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6387A - 힌지형 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힌지형 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6387A
KR20070096387A KR1020060026691A KR20060026691A KR20070096387A KR 20070096387 A KR20070096387 A KR 20070096387A KR 1020060026691 A KR1020060026691 A KR 1020060026691A KR 20060026691 A KR20060026691 A KR 20060026691A KR 20070096387 A KR20070096387 A KR 20070096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ousing
door
sleeve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102006002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6387A/ko
Publication of KR2007009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pis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형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속도의 가속을 방지할 수 있는 댐핑수단이 구비되어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히는 순간의 충격을 줄일 수 있는 힌지형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는, 문틀 또는 도어 중 일측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 방향으로 노출되게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노출된 일단부가 문틀 또는 도어 중 상기 하우징이 연결된 일측의 타측에 연결되는 힌지축과,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과 하우징 사이에 토크를 가하기 위한 회전구동수단이 구비된 힌지형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중앙에 축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상기 축고정구멍의 주위에 환형의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슬리브의 주위에서 소정 위치에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축고정구멍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고정된 가압구와, 상기 슬리브가 틈새를 갖도록 삽입되는 슬리브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구의 회전으로 상기 융기부에 맞닿는 돌기가 상기 가압구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일측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설치된 댐핑피스톤과, 상기 댐핑피스톤의 일측면이 상기 가압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댐핑피스톤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댐퍼스프링과, 상기 댐핑피스톤과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채워져 상기 댐핑피스톤의 왕복이동에 따라 댐핑피스톤의 슬리부구멍과 상기 가압구의 슬리브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왕복으로 흐르는 댐핑유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댐핑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 도어 클로저, 댐핑

Description

힌지형 도어 클로저{HINGE TYPE AUTO DOOR CLOS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의 회전구동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의 댐핑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힌지형 도어 클로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
10 하우징
11 하우징 바디
12 도어취부 엔드캡
121 캡부
121a 베어링 안착 요부
121b 힌지축구멍
122 도어취부 브라켓부
13 엔드캡
131 댐핑수단 수용부
20 힌지축
21 캠가이드구멍
22 베어링지지부
23 브라켓고정부
24 댐핑수단장착부
25 문틀취부 브라켓
251 축고정부
252 브라켓부
30 회전구동수단
31 캠경사면
32 캠구
321 캠부
322 캠가이드
323 스프링지지봉
33 캠스프링
40 댐핑수단
41 가압구
411 축고정구멍
412 슬리브
413 융기부
42 댐핑피스톤
421 슬리브구멍
422 돌기
43 댐퍼스프링
44 댐핑유체
2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
10 하우징
11 하우징 바디
12 도어취부 엔드캡
13 엔드캡
20 힌지축
30' 회전구동수단(꼬임스프링)
40 댐핑수단
본 발명은 힌지형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속도의 가속을 방지할 수 있는 댐핑수단이 구비되어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히는 순간의 충격을 줄일 수 있는 힌지형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클로저는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 클로저는 링크 장치를 통해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힌지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어 클로저와 힌지가 일체로 된 힌지형 도어 클로저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0468호에는 상기와 같은 힌지형 도어 클로저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6은 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힌지 타입 도어 클로저는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캠경사면(111a)이 형성되어 문틀 또는 도어 중 일측에 연결되는 하우징(111)과, 상기 하우징(1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문틀 또는 도어 중 상기 하우징이 연결되지 않은 타측에 연결되는 힌지축(112)과, 상기 캠부(113a)가 상기 하우징의 캠경사면(111a)에 접촉되고 상기 하우징(111)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힌지축(112)에 지지된 캠구(113)와, 상기 캠구(113)의 캠부(113a)가 상기 하우징(111)의 캠경사면(111a)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캠구(113)를 가압하도록 설치된 캠스프링(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힌지 타입 도어 클로저는 도어에 힘을 가하여 도어를 열면 하우징(111)과 힌지축(112)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변위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상기 캠구(113)의 캠부(113a)가 경사진 캠경사면(111a)을 따라 이동되면서 캠구(113)가 이동되면서 캠스프링(114)이 압축되게 된다. 그리고, 도어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캠스프링(114)이 상기 캠구(113)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캠구(113)의 캠부(113a)에는 상기 캠경사면(111a) 경사면을 따라 미끌어지려는 힘이 가해지게 되고 그 힘이 토크로 작용되어 상기 캠부(113a)가 캠경사면(111a)을 따라 미끌어지면서 도어는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종래의 힌지 타입 도어 클로저는 캠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토크가 계속 힌지축에 가해지기 때문에 도어의 닫히는 회전운동은 가속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가 닫히는 순간에는 큰 충격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속도의 가속을 방지할 수 있는 댐핑수단이 구비되어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히는 순간의 충격을 줄일 수 있는 힌지형 도어 클로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는, 문틀 또는 도어 중 일측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 방향으로 노출되게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노출된 일단부가 문틀 또는 도어 중 상기 하우징이 연결된 일측의 타측에 연결되는 힌지축과,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과 하우징 사이에 토크를 가하기 위한 회전구동수 단이 구비된 힌지형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중앙에 축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상기 축고정구멍의 주위에 환형의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슬리브의 주위에서 소정 위치에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축고정구멍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고정된 가압구와, 상기 슬리브가 틈새를 갖도록 삽입되는 슬리브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구의 회전으로 상기 융기부에 맞닿는 돌기가 상기 가압구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일측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설치된 댐핑피스톤과, 상기 댐핑피스톤의 일측면이 상기 가압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댐핑피스톤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댐퍼스프링과, 상기 댐핑피스톤과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채워져 상기 댐핑피스톤의 왕복이동에 따라 댐핑피스톤의 슬리부구멍과 상기 가압구의 슬리브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왕복으로 흐르는 댐핑유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댐핑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는,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캠경사면과, 캠부가 상기 캠경사면에 접촉되고 상기 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힌지축에 지지된 캠구와, 상기 캠구의 캠부가 상기 캠경사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캠구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캠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는, 상기 캠경사면의 경사는 도어가 닫힌 지점에서 도어가 소정 각도로 열리는 지점 사이에서 캠부와 캠경사면 사이 의 반력에 의한 회전토크의 크기보다 캠부와 캠경사면 사이의 운동마찰력에 의한 마찰토크보다는 크고 캠부와 캠경사면 사이의 최대정지마찰력에 의한 마찰토크보다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는, 상기 캠경사면에는 도어가 소정 각도로 열리는 지점에 캠부가 걸리기 위한 턱 또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는, 회전구동수단은,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축에 연결된 꼬임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의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의 회전구동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의 댐핑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1)는 하우징(10), 힌지축(20), 회전구동수단(30) 및 댐핑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힌지축(20) 등이 설치되기 위한 원통형 통체로서 하 우징 바디(11), 도어취부 엔드캡(12) 및 엔드캡(1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11)는 중앙에 구멍이 관통형성되고 양단부 각각에 상기 도어취부 엔드캡(12) 및 엔드캡(13)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바디(11)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을 구성하기 위한 캠경사면(31)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취부 엔드캡(12)은 상기 하우징 바디(11)의 일단부를 막고, 상기 힌지축(20)이 회전지지되며, 도어(도면에 미도시)에 취부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취부 엔드캡(12)은 상기 하우징 바디(11)의 일단부를 막도록 그 일단부에 결합되는 캡부(121)와, 도어에 결합되도록 상기 캡부(121)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형성된 도어취부 브라켓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캡부(121)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축(20)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26a)이 안착고정되기 위한 베어링 안착 요부(121a)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121)의 중앙에는 상기 힌지축(20)의 일단부가 삽통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힌지축구멍(121b)이 형성된다.
상기 엔드캡(13)은 상기 하우징 바디(11)의 타단부를 막고, 상기 힌지축(20)이 회전지지되며, 내부에 상기 댐핑수단(40)이 설치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엔드캡(13)의 일측에는 상기 댐핑수단(40)이 수용설치되고, 힌지축(20)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26b)이 안착고정되기 위한 댐핑수단 수용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20)은 상기 도어에 연결된 하우징(10)에 회전지지되어 문틀(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힌지축(20)의 몸체에는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의 캠구(32)가 반경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한 캠가 이드구멍(21)이 힌지축(20)의 중심과 교차되게 관통형성된다. 상기 힌지축(20)의 일단부에는 상기 도어취부 엔드캡(12)의 베어링 안착 요부(121a)에 고정된 베어링(26a)이 결합되기 위한 베어링지지부(22)가 형성되고, 그 일단부의 말단은 상기 도어취부 엔드캡(12)의 힌지축구멍(121b)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고 그 노출된 말단에는 문틀에 연결되는 문틀취부 브라켓(25)의 축고정부(251)에 결합되기 위한 브라켓고정부(2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축(20)의 타단부에는 댐핑수단(40)이 장착되고 상기 엔드캡(13)에 결합된 베어링(26b)에 결합되기 위한 댐핑수단장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고정부(23)에는 브라켓부(252)가 문틀에 연결된 문틀취부 브라켓(25)의 축고정부(251)가 고정된다.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은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20)과 하우징(10) 사이에 토크를 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은 캠경사면(31), 캠구(32) 및 캠스프링(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경사면(31)은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 바디(11)의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캠경사면(31)은 대칭적으로 2개가 형성된다. 상기 캠경사면(31)에는 상기 캠구(32)가 캠스프링(33)에 의한 탄성력을 받아 캠구(32)의 캠부(321)가 접촉되면서 누르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캠구(32)의 캠부(321)에는 상기 캠경사면(31)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의 반력이 가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캠부(321)는 상기 캠경사면(31)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어 상기 캠구(32)가 연결된 힌지축(20)이 하우징(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어는 소정 정도, 예를 들면 절반 정도 열린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 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캠구(32)는 캠경사면(31)의 일정 위치에서 미끌어지지 않고 정지되어야 한다. 도 3c는 상기와 같이 도어가 일정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캠경사면(31)의 경사가 설정된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c를참조하면, 상기 캠경사면(31)의 경사는 도어가 닫힌 지점에서 도어가 소정 각도로 열리는 지점 사이(α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로 정지되도록 캠경사면(31)과 캠구(32)의 캠부(321) 사이의 반력(F)에 의해 발생된 토크의 크기가 캠부(321)와 캠경사면(31) 사이의 최대정지마찰력(R2)에 의한 마찰토크보다 작고 운동마찰력(R1)에 의한 마찰토크보다는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경사면(31)의 경사는 도어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열린 위치(α2)에서는 캠구(32)의 캠부(321)가 캠경사면(31)을 미끌어지면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캠경사면(31)과 캠구(32)의 캠부(321) 사이의 반력에 의해 발생된 토크의 크기가 캠부(321)와 캠경사면(31) 사이의 최대정지마찰력에 의한 마찰토크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3d는 상기와 같이 도어가 일정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캠경사면(31)의 소정 위치에 상기 캠구(32)의 캠부(321)가 안착되어 걸리기 위한 요홈(31a)이 도어가 소정 각도로 열리는 지점에 형성되어 캠부(321)가 상기 요홈(31a)에 걸림으로써 도어가 소정 위치에 정지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캠구(32)는 캠부(321)가 상기 캠경사면(31)에 접촉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힌지축(20)에 지지된다. 도면에는 상기 캠구(32)가 대칭적으로 한 쌍이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캠구(32) 각각은 상기 캠경사면(31)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는 캠부(321) 와, 상기 캠부(321)의 일측에서 돌출연장되어 상기 힌지축(20)에 형성된 캠가이드구멍(21)에 삽입되는 캠가이드(322)와, 상기 캠가이드(322)가 형성된 일측에서 마주보는 다른 캠구(32)에 형성된 캠가이드(32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다른 캠구(32)의 상기 캠가이드(322)와 마주보는 스프링지지봉(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스프링(33)은 상기 캠구(32)의 캠부(321)가 상기 캠경사면(31)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캠구(32)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캠가이드(322)의 내측에 지지되고 타단은 다른 캠구(32)의 스프링지지봉(332)에 지지된다.
상기 댐핑수단(40)은 상기 회전구동수단(30)에 의해 가속되어 자동으로 닫히는 문의 회전 가속을 줄임으로써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줄이고 도어가 문틀에 밀착되는 순간에 발생되는 충격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가압구(41), 댐핑피스톤(42), 댐퍼스프링(43) 및 댐핑유체(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구(41)는 힌지축(20)과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댐퍼스프링(43)의 탄성력을 받아 일방으로 가압되는 댐핑피스톤(42)을 상기 댐퍼스프링(43)에 의한 탄성력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구(41)는 중앙에 상기 힌지축(20)의 댐핑수단장착부(24)가 삽입고정되기 위한 축고정구멍(41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상기 축고정구멍(411)의 주위에 환형의 슬리브(412)가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슬리브(412)의 주위에서 소정 위치에 융기부(413)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20)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축고정구 멍(411)에 상기 힌지축(20)의 댐핑수단장착부(24)가 삽입고정된다.
상기 댐핑피스톤(42)은 상기 슬리브(412)가 틈새를 갖도록 삽입되는 슬리브구멍(421)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구(41)의 회전으로 상기 융기부(413)에 맞닿는 돌기(422)가 상기 가압구(41)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일측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10)의 엔드캡(13)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의 엔드캡(13)의 내부에 삽입설치된다.
상기 댐퍼스프링(43)은 상기 댐핑피스톤(42)의 일측면이 상기 가압구(41)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댐핑피스톤(42)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댐퍼스프링(42)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10)의 엔드캡(13)에 지지된다.
상기 댐핑유체(44)는 상기 댐핑피스톤(43)과 하우징(10)의 엔드캡(13)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채워져 상기 가압구(41)의 회전으로 상기 댐핑피스톤(42)이 왕복이동됨에 따라 댐핑피스톤(42)의 슬리부구멍(421)과 상기 가압구(41)의 슬리브(41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왕복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댐핑피스톤(42)의 슬리부구멍(421)과 상기 가압구(41)의 슬리브(412) 사이의 틈새는 매우 작기 때문에 그 사이를 지나는 유량에는 한계가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저항력이 발생되어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 회전이 감속된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댐핑수단(40)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 힌 상태에서는 가압구(41)의 융기부(413)가 상기 댐핑피스톤(42)의 돌기(422)와 접촉되어 상기 댐핑피스톤(42)이 후진되어 상기 댐퍼스프링(43)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면 상기 힌지축(20)과 일체로 가압구(41)가 회전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구(41)가 회전되면서 가압구(41)의 융기부(413)가 상기 댐핑피스톤(42)의 돌기(422)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힌지축(20)에는 외력이 작용되지 않게 되어 도어는 자연스럽게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구(41)의 융기부(413)가 상기 댐핑피스톤(42)의 돌기(422)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상기 댐핑피스톤(42)은 댐퍼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상기 댐핑피스톤(42)이 상기 가압구(41)에 걸릴 때까지 이동된다. 이때, 상기 댐핑피스톤(42)과 상기 가압구(41)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댐핑유체(44')의 일부는 상기 댐핑피스톤(42)의 슬리부구멍(421)과 상기 가압구(41)의 슬리브(41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댐핑피스톤(43)과 하우징(10)의 엔드캡(13)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흐르게 된다.
반대로 도어를 놓으면 상기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는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구(41)가 회전되면서 가압구(41)의 융기부(413)가 상기 댐핑피스톤(42)의 돌기(422)에 도어가 거의 완전히 닫힌 위치 또는 그 전의 위치에서 접촉되게 된다. 상기 가압구(41)의 융기부(413)는 상기 댐핑피스톤(42)의 돌기(422)와 접촉되면서 누르기 때문에 상기 댐핑피스톤(42)은 상기 댐퍼스프링(43)이 압축되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댐핑피스톤(42)이 밀려 이동되면 상기 댐핑피스톤(43)과 하우징(10)의 엔드캡(13)으로 둘러싸인 공간 에 채워진 댐핑유체(44)의 일부는 상기 댐핑피스톤(42)의 슬리부구멍(421)과 상기 가압구(41)의 슬리브(412) 사이의 틈새를 통해 흘러 상기 댐핑피스톤(42)과 상기 가압구(41)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댐핑피스톤(42)의 슬리부구멍(421)과 상기 가압구(41)의 슬리브(412) 사이의 틈새는 좁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상기 댐핑피스톤(43)과 하우징(10)의 엔드캡(13)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채워진 댐핑유체(44)의 일부가 그 틈새를 통해 상기 댐핑피스톤(42)과 상기 가압구(41) 사이의 공간으로 흐르면서 틈새에서 발생되는 유체유동저항에 따라 상기 댐핑피스톤(43)은 천천히 이동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구(41)는 그 융기부(413)가 상기 댐핑피스톤(42)의 돌기(422)에 걸려 저항력을 받게 되고, 그 저항력에 의해 상기 힌지축(20)의 회전은 천천히 이루어지면서 도어도 그 회전속도가 감속되면서 천천히 닫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2)는 회전구동수단(30')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2)와 대동소이하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2)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 힌지축(20), 회전구동수단(30') 및 댐핑수단(40)으로 구성되며, 다만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의 구성이 제1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2)는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이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축에 연결된 꼬임스 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형 도어 클로저는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속도의 가속을 방지할 수 있는 댐핑수단이 구비되어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히는 순간의 충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힌지형 도어 클로저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문틀 또는 도어 중 일측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 방향으로 노출되게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노출된 일단부가 문틀 또는 도어 중 상기 하우징이 연결된 일측의 타측에 연결되는 힌지축과,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과 하우징 사이에 토크를 가하기 위한 회전구동수단이 구비된 힌지형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중앙에 축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상기 축고정구멍의 주위에 환형의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슬리브의 주위에서 소정 위치에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축고정구멍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고정된 가압구와,
    상기 슬리브가 틈새를 갖도록 삽입되는 슬리브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구의 회전으로 상기 융기부에 맞닿는 돌기가 상기 가압구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일측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설치된 댐핑피스톤과,
    상기 댐핑피스톤의 일측면이 상기 가압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댐핑피스톤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댐퍼스프링과,
    상기 댐핑피스톤과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채워져 상기 댐핑피스톤의 왕복이동에 따라 댐핑피스톤의 슬리부구멍과 상기 가압구의 슬리브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왕복으로 흐르는 댐핑유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댐핑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힌지형 도어 클로저.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캠경사면과,
    캠부가 상기 캠경사면에 접촉되고 상기 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힌지축에 지지된 캠구와,
    상기 캠구의 캠부가 상기 캠경사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캠구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캠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도어 클로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경사면의 경사는 도어가 닫힌 지점에서 도어가 소정 각도로 열리는 지점 사이에서 캠부와 캠경사면 사이의 반력에 의한 회전토크의 크기보다 캠부와 캠경사면 사이의 운동마찰력에 의한 마찰토크보다는 크고 캠부와 캠경사면 사이의 최대정지마찰력에 의한 마찰토크보다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도어 클로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경사면에는 도어가 소정 각도로 열리는 지점에 캠부가 걸리기 위한 턱 또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도어 클로저.
  5. 제1항에 있어서,
    회전구동수단은,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축에 연결된 꼬임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도어 클로저.
KR1020060026691A 2006-03-23 2006-03-23 힌지형 도어 클로저 KR20070096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691A KR20070096387A (ko) 2006-03-23 2006-03-23 힌지형 도어 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691A KR20070096387A (ko) 2006-03-23 2006-03-23 힌지형 도어 클로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851U Division KR200436337Y1 (ko) 2006-03-23 2006-03-23 힌지형 도어 클로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387A true KR20070096387A (ko) 2007-10-02

Family

ID=3880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691A KR20070096387A (ko) 2006-03-23 2006-03-23 힌지형 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63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3434A1 (ko) * 2013-04-04 2014-10-09 에버시스 주식회사 회전 속도 제어 댐퍼
CN105971420A (zh) * 2016-06-30 2016-09-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铰链组件及冰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3434A1 (ko) * 2013-04-04 2014-10-09 에버시스 주식회사 회전 속도 제어 댐퍼
CN105971420A (zh) * 2016-06-30 2016-09-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铰链组件及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8452B2 (ja) 緩衝装置
US7243394B2 (en) Door closing hinge device
KR101418581B1 (ko) 도어 폐쇄력을 부가하는 유닛을 구비한 도어 클로저
US5518459A (en) Autotensioner
CN110080643B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家居装置
JP2013500409A (ja) ドアクローザ
US20110302743A1 (en) Hinge apparatus for a door
US10941600B2 (en) Hinge device for washing machine door
US20200263471A1 (en) Pivot hinge apparatus for door
KR20070096387A (ko) 힌지형 도어 클로저
KR200436337Y1 (ko) 힌지형 도어 클로저
KR101518262B1 (ko) 회전식 댐퍼장치
KR20110010242A (ko) 로타리 댐퍼
EP3798399A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KR101643408B1 (ko)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KR101784173B1 (ko) 회전식 도어 구동 장치
KR101172372B1 (ko) 도어 클로저
JP4911496B2 (ja)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KR102029312B1 (ko) 댐핑힌지
EP3798398A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JP2002213430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CN218407029U (zh) 阻尼铰链
KR101781525B1 (ko) 경첩
KR100403161B1 (ko) 힌지
KR101781523B1 (ko)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927

Effective date: 200804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