/SETTLEMENT CENTER}
도 1은 종래 교통카드 충전 및 정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교통카드의 충전체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선불제 이동단말기에 포함된 외장형 SIM 타입 카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금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체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 충전/정산 센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결제된 서비스 이용 금액(선불요금)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선불 요금을 충전 하는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 충전/정산 센터에 관한 것이다.
요금 충전이란 교통, 통신 서비스등에 대한 이용 비용을 지급하기 위한 전자 지갑에 대해 소정의 서비스 이용 한도액을 재설정하는 것으로, 예로서 버스나 지하철등을 이용하기 위한 교통카드 충전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통 카드 충전과 정산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충전 인프라 운영자가 충전상의 요청에 따라 충전기에 충전 한도를 전송해주고, 이 때 충전상은 해당 충전 금액을 충전 인프라 운영 모듈에게 미리 지급한다. 충전 인프라 운영 모듈은 충전기에 해당 충전한도가 전송되도록 하고,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지불된 거래 내역을 수집하여 서비스 혹은 상품을 판매한 버스회사, 지하철, 유통점과 같은 사업자에게 해당 금액을 지급하였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교통 카드는 해당 카드 발급사가 발행한 전자 지갑을 포함하고, 해당 전자지갑에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도 해당 카드 발급사가 발행한 충전용 보안카드(LSAM)을 갖고 있어야 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통카드는 각 카드에 카드 발급자가 발행시 발급한 고유의 암호체계(또는 암호키, PerSAM이라고도 한다)를 갖고 있다. 이 암호 체계를 이용하여 교통 카드에 대한 충전 및 사용 내역이 보호되며, 고유 암호 체계에 대한 접근은 발행자만이 갖고 있다. 이 때 카드 내의 암호 체계와 교통카드 충전기 LSAM간의 상호간 검증이 있어야 충전이 가능하므로, 카드 발급과 LSAM 발급은 동일 주 체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교통카드 종류별로 필요한 별도의 충전기를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선불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선불 요금 징수 방식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불제 이동 단말기의 SIM카드에는 해당 이동통신사의 고유의 전자지갑이 설치되어 있다. 우선 첫번째 방식으로, 사용자는 전화번호와 연계된 자신의 은행계좌에서 전화기를 통해서 또는 ATM 기기를 통해서 해당 이동 통신 사업자 계정으로 계좌 이체할 수 있고, 이동 통신 사업자는 은행 계좌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갖는 전화기의 SIM카드 전자지갑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충전할 수 있다. 둘째, 암호가 적혀있는 플라스틱 카드를 대리인(전화카드 판매상으로 편의점, 키오스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으로, 구매된 카드에 적혀 있는 암호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하면, 해당 금액 만큼 이동통신회사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SIM카드 전자 지갑에 충전하는 방식이 있다. 또, 대리인에게 영수증 발급기를 제공하고, 대리인이 선불 요금 징수 후 사용자에게 암호가 기록된 영수증을 발급하여 사용자가 암호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암호를 입력하면, 이동통신사업자가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SIM 카드 전자지갑에 충전해주는 방식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충전 방식은 사용자가 충전할 때 마다 이동통신단말기와 이동통신사간에 송수신 트래픽이 발생하고, 그 때마다 암호를 발생시켜야 했다. 또한, 이동통신사업자는 충전거래에 관련된 기록들을 실시간으로 관리해야 했다.
특히, 첫번째 방식의 경우 은행계좌 이체시 많은 불편함을 야기했고,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 가능한 시설 또한 제한적이었다. 또, 두번째 방식의 경우, 암호가 기록된 물리적인 카드를 유통시키는데 따르는 비용의 문제 및 도난등의 보안문제를 야기했으며, 특히 카드를 판매하는 과정이 일반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처럼 여러 단계를 거쳐 이루어져, 대금 회수 문제 및 판매비용문제가 상당수준에 이르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 이동통신회사는 카드 판매상에게 높은 판매대행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고, 물리적인 카드를 제작, 배송, 카드 입력 비밀번호의 보안체계관리 등의 복잡한 절차를 수동적으로 처리해야하는 기술적/경제적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리고 세번째 방식의 경우 충전시마다 영수증을 발행해야 하고, 암호 발급기와 이동 통신 사업자간의 송수신이 발생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문제가 있었고, 암호 발급기의 온라인 상태를 항상 유지해야 하는 부담과 대금 회수에 있어서의 어려움이 있었다.
게다가 세 가지 방식 모두 일단 충전된 금액에 대해서는 환불을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요금 충전방식의 문제점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고, 특히 기존의 선불제 휴대전화 요금 징수 방식의 비효율성을 개선하여, 유통비용 및 판매 수수료에 따른 과다한 비용과 개별 충전 거래마다 암호를 생성하고 암호카드를 유통하는데에 따르는 보안상의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효율적인 요금 충전 및 환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요금 충전 방법은, 미리 결제된 서비스 이용 금액(선불요금)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선불 요금을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a) 선납입 혹은 지급 보증된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서비스를 이용할 있는 충전액을 가감하는 선불 요금 충전기에 충전 한도액을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로부터 상기 선불 요금 충전기로부터 상기 충전액을 입력받은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서비스 사용 내역 또는 해당 비용 청구를 전송받은 때, 상기 서비스사에 대해 해당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는 요금 충전 시스템은, 미리 결제된 서비스 이용 금액(선불요금)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선불 요금을 충전하는 시스템으로서, 충전용 전자 지갑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전자지갑 모듈의 충전액을 가감하는 선불 요금 충전기; 및 미리 설정된 충전 한도액 중 요청 충전액을 기초로 한 충전한도를 상기 선불요금 충전기에 전송하고 충전 내역을 수집하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로부터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 내역 또는 해당 비용 청구를 전송받은 때, 상기 서비스사에 대해 해당 금액을 지급하는 충전/정산센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는 미리 결제된 서비스 이용 금액(선불요금)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로서 충전액 및 사용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의 제1 암호체계외의 제2 암호 체계를 이용하여 정보의 유효성을 보호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불요금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전자지갑 모듈을 포함한다.
또,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는 충전/정산 센터는, 미리 결제된 서비스 이용 금액(선불요금)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선불 요금을 충전하는 충전/정산센터로서,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충전액을 가감하는 선불 요금 충전기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충전 한도액 중 요청 충전액을 기초로 한 충전 한도를 전송하고 충전 내역을 수집하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로부터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 내역 또는 해당 비용 청구를 전송받은 때, 상기 서비스사에 대해 해당 금액을 지급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이용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 서비스사는 이동통신사업자인 경우를 예로 들어 발명을 설명하나, 이는 단지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분명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은 선불요금 충전기 및 충전/정산 센터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연결되어 단말기내의 전자지갑모듈에 대해 일정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이용 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 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고, 가입자 식별 모듈(110)은 제1 전자 지갑 모듈(111) 및 제2 전자 지갑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10)은 예를 들어, 이동전화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모듈로서 SIM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입자 인증, 과금, 보안 기능등의 개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10)은 이용할 수 있는 금액에 대해 통화할 때마다 요금을 삭제할 수 있다.
제1 전자 지갑 모듈(111)은 충전액 정보 및 사용액 정보를 포함하고, 각 이동통신사가 독자적으로 발급한 암호체계와는 별개인 고유의 암호 체계로 유효성을 보호한다. 이동통신단말기 사용 후, 이동통신사가 차감한 내역은 암호체계에 의해 부여된 암호를 동반할 때에 한해서 유효성을 인정받을 수 있으며, 유효한 사용내역이 충전/정산센터에 제출된 때에 한해 지급 처리 될 수 있다.
제2 전자 지갑 모듈(113)은 역시 충전액 정보 및 사용액 정보를 포함하고, 각 이동통신사가 발급한 고유의 암호 체계로 유효성을 보호할 수 있다. 이 때 고유 암호 체계에 대한 접근은 발행자가 갖고 있고, 카드 내의 암호 체계와 충전기간의 상호 검증을 통해서 충전이 가능하므로, 각 이동통신사별로 마련된 고유의 충전체계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선불요금 충전기(200)는 충전용 전자지갑 모듈(210)을 포함하여, 서비스 이용 단말기내의 전자지갑 모듈의 충전액을 가감하고 관련 기록들에 대해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충전용 전자지갑 모듈(210)은 예를 들어 외장형 SIM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암호키와 암호화 알고리즘을 내장할 수 있다. 선불요금 충전기(200)는 충전시 충전 금액과 함께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가입자 식별 모듈 정보와 충전용 전자지갑 모듈 정보를 결합하여 상술한 제1 전자지갑 모듈(111)에 입력할 수 있다.
또, 선불요금 충전기(200)는 환불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선불요금 충전기(200)는 제1 전자 지갑 모듈(111)에서 환불 요금액을 차감하고 환불 요구액 만큼 충전기의 충전한도를 증가시킬 있다. 이 때 필요한 경우, 제1 전자 지갑 모듈(111)에서 해당 수수료를 추가적으로 차감할 수 있다. 선불요금 충전기(200)는 해당 환불액의 충전 암호와, 가입자식별모듈 정보와 충전용 전자지갑 모듈(210)의 암호키가 결합된 환불암호를 생성하여 환불 거래 내역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정산 센터(300)와의 통신시에 환불암호 및 환불 거래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선불요금 충전기(20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되지 않고, 고속도로요금 카드, 교통카드, 전력요금카드, 수도요금 카드등 다양한 서비스 이용 단말기(100)내의 전자 지갑 모듈을 충전할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너무도 당연하다.
충전/정산센터(300)는 충전 모듈(310) 및 정산 모듈(320)을 포함하여 선불 요금 충전기(200)에 충전한도를 전송하고, 충전 혹은 환불 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충전/정산 센터(300)는 시스템 전체의 암호 체계 및 단말기 작동을 감시할 수 있으며, 서비스사(예를 들어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의 청구 내역을 확인하고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충전/정산 센터(300)는 충전된 제1 전자지갑 모듈(111)의 사용 내역 또는 충전 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 B 서비스 이용 단말기는 각각 제1 전자지갑 모듈(111) 및 제2 전자지갑 모듈(113)을 포함한다.
이 때, 제2 전자 지갑 모듈(113)은 A 서비스사 및 B 서비스사 각각의 고유의 암호체계로 정보를 보호하고 있으며, 고유 암호 체계에 대한 접근은 각 A서비스사 및 B서비스사에 의해 가능하다.
각 서비스 이용단말기(100)는 제1 전자 지갑 모듈(111)을 포함하여, 서비스사의 종류에 관계없이 통일된 암호 체계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지갑 모듈(111)은 충전액 및 사용액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사의 종류에 관계없는 고유의 암호체계로 유효성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대상 서비스가 이동통신서비스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 사용후 이동통신사가 차감한 내역은 암호체계에 의해 부여된 암호를 동반할 때에 한해서 유효성을 인정받을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선불 요금 충전기(200)는 A 서비스 이용 단말기 혹은 B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서비스 이용 단말기(100)의 종류에 관계없이, 제1 전자 지갑 모듈(111)에 대해 해당 금액을 충전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100) 종류에 관계없이 선불요금 충전기(200)를 통해 원하는 금액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정산 센터 운영자는 서비스사(예를 들어 이동통신사)와 소정 계약 등을 체결할 수 있고, 충전/정산 센터는 서비스사가 발행한 가입자식별모듈(110)의 일정영역으로서 제1 전자지갑모듈(111) 및 접근권한을 할당받을 수 있다(S100). 이 때 가입자식별모듈(110)은 제1전자 지갑 모듈(111)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서비스사 각각의 고유 암호체계로 정보가 보호된 제2 전자지갑모듈(113)을 추가 포함할 수도 있다. 또 충전 정산 센터(300)는 서비스사와 계약시 일정기간동안의 총 선불요금판매 한도액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지급보증 또는 현금예탁금을 설치할 수 있으며, 각 선불요금 충전기(200)에 대해 일정한도의 충전 한도액을 분배 또는 입력할 수 있다.
선불 요금 충전기 운영자는 충전/정산 센터로부터 충전한도액을 입력받기 위해 소정의 지급보증을 제시하거나 충전한도액을 선금으로 납부하는 등의 방식을 취할 수 있다(S110).
서비스 이용 단말기 사용자는 충전 요청액만큼을 선불 요금 충전기 운영자에게 지급할 수 있고, 충전된 금액만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120).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정산 센터(300)는 충전 모듈(310) 및 정산 모듈(320)을 포함하여, 충전 모듈(310)은 선불요금 충전기(200)에 대해 해당 금액만큼의 충전한도를 전송할 수 있다(S200).
선불 요금 충전기(200)는 충전용 전자지갑 모듈(210)을 포함하여, 사용자 요청이 있을 경우, 서비스 이용 단말기(100)에 대해 해당 금액을 입력할 수 있다(S210). 보다 구체적으로, 선불 요금 충전기(200)는 충전 금액,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가입자 식별 모듈 정보 및 충전용 전자지갑 모듈 정보를 결합하여, 서비스 이용 단말기(100)의 제1 전자지갑 모듈(111)에 해당 금액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이용 단말기(100)에 대한 충전액만큼 충전용 전자 지갑 모듈(210)의 충전잔액은 차감된다.
또 선불 요금 충전기(2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1 전자 지갑 모듈(111)에서 환불 요금액을 차감하고 환불 요구액 만큼의 충전기의 충전한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서비스사(400)는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시마다 서비스 이용 단말기(100)의 제1 전자지갑 모듈(111)에서 해당 사용금액을 차감할 수 있다(S220). 그리고, 서비스사(400)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100)로부터 사용금액과 전자화폐의 고유 번호, 사용시간등의 해당 사용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이동통신사업자는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마다 사용금액을 제1 전자지갑모듈(111)에서 해당 금 액만큼 차감하고 해당 사용내역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전화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서비스사(400)는 수집된 사용 내역을 기초로 해당 금액을 충전/정산 센터(300)로 청구할 수 있고(S240, S250), 충전/정산센터(300)는 서비스사(400)로부터 청구되는 사용내역 및 청구내역을 확인하여, 해당 금액을 지급할 수 있다(S260).
이상 설명한 바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에 의하여 확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한 사실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로 이동통신사업자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전화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전력, 수도, 대중교통, 고속도로 통행료, 전자화폐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 기재 사항 및 그 균등 범위로 해석되는 모든 기술적 구성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효율적인 선불제 서비스 이용요금 징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즉, 충전기에 한도액을 추가할 때 이외 어떤 송수신 절차도 필요 없어, 불필요한 송수신 트래픽을 줄일수 있다. 또, 물리적인 카드에 대한 유통체계가 전혀 필요 없어 유통망 관리 비용 및 기타 유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도난, 훼손 등의 문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특히, 서비스사의 경우 충전/정산 센터로부터 서비스 이용자의 사용 내역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받을 수 있으므로, 미수금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서비스사가 이동통신사인 경우, 이동전화망상에서 별도의 암호체계를 운용할 필요도 없으며, 충전뿐만 아니라, 환불 또한 가능하다.

Claims (15)

  1. 미리 결제된 서비스 이용 금액(선불요금)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선불 요금을 충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충전용 전자 지갑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전자지갑 모듈의 충전액을 가감하는 선불 요금 충전기; 및
    미리 설정된 충전 한도액 중 요청 충전액을 기초로 한 충전한도를 상기 선불요금 충전기에 전송하고 충전 내역을 수집하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로부터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 내역 또는 해당 비용 청구를 전송받은 때, 상기 서비스사에 대해 해당 금액을 지급하는 충전/정산센터를 포함하는
    요금 충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서비스사는 이동통신사, 상기 서비스는 이동통신서비스인
    요금 충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 요금 충전기는,
    선납입 혹은 지급 보증된 금액에 기초하여 요청된 상기 충전액, 상기 충전용 전자 지갑 모듈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가입자 식별 모듈의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상기 전자 지갑 모듈에 입력하는
    요금 충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 요금 충전기는,
    환불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자 지갑 모듈에서 환불 요금액을 차감하고, 환불 요금액 만큼 충전한도를 증가시키는
    요금 충전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정산센터는,
    상기 선불 요금 충전기에 상기 충전한도를 전송하고 충전내역을 수집하는 충전 모듈; 및
    상기 서비스사로부터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 내역 또는 해당 비용 청구를 전송받은 때, 사용 내역 또는 청구 내역을 확인하여 유효한 때 상기 서비스사에 대해 해당 금액을 지급하는 정산 모듈을 포함하는
    요금 충전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정산 센터는,
    상기 선불요금 충전기에 상기 충전한도를 전송하고 충전내역을 수집하며, 환불시 상기 선불 요금 충전기로부터 환불 거래 내역 정보를 전송받는 충전모듈; 및
    상기 서비스사로부터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 내역 또는 해당 비용 청구를 전송받은 때, 사용 내역 또는 청구 내역을 확인하여 유효한 때 상기 서비스사에 대해 해당 금액을 지급하는 정산 모듈을 포함하는
    요금 충전 시스템.
  7. 미리 결제된 서비스 이용 금액(선불요금)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로서
    충전액 및 사용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의 제1 암호체계외의 제2 암호 체계를 이용하여 정보의 유효성을 보호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불요금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전자지갑 모듈을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는
    충전액 및 사용액 정보를 포함하며, 서비스사 별 제공하는 제1 암호체계를 이용하여 정보의 유효성을 보호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불요금을 기초로 상기 서비 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전자지갑 모듈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에 대해 서비스 사용 내역을 전송하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
  10. 미리 결제된 서비스 이용 금액(선불요금)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선불 요금을 충전하는 충전/정산센터로서,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충전액을 가감하는 선불 요금 충전기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충전 한도액 중 요청 충전액을 기초로 한 충전 한도를 전송하고 충전 내역을 수집하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로부터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 내역 또는 해당 비용 청구를 전송받은 때, 상기 서비스사에 대해 해당 금액을 지급하는
    충전/정산 센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이동통신서비스로서,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 말기, 상기 서비스사는 이동통신서비스인
    충전/정산센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정산 센터는,
    상기 선불 요금 충전기에 상기 충전한도를 전송하고 충전내역을 수집하는 충전 모듈; 및
    상기 서비스사로부터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 내역 또는 해당 비용 청구를 전송받은 때, 사용 내역 또는 청구 내역을 확인하여 유효한 때 상기 서비스사에 대해 해당 금액을 지급하는 정산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정산 센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환불시 상기 선불 요금 충전기로부터 환불 거래 내역 정보를 전송받는
    충전/정산 센터.
  14. 미리 결제된 서비스 이용 금액(선불요금)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선불 요금을 충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선납입 혹은 지급 보증된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에 서비스를 이용할 있는 충전액을 가감하는 선불 요금 충전기에 충전 한도액을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로부터 상기 선불 요금 충전기로부터 상기 충전액을 입력받은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서비스 사용 내역 또는 해당 비용 청구를 전송받은 때, 상기 서비스사에 대해 해당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금 충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서비스사는 이동통신사로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사용 내역을 전송받은 상기 이동통신사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 사용 내역 또는 해당 비용 청구를 전송받아 상기 이동통신사에 대해 해당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인
    요금 충전 방법.
KR1020060036623A 2006-04-24 2006-04-24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충전/정산 센터 KR10081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623A KR100811833B1 (ko) 2006-04-24 2006-04-24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충전/정산 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623A KR100811833B1 (ko) 2006-04-24 2006-04-24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충전/정산 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963A true KR20070104963A (ko) 2007-10-30
KR100811833B1 KR100811833B1 (ko) 2008-03-10

Family

ID=3881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623A KR100811833B1 (ko) 2006-04-24 2006-04-24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충전/정산 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639B1 (ko) * 2007-12-27 2009-06-12 오형완 실시간 통신요금 충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959B1 (ko) * 2000-05-12 2008-01-08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Ic카드를 이용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충전,지불 및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3317A (ko) 2001-04-27 2002-11-02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전자지갑을 이용한 고객카드 충전방법
KR100374801B1 (en) 2002-03-08 2003-03-04 Bc Card Co Ltd Method for issuing and charging prepayment card and transacting using the same
KR100529020B1 (ko) 2003-05-22 2005-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환불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
KR20040004324A (ko) 2003-12-22 2004-01-13 이창환 선불스마트카드용 고속 Off-Line 충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639B1 (ko) * 2007-12-27 2009-06-12 오형완 실시간 통신요금 충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833B1 (ko) 200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80634A1 (en) Method and network element for paying by a mobil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JPH09116960A (ja) キャッシュレス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で使用する携帯機
CN106781043A (zh) 电动汽车的售电系统和方法
KR101101173B1 (ko) 계좌를 이용한 결제 중계 방법
KR20030000447A (ko) 결제 정보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버추얼카드 발급 방법
KR20170006740A (ko) 사용자 단말,중앙 서버 및 이들에 의한 요금 결제 방법
GB2324898A (en) Electronic purse
WO2014017742A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0811833B1 (ko)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충전/정산 센터
KR20020095488A (ko) 이동전화 무선망을 이용한 하이패스카드 충전방법
JP2005267334A (ja) カード決済システム
KR101815049B1 (ko)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79167A (ko) 선불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스템과서비스 제어방법
KR100393752B1 (ko) 선불제 통신카드를 이용한 후불제 과금 시스템
KR20140015171A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CN101859460A (zh) 基于手机支付的现金代收费方法
KR101216666B1 (ko) 선불카드의 자동충전 시스템 및 자동 충전 방법
CA2309066C (en) Billing method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5100429A (ja) 携帯機
KR100582110B1 (ko) 서비스 이용요금의 주기별 결제시스템, 그 제어방법 및 그 결제시스템의 서비스프로바이더
JPH11242713A (ja) 課金方法および課金装置およびソフトウェア利用者システム
KR101111298B1 (ko) 무선요금 처리 서버와 무선요금 정산처리 서버
KR2011003835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
KR20010055223A (ko) 전화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대금 지불방법
KR200246679Y1 (ko) 선불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