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049B1 -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5049B1 KR101815049B1 KR1020160005972A KR20160005972A KR101815049B1 KR 101815049 B1 KR101815049 B1 KR 101815049B1 KR 1020160005972 A KR1020160005972 A KR 1020160005972A KR 20160005972 A KR20160005972 A KR 20160005972A KR 101815049 B1 KR101815049 B1 KR 1018150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
- transportation card
- prepaid
- transportation
- amou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27—Lead-screw mechanisms
- A46B11/0031—Means for influencing rotation of the knob, e.g. ratchet, click mechanisms, one way clutch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9—Rechargeable c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를 이용한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카드사 서버는,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선불교통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하고, 제1 금액의 정보를 포함하는 선불교통카드정보를 교통카드 서버에게 전송하며, 선불교통카드의 일정 기간 동안의 이용금액에 대한 정산금을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의 대금으로 고객에게 청구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용카드에 내장된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스나 지하철 등에서 사용되는 교통카드는 크게 선불교통카드와 후불교통카드로 구분된다. 선불교통카드는 고객이 미리 충전한 일정금액을 이용하여 교통요금을 결제한다. 반면 후불교통카드는 충전금 없이 일정 기간 누적된 교통요금을 후불로 결제한다.
선불교통카드는 고객이 일일이 충전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충전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교통수단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후불교통카드는 충전에 따른 불편함이 없어 선불교통카드보다 편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후불교통카드는 카드사 등이 고객이 사용한 금액을 후불청구하는 것으로서, 일종의 여신행위로서 금융당국으로부터 이에 대한 사업권한을 가지는 못하는 교통카드 사업자 등은 충전에 따른 불편함이 여전한 선불교통카드만을 제공할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불교통카드의 충전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고 충전금 잔액이 부족한 경우에도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불교통카드 결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의 일 예는,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를 이용한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카드사 서버는, 상기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상기 선불교통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하고, 상기 제1 금액의 정보를 포함하는 선불교통카드정보를 교통카드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일정 기간 동안의 이용금액에 대한 정산 요청을 상기 교통카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불교통카드에 대한 정산금을 상기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의 대금으로 고객에게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의 다른 일 예는,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를 이용한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불교통카드는, 카드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카드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교통카드 사업자별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상기 선불교통카드 내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드 단말기로부터 결제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불교통카드 내 가상 충전 금액을 자동 충전하여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거나, 상기 결제 금액이 기 설정된 1회 결제한도금액보다 작으면 상기 결제 금액을 누적하여 거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의 다른 일 예는,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를 이용한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교통카드 서버는,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제1 금액의 충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카드사 서버에게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정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고객이 일일이 선불교통카드를 충전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한다. 또한 선불교통카드의 충전금 잔액이 부족한 경우에도 교통수단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결제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발급 및 활성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및 정산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발급 및 활성화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및 정산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발급 및 활성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및 정산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발급 및 활성화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및 정산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결제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불교통카드(102)는 신용카드(100)의 일부 기능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신용카드(100)라고 함은 종래의 일반적인 후불결제의 신용카드뿐만 아니라 체크카드나 선불카드 등 가맹점에서 재화나 서비스 등을 구매하고 결제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의미한다.
본 실시 예는, 신용카드(100)에 신용카드 기능과 선불교통카드 기능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선불교통카드(102)와 신용카드(100)가 각각 별개로 존재하고, 둘 사이의 맵핑관계를 저장 관리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선불교통카드(102)의 기능을 포함하는 신용카드(100)는 플라스틱 형태의 카드로 구현되거나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에 저장되는 모바일 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는 신용카드(100)에 선불교통카드(102)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플라스틱 카드 위주로 설명한다. 플라스틱 카드에는 카드사가 부여한 신용카드 번호와 더불어 교통카드 서버를 운용하는 교통카드사가 부여한 선불교통카드 번호가 내장된다. 이 경우, 선불교통카드의 기능과 신용카드의 기능이 모두 동일한 플라스틱 카드에 구현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해당 플라스틱 카드에 대해 '선불교통카드' 및 '신용카드'의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교통수단 단말(110)은 버스나 지하철, 택시 등에 설치되어 선불교통카드의 접촉시 이를 인식하여 교통수단의 이용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여기서 교통수단 단말(110)은 그 용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선불교통카드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편의점에서 선불교통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가능한 경우, 선불교통카드의 결제를 수행하는 편의점 단말은 본 실시 예의 교통수단 단말에 해당한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교통수단 단말(110)을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교통수단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교통카드 서버(120)는 선불교통카드(102)의 충전금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교통수단 단말(110)에서 결제된 금액의 정산 등을 수행한다. 교통카드 서버(120)는 신용카드(100)에 내장되는 선불교통카드(102)를 위한 선불교통카드 번호를 발행하고, 선불교통카드별 충전금에 대해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본 실시 예는 교통카드 서버(120)를 하나만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교통카드사를 위한 복수의 교통카드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교통카드 서버(120)는 선불교통카드(102)의 분실이나 도난, 해지나 해제 등의 사유가 발생하여 선불교통카드(102)의 상태를 사용 불능 상태로 변경하고, 해당 정보를 교통수단 단말(110)에 전송하여 선불교통카드(102)가 부정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교통카드 서버(120)는 사용 가능한 선불교통카드의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즉, 화이트 리스트)를 교통수단 단말(110)로 제공하거나, 사용 불가능한 선불교통카드의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즉, 블랙 리스트)를 교통수단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교통수단 단말(110)로 제공되는 화이트 리스트 또는 블랙 리스트의 데이터 양을 줄이기 위하여, 교통카드 서버(120)는 선불교통카드 번호 그 자체가 아니라 선불교통카드 번호와 맵핑된 작은 크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이트 리스트(또는 블랙 리스트)를 교통수단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130)는 선불교통카드(102)의 충전금을 선불교통카드와 맵핑된 신용카드(100)로 결제 구매처리하고, 결제 금액을 신용카드(100)의 대금으로 고객에게 청구하고 정산한다. 이하에서 교통카드 서버(120) 및 카드사 서버(130) 등을 통한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과정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발급 및 활성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및 정산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카드사 서버(130)는 고객(140)으로부터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의 신청을 수신하면(S200), 일정 금액(Z원)이 충전된 선불교통카드를 포함하는 신용카드를 발급한다(S205). 발급시, 선불교통카드에는 도 6에서 살펴볼 자동으로 충전되는 가상충전금액과 관련된 값이 입력될 수 있다. 가상충전금액과 관련된 값은 1일 가상충전 한도금액, 1회 가상충전 한도금액 또는 1일 가상충전 가능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값은 모바일, 키오스크 등의 단말을 통하여 온라인으로 사후 갱신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금액(Z원)은 고객이 아닌 카드사의 비용으로 충전되는 금액이며, 고객이 이용할 수 없는 금액이다. 교통수단 이용시, 교통수단 단말(110)에 표시되는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에 일정 금액(Z원)은 포함되지 않는다. 신용카드는 카드사가 발행한 신용카드 번호와 교통카드사가 발행한 선불교통카드번호를 포함한다. 카드사 서버는 교통카드 서버로부터 일정 개수의 선불교통카드번호를 미리 수신한 후 카드 발급시에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130)는 선불교통카드의 발급에 대한 정보를 교통카드 서버(120)에 전송한다(S210). 여기서, 발급에 대한 정보는 발급일자, 선불교통카드번호, 선불교통카드의 충전금액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카드 서버(120)는 카드사 서버(130)로부터 발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선불교통카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선불교통카드의 충전금 잔액 정보)를 저장한다(S215).
신청한 카드를 발급받은 고객(140)은 카드의 이용등록을 신청한다(S220,S225). 예를 들어, 고객(140)은 카드의 수령 후 자신의 단말로 카드사 서버(130)에 접속하고 신용카드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카드 이용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130)는 카드 이용등록 요청에 따라, 해당 신용카드를 활성화한다(S230).
카드사 서버(130)는 선불교통카드와 맵핑된 신용카드로 일정 금액(X원)을 구매 결제하여 선불교통카드를 충전한다(S235). 일정 금액(X원)의 구매 결제는 실제 고객이 사용한 금액의 결제가 아니라 앞으로 사용할 금액을 미리 결제하는 것으로서, 일종의 가승인이라고 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130)는 교통카드 서버에 선불교통카드의 활성화를 요청한다(S240). 이때 카드사 서버(130)는 활성화 대상인 선불교통카드의 번호(신용카드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음)와 선불교통카드의 충전 금액(예를 들어, X원)에 대한 정보 등을 교통카드 서버(120)로 전송한다.
교통카드 서버(120)는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에 카드사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충전 금액을 반영하여 저장하고, 선불교통카드를 활성화한다(S235). 예를 들어, 교통카드 서버(120)는 카드 발급시 Z원의 충전 정보를 수신하고, 활성화 요청시 X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므로, 교통카드 서버(120)에는 해당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으로 (Z+X)원의 정보가 저장된다. 그러나 선불교통카드 그 자체 내에 저장된 잔액은 Z원으로 교통카드 서버에 저장된 (Z+X)원과 상이하다. 선불교통카드 내에 실제 충전된 잔액의 정보가 실시간 반영되지 아니하므로, 이러한 선불교통카드를 교통수단 단말(110)에서 이용 처리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및 정산에 대해 살펴본다.
고객(140)이 선불교통카드를 교통카드 단말(110)에 접촉하면(S300), 교통수단 단말(110)은 선불교통카드와 소정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교통수단 이용 요금 등의 결제를 수행한다(S305).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선불교통카드에 저장된 잔액정보와 교통카드 서버(120)에 저장된 실제 사용 가능한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이 서로 상이하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여 이는 도 6에서 살펴본다.
교통수단 단말(110)은 일정 기간 동안 선불교통카드로 결제한 요금에 대한 내역을 교통카드 서버(120)로 전송한다(S310). 예를 들어, 교통수단 단말(110)은 일일단위로 선불교통카드별 이용내역을 교통카드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교통카드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이용 내역을 정산한다(S315). 예를 들어, 교통카드 서버(120)는 교통수단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선불교통카드별 이용 내역 데이터를 확인하고, 선불교통카드별 결제 이용 금액의 정당성 등을 검증한 후, 선불교통카드별 잔액에서 각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금액을 차감한다. 만약에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이 해당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금액보다 적거나,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보다 적으면, 교통카드 서버(120)는 선불교통카드의 충전 과정(380)을 수행한 후에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에서 이용 금액을 차감하는 정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 과정(38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통카드 서버(120)는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이 이용 금액보다 적거나,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보다 적으면, 카드사 서버(130)에게 충전을 요청한다(S320). 예를 들어, 교통카드 서버는 선불교통카드번호와 충전 요청 금액(또는 선불교통카드의 현 잔액 정보)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요청을 카드사 서버(130)에게 전송한다. 카드사 서버(130)는 충전 요청을 수신하면(S320), 선불교통카드와 맵핑된 신용카드로 충전 요청 금액을 구매 결제하고(S325), 충전 완료 정보(예를 들어, 선불교통카드번호, 충전금액 등)를 교통카드 서버로 전송한다(S330).
여기서, 충전 요청 금액은 기 설정된 일정 금액(예를 들어, 발급시 충전한 X원)이거나, 선불교통카드의 일일 충전 한도에 대한 부족분(예를 들어, 일일 충전한도가 X원이고 잔액이 M원이면, (X-M)원)일 수 있다.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 교통카드 서버(120)는 충전된 금액을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정보에 반영한다(S335). 예를 들어, 교통카드 서버에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이 M원이 저장되어 있고, 카드사 서버로부터 (X-M)원에 대한 충전금액 정보를 수신하면, 교통카드 서버(120)는 잔액 M원에 수신한 충전금액 (X-M)을 반영하여, 현 잔액을 X원(M원 + (X-M)원)으로 갱신한다. 충전이 완료된 후 교통카드 서버(120)는 선불교통카드의 잔액(X)에서 이용 금액(Y)을 차감하여 정산한다(S315).
앞서 살펴본 교통카드 서버(120)에 저장되어 관리하는 선불교통카드별 잔액은 실제 화폐의 잔액이 아니라, 금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한 것이다. 따라서 카드사와 교통카드사, 교통카드사와 교통수단운용자 등과의 실제 금액의 정산 과정이 필요하다.
교통카드 서버(120)는 정산을 위해 먼저, 일정 기간 동안의 선불교통카드별 이용 내역에 대한 정산을 카드사 서버(130)로 전송한다(S340). 예를 들어, 교통카드 서버(120)는 일일 단위로 선불교통카드별 이용 금액을 포함하는 정산 요청을 카드사 서버(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130)는 교통카드 서버(120)의 정산 요청을 수신하면, 청구 내역을 검증대사하고, 해당 금액을 교통카드 사업자의 지정된 계좌로 송금한다(S350). 정산금을 지급받은 교통카드 서버(120)는 교통수단 단말(110) 운용자의 지정된 계좌로 선불교통카드의 이용요금을 지급한다(S360).
카드사 서버(130)는 교통카드 서버(120)에 대해 정산한 금액, 즉 선불교통카드와 맵핑된 신용카드로 구매 결제된 금액을 신용카드 대금으로 고객에게 청구하고 입금받는다(S365,S37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발급 및 활성화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및 정산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선불교통카드 결제 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선불교통카드 결제 방법과 달리 별도의 충전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고객(140)의 카드 신청에 따라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를 발급하는 과정(S400,S405,S410,S415,S420)은 도 2의 과정(S200,S205,S210,S215,S22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카드를 발급받은 고객(140)이 카드 이용등록을 요청하면(S425), 카드사 서버(130)는 신용카드를 활성화한다(S430). 예를 들어, 고객(140)은 카드의 수령 후 자신의 단말로 카드사 서버(130)에 접속하고 신용카드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카드 이용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130)는 교통카드 서버(120)에 선불교통카드의 활성화를 요청한다(S240). 이때 카드사 서버(130)는 활성화 대상인 선불교통카드의 번호(신용카드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음) 등을 교통카드 서버(120)로 전송한다. 활성화 요청을 수신한 교통카드 서버(120)는 선불교통카드를 활성화한다(S235). 도 2의 실시 예와 달리, 본 실시 예는 별도의 선불교통카드의 충전 과정(도 2의 S235)을 수행하지 아니하므로, 선불교통카드에 저장된 해당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은 카드 발급시 충전된 일정 금액(Z원)이다. 선불교통카드에 충전된 일정 금액(Z원)은 카드사가 미리 충전한 소액의 금액이며, 이는 실제 교통수단의 이용요금으로 결제되는 금액이 아니다. 따라서 선불교통카드 내에는 교통수단의 이용요금을 결제할 실제 잔액이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이러한 선불교통카드를 교통수단 단말에서 이용 처리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및 정산에 대해 살펴본다.
고객(140)이 선불교통카드를 교통카드 단말(110)에 접촉하면(5300), 교통수단 단말(110)은 선불교통카드와 소정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교통수단 이용 요금 등의 결제를 수행한다(S505). 선불교통카드에는 발급시 충전된 일정 금액(Z원)이 있으나 이는 실제 결제 금액으로 사용될 수 없는 금액이므로, 선불교통카드에는 사용할 수 있는 잔액이 존재하지 않는다. 선불교통카드에 충전금이 부족한 경우에도 교통수단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방법은 도 6에서 설명한다.
교통수단 단말(110)은 일정 기간 동안 선불교통카드로 결제한 요금에 대한 내역을 교통카드 서버(120)로 전송한다(S510). 예를 들어, 교통수단 단말(110)은 일일단위로 선불교통카드별 이용내역을 교통카드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교통카드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이용 내역을 정산한다(S515). 예를 들어, 교통카드 서버(120)는 이용 내역 데이터를 확인하고, 선불교통카드별 결제 이용 금액의 정당성 등을 검증한 후, 선불교통카드별 이용 내역을 카드사 서버(130)로 전송하여 정산 요청한다(S520). 예를 들어, 교통카드 서버(120)는 일일 단위로 교통수단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선불교통카드별 이용 금액을 검증하고 일일 단위로 정산 요청을 카드사 서버(130)에게 전송한다.
카드사 서버(130)는 교통카드 서버(120)의 정산 요청을 수신하면, 청구 내역을 검증대사하고, 해당 금액을 교통카드 사업자의 지정된 계좌로 송금한다(S530). 정산금을 지급받은 교통카드 서버(120)는 교통수단 운용자의 지정된 계좌로 선불교통카드의 이용요금을 지급한다(S540).
카드사 서버(130)는 교통카드 서버의 정산 요청에 따라 정산한 금액을 신용카드 대금으로 고객에게 청구하고 입금받는다(S545,S550).
고객(140)이 택시나 기차 등과 같이 비교적 고액의 교통수단에 대한 비용을 선불교통카드로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3에서 설명한 충전과정(380)을 통해 실시간 승인을 통해 선불교통카드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시나 기차 등의 단말(110)은 결제 금액에 대한 승인 요청을 교통카드 서버(120)로 전송하고, 교통카드 서버(120)는 결제 금액에 대한 충전 요청을 카드사 서버(130)로 전송한다. 카드사 서버(130)는 충전 요청에 대한 금액을 선불교통카드와 맵핑된 신용카드로 구매 결제한 후, 충전 완료 정보를 교통카드 서버(120)로 전송한다. 교통카드 서버(120)는 선불교통카드를 충전한 잔액에서 결제금액을 차감하고, 그 결과를 교통수단 단말(110)에 전송하여 결제가 정상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방법은 앞서 살핀 도 3 및 도 5의 결제 단계(S305,S505)의 일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불교통카드(102)를 교통수단 단말(110)에 접촉하면(S600), 교통수단 단말(110)의 교통카드 처리부(600)는 선불교통카드(102)와 무선 통신(RF 통신)을 연결한다(S605). 교통수단 단말(110)은 결제를 위하여 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이 선불인지 후불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 교통수단 단말은 접촉한 교통카드로부터 결제 방법(선불 또는 후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교통수단 단말의 정보 요청과 정보 수신 등의 여러 차례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이 필요하므로 교통카드의 전체 결제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교통수단 단말(110)은 별도의 정보를 수신함이 없이 교통카드와의 무선 통신 연결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결제 방법을 구분한다.
예를 들어, 교통카드와 교통수단 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 ISO/IEC 14443, Mifare가 존재한다. 교통카드 처리부(600)은 ISO/IEC 14443으로 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교통카드와 통신이 연결되면, 해당 교통카드를 선불교통카드로 인식하고, Mifare로 무선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교통카드와 통신 연결되면, 해당 교통카드를 후불교통카드로 인식한다.
교통카드 처리부(600)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촉된 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불 결제임을 인식한 후, 선불교통카드(102) 내 저장된 교통카드 사업자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파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610,S615,S620).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는 교통카드 사업자별 교통카드를 구분하기 위한 값으로서, 교통수단 단말(110)에는 교통카드 사업자별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SAM(Security Application Module)(610)이 존재할 수 있다.
교통카드 처리부(600)는 일종의 폴링(Polling) 과정을 통해 선불교통카드(102)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카드 처리부(600)는 처리 가능한 교통사업자별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리스트를 자체 저장하고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리스트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선불교통카드(102)로 전송한다(S610). 선불교통카드(102)는 교통카드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선불교통카드(102) 내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비교한 결과를 교통카드 단말(110)로 전송한다(S615). 교통카드 처리부(600)는 선불교통카드(102)로부터 수신한 비교결과를 기초로 선불교통카드 내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확인한다(S620).
선불교통카드(102)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 해당하는 SAM(Security Application Module)(610)은 선불교통카드(102)와 상호 유효성을 인증 및 확인한다. SAM(610)과 선불교통카드(102)는 상호 인증을 위한 비밀키 방식의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송수신 데이터의 기밀성 및 무결성을 보장한다.
결제 처리를 위하여 SAM(610)은 선불교통카드와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S630). 여기서, 초기화 과정을 통해, 교통카드 단말(110)은 선불교통카드(102)에 해당하는 교통카드사업자 식별코드, 교통카드 정산센터 식별코드, 선불교통카드(102) 내 잔액, 선불교통카드(102)-SAM(610) 보안통신 방법, 거래유형, 거래일련번호 등 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한다.
교통카드 처리부(600)는 상호 인증이 완료되면, 교통수단의 이용을 위한 결제 금액 정보를 선불교통카드(102)로 전송한다(S635). 여기서 결제 금액 정보는 결제 금액과, 결제 방식, 서명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금액 정보를 수신한 선불교통카드(102)는 결제 금액을 처리한 후 그 처리 결과를 회신한다(S640, S645).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선불교통카드 내에 저장된 잔액이 실제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 서버에 저장된 잔액과 상이하거나(도 2~3 참조), 선불교통카드의 충전 과정이 없어 실제 사용 가능한 잔액이 없는 선불교통카드 내에 남아 있지 않은 경우(도 4~5 참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선불교통카드(102)를 이용한 교통수단의 이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선불교통카드(102)는 거래 처리(S640)에 있어서, 선불교통카드(102) 자체에서 생성되는 가상 충전 금액에서 결제 금액을 차감하는 제1 결제 방법과, 종래의 후불교통카드처럼 결제 금액을 누적처리하는 제2 결제 방법을 이용한다. 여기서, 가상 충전 금액은 선불교통카드에 저장된 잔액으로서, 이는 교통카드 서버(102)에 저장된 실제 사용 가능한 충전 금액과는 별개인 일종의 가짜 금액이다.
먼저, 제1 결제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선불교통카드(102)는 현재 카드 내에 저장된 잔액(즉, 가상 충전 금액)과 결제 금액을 비교하여, 가상 충전 금액이 결제금액보다 적으면, 가상 충전 금액을 다시 충전한다. 예를 들어, 선불교통카드(102)에 M원의 가상 충전 금액이 존재하고, 그 가상 충전 금액이 결제금액보다 작으면, 선불교통카드(102)는 가상 충전 금액(M원)을 가상 충전(예를 들어, A원 충전)한 후 결제금액을 차감한다. 반대로 가상 충전 금액 금액이 결제 금액보다 크면, 선불교통카드(102)는 별도의 가상 충전 없이 가상 충전 금액에서 결제 금액을 차감한다.
다음으로, 제2 결제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결제 금액이 기 설정된 1회 거래 결제한도금액보다 적으면, 선불교통카드(102)는 결제 금액을 누적한다. 결제한도금액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선불교통카드(102)는 거래 처리 결과를 카드(102) 내에 저장하고, 거래 처리 결과를 교통카드 처리부(600)로 전송한다(S645).
교통카드 처리부(600)는 선불교통카드(102)로부터 수신한 거래 내역을 SAM(610)에 전송한다(S650). SAM(610)은 거래 내역을 검증하고, 검증 성공시 SAM(610)에 기 저장된 거래 누적금액에 해당 거래 내역의 결제 금액을 합산 처리하여 저장한다(S655). 이때, SAM(610)은 해당 거내 내역을 증명할 수 있는 서명값을 생성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교통카드 처리부(600)는 SAM(610)으로부터 거래 내역 데이터를 서명값과 함께 수신한다(S660). 여기서 거래 내역 데이터는 결제금액, 카드 잔액, SAM의 누적 거래금액, 교통카드 사업자 구분코드, 거래시간, 교통카드 단말 식별자, 교통카드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교통카드 처리부(600)는 SAM(610)으로부터 수신한 거래 내역 데이터를 저장하고(S665), 거래 내역 데이터를 외부의 수집 정산 시스템 등에 전송한다(S67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를 이용한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카드사 서버는,
상기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상기 선불교통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하고, 상기 제1 금액의 정보를 포함하는 선불교통카드정보를 교통카드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불교통카드를 교통수단 단말에 접촉하여 사용한 일정 기간 동안의 이용금액에 대한 정산 요청을 상기 교통카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불교통카드에 대한 정산금을 상기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의 대금으로 고객에게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수단 단말은 교통카드가 접촉되면, 제1 프로토콜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교통카드와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교통카드를 상기 선불교통카드로 인식하고, 상기 제1 프로토콜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이 안되면 제2 프로토콜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교통카드와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교통카드를 후불교통카드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수단 단말은 상기 교통카드가 상기 선불교통카드로 인식되면,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리스트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순차적으로 상기 선불교통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상기 선불교통카드 내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의 비교 결과를 상기 선불교통카드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사업자를 파악한 후 교통카드 사업자별 구분되는 복수 개의 SAM 중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사업자에 해당하는 SAM을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교통카드는,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실 충전 금액과 무관하게 상기 선불교통카드 내에서 생성되는 가상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결제 금액을 차감하거나, 상기 결제 금액을 누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카드 서버의 충전 요청에 따라, 상기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로 제2 금액의 구매결제를 가승인하고, 상기 제2 금액의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상기 교통카드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카드 서버에 저장된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제1 잔액과, 상기 선불교통카드 내에 저장된 제2 잔액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교통카드 서버의 충전 요청의 수신은, 상기 제1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 보다 적으면 발생하고,
상기 선불교통카드 내 자동 충전은, 상기 제2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 또는 결제금액보다 적으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를 이용한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불교통카드는,
교통수단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교통수단 단말로부터 수신한 교통카드 사업자별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상기 선불교통카드 내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통수단 단말로부터 결제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불교통카드 내 가상 충전 금액을 자동 충전하여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거나, 상기 결제 금액이 기 설정된 1회 결제한도금액보다 작으면 상기 결제 금액을 누적하여 거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수단 단말은 교통카드가 접촉되면, 제1 프로토콜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교통카드와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교통카드를 상기 선불교통카드로 인식하고, 상기 제1 프로토콜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이 안되면 제2 프로토콜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교통카드와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교통카드를 후불교통카드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수단 단말은 상기 교통카드가 상기 선불교통카드로 인식되면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리스트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순차적으로 상기 선불교통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상기 선불교통카드 내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의 비교 결과를 상기 선불교통카드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사업자를 파악한 후 교통카드 사업자별 구분되는 복수 개의 SAM 중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사업자에 해당하는 SAM을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교통카드는, 상기 무선 통신의 연결시 사용되는 무선통신 프로토콜의 종류에 의해 결제 방식이 선불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내역을 전송받은 교통카드 서버의 정산 요청에 따라서 상기 선불교통카드를 충전한 금액을 상기 신용카드의 대금으로 고객에게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 선불교통카드가 내장된 신용카드를 이용한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교통카드 서버는,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제1 금액의 충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이용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카드사 서버에게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정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교통수단 단말은 교통카드가 접촉되면, 제1 프로토콜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교통카드와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교통카드를 상기 선불교통카드로 인식하고, 상기 제1 프로토콜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이 안되면 제2 프로토콜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교통카드와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교통카드를 후불교통카드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수단 단말은 상기 교통카드가 상기 선불교통카드로 인식되면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리스트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순차적으로 상기 선불교통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상기 선불교통카드 내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의 비교 결과를 상기 선불교통카드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사업자를 파악한 후 교통카드 사업자별 구분되는 복수 개의 SAM 중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사업자에 해당하는 SAM을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교통카드는,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실 충전 금액과 별개로 상기 선불교통카드에서 생성되는 가상 충전 금액에서 결제 금액을 차감하거나, 결제 금액을 누적하여 이용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카드 서버에 저장된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이 상기 이용 내역의 금액보다 크면,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에서 상기 이용내역의 금액을 차감하는 단계;
상기 교통카드 서버에 저장된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이 상기 이용 내역의 금액보다 적으면, 카드사 서버에게 충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요청에 따른 상기 선불교통카드의 제2 금액의 충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충전된 잔액에서 상기 이용 내역의 금액을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91186 | 2015-12-31 | ||
KR1020150191186 | 2015-12-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0382A KR20170080382A (ko) | 2017-07-10 |
KR101815049B1 true KR101815049B1 (ko) | 2018-01-30 |
Family
ID=5935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5972A KR101815049B1 (ko) | 2015-12-31 | 2016-01-18 |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504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4420B1 (ko) | 2018-05-04 | 2019-10-23 | 이호기술단(주) | 선불의 교통요금을 충전하는 임대기반의 교통카드 운영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4128B1 (ko) * | 2021-04-12 | 2022-12-02 | 주식회사 티머니 | 서버 계정의 선수금 기반 오프라인 실물카드 결제인증 방법 |
-
2016
- 2016-01-18 KR KR1020160005972A patent/KR10181504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4420B1 (ko) | 2018-05-04 | 2019-10-23 | 이호기술단(주) | 선불의 교통요금을 충전하는 임대기반의 교통카드 운영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0382A (ko) | 2017-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66060B1 (ko) | 광지불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결제시스템 | |
JP2002298047A (ja) | Rfic観光カードを用いた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ソースを格納した記録媒体 | |
KR101218693B1 (ko) |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815049B1 (ko) | 선불교통카드의 결제 방법 및 그 장치 | |
KR20030000447A (ko) | 결제 정보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버추얼카드 발급 방법 | |
KR20170006740A (ko) | 사용자 단말,중앙 서버 및 이들에 의한 요금 결제 방법 | |
KR101045241B1 (ko) | 신용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판매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
CN101859460A (zh) | 基于手机支付的现金代收费方法 | |
KR20190033373A (ko) | 자동 납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
KR101216666B1 (ko) | 선불카드의 자동충전 시스템 및 자동 충전 방법 | |
KR100474306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적외선 송수신 기능을 이용한 현금인출 방법 | |
KR100394527B1 (ko) | 부가가치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지불방법 | |
KR20080018580A (ko) | 전자카드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20140201014A1 (en) | Process for payment by cell phone to a merchant object of the invention | |
KR101852943B1 (ko) | 모바일카드를 이용한 실시간 환전서비스 장치 | |
KR20100003264A (ko) |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단말장치 | |
KR100811833B1 (ko) | 요금 충전 방법, 요금 충전 시스템, 서비스 이용 단말기 및충전/정산 센터 | |
KR100796972B1 (ko) | 전자지갑 위탁 관리 시스템 | |
KR100551559B1 (ko) | 교통 이용 요금 결제용 교통 상품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KR100564097B1 (ko) | 단말기에 장착되어 거래용으로 사용되는 통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거래방법 | |
KR101316687B1 (ko) | 카드를 포함한 자동 환전 시스템 및 환전 단말기 | |
KR101462197B1 (ko) | 결제 단말, 결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신용 카드 결제 방법 | |
KR20160126378A (ko) | 외국인 전용 선불카드 시스템 | |
KR20100003263A (ko) |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카드 | |
KR20020024096A (ko) | 전자화폐를 이용한 거래시스템 및 거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