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602A -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를 갖는 수술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를 갖는 수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602A
KR20070097602A KR1020057024201A KR20057024201A KR20070097602A KR 20070097602 A KR20070097602 A KR 20070097602A KR 1020057024201 A KR1020057024201 A KR 1020057024201A KR 20057024201 A KR20057024201 A KR 20057024201A KR 20070097602 A KR20070097602 A KR 20070097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surgical system
anvil
retractor
sta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데리코 빌로티
미첼레 다칸젤로
안토니오 론고
마크 뉴로르
Original Assignee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57024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7602A/ko
Publication of KR2007009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수술 시스템에서, 스테이플링 기구(1)는 가요성 샤프트 장치(4), 핸들(2) 및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를 포함한다.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형 개방 스테이플의 열을 포함하는 곡선형 카트리지(10)와, 카트리지(10)를 벗어나는 스테이플의 단부를 성형하기 위해 카트리지(10)와 협력하도록 적용되면서 스테이플 성형면을 가지는, 카트리지(10)에 대향한 앤빌(20)을 포함한다.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는 앤빌(20)의, 그리고, 카트리지(10)의 오목한 내부면을 향한 장애없는 억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적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앤빌(20)은 그 사이에 조직을 위치시키기 위한 이격 위치로부터 조직을 클램핑하기 위한 폐쇄 위치로 카트리지(10)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술 시스템은 카트리지(10) 및 앤빌(20)이 이격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10)와 앤빌(20) 사이의 공간내로 조직을 당기도록 적용되는 리트렉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양호한 응용에서, 수술 시스템은 위식도 역류성 질환(GERD)의 치료에 사용된다.
수술 시스템, 스테이플, 카트리지, 가요성 샤프트 장치, 핸들

Description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를 갖는 수술 시스템{SURGICAL SYSTEM WITH A STAPLING INSTRUMENT AND A RETRACTOR}
본 발명은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를 구비한 수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예로서, 위역류(gastric reflux)의 치료시 사용될 수 있다.
위식도 역류성 질환(GERD)은 널리 퍼져 있다. 예로서, 미국에서, 성인 인구의 7%가 그와 연계된 가슴쓰림 및 역류(regurgitations) 같은 증상으로 고통받고 있다. 합병증은 배럿(Barrett) 식도, 선암 및 일반적으로, 낮은 삶의 질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항분비성 보조제를 사용한 약물 요법이 적용되는 반면, 이들 경우의 약 15%는 수술 요법이 지시된다.
니센 테크닉(Nissen technique)에서(예로서, 알. 니센 등의 "위저부주름술(fundoplication)을 사용한 역류성 질환 관리 20년(Chirurg 48 : 10, 634-9, 1977년 10월)" 참조), 식도는 보다 유효한 하부 식도 괄약근(LES) 밸브를 형성하기 위해 위의 보다 큰 곡룰부에서 위벽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여진다. 이 수술은 내시경을 사용하여, 또는 개복 억세스를 경유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합병증 발병율이 비교적 높다. 예로서, 환자의 5%는 연하장애(disphagia), 하부 식도 수축을 겪는다. 그리고, 장기간에 걸쳐, 환자의 50% 이상은 항분비성 보조 제를 먹어야 한다.
내시경 기술은 식도를 경유한 경구경유 억세스(transoral access)를 수반한다. 스트레타 시술(Stretta procedure)에서(예로서, 지. 일로포울로스(G. Ilopoulos) 등의 "GERD의 치료를 위한 스트레타 시술 : U.S. 오픈 라벨 시도의 6 및 12달 추적 조사(Gastrointest. Endosc. 55 : 2, 149-56, 2002년 2월)" 참조), RF 에너지가 사용되어 하부 식도 괄약근 및 심장의 평활근 병변(smooth muscle lesion)을 생성한다. 이 병변은 LES 밸브의 유효성을 증가시키도록 조직 수측을 유발하는 치유 작용을 수행한다. 현재까지, 연하장애의 발생 및 장기 합병증에 대하여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다른 내시경 기술에서, WO 00/78227 A1에 개시된 장치에 의해, 장막-대-장막 대치부를 갖는 주름이 위식도 접합부의 1cm 이내에 봉합되어 LES 밸브의 효과를 증가시킨다. 이는 식도 직경의 작은 감소를 초래하며, 또한 연하장애의 발생 및 장기 합병증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점막하 주름이 밸브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위식도 접합부에 생성되는 다른 내시경 절차(예로서, http://www.ndosurgical.com/pages/procdeure.html 참조)는 수행에 약 한시간이 소요되며, 이는 너무 길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장기 연구(연하장애의 연구 포함)는 없다.
WO 01/91646 A1은 강성 샤프트, 핸들 및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를 구비한 본체부를 포함하는 수술 스테이플링 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플의 곡선형 개방 열을 포함하는 곡선형 카트리지 및 곡선형 앤빌을 포함하고, 이 앤빌은 카트리지와 협력하여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는 스테이플의 단부를 성형하도록 적용된다.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는 앤빌과 카트리지의 오목한 내면을 향해 장애없는 억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적용된다. 카트리지는 그 사이에 조직을 위치시키기 위한 이격된 위치로부터 조직을 클램핑하기 위한 폐쇄 위치로 앤빌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카트리지내에 나이프가 수납되어 나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측부상에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플의 열이 존재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구는 환자의 직장의 치료, 예로서, 용종(polyp)을 잘라내기 위해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론적으로 연하장애의 발생을 배제하는, 특히,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경구경유 요법을 위한 수술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수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청구항은 그 시스템 및 그 구성요소의 다양한 실시예를 규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시스템은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를 포함한다.
스테이플링 기구는 가요성 샤프트 장치, 상기 스테이플링 기구의 근위 단부 영역에서 샤프트 장치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및 상기 스테이플링 기구의 원위 단부 영역의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그리고 이하에서, 용어 "근위" 및 "원위"는 기준으로서 사용자에 관한 것이며, 이는 정상 조작 상태하에서 사용자에게 근접한 기구의 부분이 "근위"로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샤프트 장치"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샤프트 장치는 핸들을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와 연결하며, 샤프트 장치는 어뎁터 부재(adapter members),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단면 형상은 그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다.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는 곡선형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형 개방 스테이플 열과, 카트리지에 대향하여 곡선형 앤빌을 포함하며, 앤빌은 스테이플 성형면을 가지고, 카트리지로부터 나오는 스테이플의 단부를 성형하기 위해 카트리지와 협력하도록 적용된다. 이동 장치는 그 사이에 조직을 위치시키기 위한 이격된 위치로부터 조직을 클램핑하기 위한 폐쇄 위치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카트리지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앤빌을 이동시키도록 적용된다. 스테이플 구동 장치는 앤빌을 향해 카트리지 외부로 스테이플을 구동하도록 적용된다.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는 앤빌의, 그리고 카트리지의 오목한 내부면을 향한 장애없는 억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앤빌의 스테이플 성형면은 일반적으로 평면형이며,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종축에 관하여 횡단방향으로(바람직하게는 직교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환자의 조직내에서의 스테이플의 배열의 원하는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 예로서 스테이플 성형면의 곡선형 또는 파상 형상(undulated shapes)도 마찬가지로 고려할 수 있으며, 심지어, 앤빌의 스테이플 성형면이 평면형일 때에도,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종축에 관하여 직교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용어 "카트리지"는 "스테이플 매거진"의 일반적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비록 양호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수술 절차 동안 부가적인 스테이플이 필요한 경우 새것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제거가능하지만, 이는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제거가능한 콤포넌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용어 "스테이플"은 매우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이는 금속 스테이플 또는 클립을 포함하지만, 또한, 합성 재료로 이루어진 수술 패스너(fasteners) 및 유사 패스너도 포함한다. 합성 패스너는 일반적으로 앤빌에 유지된 상대부(리테이너 부재)를 갖는다. 이 때문에, 용어 "앤빌" 및 "스테이플 성형면"도 2부재 합성 패스너의 경우, 앤빌형 툴 및 리테이너 부재가 유지되는 그 평면과, 유사 장치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시스템의 리트렉터는 카트리지 및 앤빌이 이격 위치에 있을 때, 앤빌과 카트리지 사이의 공간내로 조직을 당기도록 적용된다. 리트렉터는 스테이플링 기구와는 별개의 기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리트렉터는 스테이플링 기구에 통합된다. 후자의 경우에, 리트렉터는 핸들에 또는 그 근접부에 배치된 작동 부재를 경유하여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시스템은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시경은 예로서, 리트렉터가 별개의 기구인 경우, 리트렉터를 안내하기 위한 작업 채널을 가질 수 있다. 내시경은 수술 시스템의 콤포넌트일 수 있다.
양호한 응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시스템은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경구경유 요법에 사용된다. 이 경우, 내시경은 식도를 통해 위내부 까지 삽입되도록 적용된 조종가능한 내시경이다. 이런 내시경은 본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위 내시경이라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수술 절차는 하기의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먼저, 위 내시경이 경구를 통해 위내로 도입되고, 여기서, 이는 Z 라인을 관찰하는 제트로그레이드(zetrograde) 상태로 이동된다. 리트렉터가 별개의 기구인 경우, 이는 Z 라인의 약 3cm 아래에서 전방 점막 벽과 접촉할 때까지 위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경유하여 도입된다. 그곳에서, 위 조직이 리트렉터에 의해 "파지(grasped)"되고(예로서, 이하 참조), 위 조직의 전체 두께 횡단 절첩부(fold)가 형성될 때까지 리트렉터에 의해 견인력이 인가된다. 견인력이 유지되는 동안, 스테이플링 기구가 위내시경 옆으로, 즉, 위내시경 외측에서, 외부 가이드로서 위 내시경을 사용하여 절첩 부위까지 경구를 통해 도입된다. 위내시경을 사용한 제트로그레이드 관찰하에서, 카트리지 및 앤빌이 이격 위치에 있는 스테이플링 기구가 횡단방향 절첩부가 카트리지와 앤빌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그후, 앤빌이 카트리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조직을 클램핑하고, 앤빌을 향해 카트리지 외측으로 스테이플을 구동하도록 스테이플링 기구가 작동되며, 따라서 하부 식도 괄약근 아래에 영구적 돌출부를 생성하도록 적소에서 절첩부를 스테이플링한다. 필요시, 동일 기구에 의해, 후방 벽에, 즉 제1 절첩부에 대향하여, 다른 절첩부가 스테이플링된다. 그후,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가 제거된다. 절첩부(들)가 정확하며, 식도를 폐쇄하는지 여부를 검사한 이후, 위내시경이 마찬가지로 제거될 수 있다.
이 수술 절차의 단계 중 일부의 순서는 필요시 변경될 수 있다. 예로서, 스테이플링 기구가 먼저 도입되고, 그후 카트리지 및 앤빌이 이격 위치에 있을 때, 리트렉터가 카트리지와 앤빌 사이의 공간내로 조직을 당기기 위해 하부 식도 괄약근 아래의 부위로 이동될 수 있다.
리트렉터가 스테이플링 기구와 일체인 경우, 절차는 유사하지만, 리트렉팅 및 스테이플링 툴을 독립적으로 삽입 및 제거할 필요가 없다. 상세한 예가 이하에 제시되어 있다.
양자의 경우에, 수술의 결과는 하부 식도 괄약근 아래의 실질적인 횡단방향 돌출부 형태의 하나 또는 두개의 영구적 절첩부이다. 절첩부는 음식이 문제없이 위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위 역류에 관하여, 이들은 유리한 방식으로 위 순환에 영향을 주는 일종의 배리어를 형성하며, 따라서 위로부터 식도내로의 역류를 회피하거나 적어도 크게 감소시킨다. 연하 장애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하부 식도가 이 수술 기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하부 식도는 구속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시스템에 의해, 위식도 역류성 질환이 효과적인 방식으로 치료될 수 있다.
스테이플링 기구의 양호한 실시예의 주요한 장점은 방해받지 않는 관찰 및 방해받지 않는 억세스를 통해 조직 스테이플링을 가능하게 하는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형상이다. 카트리지 및 앤빌의 오목한 내부면을 향한 자유 억세스로 인해, 리트렉터는 쉽게, 효과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플링 기구는 공간 절약 방식으로 위내시경 옆에 배열될 수 있다.
카트리지 및 앤빌의 외부면은 수술 절차의 부위에서의 해부학에 일치되도록 인간공학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및 앤빌은 일반적으로 단면 평면에서 원호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원호는 90° 내지 350°의 범위의 각도에 걸쳐 연장한다.
유리한 버전에서, 앤빌은 앤빌의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그리고 일반적으로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종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arm)에 의해 지지된다. 이 아암은 의사의 시계를 차단하지 않으며, 리트렉터와 간섭하지 않는다. 이동 장치는 카트리지에 관하여 앤빌을 이동시키기 위해 아암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는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곡선형 홀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홀더는 아암을 활주식으로 안내하도록 적용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의 형상은 단면 평면에서 원호형이고, 앤빌과 카트리지의 것과 유사하여 홀더의 오목한 내부면을 향한 장애 없는 억세스를 마찬가지로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으로 설계된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는 기구의 수술 응용을 크게 용이해지게 한다.
폐쇄 위치에서 카트리지와 앤빌 사이의 거리는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이동 장치는 앤빌이 정지 위치를 초과하여 이동하는 것 및 조직이 너무 많이 클램핑되는 것을 방지하여 괴사(necrosis)를 피하도록 조절가능한 정지부(바람직하게는 핸들에 위치된 요소에 의해 조작되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버전에서, 스테이플링 조립체는 앤빌과 카트리지를 정렬하도록 카트리지와 앤빌 사이에서 이동, 바람직하게는 활주하도록 적응된 유지 핀을 포함한다. 유지 핀의 이동은 핸들에 위치된 작동 부재를 경유하여 작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핀은 앤빌을 위한 부가적인 지지부를 제공하며, 상술한 다른 지지부형 아암이 제한된 공간 때문에, 탄성 변형으로 인한 오정렬을 방지하도록 크게 치수설정될 수 없을 때 유용할 수 있다.
스테이플링 구동 장치는 앤빌을 향해 카트리지 외측으로 스테이플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적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버전에서, 가요성 샤프트 장치는 복수의 척추 부재를 포함하며, 이는 가요성 외피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종방향으로 배열된다. 척추 부재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고, 종방향으로 배열된 척추 부재의 개구는 핸들에 위치된 작동 부재로부터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로 힘을 전달하기 위해 힘 전달 장치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힘 전달 장치는 특히, 유지 핀(상기 참조)을 동작시키기 위해, 그리고 스테이플링 기구와 일체인 리트렉터의 가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해(이하 참조), 스테이플 구동 장치와, 또한 부가적인 장치에 연계된 가요성 밴드 및 이동 장치에 연계된 가요성 밴드를 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는 가요성 샤프트 장치의 원위 단부 영역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는 가요성 샤프트 장치 및 이동 장치, 스테이플 구동 장치 및 힘 전달 장치의 많은 부분이 수술 절차 이후 살균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로서 설계될 수 있게 하는 반면,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는 각 수술 절차 이후 교체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는 스테이플이 없는 사용된 카트리지가 필요시 새것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제거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테이플 기구가 동일 수술 절차 동안 다수회 사용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또한, 수술 기구를 각 수술 절차 이후 살균되는 재사용가능한 기구로서 설계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살균 카트리지가 다음 수술 절차 동안 삽입될 수 있다.
리트렉터가 스테이플 기구와 별개의 기구인 경우에, 유리한 버전에서, 리트렉터는 조직을 천공하고 조직내에 나사결합되도록 적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이는 가요성 리트렉터 샤프트의 일 단부에 장착된다. 스크류는 코일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리트렉터는 스크류의 팁에 의해 "파지"될 위치에서 조직을 천공하고, 그후, 스크류 또는 코일이 조직내로 나사결합되어 조직에 리트렉터를 고정하도록 몇 번의 완전한 회전 만큼 가요성 리트렉터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된다. 그후, 조직은 리트렉터 샤프트에서 당김으로써 예로서, 절첩부의 형상으로 당겨질 수 있다. 절첩부의 스테이플링 이후, 스크류는 조직으로부터 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관련 조직이 위벽인 경우, 리트렉터로 이를 천공하는 것은 환자에게 심각한 상처를 주지 않는다.
리트렉터가 스테이플링 기구에 통합되는 유리한 디자인에서, 리트렉터는 내부 채널과 팽창가능한 벌룬을 갖는 중공 니들(hollow needle)을 포함하며, 이 벌룬은 채널을 경유하여 니들의 천공 팁의 외부로 밀려지도록 적용된다. 니들은 곡선형 니들로서 설계될 수 있다. 벌룬은 카테터상에 장착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니들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가지는 리트렉터 외피내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되며, 니들은 리트렉터 외피(sheath)의 근위 단부 영역을 경유하여 조작되는 힘 전달기에 의해 리트렉터 외피의 원위 단부 영역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리트렉터 외피는 일반적으로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종축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리트렉터의 사용시, 니들 팁은 보호성 리트렉터 외피로부터 노출되며, 조직이 니들에 의해 천공되고("파지"될 위치에서), 그후, 벌룬이 니들의 채널 외부로 이동되어 팽창된다. 그후, 리트렉터에서 당김으로서 조직이 수축될 수 있으며, 팽창된 벌룬은 조직의 외부로 니들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절차의 세부사항은 후술되어 있다.
스크류/코일-형 리트렉터의 양호한 실시예가 별개의 기구이고, 니들/벌룬-형 리트렉터의 양호한 실시에가 스테이플링 기구의 일체형 툴인 반면, 니들/벌룬-형 리트렉터를 별개의 기구로서 설계하거나, 스크류/코일-형 리트렉터를 스테이플링 기구에 통합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 및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수술 치료시의 그 응용을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스테이플링 기구의 전체 등각도.
도 2는 도 1의 스테이플링 기구의 측면도.
도 3(a) 및 도 3(b)은 두 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도 1의 스테이플링 기구의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등각도.
도 4는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카트리지가 언로킹되고, 부분적으로 그 홀더 외측으로 당겨져 있는 도 3(a)과 유사한 등각도.
도 5는 도 3의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카트리지의 등각도.
도 6은 도 3의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앤빌의 등각도.
도 7(a), 도7(b) 및 도7(c)는 스테이플이 카트리지로부터 축출되는 방식 및 성형되는 방식을 예시하는, 도 3의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순차 작동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3의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분해도.
도 9는 도 1의 스테이플 기구의 가요성 샤프트의 백본(backbone)을 형성하는 척추 부재의 등각도.
도 10은 도 1의 스테이플링 기구의 가요성 샤프트의 근위 단부 영역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등각도.
도 11은 도 1의 스테이플링 기구의 가요성 샤프트의 원위 단부 영역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등각도.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도 7과 유사한, 그러나 종방향 섹션에서의 스테이플링 기구의 순차 작동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위 내시경이 식도를 통해 도입되어 있는 환자의 위의 개략도.
도 14(a), 도 14(b), 도 14(c) 및 도 14(d)는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수술 절차의 순차 단계의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리트렉터의 원위 영역의 등각도.
도 16은 도 15의 리트렉터의 원위 영역의 측면도.
도 17(a), 도 17(b), 도 17(c), 도 17(d) 및 도 17(e)은 도 15의 리트렉터의 사용의 순차 단계의 개략도.
도 18(a), 도 18(b), 도 18(c), 도 18(d), 도 18(e), 도 18(f), 도 18(g), 도 18(h), 도 18(i), 도 18(j), 도 18(k) 및 도 18(l)은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수술 절차에서 본 실시예가 사용되는 방식을 순차 단계로 예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리트렉터 및 스테이플링 기구의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의 부분 종단면 측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에 예시된 절차에서 생성된 위벽의 절첩부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9(a)는 이 절차에서 설치된 스테이플을 또한 예시하는 종방향 측면도이며, 도 19(b)는 그 상면도.
수술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서,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는 별개의 콤포넌트로서 설계된다.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7에 예시되어 있다.
도 1은 스테이플링 기구의 등각도를 도시하며, 도 2는 측면 입면도이다. 스테이플링 기구(1)는 기구의 근위 영역의 핸들(2), 가요성 샤프트(4) 및 샤프트(4)의 원위 단부에 장착된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를 포함한다. 핸들(2)에 제공된 회전가능한 노브(9) 및 트리거(8)는 보다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테이플링 기구(1)는 위식도 역류 질환(GERD)의 치료를 위한 수술 절차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는 입과 환자의 식도를 통해 위내로 도입될 수 있도록 치수설정되며, 가요성 샤프트(4)는 식도 보다 다소 길다. 사용시, 핸들(2)은 작동 부재(트리거(trigger)(8) 및 노 브(knob)(9) 같은)는 의사에 의해 편리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환자의 입 외부에 존재한다.
스테이플링 기구(1)는 일회용 기구로서 설계된다. 완전히 살균가능한 또는 부분적으로 살균가능한(예로서, 단지 살균가능한 핸들을 갖거나 살균가능한 샤프트 및 핸들을 갖는) 스테이플링 기구도 고려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를 보다 상세히 예시한다.
스테이플을 수납하는 곡선형 카트리지(10)는 곡선형 홀더(12)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카트리지(10)는 돌출부(14) 및 홀더(12)내의 베이어닛 슬롯(bayonet slot)(15)에 의해 고정된다(특히 도 3(a) 및 도 4 참조).
카트리지(10)의 단부면(16)은 슬롯(18)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4개 슬롯(18)은 반원형 라인을 따라 배열된다. 각 슬롯은 그 자유 단부가 단부면(16)을 지향하는 상태로 스테이플(클립)을 수납한다(도7(b) 및 부가적으로, 도 8 및 도 12 참조). 따라서, 슬롯(18)은 스테이플의 곡선형 개방 열을 형성한다.
카트리지(10)에 대향하여,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는 카트리지(10)의 단부면(16)에 평행하게 정렬된 스테이플 성형면(24) 및 외상을 입히지 않도록 형성된 원위면(22)을 갖는 곡선형 앤빌(20)을 포함한다. 스테이플 성형면(24)은 함몰부(depressions)(25)를 구비한다(도 6 참조). 함몰부(25)는 쌍으로 배열되며, 각 쌍은 카트리지(10)로부터 축출된 하나의 스테이플의 자유 단부를 굴곡시키도록 기능한다(특히, 도 7(c) 및 도 12(c) 참조).
앤빌(20)은 상기 앤빌(20)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 (6)의 종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아암(26)에 의해 지지된다. 앤빌(20)의 대향 단부는 자유 단부(27)이다. 아암(26)은 홀더(12)의 일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28)내에서 활주식으로 안내되며, 가이드(28)의 단면적은 아암(26)의 단면적에 적응된다. 보다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앤빌(20)은 조직을 클램핑하기 위한 폐쇄 위치로 카트리지(10)를 향해, 그리고 이격된 위치로 카트리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아암(26)을 경유하여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폐쇄 위치에서 카트리지(10)와 앤빌(20) 사이의 거리(즉,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간격)는 핸들(2)에 위치된 수단에 의해 조절가능하다.
도 3, 도 4, 도 7 및 도 8은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의 부가적인 부분으로서 유지 핀(30)을 표시한다. 유지 핀(30)은 샤프트(32), 둥근 또는 다소 테이퍼진(tapered) 원위 단부(34) 및 샤프트(32)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근위 단부 영역(35)을 갖는다.
유지 핀(30)은 카트리지(10)의 일 단부에 제공된 보어(36)내에서 활주식으로 안내된다. 유지 핀(30)의 목적은 홀더(12)와 카트리지(10)에 관하여 앤빌(20)의 정렬을 돕는 것이다.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의 치수가 작기 때문에, 아암은 앤빌(20)의 자유 단부(27)의 오정렬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강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시, 유지 핀(30)은 그 원위 단부(34)가 앤빌(20)의 자유 단부(27)에 근접하게 제공된 오목부(39)내에 끼워질 때까지 원위 방향으로 활주식으로 이동된다(도 6 참조). 오목부(39)의 형상은 유지 핀(30)의 원위 단부(34)가 오목부(39)내로 이동할 때 카트리지(10)에 앤빌(20)이 자동으로 정렬하도록 유지 핀(30)의 원위 단부(34)의 형 상에 적응된다. 정밀한 방식으로 스테이플의 단부를 성형하기 위해 정확한 정렬이 중요하다.
앤빌(20)이 아암(26)을 구동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이동되는 반면, 유지 핀(30)은 앤빌(20)이 카트리지(10)에 접근할 때 보어(36)내에서 수동적으로 미끄러진다. 그 원위 단부(34)가 오목부(39)내에 안치된 상태로 유지 핀(30)을 배치하기 위해서, 도면에 예시되어 있지 않은 일종의 보우덴 와이어(Bowden wire)가 사용된다. 보우덴 와이어는 유지 핀(30)의 근위 단부 영역(35)에 작용하며, 핸들(2)로부터 조작된다.
도 8은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의 분해도이다. 카트리지(10)내에 수납된 4개 스테이플은 40으로 표시되어 있다. 샤프트(4)는 강성 원위 샤프트부(42)로 종결되며, 그 곳에는 도 8에 보조 라인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홀더부(44, 45)가 나사결합된다. 조립시, 홀더부(44, 45)는 가이드(28)를 포함하는 홀더(12)를 형성한다.
가요성 밴드(47)의 원위 단부(46) 및 가요성 밴드(49)의 원위 단부(48)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가요성 밴드(47, 48)는 원위 샤프트부(42) 내측의 종방향 채널내에서, 가요성 샤프트(4)를 따라 안내된다(또한, 도 10, 도 11 및 도 12 참조). 앤빌(20)의 베이스부(50)는 가요성 밴드(47)의 원위 단부(46)에 나사결합된다. 가요성 밴드(47)는 핸들(2)에서 노브(9)를 회전시킴으로써 샤프트(4) 내측에서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이동 장치가 형성되며, 이는 카트리지(10)에 관하여 앤빌(20)을 이동시킨다.
푸셔 베이스(pusher base)(52)는 가요성 밴드(49)의 원위 단부(48)에 나사결합된다. 가요성 밴드(49)는 핸들(2)에 제공된 트리거(8)에 의해 가요성 밴드(47)에 독립적으로 샤프트(4) 내측에서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트리거(8)가 작동될 때, 즉 핸들(2)의 강성부를 향해 당겨질 때, 가요성 밴드(49) 및 푸셔 베이스(52)는 원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푸셔 베이스(52)는 교체가능한 카트리지(10)의 콤포넌트인 드라이버부(54)상에 작용한다. 드라이버부(54)는 각 스테이플(40)을 위해 하나씩 핑거(fingers)(56)를 포함하며, 이는 그 "격발(firing)" 작용 동안 슬롯(18)으로부터 스테이플(40)을 축출한다. 이들 단계는 또한 도 7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부분 (a)은 앤빌(20)과 카트리지(10) 사이의 원하는 간격을 갖는 초기 조건을 도시하며, 부분 (b)은 앤빌(20)의 스테이플 성형면(24)내의 함몰부(25)와 스테이플(40)의 자유 단부가 접촉하는 순간을 나타내며, 부분 (c)은 성형된(굴곡된) 스테이플의 단부를 갖는 최종 상태를 도시한다.
가요성 샤프트(4)의 "백본(backbone)"이 도 9에 예시되어 있다. 이는 종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척추 부재(60)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척추 부재(60)는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배열된 척추 부재(60)의 개구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채널(62)을 형성한다. 가요성 밴드(47, 49)는 채널(62) 내측에서 안내되며(샤프트(4)(핸들(2)을 갖지 않음)의 근위 단부 영역을 도시하는 도 10 및 샤프트(4)의 원위 단부 영역을 도시하는 도 11 참조). 도 10 및 도 11은 또한 척추 부재(60)를 둘러싸는 가요성 외피(64)를 예시한다.
강성 척추 부재(60)는 서로 접경한다. 따라서, 척추 부재(60)의 어레이 (array)는 가요성 밴드(47)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인장력에 맞서 작용하는 압축력을 전달한다. 가요성 외피(64)는 샤프트(4)에 가요성을 제공하고, 이는 또한 가요성 밴드(49)가 스테이플의 격발 동안 압축력에 노출되어 있을 때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다. 채널(62)의 단면이 가요성 밴드(47, 49)의 조합된 단면에 적응되기 때문에, 밴드(47, 49)는 그들이 유연함에도 불구하고 압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척추 부재(60)의 형상 때문에, 가요성 샤프트(4)는 도 1, 도 2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지 한 방향으로만(즉, 하나의 평면 내에서) 가요성을 나타낸다.
작동 부재형 트리거(8) 또는 노브(9)로부터 힘 및 작용을 전달하기 위한 메카니즘은 본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예로서, 미국 특허 제5,605,272호 및 미국 특허 제4,527,724호 참조).
상술된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를 포함하는 수술 시스템을 사용하는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수술 절차는 일반적으로 도 13 및 도 14에 예시되어 있다.
도 13은 환자의 위(70)를 통한 개략 단면을 도시한다. 식도(72)는 위(70)의 상부 부분내로 들어간다. 그 하부 부분에서, 위(70)는 십이지장(duodenum)(74)에 연결된다. 도 13의 도면에서, 종래의 위내시경(80)이 환자의 입 및 식도(72)를 통해 위(70)내로 도입되어 있다. 위내시경(80)은 광학장치를 포함하는 내시경이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까지 굴곡될 수 있는 조종가능한 단부 영역(82)을 갖는다.
도 14에서, 부분 (a) 내지 (d)는 다소 보다 개략적인 표현으로 수술 절차의 연속 단계의 시퀀스를 표시한다. 도 14(a)의 도면에서, 위 내시경(80)은 위 내시경(80)을 통해 위(70)내로 수술 기구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작업 채널(84)을 포함한다.
도 14(a)는 위 내시경(80)이 도입되어 Z 라인을 형성하는 레트로그레이드(retrograde) 상태로, 즉, 위(70)와 식도(72)의 접합부에 근접한 영역으로 도입 및 이동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리트렉터(86)는 Z 라인 아래 약 3cm에서 위(70)의 전방 점막 벽의 부위(88)에 이미 고정되어 있다. 도 14에서, 단지 수술 절차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해 리트렉터(86)는 매우 개략적인 방식으로 표현되어 있다. 리트렉터(86)의 실제 구현예가 후술되어 있다. 리트렉터(86)는 위 내시경(80)의 작업 채널을 통해 도입되어 있으며, 별개의 기구로서 설계되어 있다. 도 14(a)에 따라, 리트렉터(86)는 이미 위 벽을 다소 내측으로 당기고 있다.
도 14(b)는 위 벽 조직의 전체 두께 횡단 절첩부(89)를 형성하기 위해 리트렉터(86)에 부가적인 견인력이 인가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스테이플링 기구(1)는 가이드로서 위 내시경(80)을 사용하여 위 내시경(80)의 외부벽 옆으로 식도(72)를 통해 절첩부(89)의 부위로 도입되어 있다. 레트로그레이드 관찰하에, 앤빌(20)과 카트리지(10)가 이격 상태인 스테이플링 기구(1)의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는 앤빌(20)과 카트리지(10) 사이의 간격내에 절첩부(89)가 위치되도록 절첩부(89)에 위치된다.
이제, 절첩부(89)의 양 부분이 서로 접촉, 그러나 너무 많이 압착되지는 않을 때까지, 노브(9)를 돌림으로써 앤빌(20)이 카트리지(10)를 향해 이동된다. 이 스테이지를 위한 최적의 간격 거리는 핸들(2)에서 예비조절될 수 있다(예로서, 노브(9)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에 의해).
도 14(c)에 도시된 상태에서, 스테이플링 기구(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리거(8)를 작동시켜 스테이플(40)을 축출함으로써 "격발"된다. 스테이플(40)의 자유 단부는 그들이 앤빌(20) 의해 굴곡되기 이전에 절첩부(89)의 양 층을 관통한다. 스테이플링 기구(1)를 추출한 이후, 스테이플링된 절첩부(89)는 위 내시경(80)으로 검사될 수 있다. 그후, 위 내시경이 마찬가지로 추출된다.
도 14(d)는 수술 결과, 즉 LES 밸브 아래의 영구적 횡단방향 절첩부(89)를 도시한다. 필요시, 유사한 절첩부가 절첩부(89)에 바로 대향하여 후방 벽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첩부를 스테이플링하기 이전에, 스테이플링 기구(1)는 필요한 스테이플을 수납하는 새로운 것으로 낡은 카트리지(10)를 교체하기 위해 추출 및 재도입되어야 한다.
절첩부(89) 및 적용가능한 경우의, 부가적인 절첩부는 식도(72)를 폐쇄하며, 위 역류가 식도(72)내로 올라오지 않도록 위(70)의 순환 패턴에 영향을 준다. 다른 한편, 음식물 섭취는 심각하게 방해받지 않으며, 그 이유는 절첩부(들)가 항복하고, 식도를 차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식도(72)가 어떠한 방식으로도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연하장애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4는 또한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의 형상을 예시하며, 가요성 샤프트(4)는 위 내시경(80)의 형상에 잘 부합된다. 따라서, 제한된 식도(72)의 단면적이 최적으로 사용된다.
도 15 및 도 16은 여기서 참조 번호 90으로 표시되어 있는 리트렉터(86)의 실제 실시예를 보여 준다. 그 원위 단부 영역에서, 리트렉터(90)는 팁(94)을 갖는 나선형 코일(92)로서 설계된 스크류를 포함한다. 코일(92)은 베이스부(96)에 연결되며, 베이스부는 예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외피에 의해 덮혀진 연성의, 그리고, 긴밀하게 권취된 나선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리트렉터 샤프트(98)에 고정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다지 리트렉터 샤프트(98)의 원위 단부 영역만을 도시한다. 리트렉터 샤프트의 총 길이는 리트렉터(90)가 리트렉터 샤프트(98)의 근위 단부를 경유하여 수동 조작될 수 있도록 환자의 식도 및 입을 통해 연장하기에 충분하다.
도 17은 리트렉터(90)의 사용의 순차 단계를 예시한다. 도 17(a)은 도 13에 대응하며, 위(70)내로의 삽입 및 레트로그레이드 시계로 지향시킨 이후의 위 내시경(80)을 도시한다. 도 17의 부분 (b) 내지 (e)는 도 14(a)에 대응하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개별 단계를 도시한다. 부분 (b)에서, 리트렉터(90)는 코일(92)의 팁(94)이 전방 점막 벽과 접촉할 때까지 원하는 부위(88)로 이동된다. 그후, 부분 (c)에서, 리트렉터(90)는 장막을 통해 전체적으로 위 벽을 관통하기 위해 회전된다. 그후, 부분 (d)에서, 전체 두께 횡단 절첩부, 즉, 부분 (e)의 절첩부(89)가 형성될 때까지 견인력이 인가된다. 이들 단계에 이어, 도 14 부분 (b) 내지 (d)에 표시된 단계가 수행된다.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수술 절차에 수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이 도 18에 예시되어 있다. 이 도면은 부분(a) 내지 (l)에서, 절차의 순차 단계를 도시한다. 최종 결과, 즉, 상기 절첩부(89)와 유사한 횡단 절첩부가 도 19에 표시되어 있다.
수술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서, 리트렉터는 참조 번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는 스테이플링 기구에 통합되어 있다. 스테이플링에 관련된 기구는 스테이플링 기구(1)의 대응 부분과 매우 유사하다. 이 때문에, 이들 부분은 이전과 동일한 참조 번호(그러나, 프라임 부호가 첨가됨)를 가지며, 이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8은 스테이플링 기구(100)의 주요 부분, 특히, 리트렉터의 주요 부분을 포함하는 그 스테이플링 고정 조립체(6')를 도시한다. 리트렉터가 스테이플링 기구(100)의 가요성 샤프트에 수납된 힘 전달 장치를 경유하여 구동 및 작동되는 다수의 가동성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술된 실시예에서 보다 많은 핸들에 배치된 힘 전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 부재가 존재한다. 당업자는 후술된 리트렉터의 이동 및 동작을 달성하는 방식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요성 샤프트(여기서, 4')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지만, 보다 많은 수의 힘 전달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척추 부재내에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갖는다.
도 18(a)에서, 스테이플링 기구(100)는 원하는 부위(Z 라인 아래 약 3cm)에서 위 벽(102)(전방 점막 벽)에 배치되며, 앤빌(20')은 카트리지(10')의 단부면(16')에 대해 작은 거리를 갖는다. 부분 (b)에서, 앤빌(20')은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여기서 참조 번호 110으로 표시되어 있는 리트렉터는 곡선형 단부 영역(114) 을 갖는 리트렉터 외피(112)를 포함한다. 리트렉터 외피(112)는 일반적으로,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의 종축에 평행하게 이동가능하다. 도 18(c)에서, 리트렉터 외피(112)는 그 원위 단부(115)가 카트리지(10')의 단부면(16')과 앤빌(20')을 수납하는 공간의 중심 영역에 있도록 부분 (a) 및 (b)에 비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도 18(d)에서, 스테이플 구동 장치 및 카트리지(10')의 일부는 도 12의 표현과 유사하게, 종방향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음 단계에서, 천공 팁(piercing tip)(117)을 구비한 곡선형 중공 니들(116)이 그 일부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중공 및 가요성 힘 전달기(118)에 의해 리트렉터 외피(112) 외측으로 구동된다. 가요성 샤프트를 통해 전체적으로 연장하는 힘 전달기(118)의 근위 영역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니들(116)의 천공 팁(117)은 장막까지 전체적으로 부위(119)에서 위벽을 관통한다.
그후, 중공 니들(116)의 내부 채널 내측에서 카테터(122)상에 장착되어 있는 절첩된 벌룬(120)이 원위 방향으로 카테터(122)를 이동시킴으로써 천공 팁(117)의 외부로 밀려진다. 장막 측부상에서, 벌룬(120)은 팽창되고, 중공 카테터(122)는 가압 튜브로서 기능한다. 그후, 니들(116)이 도 1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막 측부상에 팽창된 벌룬(120)을 남기고, 리트렉터 외피(112)의 곡선형 단부 영역(114)으로 후퇴된다.
이제, 카테터(122)가 후퇴된다(도 18(g)). 벌룬(120)은 천공 부위(119)를 통해 카테터(122)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단계에서, 카테터(122) 및 벌룬(120)을 포함하는 리트렉터 외피(112)는 근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8(h)은 위벽 (102)의 절첩부(124)가 이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8(i)에서, 리트렉터 외피(112)는 그 최종 위치에 도달되어 있다.
다음 단계에서, 앤빌(20')이 카트리지(10')의 단부면(16')에 대해 절첩부(124)의 조직을 클램핑할 때까지 마찬가지로 근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앤빌(20')과 카트리지(10') 사이의 원하는 잔류 간격은 스테이플링 기구(100)의 핸들에서 사전선택될 수 있다. 도 18(j)는 조직을 단면도로 본 상태를 도시하며, 도 18(k)에서 절첩부(124)의 조직은 측면도이다.
마지막으로, 스테이플링 기구(100)는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0')의 외부로 스테이플(40')을 구동함으로써 격발된다. 도 18(l)에서, 성형된 스테이플(40')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벌룬(120)이 카테터(122)에 의해 수축 및 리트렉터 외피(112)내로, 즉 니들(116)내로 후퇴된다. 그후, 스테이플링 기구(100) 및 절차의 관찰을 위해 사용된 위 내시경(도면에는 미도시)이 환자의 입 및 식도를 통해 후퇴될 수 있다.
도 19는 수술 결과를 예시하며, 부분(a)은 성형된 스테이플(40')을 포함하는 절첩부(124)의 종방향 도면이고, 부분 (b)은 반원형 라인을 따라 배열된 4개 스테이플(40')을 갖는 절첩부(124)의 상면도이다.

Claims (31)

  1. 수술 시스템으로서,
    - 스테이플링(stapling) 기구(1; 100), 및
    - 리트렉터(retractor)(90; 110)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플링 기구는,
    - 가요성(flexible) 샤프트 장치(4) 및 상기 스테이플링 기구(1; 100)의 근위 단부 영역(proximal end region)에서 상기 샤프트 장치(4)로부터 연장하는 핸들(2)과,
    - 상기 스테이플링 기구(1; 100)의 원위 단부 영역(distal end region)의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 6')로서, 적어도 하나의 곡선형 개방 스테이플(40; 40')의 열(row)을 포함하는 곡선형 카트리지(10; 10')와, 상기 카트리지(10; 10')로부터 나오는 스테이플(40; 40')의 단부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10; 10')와 협력하도록 적용되며, 스테이플 성형면(24)을 가지는 카트리지(10; 10')에 대향한 곡선형 앤빌(anvil)(20; 20')을 포함하는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 6')와,
    - 그 사이에 조직을 위치시키기 위한 이격 위치로부터 조직을 클램핑(clamping)하기 위한 폐쇄 위치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상기 카트리지(10; 10')에 관해 상대적으로 상기 앤빌(20; 20')을 이동시키도록 적용되는 이동 장치(9, 26, 28, 47, 50), 및
    - 상기 앤빌(20; 20')을 향해 상기 카트리지(10; 10') 외측으로 상기 스테이 플(40; 40')을 구동하도록 적용되는 스테이플 구동 장치(8, 49, 52, 54, 56)를 포함하고,
    - 상기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 6')는 선택적으로 상기 앤빌(20; 20')의,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10; 10')의 오목한 내부면을 향한 장애없는(unobstructed) 억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적용되며,
    - 상기 리트렉터는 상기 카트리지(10; 10')와 상기 앤빌(20; 20')이 이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카트리지(10; 10')와 상기 앤빌(20; 20') 사이의 공간내로 조직을 당기도록 적용되는 수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20; 20')의 스테이플 성형면(24)은 일반적으로 평면형이고, 상기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 6')의 종축에 관하여 횡단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0; 10') 및 상기 앤빌(20; 20')은 단면 평면내에서 일반적인 아크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아크는 90°내지 350°의 범위의 각도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20; 20')은 상기 앤빌(20; 20')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 6')의 종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26)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47, 50)는 상기 아암(2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 6')는 상기 카트리지(10; 10')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곡선형 홀더(holder)(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2)는 상기 아암(26)을 활주식으로 안내하도록 적용되는 가이드(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위치에서 상기 카트리지(10; 10')와 상기 앤빌(20; 20') 사이의 거리는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는 상기 카트리지(10)와 상기 앤빌(20)을 정렬하도록 상기 카트리지(10)와 상기 앤빌(20) 사이에서 이동, 바람직하게는, 활주하도록 적용되는 유지 핀(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핀(30)의 이동은 상기 핸들(2)에 위치된 작동 부재를 경유하여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구동 장치(8, 49, 52, 54, 56)는 상기 앤빌(20; 20')을 향해 상기 카트리지(10; 10') 외부로 상기 스테이플(40; 40')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샤프트 장치(4; 4')는 종방향으로 배열되고, 가요성 외피(sheath)(64)에 의해 둘러싸여진 복수의 척추(vertebra) 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척추 부재(6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고, 종방향으로 배열된 척추 부재(60)의 개구는 상기 핸들(2)에 위치된 상기 작동 부재(8, 9)로부터 상기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 6')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힘 전달 장치(47, 49)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6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힘 전달 장치는 상기 이동 장치(9, 26, 28, 47, 50)에 연계된 가요성 밴드(47)와, 상기 스테이플 구동 장치(8, 49, 52, 54, 56)에 연계된 가요성 밴드(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는 상기 가요성 샤프트 장치의 원위 단부 영역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0; 10')는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터(90)는 상기 스테이플링 기구(1)와는 별개의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터(110)는 상기 스테이플링 기구(100)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터(90)는 스크류(92)를 포함하고, 이 스크류는 조직을 천공하고, 조직내에 나사결합되도록 적용되며, 가요성 리트렉터 샤프트(98)의 일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92)는 코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터(110)는 내부 채널 및 팽창가능한 벌룬(balloon)(120)을 구비한 중공 니들(hollow needle)(116)을 포함하고, 상기 벌룬은 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니들(116)의 천공 팁(117) 외부로 밀려지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116)은 곡선형 니들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116)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115)를 갖는 리트렉터 외피(112)내에 활주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니들(116)은 상기 리트렉터 외피(112)의 근위 단부 영역을 경유하여 조작되는 힘 전달기(118)에 의해 상기 리트렉터 외피(112)의 원위 단부 영역 외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터 외피(112)는 상기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의 종축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25. 제 2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120)은 카테터(catheter)(122)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작업 채널(84)을 가지는 내시경(endoscope)(8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80)은 식도(esophagus)(72)를 통해 위(70)내부 까지 삽입되도록 적용되는 조종가능한 위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시스템.
  28. 스테이플링 기구(1)로서,
    제 17 항,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술 시스템의 스테이플링 기구.
  29. 리트렉터(90)로서,
    제 17 항,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술 시스템의 리트렉터.
  30.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6; 6')로서,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술 시스템의 스테이플 고정 조립체.
  31. 카트리지(10; 10')로서,
    제 16 항에 따른 수술 시스템의 스테이플링 기구(1; 100)에 적용되는 카트리지.
KR1020057024201A 2005-12-16 2003-06-16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를 갖는 수술 시스템 KR20070097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4201A KR20070097602A (ko) 2005-12-16 2003-06-16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를 갖는 수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4201A KR20070097602A (ko) 2005-12-16 2003-06-16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를 갖는 수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602A true KR20070097602A (ko) 2007-10-05

Family

ID=3880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201A KR20070097602A (ko) 2005-12-16 2003-06-16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를 갖는 수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76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761B1 (ko) * 2009-08-28 2010-05-12 주식회사 래보 플렉서블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761B1 (ko) * 2009-08-28 2010-05-12 주식회사 래보 플렉서블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3762B2 (ja) ステープル機器およびリトラクタを備えた外科システム
US7175648B2 (en) Deep endoscopic staple and stapler
US7648514B1 (en) Deep endoscopic staple and stapler
ES2272470T3 (es) Instrumento grapador quirurgico.
EP1416861B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a bypass procedure in a digestive system
US7530984B2 (en) Transgastric method for carrying out a partial fundoplication
JP5345297B2 (ja) 可撓性のある内視鏡安全針
US91736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bypass procedure in a digestive system
EP2380503B1 (en) Devices for placement of partitions within a hollow body organ
US809247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endoscopic treatment of organs
US70906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ectioning gastro-esophageal tissue
JP4142369B2 (ja) 内視鏡処置システム
JP4964660B2 (ja) 三重に曲がる括約筋切開器
JP5138270B2 (ja) 二重に曲がる括約筋切開器
WO2007037335A1 (ja) 縫合器
MXPA04009612A (es) Aplicador para anastomosis de un solo lumen para sujetador autodesplegable.
EP1553988A2 (en) Methods for the surgical application of a fastener and the endoluminal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WO2004026349A2 (en) Surgical fastener particularly for the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MXPA03004389A (es) Engrapadora para endoscopios.
KR20070097602A (ko) 스테이플링 기구 및 리트렉터를 갖는 수술 시스템
CN213722193U (zh) 外科缝合装置
US20240081796A1 (en) Full-thickness resection method
US20230218336A1 (en) Lesion res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