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604A - 자동차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브레이크 작동 유닛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브레이크 작동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604A
KR20070102604A KR1020077020411A KR20077020411A KR20070102604A KR 20070102604 A KR20070102604 A KR 20070102604A KR 1020077020411 A KR1020077020411 A KR 1020077020411A KR 20077020411 A KR20077020411 A KR 20077020411A KR 20070102604 A KR20070102604 A KR 2007010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brake pedal
booster
brake boo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르겐 숀라우
만프레트 뤼퍼
홀거 크란리히
토르슈텐 크바이서
하인 홀거 폰
볼프강 리터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5052310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5052310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5059746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5059746A1/d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07010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77Systems in which the booster is used as an auxiliary pressure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18Connection thereof to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바이-와이어' 방식의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 작동 유닛은
a) 브레이크 페달 및 전자적 제어 유닛에 의해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반응하여 작동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및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의 힘-전달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제공된 수단,
b)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하류측에 연결된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c) 운전자의 감속 요청을 감지하는 수단, 및
d)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호작용하여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작용하는 재설정 힘을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과 무관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의 힘-전달 연결이 연결해제될 때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를 벗어나면 불능화될 수 있는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며,
e)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사이에 기계적 연결부가 제공되어,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에 의해 발생한 인장력이 상기 브레이크 페달로 전달되고, 상기 기계적 연결부는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어 밸브를 작동시키는 작동 로드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부분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제 1 부 분은 상기 제어 밸브의 밸브 피스톤에 연결되고, 제 2 부분은 힘-전달 연결부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부분에 신축자재식으로 안내된다.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동시적인 유지보수 작업 시에 시뮬레이터의 비활성화가 시험될 때 야기되는 부상의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두 부분 (8, 9) 사이에 탄성 요소 (11) 를 끼워넣음으로써, 그 탄성 요소 (11) 가 운전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브레이크, 제동 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브레이크 작동 유닛{BRAKE ACTUATING UNIT FOR ACTUATING AN AUTOMOTIVE BRAKING SYSTEM}
본 발명은 '브레이크-바이-와이어' 방식의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 작동 유닛은
a) 브레이크 페달 및 전자적 제어 유닛에 의해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반응하여 작동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및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의 힘-전달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제공된 수단,
b)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하류측에 연결된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c) 운전자의 감속 요청을 감지하는 수단, 및
d)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호작용하여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작용하는 재설정 힘을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과 무관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의 힘-전달 연결이 연결해제될 때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를 벗어나면 불능화될 수 있는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며,
e)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사이에 기계적 연결부가 제 공되어,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에 의해 발생한 인장력이 상기 브레이크 페달로 전달되고, 상기 기계적 연결부는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어 밸브를 작동시키는 작동 로드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부분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제 1 부분은 상기 제어 밸브의 밸브 피스톤에 연결되고, 제 2 부분은 힘-전달 연결부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부분에 신축자재식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종류의 작동 유닛은 DE 10 2004 011 622 A1 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경우에는, 특히 차량이 정지상태로 있는 동안 자기 시험 (self test) 및 시스템 캘리브레이션할 때,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으면서 휠 브레이크 압력을 적극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예로, 브레이크 시스템이 활성화 (예컨대, 중앙 잠금 시스템의 원격 제어 또는 도어 접촉에 의한 웨이크업) 되었을 때, 또는 착화가 오프상태로 된 후 클리닝 및 캘리브레이션 과정이 실행될 때의 구동 시작 전에 행해지는 소위 운전전 체크 (pre-drive check) 라는 것이 있다.
예컨대, 시뮬레이터의 비활성화를 체크하기 위하여 페달을 통하지 않고 정지상태에서 적극적으로 압력을 높이는 것은,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동시적인 유지보수 작업이 실시되는 경우에 잠재적 위험성 (압착 (squeezed) 될 위험성) 을 내포한다. 비록 법적인 측면에서 (제품의 신뢰성), 예컨대 차량의 핸드북 및 작업 지시와 같은 경고를 제공하지만, 적어도 작업장의 사람이 심각한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지능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상의 위험성을 제거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류의 작동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상기 두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요소에 의해 해결되며, 상기 탄성 요소는 운전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시에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가압된다.
본 발명의 사상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경우, 탄성 요소는 상기 제 1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둘러싸는 압축 스프링이다.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바람직한 양태의 경우, 상기 제 2 부분은 정지부를 포함하는데, 이 정지부는 상기 압축 스프링이 가압된 후에 상기 제 1 부분에 의해 상기 제 2 부분을 동반이동시킨다.
청구항 4 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경우,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에 신축자재식으로 안내되며, 상기 탄성 요소는 상기 두 부분 사이에 제공된 잠금 기구의 2개 이상의 탄성적 (resiliently) 으로 편위된 잠금 요소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요소는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경우, 미리규정된 힘이 초과되어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때, 상기 두 부분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경우,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먼 쪽의 상기 제 2 부분의 단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경우, 상기 잠금 요소는 상기 잠금 기구의 잠금해제를 위하여 상기 제 1 부분에 배치된 경사부와 상호작용한다.
낮은 제작비용 및 매우 신뢰성있는 작동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경우, 탄성적으로 예비하중이 가해진 상기 잠금 요소 (130) 는 볼 (ball)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규정된 작동 거리에 더 낮아진 차량 감속을 할당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수단이 제공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의 경우, 안전에 위협이 되는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시뮬레이터는 단시간 동안 비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 특징 및 장점을 이하의 설명 및 두 실시예에 관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작동 유닛의 제 1 디자인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가 유압식 수단에 의해 가능 (enabled) 또는 불능화 (disabled) 된다.
도 2 의 a 및 b, 도 3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동 유닛의 정량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도 1 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작동 유닛의 제 2 디자인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동 유닛의 정량적 특성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그래프이다.
본원의 도입부에서 언급한 '브레이크-바이-와이어' 방식의 자동차 제동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브레이크 작동 유닛은 DE 10 2004 01 622 A1 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는 브레이크 부스터, 바람직하게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 제어 밸브 (2) 가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제어 밸브는 브레이크 페달 (3) 을 조작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거나 전자석 (10) 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뜻과 무관하게 작동될 수 있다.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이동가능한 벽의 이동은 이동 센서 (BWS) 에 의해 감지되며, 운전자의 감속 요구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서 장치 (PAS) 가 이용된다. 상기 이동 센서 및 센서 장치는 모두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첨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특히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브레이크 페달 (3) 과 상호작용하여 운전자에게 브레이크 페달의 느낌을 전달하는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 (4) 는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 (4) 를 불능화시키는 전기유압식 불능화 장치 (5) 와 상호작용하며, 상기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 (4) 는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와 무관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 (4) 는 브레이크 페달 (3) 과 브레이크 부스터 (1) 사이의 힘의 플럭스 (flux) 와 무관하다.
브레이크 페달 (3) 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 (7) 는 브레이크 페달 (3) 에서 도입된 작동 힘을 제어 밸브 (2) 의 제어 피스톤 (6) 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피스톤 로드 (7) 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밸브 피스톤 (6) 에 연결된 제 1 부분 (8) 과 브레이크 페달 (3) 에 연결된 제 2 부분 (9) 을 포함한다. 상기 두 부분 (8, 9) 사이에는 축방향 슬롯 (a) 이 제공되는데, 이 슬롯은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브레이크 페달 (3) 과 브레이크 부스터 (1) 사이의 힘-전달 연결의 해제를 확실하게 해준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브레이크 페달 (3) 과 관련된 제 1 부분 (8) 의 일부에는 상기 제 2 부분 (9) 을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안내하는 계단형 보어 (13) 가 있다. 상기 두 부분 (8, 9) 사이에는 탄성 요소 (11) 가 개입되는데, 이 탄성 요소는 상기 두 부분 (8, 9) 의 상대적 이동으로, 또는 도면 상에서 상기 제 1 부분 (8) 이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압축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탄성 요소 (11) 는 상기 제 2 부분 (9) 을 반경방향으로 둘러싸는 압축 스프링 (12) 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불능화 장치 (5) 는 본질적으로 피스톤-실린더 조립체 (51) 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립체의 피스톤 (52) 은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 (4) 에 힘 전달 연결부로 제공되며 압력 챔버 (57) 를 제한하며, 이 압력 챔버는 유압식 연결부 (53) 에 의해 유압식 저압 어큐물레이터 (54) 와 소통한다. 유압식 연결부 안으로 전자기식 작동 밸브 (55) 가 장착되며, 이 밸브는 상기 연결부를 폐쇄한다. 센서 장치 (미도시) 가 피스톤 (52) 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감지는 밸브 (55) 가 압력 챔버 (57) 와 저압 어큐물레이터 (54) 사이의 유압식 연결부를 개방하였을 때에만 가능하다.
전술한 전자석 (10) 은 유압 피스톤 (52) 의 가동성 또는 차단 밸브 (55) 의 기능을 시험할 때 구동된다. 그 결과, 피스톤 로드 (7) 의 제 1 부분 (8) 을 포함하는 제어 조립체는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데, 이 때 제 1 부분 (8) 은 정지부 (13) 를 통해 소정의 이동 (b) 을 한 후에 제 2 후방부 (9) 및 브레이크 페달 (3) 을 동반이동시킨다. 이동 센서 (BWS) 의 신호는 센서 장치 (PAS) 의 신호와 비교된다. 도 2 의 a 및 b 에는 페일-프리 기능 (fail-free function) 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2 의 a 에는 BWS 및 PAS 의 출력 신호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의 b 에는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미도시,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하류측에 연결됨) 안으로 도입되는 유압 (P(THZ)) 및 이동 거리 (s) 에 대한 브레이크 페달 (3) 에 작용하는 작동힘 (FBet) 의 의존성이 도시되어 있다. BWS 의 전압 및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 또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출력은 시험 작동의 초기에 증가한다. 소정의 이동 후에 신호 (PAS) 가 설정되는데, 이때 브레이크 페달 (3) 은 매우 적은 힘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불능화 장치 (5) 를 시험하는 동안 고장 (피스톤 (52) 의 잼 (jam), 밸브 (55) 의 막힘, 브레이크 페달 (3) 의 잠김 등) 이 발생하면, 전자석 (10) 이 작동될 때 예비하중이 가해진 (preloaded) 압축 스프링 (12) 이 압축된다. 이에 대응하는 특성 곡선이 도 3 의 a 및 b 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브레이크 페달 (3) 과 관련된 제 2 부분 (90) 은 보어 (130) 를 포함하며, 보어는 제 1 부분 (80) 을 부 분적으로 수용하여 안내한다. 잠금 기구 (110) 는 브레이크 페달 (3) 로부터 먼 쪽의 제 2 부분 (90) 의 단부에 배치되는데, 이 기구는 제 2 부분 (90) 에 대한 제 1 부분 (80) 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 예에 도시된 상기 잠금 기구는 2개 이상의 오프셋 잠금 요소 (130) 및 제 1 부분 (80) 에 제공된 경사부 (140) 로 구성되는데, 상기 잠금요소는 제 2 부분 (90) 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미도시) 에 의해 편위되는 볼 (ball) 로 구성된다.
유압식 피스톤 (52, 60) 의 이동성 및 차단 밸브 (55) 의 기능은, 각 브레이크의 작동이나 규정된 브레이크의 작동시에만 또는 차량이 운행되기 전에 각각 시험된다. 이렇게 되면,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제어 밸브 (6) 가 전술한 전자석 (10) 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 로드 (7) 의 제 1 부분 (80) 이 먼저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제 1 부분 (80) 이 이동 (b) 을 완료한 후에, 잠금 기구 (110) 는 제 2 부분 (90) 및 브레이크 페달 (3) 을 동반이동시킨다. 작동 방향과 반대로 브레이크 페달 (3) 에 작용하는 힘을 약간 증가시키면, 제 1 부분 (80) 이 제 2 부분 (90) 으로부터 연결해제되어, 함께 이동하는 브레이크 페달 (3) 에 의해 압착되는 (squeezed) 위험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동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소망하는 부분 제동 또는 비상 정지시에, 즉 시스템에 공기 또는 유압 시스템에 기타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안전 거리 (b) 는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가동 벽이 소정의 거리를 넘어 전진 이동하는 데에는 이용되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 브레이크 페달 (3) 의 해제시에도 페달은 현 위치를 유지할 것이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 (3) 을 해제함으로써 운전자의 요구를 전달하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하다. 즉, 브레이크가 현 위치에서 해제될 수 없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 (PAS) 는 브레이크 페달의 재설정 이동을 감지하지 못하여 차량이 제동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이다. 브레이크 페달 (3) 에서 운전자가 발을 빼더라도, 브레이크 페달 (3) 은 브레이크 부스터 (1) 에 의해 현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 (3) 은 자동으로 복귀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도 3 의 a 및 b 와 관련하여, 가능성 요청 (plausibility query) 은 운전자의 요청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 (PAS) 및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이동성 벽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센서 (BWS) 의 신호에 기초하여 실시된다. 가능성 요청에 있어서 관련된 값이 서로 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거나 규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소프트웨어 기반의 기술적 조치가 취해지는데, 그 효과는 브레이크 페달 (3) 의 이동 거리 (s) 에 따른 차량 감속 (V) 을 나타내는 도 5a 에 설명되어 있다. V1 은 페일-프리 시스템 (fail-free system) 의 특성을 나타내며, V2 는 전술한 고장 중 하나가 발생한 시스템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5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절한 소프트웨어 수단은 특성이 '확장' 되도록, 즉 더 이상 브레이크 페달의 이동 거리 (s) 가 동일한 감속 값과 관련되지 않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불완전한 시스템 (defective system) 은, 예컨대 40 % 의 감속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약 55 mm 의 페달 이동 거리 (s) 를 요구하는데, 본래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경우에는 약 25 mm 의 페달 이동 거리 (s) 면 충분하다. 이 러한 조치는 특히 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 에러 (safety-uncritical error) 가 발생하였을 때 적용될 수 있다.
시스템에 안전에 위협이 되는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 (4) 는 단시간 동안 불능화되거나 상기 밸브 (55) 가 개방되어, 강제로 작동 힘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브레이크 페달 (3) 을 더 길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b 는 시스템의 성능을 설명하고 있다. F1 은 페일-프리 시스템의 특성이며, F2 는 상기 고장 중 하나가 발생한 시스템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가시적 또는 음향적 경고 신호를 발생시켜 브레이크의 기능이 보통의 상태가 아니라는, 즉 시스템에 공기가 있거나 누출이 발생하는 상황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Claims (12)

  1. '브레이크-바이-와이어' 방식의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작동 유닛은
    a) 브레이크 페달 및 전자적 제어 유닛에 의해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반응하여 작동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및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의 힘-전달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제공된 수단,
    b)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하류측에 연결된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c) 운전자의 감속 요청을 감지하는 수단, 및
    d)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호작용하여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작용하는 재설정 힘을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과 무관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의 힘-전달 연결이 연결해제될 때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를 벗어나면 불능화될 수 있는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며,
    e)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사이에 기계적 연결부가 제공되어,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에 의해 발생한 인장력이 상기 브레이크 페달로 전달되고, 상기 기계적 연결부는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어 밸브를 작동시키는 작동 로드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부분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제 1 부 분은 상기 제어 밸브의 밸브 피스톤에 연결되고, 제 2 부분은 힘-전달 연결부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부분에 신축자재식으로 안내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에 있어서,
    상기 두 부분 (8, 9) 사이에는 탄성 요소 (11) 가 제공되며, 이 탄성 요소는 운전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작동시에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 (11) 는 압축 스프링 (12) 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 (9) 은 상기 제 1 부분 (8) 에 신축자재식으로 안내되며, 상기 압축 스프링 (12) 은 상기 제 2 부분 (9) 를 반경방향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 (9) 은 정지부 (14) 를 포함하며, 이 정지부는 상기 압축 스프링 (12) 이 가압된 후에 상기 제 1 부분 (8) 에 의해 상기 제 2 부분 (9) 을 동반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80) 은 상기 제 2 부분 (90) 에 신축자재식으로 안내되며, 상기 탄성 요소는 상기 두 부분 (80, 90) 사이에 제공된 잠금 기구 (110) 의 2개 이상의 잠금 요소 (130) 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요소가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미리규정된 힘이 초과되어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작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때, 상기 두 부분 (80, 90) 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 (110) 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3) 로부터 먼 쪽의 상기 제 2 부분 (90) 의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 (110) 의 상기 잠금 요소 (130) 는 상기 제 1 부분 (80) 에 배치된 경사부 (140) 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 (130) 는 스프링에 의해 예비하중이 가해진 볼 (bal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규정된 차량 감속 (V) 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 (3) 의 더 길어진 이동 거리 (s) 를 할당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에 위협이 되는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 (4) 는 단시간 동안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가시적 또는 음향적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
KR1020077020411A 2005-02-08 2006-02-08 자동차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브레이크 작동 유닛 KR200701026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05628.8 2005-02-08
DE102005005628 2005-02-08
DE102005052310A DE102005052310A1 (de) 2004-11-03 2005-11-01 Bremsbetätigungseinheit SBA
DE102005052310.2 2005-11-01
DE102005059746.7 2005-12-14
DE102005059746A DE102005059746A1 (de) 2005-02-08 2005-12-14 Bremsbetätigungseinheit zur Betätigung einer Kraftfahrzeugbrems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604A true KR20070102604A (ko) 2007-10-18

Family

ID=3618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411A KR20070102604A (ko) 2005-02-08 2006-02-08 자동차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브레이크 작동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851096A1 (ko)
JP (1) JP2008535711A (ko)
KR (1) KR20070102604A (ko)
WO (1) WO20060848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878A (ko) 2013-09-17 2015-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윤활유 내장형 전자페달 및 이를 적용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9949A1 (de) 2006-02-23 2007-12-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raftfahrzeugbremsanlage
DE102007010513A1 (de) * 2006-05-19 2007-11-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etätigungseinheit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DE102007016754A1 (de) 2006-11-29 2008-08-2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r Funktionsfähigkeit einer Bremsbetätigungseinheit
EP2132067B1 (de) 2007-03-05 2012-03-0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etätigungseinheit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US8607660B2 (en) 2009-12-02 2013-12-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raking assembly
US8646357B2 (en) 2009-12-02 2014-0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raking assembly with gap management system
DE102010025252B4 (de) 2010-06-22 2013-01-24 Technische Universität Ilmenau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imulation der Pedalcharakteristik einer entkoppelten Kraftfahrzeugbremsanlage
US9248819B1 (en) 2014-10-28 2016-02-02 Nissan North America, Inc. Method of customizing vehicle control system
US9132839B1 (en) 2014-10-28 2015-09-15 Nissan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of adjust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 of vehicle control system
DE102016210617A1 (de) 2016-06-15 2017-12-21 Robert Bosch Gmbh 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omechanischen Bremskraftverstärk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21696B1 (de) * 2002-07-09 2006-12-2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y-wire-bremsbetaetigungsvorrichtung
DE10230865A1 (de) * 2002-07-09 2004-02-0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betätigung mit einem pneumatischen Verstärker und einem elektrisch angetriebenen Simulator
DE10358321B4 (de) * 2002-12-13 2020-08-27 Zf Active Safety Gmbh Hydraulische Pedalsimulationsvorrichtung
DE102004011622A1 (de) * 2003-08-06 2005-03-3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betätigungseinheit zur Betätigung einer Kraftfahrzeugbremsanl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878A (ko) 2013-09-17 2015-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윤활유 내장형 전자페달 및 이를 적용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84864A1 (de) 2006-08-17
JP2008535711A (ja) 2008-09-04
EP1851096A1 (de)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2604A (ko) 자동차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브레이크 작동 유닛
US9541102B2 (en) Actua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vehicle braking system
US5567021A (en) Power-assisted brake system
US8240780B1 (en) Hydraulic brake booster
US7861523B2 (en) Vehicular brake system
KR101278379B1 (ko)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제동 장치및 그 제어 방법
CN111615475B (zh) 车辆制动系统及自诊断试验
CN111512060A (zh) 具有多个压力源的制动系统
CN111565986B (zh) 进行诊断测试以确定制动系统内的泄漏的方法
US20080196983A1 (en) Brake Actuating Unit For Actuating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US7823984B2 (en) Master brake cylinder arrangement for a hydraulic motor vehicle brake system and motor vehicle brake system
EP0768224B1 (en) Actuation means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of a motor vehicle
US10814855B1 (en) Fluid reservoir level float mechanism and method of detecting proper operation thereof
JP4907338B2 (ja) 自動車用液圧式制動システム用の制動力発生器及び自動車用液圧式制動システム
US20130234502A1 (en)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s
JP2012526013A (ja) 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を作動するためのブレーキ作動ユニット
KR20070068369A (ko) 브레이크-바이-와이어식 브레이크 시스템
US8714662B2 (en) Hydraulic brake system
US11034339B2 (en) Method for diagnostics on a brak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braking system
CN101115647A (zh) 用于操作机动车制动系统的制动操作单元
KR102644365B1 (ko)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
JP2012522676A (ja) ブレーキバイワイヤ形式の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の作動用ブレーキ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US20040189087A1 (en) Vehicle hydraulic brake device
US20090312148A1 (en) Brake Force Generating Device for a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Vehicle Brak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Force Generating Device
US9016806B2 (en) Brake actuating unit for actuating a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of the “brake-by-wire” typ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by means of such a brake actuat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