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816A -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 Google Patents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816A
KR20070099816A KR1020060031040A KR20060031040A KR20070099816A KR 20070099816 A KR20070099816 A KR 20070099816A KR 1020060031040 A KR1020060031040 A KR 1020060031040A KR 20060031040 A KR20060031040 A KR 20060031040A KR 20070099816 A KR20070099816 A KR 20070099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edication
drug
name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170B1 (ko
Inventor
임종섭
Original Assignee
임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섭 filed Critical 임종섭
Priority to KR1020060031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170B1/ko
Publication of KR20070099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5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for dispensing of multiple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63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for multiple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투약시간을 알려주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또는 의사에 의해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시간별 및 요일별로 환자가 복용할 약의 종류와 투약시간을 알리는 휴대가능한 투약알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이 제공되고,
환자 또는 의사에 의해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시간별 및 요일별로 환자가 복용할 약의 종류와 투약시간을 알리고, 상기 약물복용결과를 저장한 후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약물서버로 전송하는 휴대가능한 투약알람장치 및 상기 투약알람장치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거나 상기 환자의 병명과 병명에 따른 약물복용결과를 수신받아 환자를 관리하는 약물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이 제공된다.
약물투약, 약, 알림장치, 투약, 복용

Description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DrugAdministration inform system }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약물상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약알람장치의 외부 형태 중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약알람장치의 세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서버의 세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약물상자 본체 22 : 약물상자 덮개
32 : 약물 입출구 34 : 약물 입출구 이동부
36 : 칸막이 덮개 52 : 알람 전자시계
200 : 투약알람장치 210 : 제어부
220 : 메모리 230 : 전원부
240 : 통신인터페이스 250 : 음성출력부
260 : 알람부 270 : 구동부
280 : 입력부 290 : 출력부
300 : 약물서버 310 : 제어부
320 : 통신인터페이스 330 : 전원부
340 : 관리부 350 : 환자D/B
360 : 처방D/B
본 발명은 약물투약시간을 알려주는 약물투약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를 위하여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 시간을 요일별 및 시간별로 알려주어 환자가 정확한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의사 또는 약사가 상기 환자의 약물복용결과를 수신받아 환자를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랫동안 약을 투여받는 사람의 경우 종이봉투를 이용하는 데 이 봉투에 먹을 약이라는 기록을 하지 않아 약물 복용 시간을 놓치기 쉽다. 또한 활동적인 사람이나 여행자가 약물을 포켓에 넣어 이동하는 경우 봉투가 손상되어 약 봉투 밖으로 섞이거나 포켓 속의 더러운 물질에 오염되어 위생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고, 장기 투약 환자들이 제시간에 투약시간을 맞추지 못하고 복용을 건너뛰거나 빼먹어서 병의 진행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77047호(발명의 명칭 : 약물투약에 관한 확인 및 시간을 알려주는 약물상자)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약물상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술의 약물상자는 약물 입출구 이동부(34)를 손가락으로 밀어 약물칸에 약물 입출구(32)를 일치시키면 약물을 집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약물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고 포켓 속의 먼지에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약물상자 덮개(22)를 본체(12) 위로 덮고 본체(12)의 외벽 측면에 투약시간을 맞춰 알람을 울려주는 알람 전자시계(52)가 부착되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단순히 알람 전자시계로 투약시간만을 알려주었기 때문에 환자가 다른 업무로 알람 소리를 인식하지 못해 제시간에 투약하지 못하거나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등을 제대로 알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의사 또는 약사의 입장에서는 상기 환자가 병명에 따른 투약을 투약시간에 맞춰 정확하게 투약하였는지를 제대로 확인 및 관리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환자에게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정확하게 알려주고, 상기 환자의 약물투약결과를 저장 및 수신받아 환자의 병에 따른 치료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또는 의사에 의해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시간별 및 요일별로 환자가 복용할 약의 종류와 투약시간을 알리는 휴대가능한 투약알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고,
환자 또는 의사에 의해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시간별 및 요일별로 환자가 복용할 약의 종류와 투약시간을 알리고, 상기 약물복용결과를 저장한 후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약물서버로 전송하는 휴대가능한 투약알람장치 및 상기 투약알람장치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거나 상기 환자의 병명과 병명에 따른 약물복용결과를 수신받아 환자를 관리하는 약물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의 전체 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투약알람장치(200) 및 약물서버(300)로 구성되는데,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적색램프, 벨소리, 진동 등으로 투약시간을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알려주는 휴대가능한 장치로써, 환자가 직접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시간별 및 요일별로 환자가 복용할 약의 종류와 투약시간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약알람장치의 외부 형태 중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환자가 상기 투약알람장치(200)의 입력부(280)를 통하여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투약시간 등을 설정하고, 투약시간이 되면 출력부(290)를 통하여 문자정보로 알려주고, 알람부(260) 또는 음성출력부(250)를 통하여 적색램프, 벨소리, 진동 또는 음성으로 상기 환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환자가 정확한 시간에 투약하게 된다.
또한, 의사 또는 약사가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를 USB포트(240)를 통하여 상기 약물서버(300)와 연결한 후,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직접 입력하여 설정하고, 상기 환자에 의해 저장된 환자의 병명과 병명에 따른 약물복용결과를 상기 약물서버(300)로 다시 수신받아 의사 또는 약사가 환자를 종합적이면서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투약시간을 알리는 방법은 적색램프, 벨소리, 진동 등을 통하여 투약시간을 알리고,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시간, 투약 방법, 투약 횟수, 환자의 병명, 처방약 등을 표시하여 환자가 정확하게 그 내용을 알고 투약 또는 복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투약시간을 알리는 방법을 예로 들면, 'AM 08:30, 하루 1회, 고혈압, 아모디핀'이나 ' 약 드실 시간입니다' 등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는 상기 투약시간을 알리고 환자가 약을 투약 또는 복용하게 되면, 상기 환자로부터 약을 투약 또는 복용했음을 인식할 수 있는 특정버튼을 제공하여 상기 환자가 요일별 및 시간별로 투약 또는 복용을 했는지 안했는지 그 정보를 저장할 수가 있다.
상기 투약알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약물상자의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상기 약물상자는 약을 저장하기 위해 요일별 및 시간별로 구분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약물칸을 구비한 후 소형 모터나 환자의 인력에 의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약물칸에 저장된 약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가 있다.
특히, 상기 약물칸은 상기 투약알람장치의 구동부(270)에 의해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약물칸에 든 약을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약물서버(300)는 병원 또는 약국 등에 설치되어 의사 또는 약사에 의해 진료 및 처방전을 수령한 상기 환자의 인적정보, 병명, 투약정보 등등을 관리할 수 있는 단말기로써, 상기 환자의 진료 및 처방에 따라 상기 투약알람장치(200)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게 되고, 또한, 상기 환자가 투약알람장치(200)에 든 약을 투약 또는 복용할 경우 그 정보를 수신받아 환자의 치료상태를 확인하고 전문적인 관리를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통신은 USB 통신포트, 직렬 통신포트, 병렬 통신포트, 적외선 통신포트 또는 RF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약알람장치의 세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서버의 세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투약알람장치와 약물서버의 블럭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투약알람장치는 제어부(210), 메모리(220), 전원부(230), 통신인터페이 스(240), 음성출력부(250), 알람부(260), 구동부(270), 입력부(280) 및 출력부(2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약물서버(300)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의사 또는 약사에 의해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을 입력받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환자가 투약 또는 복용할 약의 종류와 투약시간을 알리고 상기 약물복용결과를 저장한 후 상기 약물서버(300)로 전송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220)는 기본적인 램과 롬으로 구성되며, 상기 롬에는 투약알람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램에는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약물투약시간에 따라 환자에게 제공할 문자정보 또는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환자에 의해 약물복용결과를 제공받아 저장한 후 상기 약물서버(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240)는 상기 약물서버(300)와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환자의 약물복용결과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데, USB 통신, 직렬 통신, 병렬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RF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입력부(280)는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를 구동시키고, 약물복용결과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 또는 문자 형태의 키버튼으로 제공된다.
상기 출력부(290)는 소형 LCD 화면이거나 액정화면으로, 상기 설정된 투약시간에 맞춰 상기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등을 소형 LCD에 표시하여 환자에 알리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음성출력부(250)는 상기 설정된 투약시간에 맞춰 상기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등을 음성정보로 출력하여 환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알람부(260)는 상기 설정된 투약시간에 맞춰 상기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등을 LED, 벨소리 또는 진동 등으로 환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전원부(230)는 충전밧데리 또는 휴대용 밧데리로서, 상기 투약알람장치(200)에 전원을 인가한다.
특히,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는 시간별 및 요일별로 구분된 다수개의 약물칸에 환자가 시간별 및 요일별로 복용해야 할 약을 구비하는 약물상자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약물서버(300)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한 후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입력받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상기 약물상자를 시간별 및 요일별로 제어하여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구동부(270)는 상기 설정된 투약시간에 맞춰 상기 환자가 해당 시간별 및 요일별로 약을 투약 또는 복용할 수 있도록 소형 모터(도시안됨)를 구동시키거 나 인력에 의해 상기 약물칸에 저장된 환자의 약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약물서버(300)는 제어부(310), 통신인터페이스(320), 전원부(330), 관리부(340), 환자D/B(350) 및 처방D/B(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투약알람장치(200)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의사 또는 약사가 직접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환자의 병명과 병명에 따른 약물복용결과를 수신받아 환자를 관리하는 등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320)는 상기 투약알람장치(200)와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등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환자의 약물복용결과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데, USB 통신, 직렬 통신, 병렬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RF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관리부(340)는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로부터 상기 환자의 약물복용결과를 상기 포트를 통해 수신받아 상기 환자의 인적정보,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약물복용결과 등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환자D/B(350)는 상기 환자의 인적정보, 진료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처방D/B(360)는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처방 데이터, 약의 종류, 약물복용결과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전원부(330)는 상기 약물서버(300)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의 동작원리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환자가 직접 투약알람장치(200)의 입력부를 통하여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라 복용해야 할 약의 종류, 약을 복용해야 할 시간 등을 설정 및 저장하거나,
의사 또는 약사가 환자에게 지급할 투약알람장치(200)를 상기 약물서버(300)에 연결한 후,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라 복용해야 할 약의 종류, 약을 복용해야 할 시간 등을 설정하여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로 그 정보를 송신하게 되면,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는 상기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투약시간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22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이 끝나면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는 환자가 주머니에 넣거나 목에 걸고 다니면서 투약시간에 맞춰 약을 복용하게 되는데,
상기 환자의 병명은 '고혈압'이고, 처방약은 '아모디핀', 투약시간은 'AM 08:30, 투약횟수는 '하루 1회'라고 가정한다면,
아침 8시 30분이 되면,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는 상기 출력부(290)를 통하여 'AM 08:30, 하루 1회, 고혈압, 아모디핀'의 문자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알람부(260)의 제어에 따라 적색램프, 벨소리 또는 진동 등으로 투약시간이 되었음을 상기 환자에게 알려주거나,
상기 음성출력부(250)를 통하여 '약 드실 시간입니다'라는 등의 음성정보로 투약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환자는 '아모디핀'을 복용한 후, 상기 입력부(280)의 특정키(또는 버튼)를 선택하여 상기 '아모디핀'을 복용하였음을 알리게 되면,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는 상기 환자가 몇일 몇시에 '아모디핀'을 복용하였다라는 정보를 상기 메모리(220)에 요일별 및 시간별로 저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입력부(280)의 특정키(또는 버튼)는 상기 환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한 일련의 행동을 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튼으로 숫자 또는 문자버튼으로 주어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만약, 상기 투약알람장치(200)가 약물상자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다면,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는 상기 환자가 출력부(290)를 통하여 병명과 약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상기 환자가 확인 후 입력부(280)의 특정키(또는 버튼)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는 상기 구동부(270)를 제어하여 상기 약물칸을 소형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시키고 배출구를 통해 '아모디핀'을 배출하거나, 환자의 손으로 구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아모디핀'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환자는 배출된 '아모디핀'을 복용한 후, 상기 입력부(280)의 특정키(또는 버튼)를 선택하여 상기 '아모디핀'을 복용하였음을 알리게 되면,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는 상기 환자가 몇일 몇시에 '아모디핀'을 복용하였다라는 정보를 상기 메모리(220)에 요일별 및 시간별로 저장하게 된다.
상기 환자가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를 상기 의사 또는 약사에게 반납하면,
상기 의사 또는 약사는 상기 투약알람장치(200)를 상기 약물서버(300)에 연결하여, 상기 투약알람장치(200)의 메모리(220)에 저장된 상기 환자의 약물복용결과를 수신받아 상기 약물서버(300)에 저장하고, 상기 환자가 처방에 따라 요일별 또는 시간별로 정확하게 '아모디핀'을 복용하였는지 확인한 후, 상기 환자의 약물복용결과에 따른 환자와의 상담, 진찰, 진료 등등의 종합적인 의료행위를 수행함으로써, 환자를 보다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약물투약 알림 시스템은, 환자에게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정확하게 알려줌으로써, 환자가 앓고 있는 병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다른 효과로는, 상기 환자의 약물투약결과를 의사 또는 약사가 정확하게 알 수 있음으로써, 환자의 병에 따른 상담, 진찰, 진료 및 치료과정 등을 보다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또는 의사에 의해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시간별 및 요일별로 환자가 복용할 약의 종류와 투약시간을 알리는 휴대가능한 투약알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2.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또는 의사에 의해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시간별 및 요일별로 환자가 복용할 약의 종류와 투약시간을 알리고, 상기 약물복용결과를 저장한 후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약물서버로 전송하는 휴대가능한 투약알람장치; 및
    상기 투약알람장치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거나 상기 환자의 병명과 병명에 따른 약물복용결과를 수신받아 환자를 관리하는 약물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알람장치는
    약물서버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하여 환자 또는 의사에 의해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을 입력받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환자가 복용할 약의 종류와 투약시간을 알리고 상기 약물복용결과를 저장한 후 상기 약물서버로 전송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약물투약시간에 따라 환자에게 제공할 문자정보 또는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메모리;
    상기 약물서버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환자의 약물복용결과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통신인터페이스;
    상기 투약알람장치를 구동시키고, 약물복용결과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 또는 문자 형태의 키버튼으로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등을 LCD에 표시하여 환자에 알리는 출력부;
    상기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등을 음성정보로 출력하여 환자에게 알리는 음성출력부;
    상기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등을 LED, 벨소리 또는 진동 등으로 환자에게 알리는 알람부; 및
    상기 투약알람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알람장치는
    시간별 및 요일별로 구분된 다수개의 약물칸에 환자가 시간별 및 요일별로 복용해야 할 약을 구비하는 약물상자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약물서버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한 후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입력받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상기 약물상자를 시간별 및 요일별로 제어하여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투약 알림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서버는
    상기 투약알람장치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하여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환자의 병명과 병명에 따른 약물복용결과를 수신받아 환자를 관리하는 등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투약알람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약물투약시간 등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환자의 약물복용결과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통신인터페이스;
    상기 환자의 인적정보,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약물복용결과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부;
    상기 환자의 인적정보, 진료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환자D/B;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처방 데이터, 약의 종류, 약물복용결과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방D/B; 및
    상기 약물서버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는
    USB 통신, 직렬 통신, 병렬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RF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KR1020060031040A 2006-04-05 2006-04-05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KR100786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040A KR100786170B1 (ko) 2006-04-05 2006-04-05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040A KR100786170B1 (ko) 2006-04-05 2006-04-05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816A true KR20070099816A (ko) 2007-10-10
KR100786170B1 KR100786170B1 (ko) 2007-12-21

Family

ID=3880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040A KR100786170B1 (ko) 2006-04-05 2006-04-05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1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724B1 (ko) * 2007-11-13 2010-05-06 한성민 다기능 약물 복용 안내 장치
KR101135009B1 (ko) * 2009-09-30 2012-04-09 최창준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약 복용 보조장치
KR101365476B1 (ko) * 2010-11-22 2014-0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94B1 (ko) * 2008-06-25 2010-10-26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착용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말기 및이를 이용하는 건강관제시스템
WO2010054202A2 (en) * 2008-11-06 2010-05-14 Leon Rosenberg Package of pills useful for titration and method of titrating a patient
KR101175210B1 (ko) 2011-02-24 2012-08-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약제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제공급 시스템장치
KR101341350B1 (ko) 2013-08-29 2013-12-13 이선구 휴대용 약병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2944B (fi) 1996-06-19 1999-03-31 Nokia Mobile Phones Ltd Potilaan hoitolaite sekä hoitojärjestelmä
JPH10201827A (ja) 1997-01-20 1998-08-04 Fujitsu General Ltd 在宅診療用投薬システム
JP2003230620A (ja) 2002-02-07 2003-08-19 Nidec Copal Corp 携帯型薬服用報知装置
JP2004287956A (ja) 2003-03-24 2004-10-14 Fujitsu Ltd 服用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服用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
KR100692799B1 (ko) * 2004-10-29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약 복용 시간 통지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724B1 (ko) * 2007-11-13 2010-05-06 한성민 다기능 약물 복용 안내 장치
KR101135009B1 (ko) * 2009-09-30 2012-04-09 최창준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약 복용 보조장치
KR101365476B1 (ko) * 2010-11-22 2014-0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170B1 (ko)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2355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KR100786170B1 (ko)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US5719780A (en) Medication timing device
US20060022806A1 (en) Medicament container
AU2007351001B2 (en) Tablet dispenser system
US8483872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20160247345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rug interactions on drug storage containers
US676621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of dispensing of oral medications
US7877268B2 (en) Intelligent pill box
US6507275B2 (en) Pill dispensing reminder system for indicating when to take a specific pill
US20160354283A1 (en) Sensor-based medication systems
US20060124655A1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20090259336A1 (en) Smart Medicine Container Assembly
US20150186615A1 (en) Medication compliance
KR20050105219A (ko) 약물 순응도 장치
JP2006520659A (ja) 投薬情報を示しかつ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38150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KR101016438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US20040179430A1 (en) Pill dispensing remind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remotely situated computer
JPH06269488A (ja) 薬収納容器
KR20190078752A (ko) 스마트 홈용 의약품 보관 및 복약관리를 위한 지능형 정보관리시스템
KR101147996B1 (ko) 개인용 투약 장치
KR200493916Y1 (ko) 복용 시간 알람 기능을 구비한 전자 달력
US20130079925A1 (en)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JPS63160898A (ja) 薬物投与用ic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