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217A -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217A
KR20070103217A KR1020060035049A KR20060035049A KR20070103217A KR 20070103217 A KR20070103217 A KR 20070103217A KR 1020060035049 A KR1020060035049 A KR 1020060035049A KR 20060035049 A KR20060035049 A KR 20060035049A KR 20070103217 A KR20070103217 A KR 20070103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input
cover
digital doo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휘
Original Assignee
(주)이노티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티앤에스 filed Critical (주)이노티앤에스
Priority to KR102006003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3217A/ko
Publication of KR2007010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디지털 도어락이 개시된다.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입력부와, 제1 몸체부에 수용되며, 제1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도어락을 구동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1 기판부와, 제1 몸체부와 결합되는 제2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2 입력부와, 제2 몸체부에 수용되며, 제2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제1 기판부에 전송하는 제2 기판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은, 모듈화를 통하여 제1 입력부와 제2 입력부의 다양한 조합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다양한 종류의 설계를 용이하게 실현케 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 슬라이드커버, 외부전원 인터페이스, 모듈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제1 기판부와 제2 기판부의 신호 입출력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제1 입력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제1 입력부와 외부전원 인터페이스가 모두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제2 입력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디지털 도어락
210 : 본체부
220 : 제1 몸체부
230 : 키패드
260 : 제2 몸체부
340 : 외부전원 인터페이스
350 : 슬라이드 커버
415 : 탄성체
455 : 탄성체 이동홈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락에는 일반적으로 '키패드'와 같은 번호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번호판의 번호를 미리 설정된 번호와 일치되도록 차례로 눌러 출입문의 잠금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 하는 것으로, 열쇠를 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의 편리와 방범상의 신뢰가 기대되는 것이다. 또한 미리 설정된 번호인 비밀번호를 잊었거나 주 전원 공급 차단 등으로 인한 도어락의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열쇠를 삽입한 뒤 회전하는 형태의 기계식 락(lock)장치를 도어락에 병행하여 설치함으로써 비상시에 도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100)은 몸체부(110)와 커버(150a, 150b)로 구성되며, 몸체부(110)에는 번호판(130)과 기계식 락(lock)장치(160)가 상하부에 걸쳐 한몸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는 몸체부(110)를 덮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번호판과 기계식 락 장치가 한몸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번호판 또는 기계식 락 장치를 다른 종류의 락 장치로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디지털 도어락 전체를 다른 제품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입력수단이 모듈화되어 분리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 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입력수단의 조합의 설계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시에도 외부전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본체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몸체부와, 제1 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입력부와, 제1 몸체부에 수용되며, 제1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도어락을 구동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1 기판부와, 제1 몸체부와 결합되는 제2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2 입력부와, 제2 몸체부에 수용되며, 제2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제1 기판부에 전송하는 제2 기판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몸체부, 입력부, 기판부가 각각 모듈로 구분되어 있으며, 몸체부는 서로 기구적으로 결합되고 기판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 수신한다.
이와 같이 2개의 모듈로 구분된 디지털 도어락에서, 제1 입력부를 키패드로 할 경우, 제2 입력부는 전자테그(RFID), 자석키, i-버튼키, 세미컨덕트키 등 키패드에 대한 보조키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제2 기판부는 전술한 다양한 보조키에 대응하여 보조키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보조키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입력부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신호처리용 기판부는 모듈화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보조키로부터 입력받아 처리된 신호를 제2 기판부로부터 제1 기판부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제2 기판부에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단자가 형성되고 제1 기판부에는 제2 기판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기판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2 기판부를 다양한 보 조키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제2 기판부의 송신단자를 제1 기판부의 수신단자에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락의 입력수단을 용이하게 변경, 교체할 수 있다.
몸체부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기판부에 공급하기 위한 외부전원 인터페이스가 형성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 상황의 경우에는, 보조키로서 기계식 키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도어락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건전지 등의 전원을 비상수단으로 사용하여 도어락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에 결합되어 제1 입력부 또는 제2 입력부를 커버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여, 슬라이드 커버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제1 입력부를 커버할 때에는 제2 입력부가 노출되며, 슬라이드 커버를 타측으로 이동시켜 제2 입력부를 커버할 때에는 제1 입력부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커버의 길이는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길이의 합과 같거나 커 커버를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를 모두 가리도록 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커버의 길이를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길이의 합보다 짧게 하여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하여 사용하지 않는 입력부를 차폐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입력부를 노출시킴으로써, 도어락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을 포함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제1 기판부와 제2 기판부의 신호 입출력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200), 본체부(210), 제1 덮개부(213), 제2 덮개부(216), 제1 몸체부(220), 제1 신호입력부(222), 제1 신호전달부(224), 키패드(230), 제1 개방홈(235), 외부전원 인터페이스(240), 외부전원 인터페이스 개방홈(245), 제2 몸체부(260), 제2 신호입력부(262), 제2 신호전달부(264), 제2 개방홈(265), 제2 입력부(27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200)은, 제1 덮개부(213), 제1 몸체부(220), 제2 몸체부(260) 및 제2 덮개부(216)을 포함하는 본체부(21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는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간의 결합을 통해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1 덮개부의 단부 또는 중앙부에 나사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덮개부에는 제1덮개부의 나사결합 홈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덮개부의 단부 또는 중앙부에 나사결합 홈이 형성된 도어락을 제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나사결합 홈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의 결합을 위한 수단으로 나사결합을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결합수단을 통하여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제1 덮개부에는 제1 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입력부, 제2 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2 입력부 또는 외부전원 인터페이스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홈(235, 245, 26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덮개부와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개방홈(235. 245. 265)들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1 입력부(230), 제2 입력부(270) 또는 외부전원 인터페이스(240)에 접근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몸체부(220)는 본체부(210)의 상측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입력부인 키패드(230)와 외부전원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하는 제 1기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230)는 제1 몸체부(22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버튼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신호가 발생하여 입력되며 상기 신호는 변환되어 별도로 형성된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신호케이블 등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0~9, # 및 * 표시가 형성된 번호판을 제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알파벳, 한글, 일본어 및 기타 문자 등이 형성된 문자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입력부에 키패드(230)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전자테그(RFID) 방식, 세미컨덕트키 방식, 자석키, i-버튼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몸체부(260)는 본체부(210)의 하측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제2 몸체부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2 기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부는 필요에 따라 전자테그(RFID) 방식, 세미컨덕트키 방식, 자석키 방식 가운데 어느 한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공지의 자물쇠 방식 가운데 어느 한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220)가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에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제1 몸체부(22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전원 인터페이스(240)는 제1 몸체부(220)에 포함되고, 상기 키패드(230)의 아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몸체부(220)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전원 인터페이스(240)는 제2 몸체부(26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역시 상기 제2 몸체부(260)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 인터페이스(240)는 소형 배터리 등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양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소형 배터리 등의 양극을 상기 외부전원 인터페이스(240)의 양극 단자에 각각 접지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락(200)에 외부전원이 공급되며, 주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디지털 도어락(200)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몸체부를 상부에, 제2 몸체부를 하부에 위치시키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시하였으나, 상기 입력수단들의 위치가 필요에 따라 서로 바뀔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300)은 양 측면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315)를 포함하는 본체부(310);와 양측 내부에 상기 오목부(315)에 대응하는 볼록부(355)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커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355)가 상기 오목부(31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커버(350)는 상기 본체부(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 등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커버(350)는 상기 본체부(310)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310)에 오목부(315)가 포함되고, 상기 슬라이드커버(350)에 볼록부(355)가 형성된 디지털 도어락(300)을 제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본체부에 볼록부가 포함되고 그에 따라 슬라이드 커버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본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 오목부(315)의 상부에는 슬라이드 커버(350)가 상기 본체(310)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한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오목부(215)의 하부에도 제한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커버(350)가 본체(310)로부터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커버(35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입력부를 커버할 때에는 상기 제2 입력부가 노출되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350)를 타측으 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입력부를 커버할 때에는 상기 제1 입력부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길이는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길이의 합과 같거나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길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커버(350)는 외력, 외부로부터의 오염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350)를 통하여, 상기 본체부(310)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350)에의 디자인, 도안화 등을 통하여 디지털 도어락(300)의 미감을 증대시켜 수요자의 구매의욕을 상승시킬 수도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커버(450) 방향 면에 탄성체(415)를 포함하는 본체부(410);와 본체부(410) 방향의 면에 탄성체 이동홈(455)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 이동홈(455)은 탄성체 결합홈(453, 456, 459)들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커버(450)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400)이 제공된다.
상기 탄성체(455), 상기 탄성체 이동홈(455) 및 탄성체 결합홈(453, 456, 459)을 제외하면, 도 4a 및 도 4b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탄성체(455)와 상기 결합수단(415)의 구조 및 결합관계 등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이 외의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455)는 상기 본체부(410)의 슬라이드 커버(450) 방향의 면에 형 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450)에는 상기 탄성체(455)에 대응하는 탄성체 결합홈을 포함하는 탄성체 이동홈(455)이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슬라이딩 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455)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400)은 상기 커버(450)가 상기 본체부(410)를 따라 슬라이딩함에 있어서, 탄성체 결합홈이 아닌 곳에서는 탄성체(415)가 압축되어 있다가, 탄성체 결합홈(453, 456, 459)에서는 탄성체(415)가 팽창하여 상기 탄성체 결합홈에 삽입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이 결과 다양한 지점에서 슬라이드 커버가 정지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 커버(450)를 다단계로 개폐할 수 있다.
도 6a는 본체에서 제1 입력부인 키패드(330)가 드러나도록 슬라이드 커버(450)가 슬라이딩된 디지털 도어락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6b는 본체에서 외부전원 인터페이스(340)가 드러나도록 슬라이딩된 디지털 도어락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6c는 본체에서 제2 입력부가 드러나도록 슬라이드 커버가 슬라이딩된 디지털 도어락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입력수단이 회로적으로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으로도 분리가 가능하므로,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도록 디지털 도어락의 설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수요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식의 입력수단을 갖춘 디지털 도어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업자 역시 수요자의 요구에 적합한 디지털 도어락을 용이하게 설계, 제작하여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입력수단에 있어 치수를 표준화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방식의 입력수단을 지원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생산, 공급을 촉진시킬 수 있는 이점 또한 있다. 또한, 외부전원 인테페이스부를 포함함으로써 주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시에도 외부전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디지털 도어락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Claims (5)

  1.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입력부와;
    상기 제1 몸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도어락을 구동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1 기판부와;
    상기 제1 몸체부와 결합되는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2 입력부와;
    상기 제2 몸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1 기판부에 전송하는 제2 기판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입력부는 전자테그(RFID), 자석키, i-버튼키, 세미컨덕트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부는 상기 제2 입력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부에는 처리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부에는 상기 송신단자와 결합되는 수신단자가 형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또는 상기 제2 몸체부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제1 기판부 또는 상기 제2 기판부에 공급하기 위한 외부전원 인터페이스가 형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입력부 또는 상기 제2 입력부를 커버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 커버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입력부를 커버할 때에는 상기 제2 입력부가 노출되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를 타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입력부를 커버할 때에는 상기 제1 입력부가 노출되는 디지털 도어락
KR1020060035049A 2006-04-18 2006-04-18 디지털 도어락 KR20070103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049A KR20070103217A (ko) 2006-04-18 2006-04-18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049A KR20070103217A (ko) 2006-04-18 2006-04-18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217A true KR20070103217A (ko) 2007-10-23

Family

ID=3881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049A KR20070103217A (ko) 2006-04-18 2006-04-18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32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89B1 (ko) * 2007-11-26 2009-10-0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
KR101292848B1 (ko) * 2013-01-18 2013-08-02 장근대 전자식 잠금장치
KR20220001531U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디프로매트 디자인 패널을 포함하는 금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89B1 (ko) * 2007-11-26 2009-10-0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
KR101292848B1 (ko) * 2013-01-18 2013-08-02 장근대 전자식 잠금장치
KR20220001531U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디프로매트 디자인 패널을 포함하는 금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34484A1 (en) Privacy keypad
US6529145B1 (en) Keyboard with interchangeable connection function and hot keys
KR850007117A (ko) 데이터 처리 수단과 상호동작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전자 기계식 전환 평 키이
KR20040070062A (ko) 도어 록 장치
US6975508B2 (en) Modular electrical device combination
EP1360446B1 (en) Domestic appliance
US9745778B1 (en) Keyless entry handle and compressible spacer therefor
WO2003061249B1 (en) Double-sided keyboard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WO2003096160A3 (en) Keypads with multi-function keys
CN114514591A (zh) 带有按钮板的安全开关
KR20070103217A (ko) 디지털 도어락
US6211475B1 (en) Keyboard with key lock function
ATE414963T1 (de) Biometrisches sicherheitssystem
KR101796614B1 (ko) 차량용 포브 키
CN101238377B (zh) 电度表的功能单元
US7160043B2 (en) Keyboard having lighting device
JP4388666B2 (ja) 自動販売機用リモコンキーボード
KR20180019944A (ko)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JP2006066964A (ja) 携帯情報端末
KR200322183Y1 (ko) 핀패드모듈의 3중보호장치
WO2023100456A1 (ja) 電子キー操作装置
JP6688579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スイッチ装置及び収納装置
JP2006510245A (ja) 特に移動電話のための入力装置、入力装置を備えたモジュール、移動電話及びこれらを製造する方法
KR200373352Y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전자식 도어록장치
JP6691204B2 (ja) 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