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025A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025A
KR20070101025A KR1020060032277A KR20060032277A KR20070101025A KR 20070101025 A KR20070101025 A KR 20070101025A KR 1020060032277 A KR1020060032277 A KR 1020060032277A KR 20060032277 A KR20060032277 A KR 20060032277A KR 20070101025 A KR20070101025 A KR 20070101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unit cells
elastic member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5152B1 (ko
Inventor
전윤철
김태용
변상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152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단위 전지들에 작용하는 체결압을 균일하게 설정하고, 단위 전지들의 온도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단위 전지들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 전지들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전지 모듈, 엔드 플레이트, 탄성부재, 압축 스프링, 격벽

Description

전지 모듈{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전지들을 가압하는 구조를 개선한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하나의 셀로 이루어진 저용량 이차 전지의 경우,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복수개의 셀이 팩 형태로 연결된 대용량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 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직렬로 연결되어 대용량의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전지 모듈은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 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단위 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separator)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고 상기 전극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단자가 구비된 캡 조립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 전지는 통상 하우징 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각 단위 전지의 단자를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지 모듈은 안정성을 위해서 복수의 단위 전지들을 하나의 모듈로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단위 전지들의 최외측에는 엔드 플레이트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들이 복수 개의 막대 형태의 연결로드에 의해 단위 전지들과 어셈블리되어 단위 전지들을 지지한다.
여기서 연결로드가 엔드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방식은 연결로드의 일측에 형성된 플렌지부가 일측 엔드 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연결로드의 타측에 형성된 나사가공부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엔드 플레이트는 단위 전지들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엔드 플레이트의 가압력이 단위 전지에 균일하게 작용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단위 전지들이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엔드 플레이트가 최외측에 배치된 단위 전지에만 밀착되기 때문에 엔드 플레이트와 접하는 단위 전지에는 가압력이 크게 작용하나 상대적으로 단위 전지 그룹의 중앙 쪽에 위치한 단위 전지에는 엔트 플레이트의 가압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연결로드에 대한 너트의 체결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상기 중앙에 위치한 단위 전지에도 엔드 플레이트의 가압력이 충분히 미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엔드 플레이트에 큰 응력이 발생하여 엔드 플레이트가 변형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한편, 전지 모듈이 오랜 시간 사용될 경우, 단위 전지 내부가 부풀어오르는 스웰링 현상으로 인해 단위 전지의 부피팽창으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가 압박된다. 이러한 힘은 상기 단위 전지가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함에 따라 증가하는 바, 이 힘이 엔드 플레이트에 지속적으로 부가되면, 엔드 플레이트는 이 힘에 의해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에 상기한 연결로드 또는 이 연결로드에 고정된 너트도 엔드 플레이트와의 접촉 상태를 불안하게 하여 그 접촉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데, 이 응력은 상기한 엔드 플레이트, 연결로드 및 너트에 변형을 주거나 이들의 파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결로드 또는 엔드 플레이트를 두껍게 제작하면 전지 모듈의 전체적인 무게가 증가하여 전지모듈이 장착되는 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전기 자전거, 전기 스쿠터 등에 사용되는 모터 구동용 전지 모듈의 경우 상기 기기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지 모듈의 하중을 줄이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전지들은 통상적으로 전지 모듈을 구성할 때, 냉각 매체가 유통되는 하우징에 내장 설치되는데, 이때, 하우징의 내에 있어 단위 전지들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단위 전지들의 온도에 편차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
즉, 하우징의 구조와 이 하우징 내에 배치된 단위 전지들의 위치에 따라 냉각 매체가 단위 전지들에 불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는데, 냉각매체가 적게 유입되는 곳에 위치한 단위 전지들은 냉각매체가 적정하게 유입되는 곳에 위치된 단위 전지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분포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단위 전지의 온도분포가 불균일하게 되면, 온도가 높은 단위 전지는 이상 반응을 일으켜 출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단위 전지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전지 모듈에서 일부의 단위 전지는 수명이 충분히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의 단위 전지의 수명이 단축되어 전지 모듈의 전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 전지들을 지지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단위 전지들에 균일한 가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전지들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 개의 단위 전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전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 전지들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전지 사이에는 상기 단위 전지들을 이격시키는 격벽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에서 돌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격벽 사이에 설치되어 양측 단부가 상기 격벽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격벽과 상기 단위 전지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양측 단부가 상기 단위 전지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전지 모듈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위 전지들은 이격배열된 구조로 전지그룹을 형성하여, 냉각 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냉각 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전지그룹의 길이를 L1,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쪽에 위치한 상기전지그룹 의 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까지의 길이를 L2라 할 때, L2는
0.2×L1≤L2≤0.45×L1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전지그룹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전지그룹의 복수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은 모터 구동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복수 개의 단위 전지(11)와 상기 단위 전지들(11)의 사이에 배치되어 냉각 매체의 유동통로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격벽(12) 및 상기 단위 전지들(11)을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36)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 전지(11)로 각형의 단위 전지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전지 등 다양한 형상의 단위 전지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전지(11)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적층된 전극군(도시하지 않음)을 케이스(11a) 내에 구비하여, 설정된 양의 전기를 충전과 방전하는 구조의 이차전지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 전지(11) 사이에는 단위 전지(11)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단위 전지(11) 사이로 열전달 매체가 유통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12)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위 전지들(11)과 격벽들(12)은 번갈아 위치하면서 일렬로 배열된다.
상기 격벽(12)은 판부재(12a)와 상기 판부재(12a)에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12b)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들(12b)은 상기 판부재(12a) 상에 고르게 분포된다. 다만, 이러한 격벽(12)의 구조는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격벽(12)에 의한 냉각매체의 유통 공간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위 전지들(11)의 최외측에는 단위 전지들(11)을 밀착시켜 가압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36)가 설치는 바, 각 엔드 플레이트(36)에는 복수개의 관통 공(36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공(36a)에는 엔드 플레이트들(36)을 지지하는 연결부재(30)가 삽입 설치된다.
연결부재(30)는 막대부(32)와 상기 막대부(3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31)를 대향한 막대부(32)의 단부에는 너트(3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엔드 플레이트(36)의 관통공(36a)에 삽입된 후, 나사산(34)에 결합되는 너트(33)의 체결력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36)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조로 엔드 플레이트들(36)은 단위 전지들(11)을 가압하면서 고정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36)는 양측 가장자리에 절곡된 절곡 부(36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곡부(36b)는 엔드 플레이트(36)의 강성을 보강하여 엔드 플레이트(36)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하여 엔드 플레이트(36)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위 전지(11) 사이에는 상기 단위 전지들(11)을 지지하는 탄성부재(4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40)는 단위 전지들(11)을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전지 모듈(10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격벽(12)과 맞닿은 구조로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는 격벽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부재들(40)이 양측에 배치된 격벽(12)을 가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들(40)은 돌기(12b)가 형성되지 않은 판부재(12a)의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격벽(12)을 가압하는 바, 상기 돌기(12b)는 상기 탄성부재(40)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단위 전지(11)와 접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40)는 판부재(12a) 상에 돌기(12b)와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전지 모듈(100)이 완성된 이후 돌기(12b)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격벽들(12)은 탄성부재(40)를 기준으로 그 돌기(12b)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탄성부재(40)의 오른쪽에 배치된 격벽(12)은 돌기(12b)가 오른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탄성부재(40)의 왼쪽에 배치된 격벽(12)은 돌기(12b)가 왼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40)와 격벽(12)의 배치관계에 따라, 탄성부재들(40)이 격벽(12)을 매개로 상기 단위 전지 들(11)을 가압하여 단위 전지(11)에 적절한 가압력을 부가할 수 있다.
물론, 단위 전지(11)에 대한 가압력은 전지 모듈(100)을 구성할 때, 연결부재(30)에 대한 너트(33)의 체결력을 통해서도 상기 탄성부재(40)의 가압력과 함께 전체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엔드 플레이트(36)를 통해 단위 전지(11) 그룹의 양측에서 가압력이 단위 전지(11)에 부가되도록 하고, 탄성부재(40)를 통해 단위 전지(11) 그룹의 중앙부위에서 가압력이 단위 전지(11)에 부가되도록 함으로써, 단위 전지(11) 전체에 부가되는 가압력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전지 모듈(100)은 상기 단위 전지들(11)이 작동하면서 그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단위 전지(11)가 팽창하는 경우에, 탄성부재(40)가 수축하여 단위 전지(11)의 팽창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흡수시켜 엔드 플레이트(36)에 작용하는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엔드 플레이트(36)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200)은 복수개의 단위 전지(11')와 단위 전지(11')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 매체의 유통로를 형성하는 격벽(12')과 단위 전지들(11')의 최외측에 설치되어 단위 전지들(11')을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36'), 및 상기 엔드 플레이트들(36')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지 모듈(200)에는 전지 모듈(200)의 길이 방향(도면의 X축 방 향)으로 복수 개소에 탄성부재(43)가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부재들(43)은 단위 전지들(11')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전지 모듈(200) 내에서 상기 전지 모듈(200)의 길이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2 개소에 탄성부재(43)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탄성부재(43)는 2 개소 이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양측단이 모두 격벽과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43)의 일측 단부는 격벽(12'과 접하고 타측 단부는 단위 전지(11')와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도 3의 오른쪽 탄성부재), 탄성부재(43)의 양측 단부가 단위 전지(11')와 접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도 3의 왼쪽 탄성부재).
본 제2 실시예와 같이 전지 모듈(200) 내의 복수 개소에 탄성부재(43)가 설치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탄성부재(43)가 전지 모듈(200)에서 분산 배치되어 단위 전지들(11')을 가압할 수 있게 되므로 단위 전지들(11')을 더욱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소에 설치된 탄성부재(43)에 의하여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도 냉각 매체를 유통시켜 단위 전지들(11')을 냉각시킬 수 있어서, 단위 전지들(11')의 온도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43)가 일측 단부는 격벽(12')과 맞닿고 타측 단부는 단위 전지(11')와 맞닿는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양측 단부가 격벽(12')과 맞닿는 구조에 비하여 단위 전지(11')와 단위 전지(11') 사이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전지 모듈(200)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3)의 양측 단부가 단위 전지(11')와 직접 맞닿는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단위 전지들(11')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12')을 제거할 수 있어 전지 모듈(200)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격벽(12')을 개재하여 단위 전지(11')에 가압력을 부가하는 다른 탄성부재(43)에 비해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단위 전지(11')에 가압력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컴팩트한 전지 모듈(200) 구성에 이점을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300)은 복수 개의 단위 전지들(11'')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형성된 전지그룹(15)과 상기 전지그룹(15)이 내장되며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51)와 냉각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52)가 구비된 하우징(50)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 전지(11'') 사이에는 단위 전지들(11'')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냉각 매체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격벽(12'')이 설치된다.
하우징(50)의 유입구(51)로 유입된 냉각매체는 단위 전지(11'') 사이를 지나면서 단위 전지(11'')를 냉각시키고 하우징(50)의 배출구(52)로 배출된다.
한편, 단위 전지(11'') 사이에는 단위 전지들(11'')을 가압하는 탄성부재(45)가 설치되는데, 탄성부재(45)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45)는 전지그룹(15)에서 열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하우징(50) 내에 설치된 단위 전지들(11'')에 균일한 양의 냉각매체가 공급되어 상기 단위 전지들(11'')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우징(50)의 구조와 단위 전지(11'')의 배치에 따라 단위 전지(11'')의 온도가 불균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이 제3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50)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유입구(51)로 유입된 냉각 매체가 단위 전지(11'') 사이를 통과하여 타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배출구(52)로 배출되는 경우, 하우징(50)의 유입구(51)와 가깝게 배치된 단위 전지들(11'')의 온도가 높게 나타난다. 특히, 전지그룹(15) 전체의 길이에 대하여 유입구(51)측 전지그룹(15)의 단부에서부터 0.2 내지 0.45에 위치한 단위 전지(11'')가 높은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따라서 전지그룹(15)의 전체 길이를 L1이라 하고, 하우징(50)의 유입구(51)쪽에 위치한 전지그룹(15)의 단부에서부터 탄성부재(45)까지의 거리를 L2라 할 때, L2는 L1의 길이의 0.2배 내지 0.45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L2가 L1의 0.2보다 작으면 탄성부재(45)가 일측으로 치우쳐 전지그룹(15)에 배치된 단위 전지(11'')에 균일한 가압력을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단위 전지들(11'')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L2가 L1의 0.45보다 크면, 탄성부재(45)가 지나치게 뒤쪽에 설치되어 앞쪽에 배치된 단위 전지들(11'')을 충분히 냉각할 수 없어서 단위 전지들(11'')의 온도 편차를 해소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지 모듈(300)에서 단위 전지(11'')의 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부분에 탄성부재(45)가 설치되어 탄성부재(45)로 인하여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많은 양의 냉각 매체를 공급함으로써 단위 전지(11'')의 온도 편차를 일정한 수준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전지들에 균일한 가압력이 부여되어 단위 전지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전지 모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전지들의 온도 편차가 감소되어 전지 모듈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 개의 단위 전지들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 전지들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 사이에는 상기 단위 전지들을 이격시키는 격벽이 설치되는 전지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에서 돌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지 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격벽 사이에 설치되어 양측 단부가 상기 격벽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전지 모듈.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격벽과 상기 단위 전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전지 모 듈.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양측 단부가 상기 단위 전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전지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전지 모듈의 중앙에 설치되는 전지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들은 일렬로 배치되어 전지그룹을 형성하여, 냉각 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냉각 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에 내장되는 전지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그룹의 길이를 L1, 상기 전지그룹의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쪽 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까지의 길이를 L2라 할 때,
    0.2×L1≤L2≤0.45×L1
    인 전지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전지그룹에 복수 개소에 배치되는 전지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은 모터 구동용인 전지 모듈.
KR1020060032277A 2006-04-10 2006-04-10 전지 모듈 KR10080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277A KR100805152B1 (ko) 2006-04-10 2006-04-10 전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277A KR100805152B1 (ko) 2006-04-10 2006-04-10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025A true KR20070101025A (ko) 2007-10-16
KR100805152B1 KR100805152B1 (ko) 2008-02-21

Family

ID=3881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277A KR100805152B1 (ko) 2006-04-10 2006-04-10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152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52A3 (ko) * 2009-05-11 2011-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성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19237B1 (ko) * 2010-11-23 2013-01-0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모듈
KR20130100324A (ko) * 2010-10-04 2013-09-10 다나 캐나다 코포레이션 배터리를 위한 순응형 유체-냉각된 열교환기
US8734978B2 (en) 2009-11-05 2014-05-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9324982B2 (en) 2012-03-23 2016-04-2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455425B2 (en) 2010-11-05 2016-09-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EP3082176A1 (en) 2015-04-15 2016-10-19 SK Innovation Co., Ltd. Secondary battery pack with variable compression
WO2016186290A1 (ko) * 2015-05-18 2016-1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70039948A (ko) * 2015-10-02 2017-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70040930A (ko) * 2015-10-06 2017-04-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US20180145295A1 (en) * 2016-11-18 2018-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assembly and spacer
KR20190041727A (ko) * 2017-10-13 2019-04-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안전 장치를 구비한 전지 모듈
CN110071243A (zh) * 2019-04-28 2019-07-30 深圳市富程威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
US10522804B2 (en) 2014-10-07 2019-12-31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afety and operational lifespan
CN112542645A (zh) * 2019-09-20 2021-03-23 奥迪股份公司 具有压力限制装置的电池、功能装置和压力限制方法
CN113875076A (zh) * 2019-07-31 2021-12-3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缓冲构件以及蓄电模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824B1 (ko) * 2019-06-25 2022-11-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1329A (ja) * 1995-05-26 1996-12-03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2000048867A (ja) 1998-07-31 2000-02-18 Toyota Motor Corp 組電池
JP4253935B2 (ja) 1999-07-07 2009-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937B1 (ko) * 2009-05-11 2011-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성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0131852A3 (ko) * 2009-05-11 2011-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성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8846234B2 (en) 2009-05-11 2014-09-30 Lg Chem, Ltd. Battery cartridge having elastic pres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containing the same
US8734978B2 (en) 2009-11-05 2014-05-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130100324A (ko) * 2010-10-04 2013-09-10 다나 캐나다 코포레이션 배터리를 위한 순응형 유체-냉각된 열교환기
KR20130122741A (ko) * 2010-10-04 2013-11-08 다나 캐나다 코포레이션 배터리를 위한 순응형 유체-냉각된 열교환기
US9455425B2 (en) 2010-11-05 2016-09-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761849B2 (en) 2010-11-23 2017-09-1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101219237B1 (ko) * 2010-11-23 2013-01-0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모듈
US9324982B2 (en) 2012-03-23 2016-04-2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0522804B2 (en) 2014-10-07 2019-12-31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afety and operational lifespan
EP3082176A1 (en) 2015-04-15 2016-10-19 SK Innovation Co., Ltd. Secondary battery pack with variable compression
KR20160123091A (ko) 2015-04-15 2016-10-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US10199676B2 (en) 2015-04-15 2019-02-05 Sk Innovation Co., Ltd. Secondary battery pack comprising movable wall and elastic member
US10205143B2 (en) 2015-05-18 2019-02-12 Lg Chem, Ltd. Battery pack
WO2016186290A1 (ko) * 2015-05-18 2016-1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70039948A (ko) * 2015-10-02 2017-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70040930A (ko) * 2015-10-06 2017-04-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US20180145295A1 (en) * 2016-11-18 2018-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assembly and spacer
CN108075071A (zh) * 2016-11-18 2018-05-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电池组件和间隔件
KR20190041727A (ko) * 2017-10-13 2019-04-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안전 장치를 구비한 전지 모듈
KR20220132503A (ko) * 2017-10-13 2022-09-30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안전 장치를 구비한 전지 모듈
CN110071243A (zh) * 2019-04-28 2019-07-30 深圳市富程威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
CN113875076A (zh) * 2019-07-31 2021-12-3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缓冲构件以及蓄电模块
CN112542645A (zh) * 2019-09-20 2021-03-23 奥迪股份公司 具有压力限制装置的电池、功能装置和压力限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152B1 (ko)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152B1 (ko) 전지 모듈
KR10094933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70926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090717B1 (ko) 배터리 팩
KR101814735B1 (ko) 배터리 모듈
JP4726691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5779793B2 (ja) 優れた放熱能力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使用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919390B1 (ko) 수직 적층 구조의 중대형 전지모듈
KR101181849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격벽
KR10066933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96669B1 (ko) 이차 전지 모듈
US9356268B2 (en) Battery module
CN110959203A (zh) 电池组及其制造方法
KR101256058B1 (ko) 이차 전지 모듈
CN103378319A (zh) 电池模块
KR101806415B1 (ko) 냉각효율이 향상된 이차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전지
US20120121950A1 (en) Battery module
KR100709262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86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70926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27395B1 (ko)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KR100728216B1 (ko) 이차 전지 모듈
CN114097134A (zh) 储能装置和交通工具
KR100805153B1 (ko) 전지 모듈
JPH10188927A (ja) 集合電池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