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6793A - 잠금구조 - Google Patents

잠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6793A
KR20070096793A KR1020070012601A KR20070012601A KR20070096793A KR 20070096793 A KR20070096793 A KR 20070096793A KR 1020070012601 A KR1020070012601 A KR 1020070012601A KR 20070012601 A KR20070012601 A KR 20070012601A KR 20070096793 A KR20070096793 A KR 20070096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locking
magnetic plate
locking structur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4771B1 (ko
Inventor
데루유키 모리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736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87653A/ja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edg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판에 대한 접합부에 응력이나 모멘트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접합부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는 잠금구조를 제공한다.
모기판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가능한 수지제 잠금부재와, 잠금부재를 카드엣지 커넥터측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자기판의 일단부를 카드엣지 커넥터로 삽입하고, 자기판의 타단부를 잠금부재 안에 수용함으로써, 자기판을 모기판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보유한다.
잠금부재, 카드, 가압, 커넥터

Description

잠금구조{Lock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 및 (b)는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 및 (d)는 비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 및 (c)는 후방 위쪽에서 본 도면이고, (b) 및 (d)는 전방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의 구성을 후방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전방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구성을 후방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전방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엣지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를 회로기판에 잠글 때까지의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카드를 카드엣지 커넥터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카드의 후방 끝부분을 카드엣지 커넥터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카드의 전방 끝부분을 잠금부재의 유입부와 맞닿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카드의 전방 끝부분을 잠금부재의 삽입부 안에 수용한 잠금상태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도 6의 (d)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a)는 카드의 전방 끝부분을 잠금부재의 유입부와 맞닿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카드의 전방 끝부분의 선단면(先端面)이 잠금부재의 유입부의 선단과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카드의 전방 끝부분을 잠금부재의 삽입부 안에 수용한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며, 도 8과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에 다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내는 잠금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와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도로서, (a)는 카드의 전방 끝부분의 선단면이 잠금부재의 유입부의 선단과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카드의 전방 끝부분이 잠금부재의 삽입부 안에 수용된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카드의 수용부와 볼록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로서, (a)는 카드의 전방 끝부분의 선단면이 잠금부재의 유입부의 선단과 맞닿은 상태를, (b)는 짧은 카드가 잠금부재의 삽입부 안에 수용된 상태를, (c)는 공차 안에서 가 장 긴 카드가 잠금부재의 삽입부 안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설명**
10: 잠금구조 20: 잠금부재
21,22: 보유부 30: 고정부재
36: 스프링부재(탄성접지부재) 40: 카드(자(子)기판)
41: 후방 끝부분(일단부) 42: 전방 끝부분(타단부)
46, 47: 수용부 50: 회로기판(모(母)기판)
60: 카드엣지 커넥터 70: 코일스프링(가압부재)
212,222: 잠금부 211b, 221b: 볼록부
216,226: 수용부 343,353: 실장부
본 발명은 자(子)기판을 모(母)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카드엣지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어, 자기판을 모기판에 보유시키기 위한 잠금구조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모듈, 그 밖의 카드(자기판)를 회로기판(모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카드엣지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며, 카드를 회로기판에 보유하는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2004-235142호 공보에 나타내는 래치가 있다.
이 래치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카드엣지 커넥터와는 별개로 설치되며, 회로기판에 있어서 카드엣지 커넥터와 마주보는 위치에 실장된다. 이 래치는 판스프링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카드의 길이방향 끝부분에 상당하는 위치에 있어서, 일단 위쪽으로 돌출한 후에 카드엣지 커넥터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 배치된 래치부를 구비하고 있다.
카드는 컨택트가 설치된 일단부를 카드엣지 커넥터에 삽입하고, 이 일단부측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타단부측이 래치부에 유입되어 내부에서 맞물린다. 이에 의해, 카드는 위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회로기판과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잠긴다.
상술한 래치에서는, 카드를 착탈할 때 탄성변형하는 래치부가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기판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이기 때문에, 이 스프링에 의한 응력이나 모멘트가 회로기판과의 접합부에 직접 전달된다. 이에 의해, 땜납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파괴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땜납 접합부의 접합강도는 스프링에 의한 모멘트에 약하기 때문에, 카드의 착탈 횟수가 많은 경우에는 파괴가 현저하였다. 또한 래치를 경박단소(輕薄短小)화하면 래치부가 작아지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탄성력이 떨어져 래치가 기능하지 않게 될 우려가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카드는 칫수 공차(公差)의 범위가 크며, 이 공차는 래치에서 흡수하여 카드를 보유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래치가 작아지면 충분한 탄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공차를 흡수하면서 카드 착탈시의 스트로크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더욱이, 공차 범위내라고 해도 작은 칫수의 카드 등은 래치로부터 벗어나기 쉽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카드를 착탈 조작하거나 카드가 장착된 디바이스를 다룰 때, 낙하 충격 등에 의해 카드를 떼어내는 방향이나 래치의 변위방향으로 힘이나 가속도가 더해지면, 래치의 선단 또는 래치 전체에 뒤틀림이나 내려앉음(소성변형)이 일어나, 이에 의해 카드가 빠지기 쉬웠다.
더욱이, 래치를 금속으로 구성하면, 카드를 착탈하는 조작을 할 때 조작자가 노출된 엣지부에 닿아 다칠 우려가 높고, 또한 파단면과 접촉함으로써 카드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카드엣지 커넥터에 카드를 삽입할 때, 카드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경사져버리는, 즉 회전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회전 어긋남이 발생하면, 도통(conduction) 불량이나 래치에 의한 보유가 불충분해져, 탈락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회전 어긋남은 특히, 카드를 카드엣지 커넥터에 삽입하는 작업이 불완전할 때나, 카드를 바르게 카드엣지 커넥터나 래치에 삽입한 후에 외부압력, 낙하, 충격, 그 밖의 원인에 의한 진동 등이 가해졌을 때 쉽게 발생하며, 더욱이 삽입방향으로 긴 카드는 회전 어긋남이 현저해진다.
더욱이, 회전 어긋남이 발생했을 때 커넥터와 카드가 도통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량을 내재한 채로 기기가 사용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기판에 실장된 카드엣지 커넥터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자기판(카드)의 타단부를 보유하기 위한 잠금구조에 있어서, 카드를 착탈할 때, 모기판의 접합부에 응력이나 모멘트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접합부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는 잠금구조를 얻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잠금구조는, 모기판에 실장된 카드엣지 커넥터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자기판의 타단부를 보유하기 위한 잠금구조로서, 모기판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가능한 수지제 잠금부재와, 잠금부재를 카드엣지 커넥터측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며, 자기판의 일단부를 카드엣지 커넥터에 삽입하고, 자기판의 타단부를 잠금부재 안에 수용함으로써, 자기판을 모기판과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카드엣지 커넥터와 잠금부재를 잇는 방향을 따라 신축(伸縮)하도록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재는 코일스프링의 축선 위에 자기판의 타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유부를 구비하면 좋다.
상기 잠금부재는 가압부재를 통하여 금속제 고정부재에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모기판에 실장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고정부재는 모기판 부재의 일부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모기판 및 자기판이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구성부재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를 모기판과는 별개의 기판에 실장할 수도 있다.
상기 잠금부재에는 내부에 코일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고정부재는 코일스프링의 축선 위에 배치된 실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유부는 코일스프링의 축선 위에, 자기판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유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실장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잠금부재는 고정부재 위를 슬라이딩 운동함으로써 모기판에 대하여 상대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보유부는 내부에 자기판의 타단부를 수용했을 때 자기판의 아랫면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그 받침부에 자기판이 모기판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보유되었을 때, 자기판에 형성된 수용부에 들어가도록 돌출형성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부는 수용부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구비하면 좋다.
상기 볼록부는 구면의 일부 또는 타원체의 일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는 평면에서 보아 받침부의 폭방향으로 긴 타원형을 구비하면 좋다.
상기 고정부재는 자기판을 잠금부재 안에 수용했을 때, 자기판의 아랫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패턴에 탄성접촉하는 탄성접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구조(10)는, 메모리 모듈, 그 밖의 카드(자기판)(40) 를 회로기판(모기판)(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카드엣지 커넥터(60)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서, 잠금부재(20)와 고정부재(30)를 구비한다(도 1, 도 6). 도 5에 나타내는 카드(40)는 그 후방 끝부분(일단부)(41)이 카드엣지 커넥터(60)에 삽입되고, 후방 끝부분(41)과 마주보는 전방 끝부분(타단부)(42)이 고정부재(30) 위에 슬라이딩 운동가능하게 보유된 잠금부재(20) 안에 수용되며, 이에 의해 카드(40)를 회로기판(50)에 대략 평행한 상태로 보유(잠금)할 수 있다(도 6의 (d), 도 8의 (c)). 본 명세서에서 '전', '후', '위', '아래'는 각 도면에 정의되어 있으며, 카드(40)에 대한 '폭방향', '길이방향'은 도 5에 정의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잠금부재(20)는 내부에 카드(40)의 전방 끝부분(42)을 수용하는 2개의 보유부(21,22)와, 이들 보유부(21,22)를 연결하는 연결부(23)를 구비한다. 이 잠금부재(20)는 수지(예를 들어, 9T 나일론, 66 나일론 및 46 나일론, 그 밖의 나일론(PA), 액정 폴리머(LCP), 폴리페닐렌 술파이드(PPS),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보유부(21,22)는 내부에 카드(40)를 수용했을 때 카드(40)의 아랫면(45)을 지지하는 받침부(211,221)와, 카드(40)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부(212,222)를 구비한다.
받침부(211,221)는 회로기판(50)에 실장된 고정부재(30)로 잠금부재(20)를 지지했을 때, 회로기판(50)의 윗면과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는 판형상 부재이다. 잠금부(212,222)는 받침부(211,221)의 위쪽에서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선단으로 향할수록 윗면이 받침부(211,221)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으로 된 유 입부(213,223)를 구비한다. 받침부(211,221)는 유입부(213,223)가 경사지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유입부(213,223)보다 길게 되어 있다. 유입부(213,223)와 받침부(211,221)에 의해 각각 끼워진 공간이, 카드(40)의 전방 끝부분(42)을 수용하는 삽입부(214,224)를 구성한다. 삽입부(214,224)의 앞끝면(214a,224a)은, 연결부(23)의 뒤쪽면(231)보다 뒤쪽(카드엣지 커넥터(60)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어 있다.
받침부(211,221) 뒤쪽의 선단면에는 대략 중앙의 위치에 고정부재(30)의 스톱퍼(341,351)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211a,221a)가 형성되어 있다.
보유부(21,22)의 아랫면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뻗은 가이드 오목부(215,225)와 수용부(216,226)가 각각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216,226)에는 코일스프링(가압부재)(70)이 각각 수용된다(도 8). 가이드 오목부(215,225)는 전후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L자형을 이루고 있다. 연결부(23)가 뻗은 방향에 있어서, 잠금부(212,222)와 받침부(211,221)는 서로 대략 동일한 폭이다. 또한, 잠금부재(20)와 고정부재(30)는 전체 폭이 서로 대략 동일하다. 카드(40)를 잠금부재(20)에 착탈할 때의 역학적인 안정성을 고려하면, 수용부(216,226)는 착탈시에 힘을 받는 받침부(211,221)(유입부(213,223))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214,224)의 앞끝면(214a,224a)은 연결부(23)의 뒤쪽면(231)과 동일면 위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보유부(21,22)가 독립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연결부(23)를 설치하지 않고 잠금부재(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보유부는 3개 이상 설치하여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고정부재(30)는 2개의 가이드부(31,32),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부(33), 및 슬라이드면(34,35)을 구비하고 있으며, 회로기판(50)의 소정의 위치에 납땜, 그 밖의 수단에 의해 실장된다. 이 고정부재(30)는 예를 들어, 인청구리(Cu-Sn계 구리합금), 베릴륨구리(Cu-Be계 구리합금), 티탄구리(Cu-Ti계 구리합금), 코르손계 구리합금(Cu-Ni-Si계 구리합금), 그 밖의 구리합금이나 스테인리스 구리(SUS)의 순송(順送) 금형에 의한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하며, 그 표면에 예를 들어, 금, 구리-주석, 또는 주석-납에 의한 도금 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연결지지부(33)는 좌우방향으로 뻗은 긴 판형상으로서, 그 좌우방향의 양끝부분에 절곡(折曲) 가공에 의해 가이드부(31,32)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1,32)는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의 선단면이 좌우방향으로 서로 접근하도록 절곡 가공한 대략 L자형을 이루고 있다. 슬라이드면(34,35)은 연결지지부(33)와 동일한 평면안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슬라이드면(34,35)에는 뒤끝부에 스톱퍼(341,351)가 각각 세워져 설치되며, 앞끝부에 정지부(342,352)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정지부(342,352)는 고정부재(30) 위에 잠금부재(20)를 배치한 후에 절곡 가공에 의해 각각 세워 설치한 상태가 된다. 슬라이드면(34,35)의 폭방향 양끝에는 고정부재(30)를 회로기판(50)에 실장했을 때 회로기판(50)의 윗면에 고정되는 실장부(343,35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연결지지부(33)의 대략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회로기판(50) 윗면에 고정되는 실장지지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장부(343,353)는 연결지지부(33)가 뻗은 방향에 있어서 단차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실장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땜납과의 접합면적을 늘려 접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상의 구성에서 고정부재(30)는, 실장부(343,353), 실장지지부(331)의 3군데에서 회로기판(50)에 지지되기 때문에,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카드엣지 커넥터(60)가 실장된 기판(회로기판(50))과 별도의 기판이나, 카드(40)를 장착하는 디바이스의 구성부재에 실장되어도 좋고, 또한 잠금부재(20)를 보유할 수 있으면, 고정부재(30) 대신에, 회로기판(50) 위의 다른 부재, 카드(40) 및 회로기판(50)이 장착되는 디바이스 상자체의 일부, 회로기판(50) 및 카드(40) 이외의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잠금부재(20)에 의해 카드(40)를 보유할 수 있으면, 연결지지부(33)를 설치하지 않고, 보유부(2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부(31,3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잠금부재(20)의 보유부(21,22) 및 대응하는 고정부재(30)의 슬라이드면(34,35)은, 필요로 하는 잠금 강도나 내낙하충격성에 따라 카드(40)의 전방 끝부분(42)에 대응하는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갯수만큼,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잠금부재(20)를 카드(40)의 전방 끝부분(42)의 양끝에 하나씩 배치하였지만, 잠금부재(20)와 고정부재(30)가 대응하고 있으면, 예를 들어 잠금부재(20)를 전방 끝부분(42)의 중앙에 하나씩 배치하여도 좋고, 3개 이상 배치하여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카드엣지 커넥터(6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절연성 하우징(62)과, 하우징(62)의 길이방향(도 4에서의 좌우방향)에 따른 2열 형상으로 설치 된 복수개의 컨택트(64,65)를 구비한다. 하우징(62)에는 카드(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오목부(66)가 그 앞면에 오목설치되어 있다. 수용오목부(66) 안에는 하우징(62)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카드(40)가 거꾸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67)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62)은 절연성 합성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2열 형상의 컨택트(64,65)는 금속판을 타발가공(stamping)함으로써 형성되고, 하우징(62)의 후방측으로부터 하우징(62)에 압입 고정되며, 수용오목부(66) 안으로 선단이 연장되어 나간다. 컨택트(64,65)는 수용오목부(66) 안으로 카드(40)가 수용되었을 때, 카드(40) 윗면(44)(도 5 참조)의 후방 끝부분(41)측에 설치된 접촉부(도시하지 않음)에 컨택트(64)가, 카드(40) 아랫면(45)의 후방 끝부분(41)측에 설치된 접촉부(도시하지 않음)에 컨택트(65)가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컨택트(64,65)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회로기판(50) 위의 각 단자에 납땜되어, 카드엣지 커넥터(60)가 회로기판(50) 위에 고정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카드(40)는 예를 들어, Mini-PCI Express 규격의 카드, SO-DIMM(Small Outline Dual-in-line Memory Module), 그 밖의 주지의 메모리 모듈로서, 대략 평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카드엣지 커넥터(60)에 삽입되는 후방 끝부분(41)측의 윗면(44) 및 아랫면(45)에는, 후방 끝부분(41)의 폭방향(도 5의 W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접촉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는 주지의 형상이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한다. 후방 끝부분(41)에는 카드(40)가 하우징(62) 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돌기부(67)가 끼워져 들어가는 절결부(410)가 형성되 어 있다.
이상의 잠금구조(10)는 다음과 같이 조립한다. 고정부재(30)의 뒤쪽으로부터 슬라이드면(34,35) 위에 잠금부재(20)의 받침부(211,221)를 삽입하고, 가이드 오목부(215,225) 안으로 가이드부(31,32)를 각각 슬라이딩 운동시켜 삽입한다. 이에 의해, 상하방향(회로기판(50)의 잠금구조(10)를 실장했을 때의 높이방향) 및 카드(40)의 폭방향에 따른 잠금부재(20)의 이동이 규제된다. 받침부(211,221)의 끝면이 스톱퍼(341,351)에 각각 접촉하는 정도까지, 보유부(21,22)를 슬라이드면(34,35) 위에서 각각 슬라이딩 운동시킨 지점에서, 수용부(216,226) 안에 코일스프링(70)을 각각 삽입하고,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70)의 뒤쪽 끝부분(71)을 수용부(216,226) 안의 끝면(216a,226a)에 각각 맞닿게 한다.
이어서, 정지부(342,352)를 연직방향으로 세우도록 구부려 코일스프링(70)의 전방 끝부분(72)과 맞닿게 한다. 이 때, 수용부(216,226) 안의 끝면(216a,226a)과 정지부(342,352)의 거리는, 코일스프링(70)의 자유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결국, 코일스프링(70)의 후방 끝부분(71)을 끝면(216a,226a)에, 전방 끝부분(72)을 정지부(342,352)에 각각 맞닿게 하였기 때문에, 코일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재(20)는 카드엣지 커넥터(60) 측으로 항상 눌린 상태가 된다. 한편, 받침부(211,221)는 그 선단면에 오목 설치된 오목부(211a,221a) 안에 스톱퍼(341,351)가 각각 맞닿음으로써, 카드엣지 커넥터(60)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코일스프링(70)의 후방 끝부분(71)과 맞닿는 끝면(216a,226a)의 위치, 코일스프링(70)의 스프링 레이트의 조정에 의해, 외형 칫수를 바꾸지 않고 카드(40)의 보유력이나 스트 로크를 쉽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져 바람직하다.
이상의 잠금구조(10)와 카드엣지 커넥터(60)는 회로기판(50) 위에 실장된다. 잠금구조(10)의 실장시에는 마운터의 흡착컵에 연결부(23)의 윗면 중앙 근방 또는 보유부(21,22)의 윗면을 흡착하고, 회로기판(50) 위의 소정 위치에 실장된다. 이 때, 스톱퍼(341,351)가 카드엣지 커넥터(60)에 가까운 측에, 정지부(342,352)가 카드엣지 커넥터(60)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도록, 실장부(343,353,331)를 회로기판(50) 위에 납땜함으로써, 회로기판(50) 위에 고정한다(도 6). 고정부재(30)가 실장되는 소정의 위치는 코일스프링(70)에 의해 카드엣지 커넥터(60)측으로 눌리면서 고정부재(30)에 지지된 잠금부재(20)의 삽입부(214,224) 안에 카드(40)의 전방 끝부분(42)이 수납되는 위치이다. 잠금구조(10)를 회로기판(50) 위에 실장하면, 잠금부재(20)는 고정부재(30) 및 회로기판(50)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된다.
역학적인 안정성을 고려하면, 코일스프링(70)의 축선 위에 잠금부(212,222) 및 실장부(343,353)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카드(40)의 장착시에 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잠금부재(20)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실장부에 불필요한 모멘트가 걸리지 않게 된다.
종래의 래치에서는 저배화에 대한 요청 등에 의해, 래치부를 구성하는 판 스프링을 줄여가면 추종성이 떨어지기 쉽다. 또한, 판스프링은 변위량이 커질수록 하중의 변화가 커지기 쉽다. 즉, 큰 변위를 얻으려고 할수록 조작력의 증대량이 커진다. 더욱이, 적은 변위로 소성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변위를 늘릴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코일스프링(70)은 추종성이 좋고, 변위량에 대하여 하중 변화가 적기 때문 에, 조작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70)은 선의 직경, 감는 횟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잠금부재(20) 및 고정부재(30)로의 하중, 변위의 변경이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오목부(211a,221a) 안에 스톱퍼(341,351)가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도, 코일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재(20)는 카드엣지 커넥터(60)측으로 항상 눌려있다(프리로드(preload)). 이와 같이 프리로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카드엣지 커넥터(6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잠금부재(20)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프리로드에 의해 주어진 힘보다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잠금부재(20)가 자체 중량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에 의해 카드(40)가 최소 공차 등으로 만들어져, 잠금부재(20)와의 걸림량이 작은 경우에도, 삽입부(214,224) 안으로 카드(40)를 확실하게 보유할 수 있는 동시에, 카드(40)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잠금부재(20)가 이동하는 음의 발생이나 공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리로드를 가한 경우에도, 코일스프링(70)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큰 변위를 얻을 수 있다.
카드(40)를 삽입할 때에는, 그 후방 끝부분(41)보다 전방 끝부분(42) 쪽이 회로기판(50)으로부터 이간된, 회로기판(50)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카드(40)의 후방 끝부분(41)을 하우징(62) 안으로 삽입한다(도 6의 (b)). 이 때, 후방 끝부분(41)은 컨택트(64)의 열(列)과 컨택트(65)의 열에 의해 끼워지도록 삽입된다. 이에 의해, 후방 끝부분(41)의 윗면(44) 측에 설치한 접속부가 컨택트(64)와, 아랫면(45) 측에 설치한 접속부가 컨택트(65)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는 아직 카드(40)가 회로기판(50)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한 비잠금 상태이다. 한편, 카드(40)의 삽입시에는 카드엣지 커넥터(60)에 형성된 돌기부(67)가 카드(40)에 형성된 절결부(410)로 들어간다. 따라서, 카드(40)의 상하면을 반대로 하여 삽입하더라도, 돌기부(67) 및 절결부(410)가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돌기부(67)가 절결부(410)에 들어가지 않아, 카드(40)가 거꾸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후방 끝부분(41) 측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 끝부분(42) 측을 회로기판(50)으로 가까워지도록 카드(40)를 회전운동시키면(밀어내리면), 전방 끝부분(42)의 아래쪽 능선이 유입부(213,223)에 맞닿는다(도 8의 (a)). 이 상태에서 카드(40)를 더욱 회전운동시키면, 전방 끝부분(42)은 유입부(213,223)와 맞닿으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잠금부재(20)는 코일스프링(70)의 탄성력에 대하여 카드엣지 커넥터(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코일스프링(70)은 전방 끝부분(42)의 선단면이 유입부(213,223)의 선단과 맞닿았을 때 가장 수축된 상태가 된다(도 8의 (b)).
전방 끝부분(42)이 유입부(213,223)의 선단을 넘어 더욱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전방 끝부분이 받침부(211,221)에 맞닿아 카드(4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어서, 카드(40)로부터의 힘에서 해방된 잠금부재(20)는 코일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엣지 커넥터(60)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 끝부분(42)이 삽입부(214,224) 안으로 수용되는 동시에, 보유부(21,22)의 선단면이 고정부재(30)의 스톱퍼(341,351)에 각각 맞닿는 곳에서 정지한다(도 6의 (d), 도 7, 도 8의 (c)). 이상의 동작에 의해, 카드(40)는 회로기판(50)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상태가 되며, 카드(40)의 회로기판(50)으로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 때, 후방 끝부분(41)은 카드엣지 커넥터(60) 안에, 전방 끝부분(42)은 삽입부(214,224) 안에 각각 수용되며, 카드엣지 커넥터(60) 및 잠금부(212,222)에 의해 카드(40)의 이동이 규제된 잠긴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잠금상태는 코일스프링(70)의 탄성력에 대하여, 잠금부재(20)를 카드엣지 커넥터(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전방 끝부분(42)을 회로기판(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해제할 수 있다.
잠금부(212,222)의 유입부(213,223)의 표면에 금속 등의 슬라이딩성이 뛰어난 부재를 설치하면, 카드(40)를 잠금부재(20)에 장착했을 때의 카드(40)와 유입부(213,223) 표면과의 슬라이딩 운동이 부드러워져 바람직하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재(탄성접지부재)(36)를 고정부재(30)의 실장부(343,353)로부터 각각 연장시키고, 또한 이들의 스프링부재(36)의 선단측을 굴곡하여 이루어지는 굴곡 접촉부(36a)를 받침부(211,221)보다 위쪽으로, 또는 삽입부(214,224) 안까지 연장시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잠금부재(20)에 보유된 카드(40)의 아랫면(45)(도 5)에 형성된 그라운드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스프링부재(36)의 굴곡접촉부(36a)를 탄성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고정부재(30)를 통하여 카드(40)를 확실하게 접지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부재(36)는 평면에서 보아 받침부(211,221)의 안쪽, 바깥쪽, 선단쪽(카드엣지 커넥터(60)측)) 중 어느 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지만, 안쪽에 설치하면 반송 또 는 그 밖의 기회에 잘못 접촉하여 변형시켜 버릴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부(211,221)로부터 수용부(216,226)로 통하는 삽입통과부(218)를 설치하고, 스프링부재(37)를 코일스프링(70)의 후방 끝부분(71)과 맞닿는 끝면(216a,226a)으로부터 받침부(211,221) 위, 또는 삽입부(214,224) 안까지 연장되어 나가도록 잠금부재(20)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잠금부재(20)에 보유된 카드(40)와 스프링부재(37)가 접촉하여, 고정부재(30)를 통하여 카드(40)를 접지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잠금부재(20)의 받침부(211,221) 위에 카드(40)의 수용부(46,47)(도 5, 도 13)로 들어가는 볼록부(211b,221b)를 각각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수용부(46,47)는 공차내에서 제조된 카드(40)의 폭방향 양끝부분에 형성된 관통구멍이다. 이들 볼록부(211b,221b)는 위쪽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카드(40)의 후방 끝부분(41) 및 전방 끝부분(42)이 카드엣지 커넥터(60) 및 잠금부재(20)에 각각 수용되었을 때, 수용부(46,47)로 각각 들어간다.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프링부재(36)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서는 보유부(21) 측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지만, 보유부(22) 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조이기 때문에 도시는 생략한다.
볼록부(211b,221b)는 다음과 같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드(40)의 삽입방향 앞끝(도 12 내지 도 14의 왼쪽)에 대해서는 카드(40)의 전방 끝부 분(42)을 유입부(213,223)의 뒤끝면에 맞닿게 하여, 잠금부재(20)를 카드엣지 커넥터(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볼록부(211b,221b)의 앞끝이 카드(40) 수용부(46,47)의 앞끝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카드(40)의 전방 끝부분(42)을 유입부(213,223)의 뒤끝면에 맞닿게 했을 때의 유입부(213,223)의 뒤끝면과 볼록부(211b,221b) 선단의 거리(A)(도 13의 (a), 도 14의 (a))가, 카드(40) 전방 끝부분(42)으로부터 수용부(46,47) 앞끝까지의 거리와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4에서는 보유부(22)측의 확대 평면을 나타내고 있지만, 보유부(21)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시는 생략한다.
이 볼록부(211b,221b)의 뒤끝부(카드(40) 삽입방향 뒤끝)(도 12 내지 도 14의 오른쪽)는, 공차내에서 가장 긴 카드(40)의 전방 끝부분(42)을 삽입부(214,224) 안으로 수용했을 때, 상기 볼록부(211b,221b)의 뒤끝이 카드(40)의 수용부(46,47)의 뒤끝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4의 (c) 참조). 이상과 같은 위치에 볼록부(211b, 221b)의 앞끝 및 뒤끝을 설치하면, 공차내에서 짧은 카드(40)를 삽입부(214,224)에 삽입했을 때에도, 볼록부(211b,221b)가 수용부(46,47) 안에 확실하게 수용된다(도 14의 (b)).
또한, 볼록부(211b,221b)의 카드(40)의 폭방향 길이에 대해서는, 수용부(46,47)의 폭방향 길이(수용부(46,47)가 평면에서 보아 원인 경우에는 직경)에 대응시켜, 최소한의 여유를 가지고 끼워맞추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볼록부(211b,221b)의 폭방향을 늘리고, 또한 위쪽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함으로 써, 큰 공차 안에서 카드(40)의 크기가 불규칙하더라도 카드(40)의 카드평면내에서 회전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볼록부(211b,221b)는 카드(40)의 수용부(46,47)에 들어가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으면 좋지만, 수용부(46,47)의 유입성이나 깎임에 의한 먼지의 발생방지의 관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볼록한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곡면은 구면의 일부나 타원체의 일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형태로서 카드(40)의 장착후에 카드(40) 전방 끝부분(42)과 삽입부(214,224)의 앞끝면(214a,224a)을 항상 맞닿게 하는, 즉 카드(40)가 잠금부재(20)에 대하여 걸리는 양을 일정하게 하여도 좋다. 이는 스톱퍼(341,351)의 위치와 코일스프링(70)의 스프링 설정에 의한 스트로크 및 탄성의 변경에 의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구조(10)에서는 잠금부재(20)를 수지로 형성하고, 이 잠금부재(20)를 코일스프링(가압부재)(70)을 통하여 고정부재(30)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정부재(30)와 회로기판(50)의 접합부에 응력 또는 모멘트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접합부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재(20)를 수지제로 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상이나 카드(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재로서 코일스프링(70)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 뛰어난 탄성에 의해 카드(40)의 공차 등에 대하여 충분한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잠금부재(20) 및 고정부재(30)에 카드(40)의 탈착시에 뒤틀리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잠 금부재(20)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어, 확실하면서 안정적으로 카드(40)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래치와 비교하여 잠금구조(10)를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고, 고정부재(30)에 대한 잠금부재(20)의 슬라이드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걸림 등도 잘 발생하지 않아, 예상밖의 조작(걸림 등)이 이루어졌다고해도 변형이나 파손없이 성능을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개량의 목적 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개량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잠금부재를 수지재료로 형성하며, 이 잠금부재를 가압부재를 통하여 고정부재에 슬라이딩 운동가능한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모기판의 접합부에 응력이나 모멘트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가압부재로서 코일스프링을 채용함으로써, 뛰어난 탄성에 의해 모기판의 공차 등에 대하여 충분한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래치의 선단 또는 래치 전체에 뒤틀림이나 주저앉음이 발생하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잠금부재가 불안정한 거동을 나타내지 않고,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자기판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탄성(잠금부재에 슬라이드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걸림 등도 발생하기 어려워, 가령 생각밖의 조작(걸림 등)이 이루 어졌더라도 변형이나 파손없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잠금부재를 수지제로 함으로써 작업자가 다치거나 자기판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유부의 받침부에 자기판의 수용부에 들어가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판의 삽입시 및 삽입후에도 회전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1)

  1. 모기판에 실장된 카드엣지 커넥터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자기판의 타단부를 보유하기 위한 잠금구조로서,
    상기 모기판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가능한 수지제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카드엣지 커넥터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자기판의 일단부를 상기 카드엣지 커넥터에 삽입하고, 상기 자기판의 타단부를 상기 잠금부재 안으로 수용함으로써, 상기 자기판을 상기 모기판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카드엣지 커넥터와 상기 잠금부재를 잇는 방향을 따라 신축하도록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인 잠금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축선 위에 상기 자기판의 상기 타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유부를 구비하는 잠금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가압부재를 통하여 금속제 고정부재에 보유되는 잠금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모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잠금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모기판 부재의 일부인 잠금구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모기판 및 상기 자기판이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구성부재인 잠금구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모기판과는 별개의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잠금구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에는 내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는 잠금구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축선 위에 배치된 실장부를 구비하는 잠금구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축선 위에 상기 자기판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잠금구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잠금구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잠금구조.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위를 슬라이딩 운동함으로써 상기 모기판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잠금구조.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카드엣지 커넥터측으로 가압되 고 있는 잠금구조.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는 내부에 상기 자기판의 상기 타단부를 수용했을 때 상기 자기판의 아랫면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이 받침부에는 상기 자기판이 상기 모기판에 대략 평행한 상태로 보유되었을 때, 상기 자기판에 형성된 수용부에 들어가도록 돌출형성된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잠금구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수용부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구비하는 잠금구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구면의 일부인 잠금구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타원체의 일부인 잠금구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받침부의 폭방향으로 긴 타원형을 구비하는 잠금구조.
  2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자기판을 상기 잠금부재 안에 수용했을 때, 상기 자기판의 아랫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패턴에 탄성접촉하는 탄성접지부재를 구비하는 잠금구조.
KR1020070012601A 2006-03-23 2007-02-07 잠금구조 KR100814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0168 2006-03-23
JP2006080168 2006-03-23
JPJP-P-2006-00273601 2006-10-05
JP2006273601A JP2007287653A (ja) 2005-12-06 2006-10-05 ロック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793A true KR20070096793A (ko) 2007-10-02
KR100814771B1 KR100814771B1 (ko) 2008-03-19

Family

ID=3880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601A KR100814771B1 (ko) 2006-03-23 2007-02-07 잠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7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1099A (en) * 1990-01-10 1991-09-24 Amp Incorporated High speed card edge connector
JP2711422B2 (ja) * 1991-12-25 1998-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Icカード排出装置
KR950021622U (ko) * 1993-12-29 1995-07-28 카드엣지콘넥터(card edge connector)
JP3078189B2 (ja) 1994-12-09 2000-08-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413755B2 (ja) 1997-07-08 2003-06-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Pcカード用コネクタ
JP3730116B2 (ja) * 2000-12-21 2005-12-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002216899A (ja) * 2001-01-15 2002-08-02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297484A (ja) * 2001-11-19 2003-10-1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
JP2004349153A (ja) * 2003-05-23 2004-12-09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JP2005135085A (ja) * 2003-10-29 2005-05-26 Murata Mfg Co Ltd Pcカ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771B1 (ko)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119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350095B2 (en) Connector
US9509069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female terminal
US8830679B2 (en) Receptacle heat sink connection
US7785112B2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113887B2 (en)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323045B2 (en) Card edge connector
US707767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board hold down
US11171432B2 (en) Anti-backout latch for interconnect system
KR20080007625A (ko) 커넥터 조립체
JP2019106384A (ja) コンパクト高速コネクタ
CN109428187A (zh) 连接器
US8052449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floating pad thereon
US20070087636A1 (en) Contact member, connector, substrate and contact system
US7887334B2 (en) Board connecting connector with board holding device
CN110034434B (zh) 卡边缘连接器系统
CN108736190B (zh) 双连接器系统
WO2014146134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lamping mechanism
EP4027463A1 (en) Socket and electronic device
CN110034462B (zh) 卡缘连接器系统
JP7553641B2 (ja) 撮像装置の構成部品及び可動コネクタと外部接続ケースとの接続構造
KR100772004B1 (ko) 잠금구조
KR100814771B1 (ko) 잠금구조
US7413458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